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005B1 -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005B1
KR100935005B1 KR1020080044514A KR20080044514A KR100935005B1 KR 100935005 B1 KR100935005 B1 KR 100935005B1 KR 1020080044514 A KR1020080044514 A KR 1020080044514A KR 20080044514 A KR20080044514 A KR 20080044514A KR 100935005 B1 KR100935005 B1 KR 10093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form
blowing
divided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132A (ko
Inventor
김양수
권나연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08004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0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63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by contact heating or cooling, e.g. mandrels or cor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2Mould cavity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대한 블로잉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공간에 비하여 넥(neck)의 단면적이 더 작은 병(bottle) 형태의 용기, 입구가 더 넓은 용기, 뚜껑이 나사결합되는 용기 등 다양한 형상의 용기의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도입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프리폼 자체에 격벽을 형성하고, 이후 블로잉 금형에 프리폼을 배열하여 블로잉 성형할 경우 1, 2차에 걸친 성형과정을 거침으로써 자연스럽게 완성된 용기 전체에 걸쳐 고른 두께의 격벽을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용기의 분할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수용공간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특히 나사결합 형태인 경우)이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밀폐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로잉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하나의 뚜껑에 의하여 분할된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은 격벽에 의하여 나뉜 분할공간을 갖는 프리폼(preform) 성형단계;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배열하고, 1차 블로잉을 통하여 대략의 형상을 갖추도록 하는 1차 블로잉 성형단계; 및 2차 블로잉을 통하여 블로잉 금형의 형상에 맞는 용기 형상을 얻는 2차 블로잉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폼 성형단계를 위한 금형은 격벽을 갖는 프리폼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코어에 분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폼, 중간체, 용기, 병, 블로잉, 스트레칭로드, 격벽, 분할, 1차, 2차

Description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BLOW MOLDING FOR CONTAINER EQUIPPED WITH DIVIDED RECEPTACLE}
본 발명은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대한 블로잉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공간에 비하여 넥(neck)의 단면적이 더 작은 병(bottle) 형태의 용기, 입구가 더 넓은 용기, 뚜껑이 나사결합되는 용기 등 다양한 형상의 용기의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도입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프리폼 자체에 격벽을 형성하고, 이후 블로잉 금형에 프리폼을 배열하여 블로잉 성형할 경우 1, 2차에 걸친 성형과정을 거침으로써 자연스럽게 완성된 용기 전체에 걸쳐 고른 두께의 격벽을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용기의 분할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수용공간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특히 나사결합 형태인 경우)이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밀폐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로잉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하나의 뚜껑에 의하여 분할된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한 용기를 제조 할 수 있다.
종래 공간이 분할되어 있어 이종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060490호(1991.11.13) 『이종액체 분리 수용용기』를 비롯하여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수용공간 분할 용기는 샴프와 린스 또는 모발염색제와 산화제와 같이 이종의 물품이 배출구로 함께 배출되어 섞여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경우나,
콜라와 감자칩, 콜라와 사이다, 배추김치와 깍두기, 된장과 고추장 등과 같이 기호에 따라 이종의 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하거나 새로운 수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경우에 빛을 발한다.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 용기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성형 방식을 취하는 것도 있고 블로잉 성형 방식을 취하는 것도 있는데,
특히 수용공간에 비하여 넥의 단면적이 작은 병(bottle) 형태의 용기는 프리폼(preform)의 사출 성형 후 블로잉 성형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블로잉 성형을 통한 이중 용기의 제조방법으로는
특허등록 제0493424호(2005.05.25) 『투명 합성수지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용기』가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외피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용기로 본 발명 과는 무관한 것이다.
또 특허공개 제2006-0071954호(2006.06.27) 『다중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넥 부위가 연결된 두 원통형 프리폼을 이용하여 블로잉 성형을 통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분할된 본 발명과는 비유사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개특허는 두 뚜껑(특히 나사결합되는 형태의 뚜껑인 경우)에 의하여 용기 주입구가 개폐되는 형태이므로 불편하다.
이에 본 발명은 주로 사출성형되는 프리폼 자체에 격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투입하고 성형하여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를 형성하되, 특히 1차 블로잉 단계를 통하여 완성 용기의 길이에 해당하는 중간체(intermediate)를 성형한 후, 2차 블로잉 단계를 거쳐 용기를 완성하는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의 분할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수용공간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특히 나사결합 형태인 경우)이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밀폐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은 격벽에 의하여 나뉜 분할공간을 갖는 프리폼(preform) 성형단계;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배열하고, 1차 블로잉을 통하여 대략의 형상을 갖추도록 하는 1차 블로잉 성형단계; 및 2차 블로잉을 통하여 블로잉 금형의 형상에 맞는 용기 형상을 얻는 2차 블로잉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폼 성형단계를 위한 금형은 격벽을 갖는 프리폼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코어에 분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은 상기 코어에 장착되는 냉각파이프는 각 분할부에 투입될 수 있는 동수의 분지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은 주로 사출성형되는 프리폼 자체에 격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투입하고 성형하여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를 형성하되, 특히 1차 블로잉 단계를 통하여 완성 용기의 길이에 해당하는 중간체(intermediate)를 성형한 후, 2차 블로잉 단계를 거쳐 용기를 완성하는 성형방법을 제공하여,
샴프와 린스 또는 모발염색제와 산화제와 같이 이종의 물품이 배출구로 함께 배출되어 섞여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경우나, 콜라와 감자칩, 콜라와 사이다, 배추김치와 깍두기, 된장과 고추장 등과 같이 기호에 따라 이종의 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하거나 새로운 수요 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용기의 분할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수용공간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특히 나사결합 형태인 경우)이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밀폐성을 보장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완성된 용기(B)의 넥(20)이 배열된 쪽을 상부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하부로 정한다.
먼저 도 1b의 확대된 원 "A"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사출성형법을 응용하여 제조되는 프리폼(preform)은 본체(10p) 내부에 이미 격벽(30p)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간 보다 단면적인 작은 병(bottle) 형태의 완성 용기(B)(도 3 참조)를 위하여 주동이(20p)에7는 이미 나사부(23p)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21p)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플랜지가 블로잉 금형(40) 바디(41) 캐비티(41a) 상단 입구에 걸쳐져 고정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병 형태의 용기를 위한 구성(상대적으로 좁은 넥, 나사부 및 플랜지)에 의하여 그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용기는 도 5a([가]는 평면도, [나]는 정 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반찬용기에서와 같이 원터치식으로 록킹레버를 구비한 뚜껑이 결합되며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용기(B1)나,
도 5b([가]는 평면도, [나]는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의 주입구가 거의 수용공간 단면적과 같고, 나사결합식으로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B2)일 수 있으며,
그 외 단면형상이 삼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a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폼(10p) 제조를 위한 금형(50)은 냉각커버(55)에 의하여 감싸여 있어 냉각수 통로(55A)를 형성하고, 설계된 프리폼 형상을 위한 캐비티(52)의 외벽을 위한 외부금형(51)과,
프리폼을 위한 캐비티의 내벽을 담당하는 코어(52),
상기 코어(52)의 냉각을 위한 냉각파이프(57),
그리고 상기 외부금형(51)의 하부에 배열되는 용융 합성수지 주입을 위한 통로(59A)가 형성된 노즐(5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위한 프리폼 제조, 결국은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제조를 위하여 상기 프리폼에는 격벽이 형성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코어(53)는 격벽에 해당하는 캐비티(52A) 형성을 위한 분할부(53A)를 갖고,
상기 코어(53) 장착되는 냉각파이프(57) 역시 각 분할부(53A)에 투입될 수 있는 동수의 분지관(57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b에서, 상기 금형(40) 바디(41)는 기본적으로 두 분체가 합쳐져 구성되며, 단열부재(41b)에 의하여 감싸여 있으며,
또 상기 바디(41) 하부에는 픽싱플레이트(43a) 상부에 배열되며, 단열부재(43b)에 의하여 감싸인 보텀코어(bottom core)(43)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디(41)와 상기 보텀코어(43)에는 냉각수를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41) 상부에는 블로잉을 위한 블로우코어(47)가 얹혀져 적절한 승하강 수단(예: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이 가능하고,
상기 블로우코어(47)의 하단 내접팁(47a)은 프리폼(P)의 넥(20p) 내면과 접하여 보다 누설 없이 보다 완벽하게 블로잉이 가능하여 블로잉을 위한 공기 압력 제어의 정밀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로우코어(47) 상단의 커버플레이트(47A)는 스트레칭로드(45)를 위한 스톱블록(45B)을 받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 하부에는 픽싱플레이트(47B)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블로우코어(47)에 형성된 공기주입구(47C)에 블로잉을 위한 노즐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블로우코어(47) 내부에는 파이프(47b)가 구비되어 있어, 그 내주면에 배열된 스트레칭로드(45)의 원활한 승하강을 보장하고, 그 외주면으로는 공기가 소통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47b) 상부에는 기밀성을 위한 부싱(47c)이 배열되며,
상기 파이프 하부에는 확대된 원 "B" 내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요 입홈(47d')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상기 프리폼(P)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47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로잉 금형(40)에서 상기 프리폼(P)의 넥(20p)과 맞물리는 블로우코어(47)의 내접팁(47a)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스트레칭로드(stretching rod)(45)의 개념이 중요한데,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1차 블로잉 성형단계에서 블로잉에 의한 팽창과 함께 상기 용기의 넥으로 투입되어 프리폼의 연신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스트레칭로드(45)는 상기 분할공간 수(상업적인 면에서 2~3개인 것이 일반적임)에 해당하는 수를 가져, 각 분할공간으로 투입되어 균등한 연신을 보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금형(40)을 이용한 용기의 블로잉 성형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살펴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한 프리폼은 이미 격벽(30p)을 구비하고 있으며, 주로 사출(injection)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대량 생산을 위하여 프리폼을 위한 금형은 다수(8, 12, 16, 24, 32, 48 캐비티 등) 구비되어 있으며,
프리폼 성형에 이어 바로 블로잉 성형이 이루어지거나, 근거리 또는 원거리 장소로 이동하여 시차를 두고 블로잉 성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램프히터 또는 기타 히터를 통한 재가열 과정이 필요하다.
프리폼(P)의 플랜지(21p)가 금형 바디(41) 상부에 얹혀지고, 넥(20p)에 블로우코어(47)의 팁(47a)이 내접되면,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셔 등과 연결된 노즐(미(未)도시됨)이 상기 픽싱플레이트(47B)에 끼워지며, 주입된 공기는 상기 블로우코어파이프(47b)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 부싱(47d) 요입홈(47d')을 거쳐 프리폼(P) 내부로 주입되어 프리폼의 팽창을 일으키는 1차 블로잉 성형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트레칭로드(45)가 상기 블로우코어파이프(47b)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프리폼(P)의 바닥을 가압하여 연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균일한 두께를 갖는 용기 제조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트레칭로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레칭로드의 수는 상기 프리폼에서 격벽에 의한 분할공간 수에 해당하는 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블로잉 뿐 아니라 이하의 2차 블로잉 단계에서도 연신을 위하여 프리폼은 100~12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bottle) 형태의 용기를 위한 프리폼에서는 넥 부위(넥과 플랜지 포함)는 프리폼의 것(20p)이나 1차 블로잉 성형에 의한 중간체의 것(20m)이나 2차 성형을 통하여 완성된 용기(B)의 것(20) 모두에서 형상 및 크기 변화가 없음에 비하여,
사기 격벽(30)(P)의 프리폼에서 용기로 성형됨에 따라 길어지고 넓어져야 하므로,
상기 프리폼(P)의 격벽(30p)이 상기 넥(20P)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면,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성형단계에서 중간체(M)의 연신이 없는 격벽(30m) 상단부(30am)는 그 하부보다 두터울 것이며,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2차 성형 완료 후 용기(B)의 격벽(30) 상단부(30a) 역시 마찬가지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1차 블로잉 성형단계에서 얻어진 중간체(M)의 길이는 2차 블로잉 성형으로 완성되는 용기(B)의 길이와 같이 연신되고, 상기 중간체(M)는 본체(10m)의 중간이 불룩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칭로드(45)가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프리폼의 가열 온도만큼 승온된 것이 아니라면, 냉각 방지를 위하여 가능한 로드는 프리폼(P) 또는 중간체(M)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드의 팁(45a)은 부드럽게 라운드 져 있어 연신 과정에서 프리폼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1차블로잉 성형에서의 프리폼 연신에 있어 보조적으로 사용된 스트레칭로드(45)에 대한 대안으로 도 6에는 프리폼의 하부를 당겨 연신시키는 당김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당김수단은 프리폼(P) 하부에 구비된 돌기(11p)를 잡는 클램핑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폼 돌기의 형상은 클램핑 부재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면서도 프리폼 제조를 위한 금형에서의 탈형 용이성을 보장하는 다양한 변형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당김수단을 위힌 클램핑부재(145)는 가위와 같이 힌지(145a) 축으로 하여 벌어지고 맞물리는 집게(145A)와, 상기 집계(145A)를 동작시키는 클램핑로드(145B)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재(145)를 위한 승하강부재는
상기 집계(145A)와 힌지축(14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로드(145B)를 감싸는 외피(145C)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수단(미(未)도시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클램핑로드(145B)의 동작을 위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프리폼 하부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를 이루는 노즐을 위한 승하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리폼 하부의 돌기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최종 2차 블로잉 성형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만으로 이루어지며, 금형(40) 바디(41)의 캐비티(cavity)(41a) 형상에 맞는 용기가 얻어진다.
상기 1차 블로잉 성형단계의 블로잉 압력은 7~11kg/㎡이고, 상기 2차 블로잉 성형단계의 블로잉 압력은 20~40kg/㎡이서서, 1차 블로잉에서는 보다 작은 압력에 의하여 대략의 형상을 갖추고(특히 길이 면에서 가능한 용기에 근접하게 연신시키 고), 2차 블로잉에서 강한 압력으로 완성품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용기(B)는 넥(20)은 본체(10)에 의하여 감싸여진 수용공간(S) 단면적에 비하여 좁은 병 형태이고, 상기 넥 외주면에는 마개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넥(20)과 플랜지(21)는 프리폼(P) 및 중간체(M)에서 전혀 형상과 크기 변화가 없었던 것이며(이는 일정 정도 격벽의 상단부(30a) 역시 마찬가지임),
그에 비하여 상기 본체(10)와 격벽(30)(엄밀하게는 상단부(30a) 아래 부위)은 길어지고 넓어졌으며, 그만큼 프리폼 상태에 비하여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다만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공정에 따른 두께 변화를 세밀하게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 결과 1차 및 2차 블로잉 성형 과정을 거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본체(10) 본체와 상기 격벽(30)이 맞닿는 외주면 부위에는 미세한 분리선(13)이 직선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3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도 4에서는 약간 과장되게 도시).
이러한 특성을 통하여 금형내에서 합성수지가 갖는 연신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일정 정도 용기(B) 본체(10)와 격벽(30)의 분리 파손을 방지하여 용기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프리폼 성형방법, 블로잉 성형, 프리폼 및 블로잉 금형구 조, 프리폼에서 블로잉 성형에 이르는 연속적인 제조공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공정과 특정 금형 구조 및 용기(프리폼)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격벽을 구비한 프리폼 제조를 위한 금형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에서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에서 1차 블로잉을 통하여 중간체를 성형한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에서 2차 블로잉을 통하여 용기를 완성한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용기의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뚜껑이 원터치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단면이 사각형이 용기와, 입구가 크고 뚜껑이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는 용기와 관련된 도면,
도 6은 도 2와는 달리 1차 블로잉단계에서 당김수단에 의한 연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용기 P: 프리폼
M: 중간체 10,10p,10m: 본체
20,20p,20m: 주동이 30,30p,30m: 격벽
40: 금형 41: 바디
43: 보텀코어 45: 스트레칭로드
47: 블로우코어

Claims (2)

  1. 격벽에 의하여 나뉜 분할공간을 갖는 프리폼(preform) 성형단계;
    프리폼을 블로잉 금형에 배열하고, 1차 블로잉을 통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추도록 하는 1차 블로잉 성형단계; 및
    2차 블로잉을 통하여 블로잉 금형의 형상에 맞는 용기 형상을 얻는 2차 블로잉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폼 성형단계를 위한 금형은 격벽을 갖는 프리폼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코어에 분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장착되는 냉각파이프는 각 분할부에 투입될 수 있는 동수의 분지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KR1020080044514A 2008-05-14 2008-05-14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KR10093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514A KR100935005B1 (ko) 2008-05-14 2008-05-14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514A KR100935005B1 (ko) 2008-05-14 2008-05-14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788A Division KR100845737B1 (ko) 2007-09-05 2007-09-05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32A KR20090025132A (ko) 2009-03-10
KR100935005B1 true KR100935005B1 (ko) 2010-01-06

Family

ID=4069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514A KR100935005B1 (ko) 2008-05-14 2008-05-14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969B1 (ko) * 2016-03-21 2018-06-21 (주)우성플라테크 스텝사이즈의 제약이 없는 헤비블로우용기 성형용 금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847A (ja) * 1997-10-14 1999-08-17 Owens Brockway Plastic Prod Inc 多区分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501665A (ja) * 1995-12-12 2000-02-15 シデル 内部仕切を有する熱可塑性容器製造用のプリフォーム
KR20060077983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효성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KR100635801B1 (ko) * 1999-06-09 2006-10-19 한센 베른트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665A (ja) * 1995-12-12 2000-02-15 シデル 内部仕切を有する熱可塑性容器製造用のプリフォーム
JPH11221847A (ja) * 1997-10-14 1999-08-17 Owens Brockway Plastic Prod Inc 多区分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5801B1 (ko) * 1999-06-09 2006-10-19 한센 베른트 적어도 두 개의 챔버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를제조하는 방법
KR20060077983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효성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32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737B1 (ko)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용기
US20180002057A1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superior crush resistance
CN108290340B (zh) 预成型坯和容器的制造方法
CN101360653B (zh) 成型容器
JP5980813B2 (ja) パリソン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KR101311865B1 (ko) 분할용기
CA2838804C (en) An injection mould component for preforms made of plastic material
US8616406B1 (en) Flip-top preform for blow molding
JP5996354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JP5652766B2 (ja) 合成樹脂製容器
US20050067414A1 (en) Multiple cavity container with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US4903854A (en) Blown three-handled container including devic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PT1910059E (pt) Molde para máquina de moldagem de recipientes por sopro compreendendo um fundo de molde estriado
KR100935005B1 (ko)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US9139327B2 (en) Plastic container having tapered vacuum panels
KR100935004B1 (ko)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KR100929786B1 (ko)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KR20130091964A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1853455B1 (ko) 스포이트 보틀의 블로우 성형공법 및 이를 위한 프리폼
CN108430722A (zh) 用于以吹塑法制造塑料容器的注塑成型的预制件,由其制成的塑料容器和用于预制件或塑料容器的制造方法
CN104995010B (zh) 塑料容器和方法
US10987849B2 (en) Molding unit with off-center neck passage opening
IE912584A1 (en) Container
KR101314552B1 (ko) 중공부를 갖는 용기의 마개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130248A1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superior crush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