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65B1 - 분할용기 - Google Patents

분할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65B1
KR101311865B1 KR1020110144033A KR20110144033A KR101311865B1 KR 101311865 B1 KR101311865 B1 KR 101311865B1 KR 1020110144033 A KR1020110144033 A KR 1020110144033A KR 20110144033 A KR20110144033 A KR 20110144033A KR 101311865 B1 KR101311865 B1 KR 10131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container
partition wall
li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522A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쿨테크 filed Critical (주)쿨테크
Publication of KR2012002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63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by contact heating or cooling, e.g. mandrels or cor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36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 B29C49/6445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845737호의 양산화 과정에서 내부 수용공간이 분할된 용기에 적합한 뚜껑 제조를 위한 방안의 모색 과정 중 얻어진 성과를 권리화하기 위하여 제안 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구획부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의 선택적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뚜껑을 제공하고, 개봉 후 휴대시에도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보장한 분할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며, 상부 개구부 주위에 나선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격벽과 접촉하는 밀폐부와, 상기 본체의 각 구획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각 배출공을 막는 마개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할용기{DIVIDED BOTTLE}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845737호의 양산화 과정에서 내부 수용공간이 분할된 용기에 적합한 뚜껑 제조를 위한 방안의 모색 과정 중 얻어진 성과를 권리화하기 위하여 제안 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구획부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의 선택적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뚜껑을 제공하고, 개봉 후 휴대시에도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보장한 분할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845737호(2008년07월07일)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 용기]에 대한 양산화 과정에서
이중 공간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의 선택적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뚜껑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또 양산화 과정에서 발견된, 용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과,
결합된 두 금형분체의 경계선으로 인한 본체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接合線)이 격벽과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 상호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실제 구획된 공간 체적은 동일함에도 마치 불량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의 특허 제0845737호(2008년07월07일)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 용기]에는
예비격벽을 갖는 프리폼을 블로잉 성형함에 있어 1, 2차에 걸쳐 블로잉 압력을 변화시켜서 외벽 및 격벽 두께가 일정하게 생산 가능하며 산업기술 개발에 있어 핵심인 양산성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을 상용화하는 과정에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생산할 필요가 있으며, 또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생산하는데 따른 제품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공정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발명은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용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격벽에 의하여 나뉜 구획부가 상호 소통 가능한 용기를 생산함에 있어 역시 품질과 생산성의 동시 충족이라는 지상과제의 해결에 적합한 기술 제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이중 공간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의 선택적인 배출을 가능하고, 내용물 누출 문제도 없도록 밀폐부를 구비한 뚜껑을 갖는 분할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과 겹치는 본체 위치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결합된 두 금형분체의 경계선으로 인한 본체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接合線)이 격벽과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 상호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실제 구획된 공간 체적은 동일함에도 마치 불량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팅라인과 격벽이 상호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어 분할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나뉜 내부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과 관련하여 양산성 확보와, 필요한 생산속도에도 불구하고 불량률이나 개별 용기 품질에도 문제가 없는 기술을 제시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하여 나뉜 구획부가 상호 소통 가능하도록 격벽에 통공부가 형성된 용기 및 이를 위한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을 포함하는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과 겹치는 본체 위치에 요입부를 형성한 용기 및 이를 위한 성형장치를 제공하고, 또 격벽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요입부에 차폐부를 형성한 용기 및 이를 위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산성 보장 및 품질 보장을 위하여 사출성형된 프리폼을 블로잉존(Blowing Zone)에서 블로잉하기 이전에 가열이 진행되는 히팅존(Heating Zone)을 도입함에 있어, 프리폼의 예비외벽과 예비격벽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수단과 함께 냉각수단, 특히 공냉수단을 함께 배열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위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측이 안치되고 상기 예비격벽이 끼워지는 삽입부를 갖는 안착부재를 도입하여 히팅존을 통과하면서 프리폼의 자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블로잉존에서 프리폼의 예비구획부 마다 투입되는 분기체를 갖는 스트레칭로드가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위치를 특정하기 용이하게 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히팅존에 상기 프리폼의 주둥이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재를 더 도입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블로잉존에서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 반대측 저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신장에 따라 후퇴하는 저항부재를 도입하여 생산속도 향상에도 제조된 용기의 품질이나 불량률 증가의 문제가 없도록 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며, 상부 개구부 주위에 나선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격벽과 접촉하는 밀폐부와, 상기 본체의 각 구획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각 배출공을 막는 마개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는
상기 뚜껑의 바디 배출공은 각각 초입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테이퍼부을 갖고, 상기 커버의 마개는 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와 상기 마개의 연결부에는 확장된 수밀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디의 배출공 둘레의 테이퍼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디의 밀폐부에는 상기 본체의 격벽과 접촉하는 길이방향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는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어를 포함하는 블로잉존(blowing zone); 및
블로잉 성형되어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구획부를 갖는 용기 본체의 격벽에 통공부를 형성하는 천공수단을 포함하는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블로잉 성형장치는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예비격벽에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부를 갖는 몰드,
상기 프리폼의 예비구획부로 투입되는 스트레칭로드,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어, 그리고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 반대측 저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신장에 따라 후퇴하는 저항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서 연장된 외벽; 및
상기 외벽 내에 배열되어 구획부를 형성하고, 통공부를 갖는 격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서 연장된 외벽;
상기 외벽 내에 배열되어 구획부를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과 겹치는 외벽 위치에 형성된 요입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상기 요입부에는 격벽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에는 상기 요입부와 어긋난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외벽에는 상기 요입부와 겹치는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잉 성형장치의 다른 구현예는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프리폼의 균일 가열을 위한 공냉수단을 포함하는 히팅존(heating zone); 및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어를 포함하는 블로잉존(blowing zon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구현예의 블로잉 성형장치에서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측이 안치되고, 상기 예비격벽이 끼워지는 삽입부를 갖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또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은 주둥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폼의 주둥이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의 선회를 위한 자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존은 상기 프리폼 외면에 구비되는 몰드, 상기 프리폼의 예비구획부로 투입되는 스트레칭로드, 그리고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 반대측 저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신장에 따라 후퇴하는 저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잉 성형방법은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을 가열수단을 통하여 가열하면서
상기 프리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공냉수단을 통하여 냉각을 수행하는 히팅존(heating zone)을 거친 후,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어를 통하여 성형하는 블로잉존(blowing zone)을 거쳐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로잉 성형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는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 외면에 구비되는 몰드,
상기 프리폼의 예비구획부로 투입되는 스트레칭로드,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어, 그리고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 반대측 저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신장에 따라 후퇴하는 저항부재
를 포함하는 블로잉존(blowing zon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또 다른 구현예의 블로잉 성형장치에서
개구부 및 예비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를 갖는 프리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존 이전에 배열되는 히팅존(heating zone)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은 주둥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폼의 주둥이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의 선회를 위한 자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존은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측이 안치되고, 상기 예비격벽이 끼워지는 삽입부를 갖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프리폼의 예비격벽 각도를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서 판독된 예비격벽의 각도에 맞게 삽입부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재를 선회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는 로딩존(loading zon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는 이중 공간에 각각 저장된 내용물의 선택적인 배출을 가능하고, 개봉 후 휴대시에도 내용물 누출 문제도 없으며, 또 격벽과 겹치는 본체 위치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용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 이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파팅라인과 격벽이 상호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도록 하여 결합된 두 금형분체의 경계선으로 인한 본체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接合線)이 격벽과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 상호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실제 구획된 공간 체적은 동일함에도 마치 불량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를 갖는 분할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블로잉 성형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용기와 관련하여,
먼저 격벽에 의하여 나뉜 구획부가 상호 소통 가능하도록 격벽에 통공부가 형성된 용기 및 이를 위한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을 포함하는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고,
나아가 용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과 겹치는 본체 위치에 요입부를 형성한 용기 및 이를 위한 성형장치를 제공하고, 또 격벽이 측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요입부에 차폐부를 형성한 용기 및 이를 위한 성형장치를 제공하며,
아울러 생산성 보장 및 품질 보장을 위하여 사출성형된 프리폼을 블로잉존(Blowing Zone)에서 블로잉하기 이전에 가열이 진행되는 히팅존(Heating Zone)을 도입함에 있어, 프리폼의 예비외벽과 예비격벽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수단과 함께 냉각수단, 특히 공냉수단을 함께 배열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위한 성형방법을 제공하고,
또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측이 안치되고 상기 예비격벽이 끼워지는 삽입부를 갖는 안착부재를 도입하여 히팅존을 통과하면서 프리폼의 자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블로잉존에서 프리폼의 예비구획부 마다 투입되는 분기체를 갖는 스트레칭로드가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위치를 특정하기 용이하게 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며,
또 상기 히팅존에 상기 프리폼의 주둥이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재를 더 도입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며,
또 상기 블로잉존에서 상기 프리폼의 개구부 반대측 저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신장에 따라 후퇴하는 저항부재를 도입하여 생산속도 향상에도 제조된 용기의 품질이나 불량률 증가의 문제가 없도록 한 블로잉 성형장치를 제공하여,
결국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나뉜 내부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과 관련하여 양산성 확보와, 필요한 생산속도에도 불구하고 불량률이나 개별 용기 품질에도 문제가 없는 기술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갖는 분할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트랜스퍼존(Transfer Zone)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히팅존(Heating Zone)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블로잉존(Blowing Zone) 진입 전 프리폼의 격벽 방향을 특정하는 위치변경 선회수단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블로잉존의 몰드 및 스트레칭로드 등과 관련된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블로잉존의 저항부재와 관련된 개략적인 부분확대 측면도.
도 9는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갖는 변형 분할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갖는 변형 분할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갖는 변형 분할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4는 또 다른 형태의 용기에 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C)와, 이의 블로잉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로잉성형방법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2의 도면군(群)은 블로잉 성형된 분할용기 본체 및 이를 위한 뚜껑과 관련된 것이며,
도 3 내지 도 9의 도면군은 분할용기의 블로잉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며, , 염가형 롤러(R)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0 내지 도 13의 도면군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뚜껑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고,
도 14는 녹차용기 등에 적합한 분할용기에 관한 것이며,
도 1 및 도 2의 참조부호와 도 10 내지 도 14의 일부 참조부호의 경우 십의 자리 이하 참조부호가 동일하여도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용기(C)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의 주둥이(215A)에 결합되는 뚜껑(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0)는 외벽(211)에 둘러싸인 수용공간(S)을 갖고, 이 수용공간(S)은 격벽(213)에 의하여 두 구획부(213S)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본체(210)는 또 내부 수용공간(S)을 구획하는 격벽(213)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213)과 겹치는 본체 외벽 위치에 격벽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로 요입부(11A)를 도입하였다. 이에 대해서도는 도 10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또 상기 본체(210)는 상부 개구부(215)가 병(bottle) 형상에 맞는 플렌지(215B) 상부로 좁은 주둥이(215A)를 갖고, 이 주둥이 외주면에는 나선부(215a)가 형성되어 있어, 이 나선부에 뚜껑(220)의 바디(221)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본체(210) 주둥이(215A)의 나선부(215a)에 상응하는 뚜껑(220) 바디(221)의 내주면 나선부를 생략하였다.
상기 뚜껑(220)은 바디(221)와, 연결편(222)을 통하여 결합된 커버(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221)는 상기 본체(210)의 격벽(213) 및 주둥이(215A) 상단과 접촉하는 밀폐부와, 상기 본체(210)의 각 구획부(213S)와 연통되는 배출공(221A)을 갖는다.
상기 밀폐부는 특히 별도로 엘라스토머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크를 바디 하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2의 우측 상부 및 중앙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220)을 사출성형하면서 본체(210)의 주둥이(215A) 및 격벽(213) 각각과 접촉하는 부위인 바디(221) 저면에 일체로 길이방향 요철부(221d)(221D)를 형성하여
제조용이성 확보는 물론 밀폐성 역시 보장하도록 하였다.
또 도 2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격벽(213)과 접촉하는 뚜껑(220) 바디(221) 저면의 요철부(221D')는 격벽(213)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하여
최초 뚜껑 개방 후 다시 뚜껑을 닫는 경우 본체(210)의 격벽(213)과 뚜껑(220) 바디의 요철부(221D')가 상호 평행하게 되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요철부(221D')와 격벽(213)의 상호 겹침이 가능하여 밀폐성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210)의 주둥이(215A)에는 통상의 유산균 음료(속칭 '요쿠르트') 용기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박판을 부착하여 생산·유통하고,
소비자는 구매 후 빨대를 뚜껑(220)의 바디(221) 배출공(221A)에 끼워서 박판을 천공하여
빨대를 통하여 각 구획부(213S)에 내장된 서로 다른 음료를 마시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연결편(222)을 통하여 바디(221)와 이어진 커버(223)에는 상기 각 배출공(221A)을 막는 마개(223A)가 구비되어 있는데,
용기 개봉 후 본체(210)의 주둥이(215A) 및 격벽(213)과 뚜껑(220) 사이의 밀폐성(또는 수밀성)은 바디(221)의 밀폐부(221d)(221D)를 통하여 얻고(밀폐부(221D)는 특히 각 구획부(213S)에 내장된 서로 다른 음료의 섞임 방지가 주요 목적임),
바디(221) 배출공(221A)과 마개(223A) 사이의 밀폐성은 마개(223A)의 확장부(223b) 및 수밀부(223d)와 바디(221)의 테이퍼부(221C)를 통하여 구현한다.
즉, 도 2의 좌측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221)의 배출공(221A) 각각은 융기부(221B)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221A) 각각은 초입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테이퍼부(221C)를 가져 테이퍼부 자체가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223)의 마개(223A)는 단부인 초입부(223a)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223b)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223) 저면과 상기 마개(223A)의 연결부에는 확장된 수밀부(223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221)의 테이퍼부(221C)와 상기 마개(223A)의 초입부(223a)로 인하여 마개(223A)와 배출공(221A)의 결합이 용이하고,
마개가 배출공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마개(223A)의 확장부(223b)가 배출공(221A)을 완전히 통과하여 바디(221) 내측에 위치하므로 이 부위에서 수밀성이 1차적으로 보장되고,
또 마개(223A)의 수밀부(223d)는 배출공(221A) 둘레의 테이퍼부(221C)와 접촉하므로 이 부위에서 2차적으로 수밀성이 보장된다.
나아가 상기 마개(223A)는 요홈부(223c)를 가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뚜껑(220)에서 마개 확장부(223b)가 탄성을 갖게 되므로
배출공(221A) 둘레의 융기부(221B) 및 테이퍼부(221C) 구조로 인한 탄성과 함께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바디(221) 배출공(221A)과 외경이 큰 마개(223A) 확장부(223b)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223)는 둘레에 스커트(223B)가 형성되어 있어 바디(221)와 커버(223)의 결합상태에서 둘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며,
또 상기 커버(223)에는 연결편(222) 반대편에 손잡이(223)가 형성되어 있어 최초 커버(223)를 들어 올려 마개(223A)가 각 배출공(221A)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출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프리폼(30)을 블로잉 성형하여 뚜껑(20)과 본체(10)로 이루어진 용기(C) 중 본체(10)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B)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프리폼(30)은 개구부(35) 주변에 주둥이(35A)를 갖고, 성형된 용기와 뚜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선부(35a)가 주둥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턱을 이루는 플렌지(35B)가 나선부(35a)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
또 스트레칭로드와 블로잉 압력에 의하여 확장되어 용기의 외벽과 격벽을 이루는 예비외벽(31)과 예비격벽(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격벽(33)에 의하여 예비구획부(33S)가 분할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예비구획부(33S)의 수는 도시된 2개 외에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또 각 예비구획부(33S)의 체적은 필요에 따라 균일하지 않고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폼(30)으로부터 블로잉 성형된 용기(C)의 본체(10)는 역시 개구부(15) 주변에 프리폼(30)과 동일한(결국 블로잉 성형되지 않은)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주둥이(15A), 나선부(15a), 플렌지(15B)를 갖는다. 이러한 의도에서 프리폼의 외벽, 격벽, 구획부에는 '예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개구부, 주둥이, 플렌지, 나선부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그러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필요에 따라 프리폼 주둥이(35A) 하부의 일정 부분도 블로잉 성형되지 않을 수 있고, 또 프리폼의 주둥이도 일부 또는 모두 블로잉 성형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10)는 외벽(11)에 의하여 둘러싸인 수용공간(S)이 격벽(13)에 의하여 분할되어 구획부(13S)를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블로잉 성형된 용기의 주둥이는 나선부가 없는 형태이거나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 아닌 타원, 삼각형, 사각형, 기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용기 본체 또한 횡단면이 대략 대칭된 위치에 직선부를 갖는 유사 타원 형상의 것이다.
또 제조된 용기 본체의 격벽(13)은 주둥이(15A) 상단까지 솟아 있는 형태이나 필요에 따라 주둥이 상단 보다 더 돌출되거나 주둥이 상단에 못 미치는 위치까지 솟아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격벽(13)을 갖는 용기(C) 본체(10)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B)는 크게
프리폼(30)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트랜스퍼존(110)(Transfer Zone), 공급된 프리폼을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로 공급하기 위한 로딩존(120)(Loading Zone), 이미 완전히 경화된 프리폼을 재가열하거나 프리폼의 블로잉 성형 가능 온도상태를 유지(보온 개념)하기 위한 히팅존(130)(Heating Zone), 스트레칭로드와 블로어를 통하여 프리폼을 확대하기 위한 블로잉존(140)(Blowing Zone), 그리고 필요한 마무리 가공을 위한 포스트프로세싱존(150)(Postprocessing Zone)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각 존(110,120,130,140,150)은 연속 배열된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공정시간 차이를 갖는 형태로 한 장소 따로 배열되거나, 완전히 다른 장소에 배열될 수 있다.
또 각 존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지만, 상기 블로잉존(140)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히팅존(130)은 블로잉 성형에서 통상 2 스테이지(stage) 공법이라고 칭하는, 별도 성형되어 완전히 경화된 프리폼을 활용하는 블로잉 성형의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1 스테이지 공법과 같이 프리폼 사출 성형과 블로잉 성형이 곧바로 이어서 진행되는 블로잉 성형의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각 존(110,120,130,140,150)이 연속된 것처럼 기술하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로잉 성형방법의 보호범위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 트랜스퍼존(110)은 사출성형된 프리폼(30)들이 담긴 저장부(111), 상기 저장부(111)에서 로딩존(120)으로 프리폼(3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이송수단(113)은 경사부를 가져 하부로 프리폼(30)이 자연스럽게 몰리는 저장부(111)에서 프리폼을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하도록 복수의 수쿱(scoop)(113B)가 형성된 컨베어벨트(113A)로 이루어진다.
제2이송수단(115)은 상기 제1이송수단의 벨트(113A)상단에서 떨어지는 프리폼을 받기 위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호퍼(115B)와, 호퍼 하단에서 프리폼(30)의 주둥이(35A)가 상부를 향하도록 정렬하도록 연속 배열된 복수의 롤러(115A)로 이루어진다.
제3이송수단(117)은 프리폼이 자중에 의하여 미끄러져 로딩존으로 투입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두 가이드로드(117A)로 이루어지며, 제2이송수단의 후단 롤러(115A)와 인접 배열되어 있다.
프리폼이 일정 시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트랜스퍼존(11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이송수단(117)에 인접 배열된 로딩존(120)은
개구부(35)가 상부를 향하고 있는 프리폼(30)을 가이드로드(117A) 후단에서 넘겨받을 수 있도록 끼움부(121a)를 갖는 이송체(121)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체(121)들은 연결체(121A)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 회전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또 상기 로딩존(120)의 초입에는 카메라(123)가 설치되어 있어 이송체(121)의 끼움부(121a)에 위치한 프리폼(30)의 예비격벽(33)의 방향을 촬영하여
히칭존(130)으로 공급되기 전에 프리폼(30)의 예비격벽(33) 방향이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그 구체 방법으로는 카메라(123)가 촬영한 영상은 콘트롤부(B1)(특히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방식일 수 있다)로 전송되고,
콘트롤부(B1)(도 3에서 제어관계는 '~~~~'으로 표시함)는 로딩존(120) 후단의 변위수단(125)을 제어하여 프리폼(30)의 예비격벽(33)을 일정하게 정렬한다.
도 3의 우측 점선 타원 내 측면 개념 도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변위수단(125)은 각도 조절 선회수단(예: 모터(125A))에 의하여 선회되고 승강체(예: 공압 또는 유압 피스톤(125B))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분지체(125C)를 포함한다.
카메라(123)의 전송 영상에 따라 콘트롤부(B1)의 제어로 상기 모터(125A)에 의하여 분지체(125C)의 삽입홈(125c)은 프리폼의 예비격벽(33)이 끼워질 수 있도록 미리 선회하고 있다가,
해당 프리폼이 하부에 위치하면 승강체(125B)에 의하여 하강하고,
다시 모터(125A)에 의하여 분지체(125C)가 선회하게 되면 프리폼(30)의 격벽(33)은 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 상기 로딩존(120)의 후단에는 뒤집기수단(127)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변위수단(125)에 의하여 에비격벽(33)이 정렬된 프리폼을 뒤집에 히팅존(130)으로 공급한다.
도 3의 상부 점선 타원 내 측면 개념 도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뒤집기수단(127)은 집게(127A)와 회전수단(예: 모터(127C))에 의하여 선회하는 선회팔(127B)로 이루어지며,
정렬된 프리폼(30)의 주둥이(35A)(로딩존(120) 이송체(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을 집게(127A)가 물면, 선회팔(127B)이 모터(127C)에 의하여 회전하여
히팅존(130)을 이루는 안착부재(131)에 위치시키고, 집게(127A)는 벌어진다.
상기 모터(125A)(127C)나 피스톤(125B)은 다른 공지의 회전수단과 승강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각 작동부재(125A,125B,127A,127C)(121(이송체의 순환을 위한 모터))의 제어는 콘트롤부(B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딩존(120)의 변위수단(25)에 의하여 정렬된 프리폼(30)을 뒤집기수단(127)에 의하여 공급받는 안착부재(131)는 편의상 히팅존(130)을 구성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 안착부재(131)는 히팅존(130)과 블로잉존(140), 그리고 포스트프로세싱존(150) 사이를 순환하는 컨베어벨트(130A)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순환하고,
상기 컨베어벨트(130A) 따라 안착부재(131)가 움직이므로 히팅존(130)에서는 프리폼(30)의 공전(revolution)(중앙에 일점쇄선 순환 화살표로 표시)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존(120)은 안착부재(131), 가열수단(133), 공냉수단(135), 차폐부재(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재(13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리폼(30)의 개구부(35)측이 안치되고, 상기 예비격벽(33)이 끼워지는 삽입부(131A)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131A)는 대략 횡단면 형상이 반원형인 두 돌출분체(131A') 사이의 틈새에 해당하며, 그 크기 및 형상은 프리폼의 예비격벽에 알맞게 변형된다.
또 측단면도인 도 5 및 평면도인 도 5의 하부 좌측 일점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31A)는 로딩존(120)의 뒤집기수단(127)에 의하여 역전되어 공급되는 프리폼(30)의 예비격벽(33)이 끼워지기 쉽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두 돌출분체(131A')는 프리폼(30)의 개구부(35)가 끼워지기 쉽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프리폼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프리폼(30)이 가능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재(131)의 두 돌출분체(131A') 사이에는 이후 블로잉존(40)에서의 스트레칭로드(141) 투입 및 공기(또는 가스)의 블로잉을 위한 투입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착부재(131)는 상기 돌출분체(131A') 하부에 접촉디스크(131B)가 구비되어 있어 히팅존(130) 후단에서 블로잉존(140)으로 프리폼이 진입하기 전에 자전에 의하여 임의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예비격벽(33)을 다시 일정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위치변경 선회수단(140E)을 이루는 벨트(140e)와의 마찰 선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디스크(131B) 하부에는 대략 마름모꼴을 이루는 블록(131D)이 구비되며, 이 블록의 긴 대각선 부위에 해당하는 꼭지점 부분에는 프리폼의 예비격벽 방향 특정 정렬이 위치변경 선회수단(140E)에 의하여 이루어진 후 이 상태를 확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31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록(131D) 하부에는 역시 프리폼의 예비격벽 방향의 특정한 정렬상태를 고정한 상태로 블로잉존(140)에 프리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되는 고정로드(131b)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로드(131b)는 횡단면 형상이 기본적으로 비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면 되는데, 도 5의 하부 중간 일점 쇄선 원내에 횡단면도 개념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칭된 두 직선부를 갖는 유사 타원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고정로드(131b)의 하부에는 스프로켓(131C)이 구비되어 있어, 도 3 및 도 5의 하부 우측 일점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인(131c)(도 3에서는 히팅존(130) 영역에서 스프로켓(131c') 사이를 순환하는 형태로 점선 도시함)에 의하여 선회하여 안착부재(131)가 선회함으로써 안착부재 및 프리폼의 자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핌(30)의 자전(rotation)은 히팅존(130) 전구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도 3에서 이점쇄선 영역으로 표시),
히팅존(130) 및 블로잉존(140)을 거치는 프리폼(30)의 공전(revolution)(도 3 중앙에 일점쇄선 순환 화살표로 표시)과 함께 프로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필수 사항에 해당하며,
이러한 프리폼의 공전수단 및 자전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히팅존(130)을 이루는 안착부재(131)의 구조에서 프리폼의 격벽(33)이 안치되는 삽입부(131A)가 블로잉존에서의 블로잉 성형(프리폼(30)의 예비구획부(33S) 마다 스트레칭로드(141)의 분기체(141A)가 투입(도 7 및 도 8 참조)되도록 하기 위한 예비격벽 정렬)과 함께
생산성, 프리폼의 자전, 그리고 설계, 제조, 제어 편리성 등에 있어 필수적이며,
다른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변형 설계될 수 있다.
개념상으로는 상기 안착부재(131)에는 삽입부(131A) 대신에 적절한 클램프를 도입하여 블로잉존에서의 격벽 방향의 특정한 정렬을 보장하고 히팅존에서의 프리폼의 자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존(130)은 일종의 덕트(D) 구조를 이루어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비격벽(33)에 의하여 분할된 예비구획부(33S)를 갖는 프리폼(3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프리폼, 특히 예비외벽(31)과 예비격벽(33)의 균일 가열을 위한 공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공냉수단은 구획부를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을 위한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상기 가열수단(133)은 히터, 특히 파장이 길어 은근한 가열에 있어서 적합한 적외선 램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팅존에서 프리폼의 자전이 이루어지므로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충분하며, 히팅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공냉수단(135)은 송풍수단(135A)과 바람의 배출을 위한 노즐(135a)로 구성되며, 실온의 공기를 공급는데, 필요에 따라 제어된 온도의 공기(또는 기타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냉수단(135)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가열수단(133)에 의하여 가열된 프리폼을 냉각시켜 상기 프리폼의 예비외벽(31)과 예비격벽(33)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고
(공냉수단이 없다면 상대적으로 예비외벽은 예비격벽 보다 빨리 가열될 것이며, 프리폼의 불균일 가열과 맞물려 합성수지 종류 및 온도 특성에 따른 문제(예:PET 가열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발생되는 백화현상)로 완성된 용기 품질(예: 투명도, 외벽 및 격벽 두께 불균일 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냉각을 위하여 유입된 공기는 덕트(D)의 상부 흡기구(135b")로 배출되며,
제어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흡기구를 포함하는 흡기수단(135B)은 흡기팬(135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리폼(30)과 용기(10)에서 형상 및 치수 변화가 없는 주둥이(35A)(15A)는 가열될 필요가 없고, 가열되는 것이 오히려 불량 원인이 되므로,
히팅존(130)에서는 상기 프리폼의 주둥이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재(13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리폼의 가열 불요 부위는 주둥이 부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폐부재(137)도 변형된다.
또 상기 차폐부재(137)는 냉각수 순환로(137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일정 구간 길이를 갖는 히팅존(130)을 거친 프리폼은 이후 블로잉존(140)으로 투입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리폼(30)의 예비구획부(33S) 마다 스트레칭로드(141)의 분기체(141A)가 정확히 투입되도록 히팅존(130)의 후단에는 위치변경선회수단(140E)이 구비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변경선회수단(140E)은 모터(140e')와 연결된 구동 풀리를 포함한 세 풀리를 포함하고, 세 풀리 사이를 순환하는 벨트(140e)를 갖는다.
상기 벨트(140e)는 상기 안착부재(131)의 접촉디스크(131B)를 선회시켜 안착부재를 선회시키고 이에 따라 프리폼(30)이 선회되면서 예비격벽(33)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우측 중간 일점쇄선 타원내에 개념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131)의 마름모꼴 블록(131D)의 긴 대각선 부위에 해당하는 꼭지점 부분이 센서, 특히 근접 센서(140d')의 센싱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하면 콘트롤부(B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모터(140e')는 정지되고,
이 상태에서 어퍼블록(140D)이 움직여 어퍼블록의 고정핀(140d)이 블록(131D)의 고정공(131d)에 투입되어 변위된 상태를 확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131)의 블록(131D) 하부에 구비된 고정로드(131b)의 양 직선부(130b')는
가동수단(140f')에 의하여 움직이는 가동가이더(140f)와 접하게 되므로
역시 프리폼의 예비격벽 방향의 특정한 정렬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동가이더(140f)는 블로잉존(140)의 고정가이더(140F)로 이어지며,
이후 블로잉 공정이 진행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잉존(140)에서 몰드(M)는
완성된 용기(C) 본체(10)의 주된 부분을 감싸고 대칭된 두 메인몰드(140A)(맞물린 두 몰두 분체의 경계 영역으로 인하여 용기 본체에 파팅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된다),
상기 몰드 상부에 위치하는 보텀블록(140B)('보텀'(bottom)이라는 용어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 반대편 하부 부분을 위한 것이어서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용기를 기준으로 지칭하고 있다),
블로잉 과정에서 상기 보텀블록이 상부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140A)에 고정된 스톱블록(140C)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131)의 고정을 위하여 블록(131D)의 고정공(131d)에 끼워지는 고정핀(140d)을 갖는 어퍼블록(140D)('어퍼'(upper)라는 용어 역시 제조된 용기 본체의 주둥이를 기준으로 선택한 것이다)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몰드(M)의 메인몰드(140A) 및 보텀블록(140B)에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10)의 요입부(11A) 형성을 위한 돌출부(140p)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어퍼블록(140D)에 이어 보텀블록(140B)이 하강하여 정위치에 배열되고, 이어 [메인몰드(140A) 및 스톱블록(140C) 결합체]가 프리폼쪽으로 이동하여 배열이 완료되면,
스트레칭로드(141)의 분기체(141A)가 프리폼(30)의 예비구획부(33S) 마다 투입되고 동시에
콘트롤부(B1)의 제어에따라 블로어(147)에 의하여 공기가 프리폼(30)의 개구부(35)를 거쳐 각 예비구획부(33S)로 유입되어 프리폼의 스트레칭을 이루어진다.
블로잉 공기는 고정블록(143)의 급기구(143A) 및 통기로(143a)를 거쳐 부싱(143B)의 통기홈(143b)을 통하여 프리폼의 예비구획부(33S)로 유입된다.
상기 부싱(143B)은 고정블록(143)의 중심에 형성된 스트레칭로드(141) 투입용 중공(143a')과 통기로(143a)의 간섭 방지를 위한 것으로,
도 7의 우측 중앙 일점쇄선 원 내에 종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홈(143b)은 방사상 구조를 갖는다.
또 블로어(147)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는 특허 제084573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1차 블로잉을 통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추도록 하는 1차 블로잉 성형단계를 거친 후,
다시 2차 블로잉을 통하여 블로잉 금형의 형상에 맞는 용기 형상을 얻는 2차 블로잉 성형단계를 통하여 진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블로잉 압력은 약 8 bar이고, 2차 블로잉 압력은 25~30 bar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핵심을 이루는 저항부재를 설명하도록 한다.
블로잉존의 저항부재는 히팅존의 공냉수단과 함께 블로잉 성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격벽 구비 용기의 양산성 확보와, 필요한 생산속도에도 불구하고 불량률이나 개별 용기 품질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는 기술의 핵심을 이룬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부재(145)는 접촉부(145a)를 갖는 저항로드(145A)와, 상기 저항로드의 승하강을 위한 실린더(145B), 그리고 프리폼의 스트레칭 신장에 따라 조항로드가 상승 후퇴하는 경우 일정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블로잉존(140)에서 몰드(M)의 각 구성요소(140A,140B,140C)가 이동되어 블로잉 준비를 완료하면,
상기 보텀블록(140B)에 구비된 실린더(145B)의 에어홀(145b)로 공급되던 공기가 차단되면서
저항로드(145A)의 디스크(145a')를 상부로 가압하던 압력이 사라지므로
탄성수단을 이루는 스프링(145C)의 탄성이 발휘되어 스프링이 펼쳐지고,
이에 따라 저항로드(145A)가 하강하여 접촉부(145a)가 프리폼(30)의 보텀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로잉 압력과 스트레칭로드에 의한 프리폼의 스트레칭 신장으로 저항로드(145A)가 상승 후퇴하고 스프링(145C)은 수축하게 된다.
프리폼의 블로잉이 완료되어 용기 본체가 완성되면, 콘트롤부(B1)는 다시 공기를 실린더(145B)의 에어홀(145b)로 재공급하여 저항로드에 연결된 디스크(145a')를 가압하여 저항로드의 상승 상태를 고정하여 다음 블로잉 성형을 위하여 대기한다.
본 발명에서 블로잉존(140)의 저항부재(145)는 저항로드(145A)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그 외 실린더, 저항부재의 승하강수단, 탄성수단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145C)은 다른 구조의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변형되거나, 스프링의 개념을 포함하는 탄성수단은 공압(또는 유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러한 공압(또는 유압) 탄성수단은 저항로드의 승하강을 위한 작동공압(또는 유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후퇴된 저항로드의 고정을 위하여 실린더(145B) 하부의 에어홀(145b)로 유입되는 공기 유출입 구조 대신에,
실린더 상하부에 에어홀을 구성하여 디스크(145a) 상하부로 공기를 유출입시켜 저항로드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프리폼의 블로잉시 저항로드의 상승 후진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형태는 일종의 단동(single movement)제어이고, 상기 변형예는 양동(double movement)제어라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프리폼의 블로잉시 저항로드의 상승 후진을 억제하는 역할은 저항로드의 자중이 기능하다록 할 수 있다(이 경우 탄성수단은 불필요하다).
한편 도 8에서, 블로잉 시작 이전에 저항로드(145A)의 하강시 스프링(145C)은
저항로드가 자유낙하하는 경우 프리폼(30)의 보텀과 충돌하여 가열된 프리폼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저항로드의 낙하속도를 줄이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디스크(145a')에는 적절한 패킹이 구비되어 있어 기밀성 또는 윤활성, 또는 이들 모두가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블로잉존(140)을 거쳐 완성된 용기 본체는 그대로 배출되거나, 필요에 따라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을 거쳐 파팅 라인( parting line ) 또는 버(burr) 제거 과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또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은 블로잉 성형되어 격벽(13)에 의하여 분할된 구획부(13S)를 갖는 용기 본체(10)의 격벽에 통공부(13A)를 형성하는 천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수단(1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15)로 투입되고 커터(151a)(문구의 일종인 펀쳐와 유사한 칼날을 갖는다)를 갖는 펀치(151A)와, 역시 용기 본체의 개구부(15)로 투입되며 펀치 작동시 용기 본체(10)의 격벽(13)을 지지하여 천공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체(151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51B)에는 필요에 따라 용기 격벽 천공시 발생되는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 배출통로(151b)가 구비되며,
부스러기의 흡입을 위한 적절한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천공수단(151)의 펀치는 드릴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도 부스러기의 제거를 위한 적절한 흡입 제거수단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안적으로 상기 천공수단은 합성수지를 가열 절단할 수 있는 인두(hot iron) 개념을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용기 본체(10)의 격벽에 통공부(13A)를 형성하는 상기 펀치에는 인두 개념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로잉 성형방법에 의하오 제되되는 용기(C)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를 기술함에 있어 '용기'와 '본체'라는 용어는 일부 혼용하여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본체'라는 용어는 '뚜껑'과 함께 기술할 때 '용기'와 차별화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C)는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S)을 구획하는 격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5)에는 뚜껑(220)이 결합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모양은 입구가 좁은 병이나 기타 형상이 모두 가능하며,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구획부(13S)는 체적이 상호 동일하여 대칭된 두 개이나, 기술 개발 과정에서 그 수 증가나 체적의 비대칭화가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C)에서, 내부 수용공간(S)을 갖는 본체(10)는 격벽(13)에 의하여 공간(11)이 구획되는데,
먼저 상기 본체(10) 외부에 형성된 파팅라인(11B)과 상기 격벽(13)은 상호 엇갈린 위치에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 성형을 위한 두 금형분체(양산성을 고려하여 통상 두 금형분체를 이용하나, 본 발명 회피를 위하여 3개 이상의 금형분체를 이용하는 성형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의 경계선으로 인한 본체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接合線)(11B)은
통상적으로 금형(金型)같은 형틀에서 뽑은 성형품(成形品)에는 형틀이 맞닿았던 곳에 남는 흔적으로, 보통 가는 볼록 모양의 선이나 지느러미와 같은 얇은 막으로 남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파팅라인(11B)이 격벽(13)과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
상호 불일치하게 되는 사례가 발생
(파팅라인인은 통상의 금형형상에 맞게 수직을 이룰 것이나, 성형과정에서 신장되는 격벽은 완벽하게 수직을 이루지 못할 수 있으므로)되어
실제 구획된 공간 체적은 거의 동일함에도
마치 큰 체적차이가 발생되어 불량품인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발생하는데,
파팅라인(11B)과 상기 격벽(13)이 상호 엇갈린 위치, 특히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9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가늘게 보여 육안으로는 잘 확인이 안 되는 파팅 라인(parting line; 接合線)을 약간 과장하여 점선으로 현출시켰다.
그러나 제품종류 및 필요에 따라서는 파팅라인(11B)과 격벽(13)을 상호 일치된 위치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의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내에 측면도 개념으로 도시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기(C) 본체(10) 내부 수용공간(S)을 구획하는 격벽(13)으로 인하여 광굴절이 발생되어 외관이 기존 용기에 비하여 생소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13)과 겹치는 본체 외벽 위치에 격벽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를 더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차폐부는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입부(11A)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요입부(11A)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의 경우 통상적으로 완성 용기에 대응되도록 격벽에 의하여 나뉜 분할공간을 갖는 프리폼(preform)(통상 공지의 사출성형법을 응용하여 제조)을 이용하는데,
프리폼(30)의 확장 과정에서 격벽 하단부의 완전한 신장 확대가 충분히 가능하나,
통상 물병 등의 보틀(bottle) 타입 용기나 기타 용기에서는 안정된 직립성 보장과 디자인 차별화를 위하여 용기 저면이 상부로 솟아 있는 형태를 취하거나 저면이 요철구조를 취하는 경우가 많아
저면이 평탄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므로
다양한 주문처의 주문 디자인에 따라서는 용기(10) 격벽(13) 하단부 성형 형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벽(20)과 본체 측벽 접면에서의 광굴절로 인하여 투명도(또는 투광도) 균일성(내용물의 일관된 색상 느낌 제공 등에 중요한 요소임)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용기 저면 디자인 다변화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기(C)는 요입부, 특히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의 요입부(11A)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격벽(13)이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는 블로잉 성형시 몰드의 형상으로 구현하거나 블로잉 성형 후 후가공과정을 통하여 구현되는 윤지우기(matte) 가공법을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폐부는 작은 요철(이는 몰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격벽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차페부에 의하여 격벽 측면 부분에서의 투명도 불균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윤지우기(matte) 가공이나 반복된 요철 형성 방식으로부터 얻어진 차폐부는 요입부와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C) 본체(10)의 개구부(15), 특히 병(bottle) 형상에 맞는 좁은 주둥이(15A)에 결합되는 뚜껑(220)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뚜껑(220)은 바디(21), 변위부재(23), 패킹부재(25), 그리고 보조뚜껑(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21)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5)에 결합되는데, 개구부(15) 주변 주둥이(15A)의 나선부(15a)에 결합되는 대응 나선부(21B)를 갖고,
두 나선부(15a)(21B)가 완전히 결합될 경우 패킹부재(25)의 제2밀폐부(25B)와 격벽(13)은 도 12와 같이 완전히 일치하여야 한다.
또 상기 바디(21)의 통공(21A) 둘레 수용부(21C)에는 변위부재(23)가 피수용체(23B)를 통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피수용체(23B)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지만, 3차원 형상은 구(球)형상이 아니라 직육면체 유사 형상이어서 격벽(13)에 의하여 분할된 내부 공간(11)이 둘인 용기(C)에 막게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피수용체(23B)의 형상 변경을 통하여 셋 이상의 내부 수용공간 각각과 소통이 가능한 변위부재(23)를 구성할 수 있다(예: 구(球)형상으로 제조(이 경우 본체의 각 내부공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노즐타입의 연결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구현 가능함)).
상기 변위부재(23)는 피수용체(23B)와 연결된 노즐타입의 연결부에는 배출로(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21)의 통공(21A) 상부에는 수용부(21C)에 위치한 변위부재(230의 변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21c)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로(23A)가 정확하게 두 구획부(13S)와 연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변위부재(23)의 바디(21) 하부이탈을 방지하고, 내용물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5)는
본체(10)와 뚜껑(220) 바디(21)의 결합시 상기 본체의 개구부(15) 상부용(주둥이 상면과 밀착되는) 제1밀폐부(25A)와,
상기 격벽 상부용(격벽 상면과 밀착되는) 제2밀폐부(25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패킹부재(25)는 상기 두 밀폐부(25A)(25B)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 구획부(13S)와 연통되고,
상기 변위부재(23)의 배출로(23A)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출부(25C)를 가지며,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상기 변위부재(23)의 피수용체(23B)를 보다 완벽하게 감싸기 위하여 보조패킹(25D)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보조패킹은 패킹부재(25)와 서로 분리형으로 제조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통이나 보관시 임의로 변위부재(23)가 선회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220) 바디(21) 상부에는
상기 변위부재(23)의 배출로(23A)가 중립위치,
즉, 배출로(23A)가 상기 제2밀폐부(25B)에 의하여 막힌 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보조뚜껑(27)을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홈은 변위부재(23) 상단부가 결합되는 수용홈(27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뚜껑(27)을 분리하고,
또 필요에 따라 내용물 누출 방지를 위하여 본체(10)의 개구부(15) 상면과 격벽(13) 상면에 접착되는 밀폐막(미도시 됨)이 도입되는 경우 이를 먼저 제거한 다음
변위부재(23)를 좌 또는 우로 선회시키면
구획부(13S) - 패킹부재(25)의 배출부(25C) - 변위부재(23)의 배출로(23A)
를 거쳐 선택적으로 배출되므로
격벽(13)에 의하여 분리된 두 구획부(13S)에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임의 선택하여 음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는 앞서 도 3 및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포스트프로세싱존(postprocessing zone)에서 천공수단(151)을 통하여 용기 본체의 격벽(13)에 통공부(13A)를 형성하여 내부 수용공간이 상호 소통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기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13A)의 형성방법과 그 모양은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4의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복수의 원 형태이거나 슬릿 형태 또는 다른 여러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녹차 등의 각종 찻잎을 우려내면서도 내용물 배출시 찻잎(T)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유용하며,
또 기타 건더기와 국물을 상호 분리하는 것이 필요한 용기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서, 도시된 뚜껑(20A)은 상부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분체(20b)가 용기 본체(10)의 우측 구획부(13S)만을 개방할 수 있도록 고정분체(20a)에 힌지(20c)를 통하여 결합된 형태이며, 전체적으로 마름모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프리폼 및 용기를 이루는 구체적인 합성수지 종류나 기타 블로잉 성형공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블로잉 성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수용공간 210 : 본체
213(13) : 격벽

Claims (4)

  1. 수용공간(S)을 분할하는 격벽(213)을 구비하며, 상부 개구부(215) 주위에 나선부(215a)를 갖는 본체(210); 및
    상기 본체(210)의 격벽(213)과 접촉하는 밀폐부와, 상기 본체(210)의 각 구획부(213S)와 연통되는 배출공(221A)을 갖는 바디(221)와,
    상기 바디(221)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221)의 각 배출공(221A)을 막는 마개(223A)를 구비한 커버(223)를 포함하는 뚜껑(2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220)의 바디(221) 배출공(221A) 각각은 융기부(221B)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초입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테이퍼부(221C)을 갖고,
    상기 커버(223)의 마개(223A)는 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223b)를 갖고,
    상기 커버(223)와 상기 마개(223A)의 연결부에는 확장된 수밀부(223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디(221)의 배출공(221A) 둘레의 테이퍼부(221C)에 결합하고,
    상기 마개(223A)는 요홈부(223c)를 가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뚜껑(220)에서 마개(223A) 확장부(223b)가 탄성을 갖게 되므로
    배출공(221A) 둘레의 융기부(221B) 및 테이퍼부(221C) 구조로 인한 탄성과 함께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바디(221) 배출공(221A)과 외경이 큰 마개(223A) 확장부(223b)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보장하고,
    상기 본체(210)의 주둥이 및 격벽(213) 각각과 접촉하는 부위인 바디(221) 저면에 일체로 길이방향 요철부(221d)(221D)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220) 바디(221) 저면의 요철부(221D')는 격벽(213)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하여 최초 뚜껑(220) 개방 후 다시 뚜껑(220)을 닫는 경우 본체(210)의 격벽(213)과 뚜껑(220) 바디(221)의 요철부(221D')가 상호 평행하게 되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요철부(221D')와 격벽(213)의 상호 겹침이 가능하여 밀폐성에 문제가 없도록 한 분할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의 격벽(213)에는 내부 수용공간(S)이 상호 소통될 수 있는 통공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110144033A 2010-05-13 2011-12-28 분할용기 KR101311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4908 2010-05-13
KR1020100044908 2010-05-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69U Division KR20110010822U (ko) 2010-05-13 2010-12-02 분할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522A KR20120024522A (ko) 2012-03-14
KR101311865B1 true KR101311865B1 (ko) 2013-09-27

Family

ID=4539500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082A KR101095431B1 (ko) 2010-05-13 2010-08-17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KR1020100079081A KR101095429B1 (ko) 2010-05-13 2010-08-17 구획부를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장치
KR1020100079080A KR101095430B1 (ko) 2010-05-13 2010-08-17 격벽을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용기
KR2020100012469U KR20110010822U (ko) 2010-05-13 2010-12-02 분할용기
KR1020110144033A KR101311865B1 (ko) 2010-05-13 2011-12-28 분할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082A KR101095431B1 (ko) 2010-05-13 2010-08-17 구획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KR1020100079081A KR101095429B1 (ko) 2010-05-13 2010-08-17 구획부를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장치
KR1020100079080A KR101095430B1 (ko) 2010-05-13 2010-08-17 격벽을 갖는 용기를 위한 블로잉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용기
KR2020100012469U KR20110010822U (ko) 2010-05-13 2010-12-02 분할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101095431B1 (ko)
CN (1) CN102971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56Y1 (ko) * 2017-04-28 2018-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270B1 (ko) * 2012-04-25 2014-10-13 (주)쿨테크 분할용기의 성형장치 및 이를 위한 프리폼
KR101399074B1 (ko) * 2012-10-17 2014-05-27 주식회사 청아람 구획된 용기의 음료자동주입장치
KR101389991B1 (ko) * 2012-10-17 2014-04-30 주식회사 청아람 구획된 용기의 음료자동주입장치
KR101497005B1 (ko) * 2013-01-30 2015-03-02 (주) 유일이앤티 음료용기 자동세척 및 음료주입 시스템
KR101497006B1 (ko) * 2013-01-30 2015-03-02 (주) 유일이앤티 음료용기 자동세척 및 음료주입 시스템
TWI511858B (zh) * 2014-10-17 2015-12-11 Quanta Comp Inc 直接氣冷成型物的模具成型系統與方法
KR200485248Y1 (ko) * 2016-04-29 2017-12-12 동아정밀공업(주) 이중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WO2017204375A1 (ko) * 2016-05-24 2017-11-30 김부성 음료 용기용 뚜껑
KR102438498B1 (ko) * 2020-11-25 2022-08-31 주식회사 이지고 공간 분할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621A (ko) * 2007-11-06 2009-05-11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872B2 (ja) * 1995-06-22 2005-01-1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装置のシリンダ温度調整装置
JPH1014739A (ja) 1996-07-01 1998-01-20 Yoichi Sato 茶こしの付いた湯飲み容器
FR2795994B1 (fr) * 1999-07-05 2001-10-12 Sidel Sa Machine de soufflage a moules bi-empreinte
KR200181615Y1 (ko) * 1999-12-06 2000-05-15 주식회사다향산방 녹차용 다기
BR0113700A (pt) * 2000-09-05 2003-07-01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Recipientes de múltiplas camadas e preformas possuindo propriedades de barreira utilizando material reciclado
KR200283390Y1 (ko) 2002-05-04 2002-07-26 주식회사 제이엠피 이중용기
KR100541265B1 (ko) 2002-12-12 2006-01-11 신현확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US20050098527A1 (en) * 2003-09-15 2005-05-12 Yates William M.Iii Multiple cavity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845737B1 (ko) * 2007-09-05 2008-07-11 김양수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및 그용기
CN101279502A (zh) * 2008-05-27 2008-10-08 李岩 一种能吹制多个独立空间瓶子的方法
KR200450854Y1 (ko) 2009-06-26 2010-11-05 (주)쿨테크 선택적인 내용물 배출 뚜껑을 구비한 분할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621A (ko) * 2007-11-06 2009-05-11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56Y1 (ko) * 2017-04-28 2018-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72A (ko) 2011-11-21
KR101095430B1 (ko) 2011-12-16
KR20110125573A (ko) 2011-11-21
KR20110125571A (ko) 2011-11-21
KR101095431B1 (ko) 2011-12-16
CN102971132A (zh) 2013-03-13
KR101095429B1 (ko) 2011-12-16
KR20110010822U (ko) 2011-11-21
KR20120024522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865B1 (ko) 분할용기
US20050170113A1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BR122016005603B1 (pt) pré-forma para a fabricação de frascos plásticos em um processo por sopro ou por estiragem-sopro
CN105793014B (zh) 具有包含与塑模表面吻合的热交换空腔的整体模底的塑模装置
US20100209634A1 (en) Blow molding for container equipped with divided receptacle
JP2021120226A (ja) プリフォーム、樹脂製容器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08919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US112355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container part, mold unit, and blow molding machine including the mold unit
KR101334392B1 (ko) 분할용기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7353471B2 (ja) 剥離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2985246A (zh) 带有限定开口的边缘部的容器、制造所述容器的方法和设备
CN102189668B (zh) 用于制造塑料容器的设备和方法
US9517601B2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a pour opening of a plastic container produced in an extrusion-blow-molding method
CN212288480U (zh) 大型透明塑料储物罐注塑成型模具
KR101448270B1 (ko) 분할용기의 성형장치 및 이를 위한 프리폼
US20220339842A1 (en) Method for producing delamination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elamination container
CN113631347B (zh) 预制件的温度调节装置和温度调节方法以及树脂成型容器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KR100935005B1 (ko)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WO2022014540A1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4901453B (zh) 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20220124754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EP3778185A1 (en) Blow molding die and blow molding device
KR100935004B1 (ko) 분할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의 블로잉 성형방법
WO2024020669A1 (en) Molding system having a vision system and a method for optically inspecting molded articles
KR20220124755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