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217A -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217A
KR20020008217A KR1020017015693A KR20017015693A KR20020008217A KR 20020008217 A KR20020008217 A KR 20020008217A KR 1020017015693 A KR1020017015693 A KR 1020017015693A KR 20017015693 A KR20017015693 A KR 20017015693A KR 20020008217 A KR20020008217 A KR 2002000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ube
blow mold
chambers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801B1 (ko
Inventor
한센베른트
Original Assignee
한센 베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센 베른트 filed Critical 한센 베른트
Publication of KR2002000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at least one internal separating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16Extrusion blow-moulding characterised by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60Multitubular or multicompartmented articles, e.g. honeyco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9)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라서, 가소화된 합성 재료로 형성된 튜브(3)와, 상기 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3)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21)이 개방된 블로우 몰드(5)내로 압출된다. 그후, 상기 블로우 몰드는 폐쇄되고, 상기 튜브상에 작용하는 압력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팽창되게 된다. 상기 압력 구배는 용기(19)를 형성하기 위해 블로우 몰드의 성형벽상에 적용된다. 압출 단계 동안 전방 단부가 되는 튜브(3)의 단부와, 모든 격벽(21)의 전방 단부는, 용기 베이스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면서 용기 네크부(57)에 할당되어 있는 폐쇄된 블로우 몰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송풍 공기가 격벽(21)의 양 측면상에서 팽창 효과를 가지며, 그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내의 챔버들(23, 25)을 형성하게 되는 방식으로 송풍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팽창되게 된다.

Description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Device for producing extrusion blow-molded containers with at least two chambers}
이런 형태의 방법은 DE 1 179 356 A1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블로우 몰드가 폐쇄될 때, 압출 동안 후방 단부가 되는 튜브의 단부는 고온 와이어 용접법으로 블로우 몰드의 상단부상에 배치된 용접 에지들에 의해 용접되게 되며, 그래서, 위에 배치된 압출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합성 재료로부터 용기 저부를 형성하는 합성 재료가 분리된다. 튜브는 블로우 몰드의 대향 하단부로부터, 특히, 블로우 몰드의 하단부상에 성형되어 있는 용기 네크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팽창된다.
공지된 방법의 실행시, 최종 용기들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후속 처리들이 수행된다. 따라서, 용기는 충전되기 이전에, 이미 개방되어 용기 네크부가 상단부에 있도록 방향 전환되어 있는 블로우 몰드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가소화된 합성 재료의 튜브와,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개방된 블로우 몰드내로 압출하고, 상기 블로우 몰드를 폐쇄하고, 튜브상에 작용하는 압력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튜브가 팽창되고 블로우 몰드의 성형벽에 대해 위치되어 용기를 형성하게 되는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압출된 플라스틱 튜브로부터 종래의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몰드를 각각 개방(도 1) 또는 폐쇄(도 2)된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적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2-챔버 용기를 내용물이 없는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압출기 수단의 노즐 배열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압출 수단의 변형예의 노즐 코어의 개방된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양자를 위한 폐쇄부가 용기 네크부상에 형성되어 회전 개폐식 잠금 장치(twist off lock)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2-챔버 용기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용기의 부분 절개 평면도.
도 8은 2-챔버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블로우 몰드가 개방되어 있는, 도 1과 유사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따른, 블로우 몰드가 폐쇄되어 있는 도면으로서, 용기의 형성, 충전 및 폐쇄의 처리 단계들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2-챔버 용기의 밀폐식 밀봉으로서 회전식 잠금 폐쇄부가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의 네크부의 절개 측면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경사측면도 및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격벽을 가진 사용 대기상태의 용기를 비교적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형태의 방법을 안출하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방법에서,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출시 전방 단부가 되는 튜브의 단부와, 각 격벽의 전방 단부를, 각 격벽에 연결된 용기 저면을 폐쇄하도록 개방된 블로우 몰드를 폐쇄시킴으로써 함께 용접하고, 용기 네크부에 할당되어 용기 저면과 대향 배치되어 있는 폐쇄된 블로우 몰드의 단부로부터 송풍 공기를 공급하여 각 격벽의 측면상의 송풍 공기가 팽창하여 용기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작용하게되도록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블로우 몰드의 몰드 캐비티의 상단부는 압출시 전방 단부가되는 적절한 격벽의 단부 및 튜브의 단부에 의해 용기 네크부에 할당되어 있고, 따라서, 블로우 몰드의 하부 단부에 도달한 합성 재료의 부분들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 저면을 형성하도록 용접된다. 따라서, 블로우 몰드를 개방시키거나, 용기를 제거하지 않고, 각 격벽에 인접한 양 측면상의 용기 네크부를 통해 도입된 송풍 공기에 의해 용기를 팽창시킨 이후에 용기 네크부를 통해 각 내부 용기 챔버를 위한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폐쇄된 블로우 몰드내에서 부가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충전 프로세스는 조합된 송풍 및 충전 맨드릴에 의해서 수행되거나, 송풍 맨드릴을 제거한 이후에 용기내로 삽입되는 독립적인 충전 맨드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별한 장점 중 하나는 용기 충전 이후에, 용기 네크부가 여전히 블로우 몰드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부가적인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용기 네크부가 마감 성형될 수 있으며, 그래서, 동시에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로 밀봉식으로 밀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블로우 몰드의 상단부상에 배치된 가동성 상단 용접 죠오들 또는 헤드 죠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예로서, 천공부 또는 불연속부에서 절단될 수 있는 폐쇄부,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잠금 폐쇄부 같은 소정 폐쇄 프로세스 및/또는 성형 프로세스들이 수행될 수 있다. 외부 나사부가 용기 네크부상에 성형되어 독립적인 폐쇄 소자를 가진 스크류 폐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용기 네크부상에서 수해오디는 용접 프로세스에서, 용기의 각 챔버를 위한 분리된 폐쇄부나, 용기의 모든 챔버들을 함께 폐쇄하는 폐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블로우 성형법에서 공지된 형태의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이한 공지된 bottlepack(R)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래의 수단을 도시하고 있으며, 압출 수단(1)이 도 1에 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블로우 몰드의 두 개의 몰드 반부들(5) 사이로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의 튜브(3)를 압출하고 있다. 도 2는 폐쇄된 상태의 블로우 몰드를 도시하고 있으며, 튜브(3)로부터 성형될 용기(12)의 주 부분을 위한 몰드의 부분들이 일체로 이동되어 있고, 튜브(3)의 저부 단부상의 저부측 용접 에지들(7)이 용접 심(9; weld seam)상의 튜브 구멍(3)을 폐쇄하기 위해 고온 와이어 용접법을 실행한다(도 2). 송풍 멘드릴(11)을 경유하여 공급된 공기에 의해, 튜브(3)는 용기(12)내에서 팽창된다(도 2 참조). 그후,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멘드릴(11) 또는 독립적인 충전 멘드릴을 경유하여 충전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블로우 몰드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단 용접 죠오들(13)이 함께 이동되어, 용기 네크부를 성형하고, 그에 의해, 용접에 의해 용기를 선택적으로 폐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접 죠오들(13)은 스크류 폐쇄부를 위한 외부 나사부(17; 도 3)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19)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는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도 2의 용기(12)와는 대조적으로, 연속적인 내부 격벽(21)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19)의 내부를 서로 유체 밀봉식으로 분할되어 있는 두 개의 챔버(23, 25)로 분할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블로우 몰드와 상호작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격벽(21)을 가진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압출기 수단의 주요 부분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블로우 몰드에 대면한, 노즐링(27)을 구비한 압출기 수단의 단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노즐링에는 노즐의 종축(29)에 동축으로 위치된 노즐 코어(31)가 있고, 상기 노즐 링(27)의 단부 영역과 함께 노즐 코어의 팁(33)은 환형 출구(35)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환형 출구로부터 압출된 합성 재료가 튜브의 형태로 밀려나온다. 용융된 합성 재료는 노즐 링(27)과 노즐 코어(31) 사이에 형성된 환형 갭(37)을 경유하여 출구(35)에 도달한다. 도 4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환형 갭(37)은 노즐 코어(31)의 일부와 코어 팁(33) 사이의 전이부에서 협소해지며, 공급된 합성 재료를 위한 보유 영역(39)이 형성되도록 상류에 이어진다.
코어 팁(33)은 이어지는, 노즐 코어(31)의 상류부에 외부 나사부(40)를 가진 핀을 경유하여 나사결합되며, 그래서, 서로 대면하는 코어팁(33)의 표면들과, 노즐 코어(31)의 이어지는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코어 팁(33)의 대응 표면은 깔때기형 표면(41)을 형성하고, 나머지 노즐 코어(31)의 대면하는 표면은 원추형 표면(43)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의 종축(29)에 대해 65°또는 60°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 표면들(41, 43)은 그들 사이에, 상기 환형 갭(37)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표면들(41, 43) 사이의 보유 영역(39)으로 도입되는 합성 재료를 위한 안내 수단을 형성한다. 외부 나사부(40)를 가지는 코어 팁(33)의 핀내의 구멍을 통해, 이 분기된 합성 재료는 상기 코어 팁(33)의 전방측면상에 형성된 유출 슬롯(45)내로 이동한다. 그곳으로부터, 분기된 합성 재료는 압출된 튜브내에서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웨브로서 배출되며, 상기 튜브의 팽창 이후에, 성형된 용기(19)내의 격벽(21)을 형성한다(도 3). 유출 슬롯(45)에 인접한 각 측면상에, 즉, 유출 슬롯(45)으로부터 발현되는 플라스틱 웨브의 양 측면상에서, 코어팁(33)의 단부면에는 하나의 유출 개구(47)가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보조 공기를 위한 것이며, 상기 개구들은 외부 나사부(40)를 가진 핀내에 형성되어 있는 분기 라인들(49)을 경유하여 중심 공기 채널(51)에 연결된다.
유출 개구(47)를 경유하여 공기 채널(51)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압출된 튜브가 접혀지는 것이나, 격벽(21)을 형성하는 웨브에 접합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공기로서 사용된다. 용기는, 코어 팁(33)의 유출 개구(47)들과 유사한 배열로팽창하는,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블로잉 공기의 공급을 위한 송풍 개구들을 가지는 송풍 및 충전 맨드릴에 의한 부가적인 작업 단계에서 블로우 몰드내에서 팽창된다. 그후, 이들 송풍 개구들은 용기 챔버들에 내용물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개구들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그를 둘러싸는 노즐 링(27)이 없는 상태로 변형된 노즐 코어(31)의 전방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노즐 코어(31)는 노즐 코어의 후속부와 협력하여 분기될 합성 재료를 위한 안내 수단을 형성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는 전방 코어 팁을 갖고있지 않다. 대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종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노즐 코어(31)내에서 연장되어 유출 슬롯(45)의 내부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횡단 구멍들(53)을 경유하여 노즐 코어(31)를 둘러싸는 환형 갭과 단부측 유출 슬롯(45) 사이에 직접 접속부가 있다. 횡단 구멍(53)의 수 및 횡단면은 외부 환형 갭으로부터 분기되어 나온 소정량의 합성 재료가 튜브내의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격벽(21)을 형성하는 웨브로서 유출 슬롯(45)으로부터 밀려나오도록 선택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출 슬롯(45)에 인접한 각 측면상에는 중심 공기 채널(51)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공기를 위한 유출 개구들(47)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 실시예들에서, 유출 슬롯(45)으로부터 밀려나오는 웨브의 두께는 노즐 갭 사이의 비율, 즉, 노즐링 내에 형성된 환형 갭(37)의 폭과 유출 슬롯(45)의 폭을 선택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도 4의 실시예에서, 깔때기형 표면(41)과 원추형 표면(43) 사이의 거리는 보유 영역(39)상의 갭의 협폭화량 같은 이런 조절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19)는 필요한 경우에, 단부측면상에 용기 네크부를 성형하기 위해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를 용접에 의해 폐쇄하기 위해서, 블로우 몰드상에서 헤드측, 상단 용접 죠오들(13)이 함께 이동되기 이전에 여전히 블로우 몰드내에서 종래의 단일 챔버 용기들 같이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챔버 용기(19)는 조합된 송풍 및 충전 맨드릴에 의해 충전되거나, 단지 충전 기능만을 수행하면서 각 용기 챔버들(23 및 25)을 위해 내용물을 위한 유출 개구를 가지는 충전 맨드릴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상기 유출 개구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출기 수단(1)의 노즐 코어(31)상의 보조 공기를 위한 유출 개구들(47)을 위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 맨드릴의 종축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오프셋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서, 유출 개구(47)는 격벽(21)을 형성하는 유출 슬롯(45)에 인접한 각 측면상에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의 용기 네크부의 형성은 적절한 블로우 몰드상의 상단 가동성 용접 죠오들(13)에 의해 수행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3에 도시된 용기(19)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그리고, 양쪽 용기 챔버들(23, 25)을 폐쇄하는 스크류 캡에 의한 폐쇄부를 위한 외부 나사부(17)가 형성된다.
이런 스크류 폐쇄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예로서, bottlepack(R)시스템에 따라서, 단일 챔버 용기를 위한 적절한 기술로서 공지된 바와 같이 용기의 형성시 상부 용접 죠오들(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잠금장치 폐쐐체는 예로서, 용기 네크부(57)상에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용접 프로세스는 두 개의 챔버들(23, 25)이 회전 개폐식 잠금 장치(59)에 의해 폐쇄되도록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회전 개폐식 잠금 장치는 그 형성된 핸들부(61)를 사용하여 그것이 돌려짐으로써 점선 천공부 같이 형성된 불연속부(6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2-챔버 플라스틱 용기의 완전한 제조를 위해 합성 재료의 초기 압출 프로세스로부터의 프로세스 단계들의 진행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두 개의 챔버들(23, 25)이 충전되어 회전식 잠금 폐쇄부(73)에 의해 밀봉식으로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도 11).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도 8 및 도 9는 블로우 몰드(5)가 폐쇄되어 저면측 용접 에지(7)가 고온 와이어 용접 프로세스가 수행되며, 그에 의해, 튜브(3)가 하부 단부상에서 폐쇄되고, 용접 심(9)상의 격벽(21)의 단부에 결합된 이후에(도 9 참조) 격벽(21)의 각 측면상에 송풍 멘드릴(11)에 의해 송풍된 송풍 공기에 의해 용기(19)로 팽창되는 것이나, 개방된 블로우 몰드(5)내로 내부 격벽(21)을 가진 튜브의 압출을 도시하고 있다.
송풍 멘드릴(11)을 제거하고, 충전 맨드릴(71)을 삽입한 이후에, 두 개의 챔버들(23, 25)은 용기(19)가 여전히 블로우 몰드(5)내에 위치된 상태로 충전되게되며, 여기서, 상기 충전 맨드릴(71)은 격벽(21)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각 용기 챔버(23, 25)를 위해 하나의 충전 개구를 가지고 있다.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 맨드릴(71)이 철회되고, 상단 용접 죠오(13)가 함께 이동되어, 용기 네크부(57)상에 다른 용접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여기서, 용기 네크부(57)는 최종적으로 성형되게 되고,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양 챔버들(23, 25)을 밀봉식으로 밀봉하는 폐쇄부 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식 잠금 폐쇄부(73)는 용기 네크부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면에는, 핸들 부재(61)를 가진 회전 개폐식 잠금 장치(59)가 도시되어 있으며, 불연속부(63)에서 상기 잠금 장치(59)를 회전 개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의해, 용기(19)의 두 개의 챔버들(23, 25)이 개방될 수 있다.
용기를 충전하고, 충전 맨드릴(71)을 제거한 이후에, 필요에 따라서, 용기를 밀봉식으로 밀봉하기 이전에 용기 네크부(57)내에 삽입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드롭 인서트(drop insert), 고무 폐쇄부, 중공 니들이나, 용접 죠오들이 삽입 부품 둘레에 용접하고 동시에 밀봉식 폐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이동되기 이전에 진공 파지 장치에 의해 삽입될 수 있는 다른 별도의 부품 같은 기능적 부품들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독립적인 구형 폐쇄 소자(76, 77)에 의해 각 챔버가 폐쇄되게 되는 2-챔버 용기를 위한 도 6, 도 7 및 도 11에 대해 변형된 회전식 잠금 폐쇄부(75)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폐쇄 소자(76, 77)에 공용된 핸들 부재(79)에 의해두개의 폐쇄 소자(76, 77)는 용기의 두 챔버들이 개방되도록 불연속부(78)에서 회전 개폐될 수 있다.
2-챔버 용기의 제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였지만, 압출기 수단(1)의 노즐 코어(31)상에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웨브를 압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출 슬롯(45)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튜브내에 다수의 격벽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각 측면에 송풍 공기가 공급되어 적절한 블로우 몰드내에 다중 챔버 용기를 성형할 수 있다.

Claims (9)

  1. 가소화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3)와, 상기 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1)이 개방된 블로우 몰드(5)내로 압출되고, 상기 블로우 몰드가 폐쇄되며, 튜브상에 작용하는 압력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튜브가 팽창되고 상기 블로우 몰드(5)의 성형 벽에 대해 배치되어 용기(19)를 형성하게 되는, 용기(19)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개방된 블로우 몰드(5)를 폐쇄시킴으로써, 압출 동안 전방 단부가 되는 튜브(3)의 단부와, 각 격벽(21)의 전방 단부가 서로 용접되어 각 격벽에 연결된 용기 저부를 폐쇄하게 하는 단계와,
    각 격벽(21)상의 송풍 공기가 상기 용기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챔버들(23, 25)을 형성하도록 팽창시키도록 작용하게, 용기 네크부(57)에 할당되어 용기 저부에 대해 대향 배치되어 있는 폐쇄된 블로우 몰드의 단부로부터 송풍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튜브(3)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송풍 공기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 폐쇄된 블로우 몰드 내에 배치된 용기(19)의 챔버들(23, 25)이 충전되는 용기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챔버들(23, 25)의 충전 이후에, 블로우 몰드의 상단부상에 배치된 가동성 용접 죠오들(13)을 폐쇄시킴으로써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용기네크부(57)의 성형이 수행되는 용기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용기 네크부(57)를 성형하는 상부 용접 죠오들(13)이 폐쇄될 때, 용기 네크부(57)상의 용기(19)의 모든 챔버들(23, 25)을 밀봉식으로 폐쇄하는 용접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용기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네크부(57)를 폐쇄 및 성형하는 용접 프로세스에서, 용기(19)의 모든 챔버들을 함께 폐쇄하는 폐쇄부(59, 61)가 형성되는 용기 제조 방법.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네크부를 폐쇄 및 성형하는 용접 프로세스에서, 용기(19)의 각 챔버(23, 25)를 위해 분리된 폐쇄부(76, 77)가 형성되는 용기 제조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폐쇄부를 형성하는 용접 프로세스에서, 하나의 폐쇄 소자, 양호하게는, 회전식 잠금 폐쇄부(59; 73; 79)가 형성되며, 이는 천공부(63, 78)에서 분리될 수 있는 용기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3)의 압출 이후에, 그리고, 격벽(21) 또는 격벽들의 각 측면상에서 튜브를 팽창시키기 이전에, 보조 공기가 튜브(3)내로 도입되어 각 격벽(21)에 대한 튜브(3)의 접합과 튜브의 접힘을 방지하는 용기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9)를 팽창시키는 송풍 공기의 공급과, 성형된 용기의 충전은 조합된 송풍 및 충전 맨드릴에 의해 수행되는 용기 제조 방법.
KR1020017015693A 1999-06-09 2000-06-07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KR100635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6329.9 1999-06-09
DE19926329A DE19926329A1 (de) 1999-06-09 1999-06-09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hältern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PCT/EP2000/005222 WO2000076744A1 (de) 1999-06-09 2000-06-07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xtrusionsblasgeformten behältern mit mindestens zwei kamm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217A true KR20020008217A (ko) 2002-01-29
KR100635801B1 KR100635801B1 (ko) 2006-10-19

Family

ID=79106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693A KR100635801B1 (ko) 1999-06-09 2000-06-07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KR1020017015691A KR100582436B1 (ko) 1999-06-09 2000-06-07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691A KR100582436B1 (ko) 1999-06-09 2000-06-07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749796B1 (ko)
EP (2) EP1183144B1 (ko)
JP (2) JP4283473B2 (ko)
KR (2) KR100635801B1 (ko)
CN (2) CN1119228C (ko)
AT (2) ATE233648T1 (ko)
AU (2) AU767925B2 (ko)
CA (2) CA2374579C (ko)
DE (3) DE19926329A1 (ko)
DK (2) DK1183145T3 (ko)
ES (2) ES2193966T3 (ko)
MX (2) MXPA01012531A (ko)
PT (2) PT1183145E (ko)
WO (2) WO20000767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185B1 (ko) * 2007-03-29 2014-10-28 베른트 한센 산소함유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534A (ja) * 2002-09-11 2004-04-02 Shirouma Science Co Ltd 複数室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とその容器
DE10245318A1 (de) * 2002-09-27 2004-04-08 Hansen, Bernd, Dipl.-Ing. Formverfahren, insbesondere Blas- und/oder Vakuumform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t einem abzugebenden Medium gefüllten Abgabebehälters
DE10317712A1 (de) 2003-04-17 2004-11-11 Bernd Hansen Formvorrichtung
DE10323335A1 (de) 2003-05-23 2004-12-16 Hansen, Bernd, Dipl.-Ing. Herstellvorrichtung
DE10328198A1 (de) 2003-06-24 2005-01-20 Bernd Hansen Prägevorrichtung
GB2420311A (en) * 2004-11-17 2006-05-24 Grabor Plastics Ltd Method of making a container
GB0523382D0 (en) * 2005-11-17 2005-12-28 Polimoon Packaging Ltd Container
US8857637B2 (en) 2006-03-06 2014-10-14 Plastipak Packaging, Inc.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and preform
US10214312B2 (en) 2006-03-06 2019-02-26 Plastipak Packaging, Inc.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and preform
DE102007040472A1 (de) 2007-08-28 2009-03-05 Bernd Hansen Trennvorrichtung
KR100845737B1 (ko) * 2007-09-05 2008-07-11 김양수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용기
DE102007060419B3 (de) 2007-12-14 2008-12-04 Bernd Hansen Vorrichtung zum Konditionieren von Behältern aus Kunststoff für ihre Ingebrauchnahme
DE102008004088A1 (de) * 2008-01-12 2009-07-16 Bernd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hält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sowie derart hergestellter Behälter
DE102008006073A1 (de) 2008-01-25 2009-07-30 Hansen, Bernd, Dipl.-Ing. Vorrichtung zum Herstellen blasgeformter Behältererzeugnisse aus Kunststoffmaterial
DE102008011772A1 (de) 2008-02-28 2009-09-03 Bernd Hansen Trennvorrichtung
KR100935004B1 (ko) * 2008-05-14 2010-01-06 김양수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KR100935005B1 (ko) * 2008-05-14 2010-01-06 김양수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WO2011142612A2 (ko) * 2010-05-13 2011-11-17 (주)쿨테크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WO2013070004A1 (ko) * 2011-11-11 2013-05-16 (주)쿨테크 격벽을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위한 프리폼
DE102013001182A1 (de) * 2013-01-24 2014-07-24 Bernd Hans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uftraggeräts
US9237985B2 (en) 2013-07-18 2016-01-19 Tokitae Llc Multi-compartment pharmaceutical vials
DE102013012809A1 (de) 2013-08-01 2015-02-0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opfstück für einen mit einem Medium befüllbaren Behälter
US11969393B2 (en) 2014-06-17 2024-04-30 Tokitae Llc Affixed groups of pharmaceutical vials including frangible connectors
MX2017001317A (es) 2014-07-29 2017-05-09 Kocher Plastik Maschinenbau Gmbh Recipiente que tiene una parte de la cabeza, cuyo recipiente puede ser o se llena con un medio.
DE102018102649A1 (de) * 2018-02-06 2019-08-08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m Füllprodukt befüllten Behälters
KR102292062B1 (ko) * 2020-06-19 2021-08-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지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 개의 소공간을 갖는 부표, 및 그 제조방법
JP7086149B2 (ja) 2020-09-04 2022-06-17 株式会社ライトショー・テクノロジー 投射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79356B (de) * 1963-02-22 1964-10-08 Kautex Werke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laeuchen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insbesondere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US3464085A (en) 1966-09-26 1969-09-02 Dow Chemical Co Packaging apparatus
JPS5939301B2 (ja) 1980-05-20 1984-09-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下水管の製造方法
JPS5856827A (ja) 1981-09-30 1983-04-04 Showa Denko Kk 仕切板付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US4655987A (en) 1982-10-12 1987-04-07 Guillermo Zertuche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tubular articles having several conduits
JPS61171321A (ja) 1985-01-24 1986-08-02 Mazda Motor Corp プラスチツクタンクの製造方法
JPS62162517A (ja) 1986-01-14 1987-07-18 Toshio Takagi 支柱付中空容器の成形方法
US5398828A (en) * 1993-04-29 1995-03-21 Pepsico Inc.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including internal support and handgrip
WO1997026126A1 (en) * 1996-01-22 1997-07-24 Ec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filling and sealing a beverage container
US5849241A (en) 1996-12-20 1998-12-15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with expanded interior wa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185B1 (ko) * 2007-03-29 2014-10-28 베른트 한센 산소함유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2171A (ja) 2003-01-21
MXPA01012530A (es) 2002-11-07
WO2000076744A1 (de) 2000-12-21
ATE233648T1 (de) 2003-03-15
US6749796B1 (en) 2004-06-15
AU5403300A (en) 2001-01-02
WO2000076745A1 (de) 2000-12-21
JP4287086B2 (ja) 2009-07-01
JP4283473B2 (ja) 2009-06-24
AU767605B2 (en) 2003-11-20
EP1183145B1 (de) 2002-12-11
PT1183145E (pt) 2003-04-30
DK1183144T3 (da) 2003-06-16
CA2374579C (en) 2005-04-05
ATE229425T1 (de) 2002-12-15
CN1119228C (zh) 2003-08-27
KR100635801B1 (ko) 2006-10-19
CA2374579A1 (en) 2000-12-21
CN1354710A (zh) 2002-06-19
MXPA01012531A (es) 2002-11-07
AU767925B2 (en) 2003-11-27
ES2188557T3 (es) 2003-07-01
CA2374573A1 (en) 2000-12-21
DE50000932D1 (de) 2003-01-23
DE19926329A1 (de) 2000-12-21
CN1120082C (zh) 2003-09-03
US6733273B1 (en) 2004-05-11
KR100582436B1 (ko) 2006-05-23
CN1354711A (zh) 2002-06-19
DK1183145T3 (da) 2003-03-31
EP1183145A1 (de) 2002-03-06
EP1183144A1 (de) 2002-03-06
CA2374573C (en) 2007-04-17
KR20020008216A (ko) 2002-01-29
JP2003502172A (ja) 2003-01-21
AU5812200A (en) 2001-01-02
DE50001394D1 (de) 2003-04-10
EP1183144B1 (de) 2003-03-05
PT1183144E (pt) 2003-06-30
ES2193966T3 (es) 200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801B1 (ko)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KR101568456B1 (ko) 플라스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중공 성형 공구
US5429789A (en) Plastic container with self-draining feature
US5795533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of hollow articles made from thermoplastic material by blow moulding
US4092389A (en) Method of blow molding and then exhausting hollow plastic articles
JP2001507640A (ja) 拡張された内部壁を備えた複室容器
US5932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joined tubes
MX2014008359A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articulo de material plastico y parte del molde de soplado.
CN103328184A (zh) 用于制造塑料物品的方法以及由于实施这种方法的吹塑模具
EP0329883B1 (en) Plastic container with self-draining feature
EP0730942B1 (en) Method for blow molding hollow articles and device for the same
US5863489A (en) Method of blow-moulding
US7153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molding an article having a solid radially outwardly projecting flange
US5013517A (en) Method of blow molding integral press-lock container
JP2003136588A (ja) 密封中空容器の製造方法
JPH09183150A (ja) 中空二重壁成形品の製造方法
JP2560544B2 (ja) チューブ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WO1994011178A1 (en) Method for blow molding tubular container
JP3319810B2 (ja) 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7104B1 (ko)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JP2601992B2 (ja) ブロー成形装置
JPH11105107A (ja) 隔壁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98534A (ja) 複数室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とその容器
JPH09183152A (ja) 中空二重壁成形品の製造方法
NZ235769A (en) Method for moulding a plastics, self-drain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