KR20020009897A -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897A
KR20020009897A KR1020000043452A KR20000043452A KR20020009897A KR 20020009897 A KR20020009897 A KR 20020009897A KR 1020000043452 A KR1020000043452 A KR 1020000043452A KR 20000043452 A KR20000043452 A KR 20000043452A KR 20020009897 A KR20020009897 A KR 2002000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ing
pressing end
rearview mirro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068B1 (ko
Inventor
박운택
Original Assignee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00004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양측과 측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접점판이 내장되는 결합홈을 중앙과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방 모서리 부분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단과, 상기 슬라이더 및 각각의 누름단을 내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변환버튼과, 상기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단의 단속을 제어하는 누름러버와, 상기 누름러버를 감싸며, 상기 누름러버 및 누름단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 누름단을 결합하여 항상 2개의 누름단이 동시에 작동되게 함으로써 오작동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작동 미숙으로 인한 쇼트의 발생을 방지하여 원활한 백미러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Modulating Switch of Automobile Rearview Mirr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양측으로 고정 설치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양측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백미러를 조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의 양측 후방을 관찰하고자 하는 백미러를 자동차의 전방 양측으로 고정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백미러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양측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앉아서 백미러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과, 직접 각각의 백미러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식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에 앉아서 운전자가 백미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 의 전동식 백미러 조정 스위치는 대부분 운전석 도어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종래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3개씩으로 구성되어 2개조로 이루어진 제 1 접점판(411,411a,411b,412,412a,412b)과, 상기 2개조의 접점판(411,411a,411b,412, 412a,412b)의 외주에 각각 2개가 1조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점판(413,413a,414,414a,415,415a,416,416a)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40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1)의 상기 접점판(411,411a,411b,412,412a,412b)과 슬라이드 접점되는 슬라이더(402)와;
상기 슬라이더(402)를 좌우로 슬라이드 단속하는 변환버튼(403)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1)에 형성된 제 2 접점판(413,413a,414,414a,415,
415a,416,416a)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가 1개조로 형성되는 누름돌기(404a,404b,404c,404d)를 갖는 누름판(404)과;
상기 누름판(404)에 결합되어 누름을 단속하는 누름버튼(405)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백미러 조정스위치는 고무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누름버튼(405)의 상,하,좌,우를 선택하여 누르면 백미러(미도시)에 내장 설치한 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백미러가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운전자가 운전하기에 가장 편리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누름버튼(405)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측을 누르면 누름판(404)에 형성된 누름돌기(404a)가 눌려지게 되어 접점판(413,413a)과 접점이 이루어진다.
이 때, 누름돌기(404a)가 접점판(413,413a)에 접점 됨과 동시에, 돌출된 누름돌기(404c,404d)가 동시에 눌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좌,우측에 형성한 접점판(415,415a,416,416a) 중 상부측으로 형성한 접점판(415,416)이 누름돌기(404c,404d)와 접점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쇼트의 발생으로 백미러 조정스위치나 백미러를 구동하는 모터의 고장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눌리어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름판(404)과 인쇄회로기판(401)의 사이에 접점불량의 발생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접점 차단장치(미도시)를 형성하여야만 하였고, 이로 인해 부품수의 증가는 물론, 제품의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에서 누르더라도 불필요한 접점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단자의 수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백미러 조정 스위치를 제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백미러 조정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 - A선 종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B - B선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좌측백미러를 조정하는 상태의 회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우측백미러를 조정하는 상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제 1 접점판 4 : 슬라이더
5 : 제 1 누름단 6 : 커버 7 : 변환버튼 9 : 누름버튼
52 : 제 2 누름단 54 : 제 3 누름단 56 : 제 4 누름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접점판이 내장되는 결합홈을 중앙과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방 모서리 부분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단과, 상기 슬라이더 및 각각의 누름단을 내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변환버튼과, 상기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단의 단속을 제어하는 누름러버(Rubber)와, 상기 누름러버를 감싸며, 상기 누름러버 및 누름단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은 도 3 의 A - A선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도 3 의 B - B선 종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 백미러 조정스위치의 회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좌측백미러를 조정하는 상태의 회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우측백미러를 조정하는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는 중앙에 제 1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제 2 결합홈(12), 제 3 결합홈(13), 제 4 결합홈(14) 및 제 5 결합홈(1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제 1 결합홈(11)에는 제 1 내지 제 6 접점(27,28,29,30,31,32)이 형성되고, 이에 제 1 및 제 2 터미널(41,42)를 갖는 슬라이더(4)가 안착된다. 또한, 제 2 내지 제 5결합홈(12,13,14,15)에는 각각 탄성부재(57,151,153,155)에 의해 탄지되는 제 1 내지 제 4 의 누름단(5,52,54,56)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누름단(5,52,54,56)의 상부측이 상부로 인출되고 중앙에 결합공(61)을 형성하는 커버(6)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결합 고정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의 결합홈(43)에는 상기 커버(6)의 결합공(61)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커버(6)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변환버튼(7)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레버(71)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6)에는 상부로 인출되는 제 1 내지 제 4 누름단(5,52,54,56)과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돌기(8a,8b,8c,8d)를 갖는 누름러버(8)가 안착되며, 상기 누름러버(8)를 내장하며 중앙에 상기 변환버튼(7)이 인출되는 결합공(91)을 형성하는 누름버튼(9)으로 이루어져 백미러 조정스위치(1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백미러 조정스위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중앙에 형성하는 제 1 결합홈(11)에는 제 1 접점(27), 제 2 접점(28), 제 3 접점(29), 제 4 접점(30), 제 5 접점(31) 및 제 6 접점(32)이 3개씩 2개조로 형성되고, 제 2 결합홈(12)과 제 3 결합홈(13) 및 제 4 결합홈(14)의 일측면에는 제 1 접점판(2)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제 2 결합홈(12)에는 제 3 접점판(22)을 고정 설치하고, 제 3 결합홈(13)에는 제 5 접점판(24)을 고정 설치하며, 제 4 결합홈(14)에는 제 7 접점판(26)을 고정 설치한다.
또한 제 2 내지 제 4 결합홈(12,13,14)의 제 3,5,7 접점판(22,24,26)을 고정 설치한 타측면에 고정 설치하는 제 2 접점판(21)은 제 2 결합홈(12)에 고정 설치하고, 제 4 접점판(23)은 제 3 결합홈(13)에 고정 설치하며, 제 6 접점판(25)은 제 4 결합홈(14)에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제 5 결합홈(15)에는 어떠한 접점이나 접점판이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4)는 상기 제 1,2,3 접점(27,28,29)과 접점 되는 제 1 터미널(41)과, 제 4,5,6 접점(30,31,32)과 접점 되는 제 2 터미널(42)을 결합 설치하며, 중앙 상부에는 변환버튼(7)의 작동레버(71)가 결합되는 결합홈(43)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누름단(5)은 하부에 상기 제 1,2,3 접점판(2,21,22)과 접점 되는 제 1 가동접점(51)을 결합하고, 제 2 결합홈(12) 내에서 제 1 탄성부재(151)에 의해 탄지된다.
제 2 누름단(52)은 하부에 상기 제 1,4,5 접점판(2,23,24)과 접점 되는 제 2가동접점(53)을 결합하고, 제 3 결합홈(13) 내에서 제 2 탄성부재(153)에 의해 탄지된다.
제 3 누름단(54)은 하부에 상기 제 1,6,7 접점판(2,25,26)과 접점 되는 제 3 가동접점(55)을 결합하고, 제 4 결합홈(14) 내에서 제 3 탄성부재(155)에 의해 탄지된다.
제 4 누름단(56)은 제 5 결합홈(15) 내에서 제 4 탄성부재(57)에 의해 탄지된다.
미 설명부호 200,300은 백미러이고, 201은 제 1 모터이며, 202는 제 2 모터이고, 301은 제 3 모터이며, 302는 제 4 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환레버(7)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가 제 1 결합홈(11)의 중앙에 위치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4)의 하부에 설치한 제 1,2 터미널(41,42)이 제 2,5 접점(28,31)의 상부로 접점 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가동접점(51)은 제 1 접점판(2) 및 제 2 접점판(21)과 접점 되고, 제 2 가동접점(53)은 제 1 접점판(2) 및 제 4 접점판(23)과 접점 되며, 제 3 가동접점(55)은 제 1 접점판(2) 및 제 6 접점판(25)과 접점 되는 것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만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때에는 변환버튼(7)의 조작으로 슬라이더(4)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 1,2 접점(27,28)이 제 1 터미널(41)에 의해 접점 되고, 제 4,5 접점(30,31)이 제 2 터미널(42)에 의해 접점 되더라도 백미러(300)의 제 3,4 모터(301,302)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 3,4 모터(301,3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변환버튼(7)의 조작으로 슬라이더(4)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 2,3 접점(28,29)이 제 1 터미널(41)에 의해 접점 되고, 제 5,6 접점(31,32)이 제 2 터미널(42)에 의해 접점 되더라도 백미러(200)의 제 1,2 모터(201,202)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3,4 모터(201,202,301,302)에 ??전류만 흐르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좌측에 고정 설치한 백미러(200)를 조정하기 위하여 변환버튼(7)의 상부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커버(6)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변환버튼(7)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레버(71)는 오른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작동레버(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4)가 오른쪽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더(4)의 하부로 설치한 제 1 터미널(41)이 제 2 접점(28)과 제 3 접점(29)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호 접점이 이루어지고, 제 2 터미널(42)은 제 5 접점(31)과 제 6 접점(32)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호 접점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 2 접점(28)과 제 3 접점(29)이 제 1 터미널(41)에 의해 상호 접점이 되고, 제 5 접점(31)과 제 6 접점(32)이 제 2 터미널(42)에 의해 상호 접점이 된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백미러(2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상부측(상)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c,8a)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1 가동접점(51)과 제 2 가동접점(53) 중 제 1 가동접점(51)은 제 2 접점판(21)과 제 3 접점판(22)에 접점이 되고, 제 2 가동접점(53)은 제 4 접점판(23)과 제 5 접점판(24)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200)의 거울(미도시)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 모터(201)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 모터(202)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모터(201)는 정회전을 하여 백미러(200)의 거울이 상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1 탄성부재(151)와 제 2 탄성부재(153)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1,2 누름단(5,52)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1 가동접점(51)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2 접점판(21)이 상호 접점 되고,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2 가동접점(53)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4 접점판(23)이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200)의 거울을 하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하부측(하)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d,8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3 가동접점(55)은 제 6 접점판(25)과 제 7 접점판(26)에 접점이 되어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이때에 제 4 누름단(56)은 제 3 누름단(54)과 함께 하부로 이동할 때에 상호 균형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200)의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 모터(201)에는 백미러(2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백미러(200)의 거울이 하향으로 조정된다.
또한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 모터(202)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3 탄성부재(155)와 제 4 탄성부재(57)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3 누름단(54)과 제 4누름단(56)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3,4 누름단(54,56)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3 가동접점(55)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6 접점판(25)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200)의 거울을 좌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좌측(좌)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c,8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1 가동접점(51)은 제 2 접점판(21)과 제 3 접점판(22)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되고, 제 4 누름단(56)은 제 1 누름단(5)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호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2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 모터(202)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 모터(201)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모터(202)는 정회전을 하여 백미러(200)의 거울이 좌향으로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1 탄성부재(151)와 제 4 탄성부재(57)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1,4 누름단(5,56)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1 가동접점(51)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2 접점판(21)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200)의 거울을 우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우측(우)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a,8d)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2 가동접점(53)과 제 3 가동접점(55) 중 제 2 가동접점(53)은 제 4 접점판(23)과 제 5 접점판(24)에 접점이 되고, 제 3 가동접점(55)은 제 6 접점판(25)과 제 7 접점판(26)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7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2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 모터(202)에는 상기 백미러(200)의 거울을 좌향으로 조절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 모터(201)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모터(202)는 역회전을 하여 백미러(200)의 거울이 우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2 탄성부재(153)와 제 3 탄성부재(155)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2,3 누름단(52,54)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2 가동접점(53)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4 접점판(23)이 상호 접점 되고,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3 가동접점(55)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6 접점판(25)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3,4 모터(201,202,301,302)에 -전류만 흐르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우측에 고정 설치한 백미러(300)를 조정하기 위하여 변환버튼(7)의 상부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버(6)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변환버튼(7)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작동레버(71)는 왼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의작동레버(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4)가 왼쪽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더(4)의 하부로 설치한 제 1 터미널(41)이 제 1 접점(27)과 제 2 접점(28)의 상부로 접하여 상호 접점이 되고, 제 2 터미널(42)은 제 4 접점(30)과 제 5 접점(31)의 상부로 접하여 상호 접점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접점(27)과 제 2 접점(28)이 제 1 터미널(41)에 의해 상호 접점이 되고, 제 4 접점(30)과 제 5 접점(31)이 제 2 터미널(42)에 의해 상호 접점이 된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백미러(3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상부측(상)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c,8a)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5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1 가동접점(51)과 제 2 가동접점(53) 중 제 1 가동접점(51)은 제 2 접점판(21)과 제 3 접점판(22)에 접점이 되고, 제 2 가동접점(53)은 제 4 접점판(23)과 제 5 접점판(24)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300)의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3 모터(301)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4 모터(302)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3 모터(301)는 정회전을 하여 백미러(300)의 거울이 상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1 탄성부재(151)와 제 2 탄성부재(153)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1,2 누름단(5,52)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1 가동접점(51)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2 접점판(21)이 상호 접점 되고,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2 가동접점(53)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4 접점판(23)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3,4 모터(301,3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300)의 거울을 하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하부측(하)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d,8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3 가동접점(55)은 제 6 접점판(25)과 제 7 접점판(26)에 접점이 되어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이때에 제 4 누름단(56)은 제 3 누름단(54)과 함께 하부로 이동할 때에 상호균형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300)의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3 모터(301)에는 백미러(3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백미러(300)의 거울이 하향으로 조정된다.
또한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4 모터(302)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3 탄성부재(155)와 제 4 탄성부재(57)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3,4 누름단(54,56)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3 가동접점(55)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6 접점판(25)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3,4 모터(301,3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300)의 거울을 좌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좌측(좌)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c,8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1 가동접점(51)은 제 2 접점판(21)과 제 3 접점판(22)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되고, 제 4 누름단(56)은 제 1 누름단(5)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호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3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4 모터(302)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3 모터(301)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4 모터(302)는 정회전을 하여 백미러(300)의 거울이 좌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1 탄성부재(151)와 제 4 탄성부재(57)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1,4 누름단(5,56)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누름단(5)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1 가동접점(51)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2 접점판(21)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3,4 모터(301,3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백미러(300)의 거울을 우향 조정할 때에는 누름버튼(9)의 우측(우)을 누르면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버튼(9)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8)에 형성된 누름돌기(8a,8d)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2 가동접점(53)과 제 3 가동접점(55) 중 제 2 가동접점(53)은 제 4 접점판(23)과 제 5 접점판(24)에 접점이 되고, 제 3 가동접점(55)은 제 6 접점판(25)과 제 7 접점판(26)에 접점이 되어 각각 +전류를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8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백미러(3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4 모터(302)에는 상기 백미러(300)의 거울을 좌향으로 조절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3 모터(301)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4 모터(302)는 역회전을 하여 백미러(300)의 거울이 우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누름버튼(9)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2 탄성부재(153)와 제 3 탄성부재(155)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2,3 누름단(52,54)에 의해 누름러버(8)와 누름버튼(9)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누름단(52)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2 가동접점(53)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4 접점판(23)이 상호 접점 되고, 제 3 누름단(54)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3 가동접점(55)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2)과 제 6 접점판(25)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3,4 모터(301,302)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백미러(200,3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에는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이 상하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고, 하향 조정할 때에는 제 3 누름단(54)과 제 4 누름단(56)이 상하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좌향 조정할 때에는 제 1 누름단(5)과 제 4 누름단(56)이 상하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고, 우향 조정할 때에는 제 2 누름단(52)과 제 3 누름단(54)이 상하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됨으로서 안정된 상하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안정된 상하작동을 하게 됨으로서 쇼트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누름단(5)과 제 2 누름단(52) 및 제 3 누름단(54)은 각각 제 1,2,3 가동접점(51,53,55)을 고정 설치하여 전류의 변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제 4 누름단(56)은 제 1 누름단(5) 또는 제 3 누름단(54)과 상하로 이동할 때에 상호 균형을 유지하여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단은 제 1,2 누름단, 제 2,3 누름단, 제 3,4 누름단 및 제 1,4누름단이 각각 1조로 하여 동시에 작동되기 때문에 각각의 백미러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 누름단을 결합하여 항상 2개의 누름단이 동시에 동작을 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작동 미숙으로 인한 쇼트의 발생을 방지하여 원활한 백미러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각각의 접점판이 내장되는 결합홈을 중앙과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방 모서리 부분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단;,
    상기 슬라이더 및 각각의 누름단을 내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변환버튼;
    상기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단의 단속을 제어하는 누름러버;
    상기 누름러버를 감싸며, 상기 누름러버 및 누름단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누름버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3개씩 2개조로 접점이 형성되는 제 1 결합홈과, 상기 제 1 누름단이 삽입되고, 일측면에 제 1,3 접점판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제 2 접점판이 형성되는 제 2 결합홈과, 상기 제 2 누름단이 삽입되고, 일측면에 제 1,5 접점판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제 4 접점판이 형성되는 제 3 결합홈과, 상기 제 3 누름단이 삽입되고, 일측면에 제 1,7 접점판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제 6 접점판이 형성되는 제 4 결합홈과, 상기 제 4 누름단이 삽입되는 제 5 결합홈이 각각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은 제 1,2,3 가동접점을 각각 고정 설치하고, 제 1,2,3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제 1,2,3 누름단과, 제 4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제 4 누름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은 제 1,2 누름단, 제 2,3 누름단, 제 3,4 누름단 및 제 1,4 누름단이 각각 1조로 하여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스위치.
KR1020000043452A 2000-07-27 2000-07-27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KR10034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52A KR100346068B1 (ko) 2000-07-27 2000-07-27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52A KR100346068B1 (ko) 2000-07-27 2000-07-27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97A true KR20020009897A (ko) 2002-02-02
KR100346068B1 KR100346068B1 (ko) 2002-07-24

Family

ID=1968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452A KR100346068B1 (ko) 2000-07-27 2000-07-27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24B1 (ko) 2006-07-07 2007-09-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KR102279111B1 (ko) * 2020-02-10 2021-07-2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방향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24B1 (ko) 2006-07-07 2007-09-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KR102279111B1 (ko) * 2020-02-10 2021-07-2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방향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068B1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1307B2 (en) Two-step switch device
US6800825B1 (en) Switch device
US4611102A (en) Switch device for angularly adjusting outer rear mirrors of an automotive vehicle
US8143820B2 (en) Motor control device
KR100346068B1 (ko)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EP1085545A2 (en) Switch apparatus
JPH0346442Y2 (ko)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3348598B2 (ja) 回路遮断器
JP2590446Y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4185576B2 (ja) スイッチ装置
JP3593690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64243B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JP2697053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KR200357140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JPH0326598Y2 (ko)
US9741510B2 (en) Switch device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050974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JP2001155581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005129302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2705216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JP3201388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