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104B1 -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104B1
KR0157104B1 KR1019940702315A KR19940702315A KR0157104B1 KR 0157104 B1 KR0157104 B1 KR 0157104B1 KR 1019940702315 A KR1019940702315 A KR 1019940702315A KR 19940702315 A KR19940702315 A KR 19940702315A KR 0157104 B1 KR0157104 B1 KR 015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air
tube container
molding method
bl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다카쿠사키
요시미 데라지마
이사무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미키 히로후미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 히로후미,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키 히로후미
Priority to KR101994070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104B1/ko

Link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에 취입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방식의 튜브용기의 취입성형방법에 있어서 페리슨내에 취입공기를 취입함으로써 튜브용기에 부형되어, 튜브용기의 절단예정개소 보다 아래쪽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계속 취입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취입성형방법이다.
상기 취입공기의 취입방식은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 벽면에 취입공기의 취입용의 취입노즐을 꽂아서 취입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가로취입방식 혹은 페리슨의 축방향으로부터 취입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세로취입방식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배출구는 절단예정개소보다 아래쪽의 측벽면 혹은 바닥벽면의 일부에 형성된 것이며 될 수 있으면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는 금형내벽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화상태의 튜브벽면이 취입공기의 압력으로 눌려서, 얇아지게 한 후에 파열함으로써 형성되든가 혹은 금형밖으로부터의 바늘넣기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여 취입성형후의 튜브용기의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치수정밀도의 우수한 성형품을 효율이 좋게 성형하기 위한 취입성형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튜브용기를 가로취입하는 방식으로 취입하는 본 발명의 블로우성형방법의 일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같은 상태를 세로취입하는 방식으로 취입하는 본 발명의 블로우성형방법의 다른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의하여 부형되어, 블로우공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상태의 튜브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종래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의하여 부형된 튜브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형된 2개의 취득금형을 사용하여 튜브용기를 블로우성형방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우성형후의 성형품의 냉각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여, 치수정밀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고효율로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열가소성수지로부터 블로우성형에 의해 튜브용기를 성형하는 경우, 압출기에서 용융압출된 페리슨(parison)의 상방부에 블로우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블로우노즐을 꽂아 압착공기를 취입하거나, 혹은 페리슨의 윗방향 혹은 아래방향의 축방향으로부터 압착공기를 취입하여, 페리슨을 금형벽면으로 눌러서 바닥이 있는 통형상 용기로서 부형하고, 냉각하여 금형에서 꺼내고, 이어서 아래쪽 부분을 절단하여 튜브용기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튜브용기는 그 입구부에 캡이 결합되어 충전기에 공급되고, 아래쪽의 절단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 종단부가 밀봉되어, 시장에 출하되는 것이다.
일본국 특공소 59-3260호 공보에는 중공용기를 블로우성형할 때에 연화상태의 페리슨을 끼워넣는 삽입분할식 금형의 윗쪽 부분의 협압판이 상호 직접 접하지 않고, 일부분에 공극을 형성한 상태로 형성되어 이 협압판이 상호협동하여 페리슨을 끼워넣고, 중공부를 밀봉상태로 한 상태에서, 페리슨의 측벽에 꽂은 블로우노즐에서 블로우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중공용기가 부형된 후에 상기 협압판의 공극부분이 블로우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파열되고 배출구를 형성하며, 이 배출구로부터 금형내에 채워져 있는 가압유체를 배기하는 것을 구성으로 한 중공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종래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의하여 튜브용기등의 중공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블로우공기 취입구로부터 취입된 블로우공기는 연화상태의 페리슨을 금형의 벽면으로 눌러서 부형시킨 후, 블로우노즐 돌자부(突刺部)의 윗쪽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기되는 것이지만, 성형된 튜브용기는 가늘고 긴것인 위에 용기종단부가 바닥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우공기는 튜브용기내를 충분하게 유동할 수가 없는 가운데 윗쪽의 배출구로부터 배기되어 버리게 된다. 그 때문에 튜브용기의 하방부에는 부형시의 블로우공기가 유동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으며, 그 후의 튜브용기 벽면의 냉각은 주로 튜브용기와 접촉상태에 있는 금형내에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부형상태에서 아직 고온으로 유지되고 있는 튜브용기를 냉각하여, 금형의 개방이 행하여지는 상태에 이르기 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성형효율의 점에서 중대한 장해가 된다.
즉, 종래의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는, 부형후의 성형품의 냉각은 금형을 냉각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을 뿐, 그 이외에 냉각효율에 대하여는 배려가 되어있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되는 블로우노즐은 페리슨 벽면에 꽂혀 있는 상태이거나, 공기의 취입구의 형상등에 대한 연구를 했지만 이 노즐로부터 취입되는 블로우공기가 어떤 상태일 때, 페리슨의 부형 및 성형품(튜브용기)의 냉각공정을 가장 고효율로 행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고려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용기내에 취입되는 블로우공기가 튜브용기로서 부형된 후에도 용기내를 고효율로 유동하여 부형 후의 튜브용기의 냉각시간의 단축화를 가능하게 한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튜브용기 아래쪽의 성형후에 절단되는 불필요한 부분에 튜브용기 부형과 동시에 혹은 부형된 직후에 블로우공기 배기를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계속 공급된 블로우공기를 배기하도록 한 튜브용기의 성형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에 블로우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방식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 페리슨내에 블로우공기를 취입함으로써 튜브용기가 부형되고, 블로우공기의 취입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튜브용기의 불필요 부분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계속 블로우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에 블로우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방식의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 페리슨내에 블로우공기를 취입시킴으로써 튜브용기가 부형되고, 튜브용기의 절단예정개소의 외측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계속 블로우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의 성형방법이 제공된다.
블로우공기의 취입방식으로서는 압출기에서 압출된 페리슨 벽면에 블로우공기 취입용의 블로우노즐을 꽂아서 행하는 가로취입방식 혹은 페리슨의 축방향, 즉 윗방향 또는 아래방향으로부터 블로우공기를 취입하도록 한, 소위 세로취입방식의 어느 것도 채용할 수 있다.
이 배출구는 튜브용기에 부형과 동시에 혹은 부형된 직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튜브용기에 부형중에 혹은 기계적인 타이밍을 취하기 위해 부형후에 약간의 시간의 경과를 거친 후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구는 금형벽면에 형성된 개공부에 연화상태의 튜브용기의 벽면이 블로우공기의 압력으로 눌려서, 얇아지게 된 후에 파열됨으로써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 금형밖으로부터 바늘형상의 기구를 꽂아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을 가로 취입방식으로 블로우성형한 경우에는, 상기 튜브용기의 절단예정 개소의 아래쪽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후에 블로우노즐 돌자부의 근방 또는 그 윗쪽으로 같은 배출구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여 블로우노즐 돌자부의 근방의 냉각도 아울러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첫번째는 튜브용기 부형후에 절단되는 예정개소의 아래쪽에 블로우공기가 금형내에 충만되어 튜브용기가 부형됨과 동시에 혹은 부형된 직후에 블로우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이 배출구가 튜브용기내에 충만된 블로우공기의 배출을 관리하기 위해 블로우공기는 튜브용기가 부형된 후에도 금형내에 체류하지 않고 튜브용기내부를 유동하여 가열상태의 튜브용기를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두번째는 배출구를 형성한 후에도 계속 블로우공기가 공급되는 것에 있다.
블로우공기의 공급이 계속 행하여 짐으로써, 블로우공기는 튜브용기내부를 고효율로 유동하여 배출됨으로써, 고온상태에 있는 튜브용기를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됨으로써, 튜브용기의 급속냉각이 한층 효율적으로 실시된다.
이점에 대하여 더 상술하면, 취입된 블로우공기가 튜브용기의 아래 방향으로 한꺼번에 강하하여 튜브용기의 바닥면에 도달하게 된다. 블로우공기가 튜브용기의 바닥면에 도달한 때에 연화상태에 있는 재료는 순간적으로 금형형상을 따라서 부형되고, 그와 동시에 혹은 그 보다 약간후의 시점에서 성형후의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이 배출구가 금형내에 충만된 블로우공기를 배기하여, 계속 블로우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일어나 튜브용기의 냉각이 급속하게 행해진다.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 바닥이 있는 관상용기가 형성되고, 금형에서 성형품을 꺼낸 후, 용기의 아래쪽 부분을 절단하여, 그 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하는 튜브용기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부형된 시점에서 튜브용기에 취입되는 블로우공기는 용기내, 특히 용기의 아래쪽으로의 대류는 거의 일어나지 않은 채, 블로우노즐 차입부의 근방 또는 그 윗쪽에 형성되는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용기내 특히 용기 아래쪽부분의 벽면은 블로우공기에 의해서 냉각되지 않고, 냉각된 금형과의 접촉에 의해서만 냉각된다.
따라서 성형된 용기를 냉각하기 위한 시간이 길게 되어, 성형효율의 점에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블로우노즐로부터 취입된 블로우공기가 아래방향으로 대량으로 흘러서,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가 블로우공기의 튜브용기 내에서의 유동을 촉진하여 튜브용기 전체의 냉각이 균일하고 급속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성형 효율이 우수한 튜브용기의 성형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블로우노즐(1)을 페리슨의 상방부에 꽂아서 형성된 취입구(33)로부터 취입되는 블로우공기에 의하여, 연화상태의 페리슨의 금형면으로 눌려서 튜브용기(3)에 부형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후에 절단하는 예정개소(31)로부터 아래쪽 부분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32)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후에 절단되는 예정개소(31)보다 아래쪽 부분의 벽면의 일부가 블로우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얇아지게 되고, 이어서 파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에, 이 벽면을 금형밖으로부터 바늘형상물로 꽂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배출구가 용기내의 블로우공기의 배기를 관리하기 위해, 블로우공기가 용기내에 체류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하여, 튜브용기의 냉각이 급속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상기 배출구(32)의 형성은 튜브용기의 측벽면이나, 바닥벽면이라도 좋지만, 가능한 한 아래쪽의 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는 튜브용기를 1개 취한 금형의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법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의 튜브용기와 바닥부 방향의 불필요 부분끼리를 통하여 대칭적으로 세운 상태, 혹은 튜브용기의 입구부의 불필요부분을 통하여 대칭적으로 양끝에 바닥부를 형성하도록하여 2개 취한 금형에 있어서도 같은 상태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제5도의 경우는 2개의 튜브용기의 입구부가 형성되는 중간의 불필요부분에 블로우노즐을 꽂아서 이 부분을 취입구(33)로 하고, 배출구(32)는 윗쪽 및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는 튜브용기의 바닥면 방향의 절단예정개소 외측에 형성하면 좋고, 또 제6도의 경우는 아래방향으로 형성되는 튜브용기의 목부의 선단부 근처, 즉 튜브용기 부형후의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 부분에 형성하면 좋다.
종래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는 페리슨의 윗쪽에서 취입된 블로우공기의 대부분은 일단 취입구의 대면벽부에 맞닿고, 이어서 아래쪽 방향 및 윗쪽방향으로 유동하지만, 튜브용기로서 부형된 시점에서 용기 아래쪽으로의 블로우공기의 유동은 정지되고, 블로우노즐 돌자부의 근방 또는 윗쪽의 얇아진 부분을 파열시켜서 배출구(34)를 형성하여, 그 부분에서 블로우공기가 방출되게 된다. 즉, 이 시점에서 블로우공기는 이 배출구에서 배기되도록 되기 때문에, 아래방향으로의 블로우공기의 유동은 거의 행하여지지 않으며, 성형후의 튜브용기의 냉각은 용기 본체와 접촉하고 있는 금형에 의해서만 행하여 지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페리슨이 튜브용기로 부형되고 있는 도중 혹은 부형된 후에 절단예정개소(31)의 아래쪽의 벽면의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32)로부터 블로우공기가 배기되기 때문에 윗쪽으로부터 취입되는 블로우공기는 튜브용기내에 정체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유동하여 배출됨으로써 튜브용기(3)의 냉각이 급속하게 행하여진다.
다음에 블로우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용기의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 벽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브용기성형용의 금형(4)내의 상기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벽면에는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방향으로, 또한 1개소 혹은 복수개소에 금형밖으로 연통하는 개공부(4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블로우공기에 의하여 부형된 튜브용기의 벽면은 이 개공부에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얇아지게 되고, 또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블로우공기에 의하여 이 얇아진 부분이 파열되어, 이 부분이 블로우공기의 배기를 관리하는 배출구(32)가 된다.
또 이 배출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내에서의 블로우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당해 부분이 파열됨으로써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금형으로 형성된 연통개공부(41,41')의 외부에서 침부재(도시하지 않음)등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개구될 수도 있다.
침부재는 예컨대 주사침과 같이 선단이 죽창형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상의 부재로서 관상부재의 금형밖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기를 위한 연통개공이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이나, 혹은 속이찬 침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관상의 침부재를 사용한 때에는, 용기벽면에 침부재를 꽂은 순간에 블로우공기는 침부재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연통개공부로부터의 금형밖으로 블로우공기가 배기된다.
또 속이 찬 침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침부재를 용기 벽면에 꽂은 후, 신속하게 후퇴함으로써 이 개공부에서의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가로취입 방식의 블로우노즐(1)은, 특히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구조가 한정될 이유는 없으며, 블로우공기 취출구가 블로우노즐의 중앙부에 개구되어 있는 것, 혹은 상하 방향 또는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블로우공기 취입구를 가지는 것 등이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것의 일예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리슨의 축방향으로부터 블로우공기를 취입하는 세로취입 방식의 블로우노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가로취입방식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는 블로우노즐(1)을 페리슨의 상부벽면에 꽂고, 또한 블로우공기 취입구를 페리슨내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튜브용기내에 블로우공기가 페리슨의 가로방향에서 취입되고,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로취입 방식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는 페리슨의 축방향, 즉 윗방향 또는 아래방향으로부터의 블로우공기가 취입된다.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이 블로우공기가 연화상태의 페리슨 내에 취입되면, 페리슨은 순간적으로 금형의 형상에 따른 튜브용기로서 부형되고, 그 시점에서 용기아래쪽의 절단예정개소 보다도 아래의 부분에 상당하는 금형으로 형성된 개공부(41)에 맞닿아 있는 벽면에 배출구(32)가 형성된다.
배출구(32)가 형성된 순간에, 용기내에 충만된 블로우공기가 배기되기 때문에, 블로우공기는 부형후에도 용기내를 효율적으로 유동하여, 성형후의 튜브용기의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각에 기여하게 된다.
단, 상기 배출구(32)는 블로우공기가 튜브용기내를 유동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튜브용기내의 모든 블로우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튜브용기내의 블로우공기의 대부분은 블로우공기의 취입이 종료된 시점에서, 블로우노즐(1)이 재빨리 후퇴하는 동시에, 그곳에서 블로우공기를 찌를 때 형성된 취입구(33)로부터 배기되며, 이에 따라서, 튜브용기내의 압력은 처음처럼 대기압까지 회복된다. 또한 블로우공기의 배기는 그 이외에도 블로우노즐과 연이어 통하는 개공부(도시하지 않음)에서도 행하여진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우공기를 튜브용기내에서 효율적으로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블로우노즐 후퇴 후의 구멍을 주된 배기구멍으로 사용함으로써 블로우성형에 있어서 사이클이 현저하게 단축되며, 이와 같은 효과는 상기 배출구(32)를 튜브용기 아래쪽의 절단예정개소(31)의 아래의 부분에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 방법의 효과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의 블로우성형에 있어서 블로우공기 온도 23℃, 금형의 표면온도 14℃, 냉각시간 9.5초란 조건에서 성형품을 냉각한 때에 두께방향의 평균온도가 39.1℃가 되는 조건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래서 동일원료를 사용하여 동일형상의 성형품을 성형한 때의 두께방향의 평균온도가 39.1℃로 되는 조건을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 있어서 사용한 블로우노즐은 블로우공기 취입구 φ1.0이며, 절단예정개소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배출구는 φ0.7이었다. 또 취입종료후에 블로우노즐의 교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출구는 φ2.0이며, 따라서 취입종료후의 배출구는 φ0.7+φ2.0의 양끝방향의 배출구가 기능하게 된다.
본 실험에 의하면 금형온도, 블로우공기 온도를 상기 종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방향의 온도가 39.1℃로 되는 시간을 측정한 바 6.5초이었다.
즉 종래의 블로우성형방법과 본 발명의 블로우성형방법에서는 같은 튜브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6.5/9.5=68, 즉 100-68=32%의 시간 단축이 달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취입된 블로우공기를 한꺼번에 취입하고, 성형품 내면에 남기지 않으며, 신속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또는 가압상태에서 취입된 블로우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킴으로써, 현저한 블로우성형사이클의 단축이 달성된다.
따라서 대량의 블로우공기를 공급하여 부형된 후에 용기벽면의 불필요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성형품 내면에서 블로우공기의 효율적인 유동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의의는 크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우공기에 의하여 부형된 튜브용기 아래쪽의 절단예정개소 보다 아래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로부터의 블로우공기를 배기함으로써, 성형품 내면에 있어서도 블로우공기의 효율적인 유동이 행하여지는 동시에, 블로우노즐 후퇴후의 구멍이 주된 배출구로서 작용하여 성형품 내면의 가압상태의 공기를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성형품의 냉각을 균일하고 그리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에 블로우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방식의 블로우성형방법에 있어서, 페리슨내에 블로우공기를 취입함으로써 튜브용기가 부형되고, 블로우공기의 취입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튜브용기의 불필요부분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계속하여 블로우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페리슨내에 블로우공기를 취입함으로써 튜브용기가 부형되고, 튜브용기의 절단예정개소 보다 외측의 벽면의 일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계속 블로우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블로우공기의 취입방식이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의 벽면에 블로우공기 취입용의 블로우노즐을 꽂고 블로우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가로취입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블로우공기의 취입방식이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페리슨의 축방향으로부터의 블로우공기의 취입을 행하는 세로취입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공기가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개구된 취입구를 가진 블로우노즐에 의하여 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절단 예정개소 보다 아래쪽의 측벽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절단예정개소 보다 아래쪽의 바닥벽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금형 내벽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화상태의 튜브벽면이 블로우공기의 압력으로 눌려서 얇아진 후에 파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금형밖으로부터 바늘을 꽂음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양끝 방향으로 입구부를 가지며, 바닥부의 절단예정개소를 통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으로서, 한편의 튜브용기의 입구부의 외측에 블로우공기의 취입구를 형성하고, 다른 쪽의 튜브용기의 입구부의 외측에 블로우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양끝 방향으로 바닥부를 가지며, 입구부의 불필요부분을 통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으로서, 입구부끼리의 중간에 위치하는 불필요부분에 블로우공기의 취입구를 형성하고, 양끝 방향의 절단선 보다 외측에 블로우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방법.
KR1019940702315A 1994-07-04 1992-11-18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KR015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702315A KR0157104B1 (ko) 1994-07-04 1992-11-18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702315A KR0157104B1 (ko) 1994-07-04 1992-11-18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7104B1 true KR0157104B1 (ko) 1998-12-01

Family

ID=1940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315A KR0157104B1 (ko) 1994-07-04 1992-11-18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1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044A (en) Injection blow molding apparatus
US385538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unitary, seamless, collapsible thermoplastic tubes
US4357296A (en) Injection blow molding process
EP0583542A1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ed plastics with skin and molding apparatus therefor
US4092389A (en) Method of blow molding and then exhausting hollow plastic articles
US20010002266A1 (en) Compression molded neck body with smooth inner wall
US4280805A (en) Injection blow molding apparatus
US3944642A (en) Method for blow molding plastic articles
US4280630A (en) Container with handle
US3740181A (en) Apparatus for blow molding plastic articles
US4126658A (en) Method of blow molding
EP0061511B1 (en) Handled containers,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H0628893B2 (ja) 例えば取っ手のような一体の外方突起物を備えた中空の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吹込み成形品を作る方法
KR0157104B1 (ko) 튜브용기의 블로우성형방법
JPS62216722A (ja) 分子配向可能なプラスチツク材料からなる中空の容器を成形する方法及び装置
US5939108A (en) Blow air cylinder for blow-molding hollow container
EP0633123B1 (en) Method for blow molding tubular container
US6217817B1 (en) Method for blow-molding tube container
JP2560544B2 (ja) チューブ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JPH08290465A (ja) ブロー成形方法
JPH05237923A (ja) 二軸延伸吹込成形方法
US298977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ottles and other hollow articles from organic plastic materials
CA2126684C (en) Method for blow-molding hollow container and blow air cylinder
WO1997016293A1 (fr)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 type entree a obturateur et appareil s'y rapportant
JPH09183150A (ja) 中空二重壁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