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879A -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 Google Patents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879A
KR20020007879A KR1020000041406A KR20000041406A KR20020007879A KR 20020007879 A KR20020007879 A KR 20020007879A KR 1020000041406 A KR1020000041406 A KR 1020000041406A KR 20000041406 A KR20000041406 A KR 20000041406A KR 20020007879 A KR20020007879 A KR 2002000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ylinder
conveyor
reduce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227B1 (ko
Inventor
김시정
Original Assignee
김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정 filed Critical 김시정
Priority to KR10-2000-004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2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63Labe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를 자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상향 경사 진행방식의 컨베이어 수단을 채용하고, 적어도 2개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2단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의 실린더 수단을 채용하며, 각각의 액추에이터 수단의 제어에 필요한 여러 리미트 스위치 수단 등을 채용하여 박스의 상표 인쇄 작업뿐만 아니라 전후 작업과 연계적인 진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명의 인부 만으로도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다음 작업으로의 진행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편하게 할 수 있는 등 박스의 상표 인쇄 작업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Device for printing label for box}
본 발명은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향 경사 진행방식의 컨베이어 수단과, 2단 작동방식의 실린더 수단과, 박스의 위치를 설정하는 각종 리미트 스위치 수단을 조합하여 만든 상표 인쇄기를 제공함으로써, 박스의 상표 인쇄작업과 관련한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는 등 전반적인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감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밀감을 선과하고 출하하는 과정 중 박스에 상표를 인쇄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상표를 인쇄하거나 박스를 운반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주로 인부들의 수작업이나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적어도 2명의 인부 중 1명은 상표를 찍고 다른 1명은 박스를 운반해야 하므로, 작업 성과에 비해 작업 인부가 많이 투입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박스를 자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상향 경사 진행방식의 컨베이어 수단을 채용하고, 적어도 2개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2단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의 실린더 수단을 채용하며, 각각의 액추에이터 수단의 제어에 필요한 여러 리미트 스위치 수단 등을 채용하여 박스의 상표 인쇄 작업 뿐만 아니라 전후 작업과 연계적인 진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명의 인부 만으로도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다음 작업으로의 진행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편하게 할 수 있는 등 박스의 상표 인쇄 작업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의 작동 전 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의 1차 작동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의 2차 작동 상태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의 작동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 11 : 프레임
12 : 체인 13 : 모터
14 : 감속기 15 : 제1실린더
16 : 상표 인쇄용 명판 17 : 제2실린더
18 : 플라이 휠 19 : 박스 정렬 가이드
20 : 오프 리미트 스위치 21 : 온 리미트 스위치
22 : 제1컨트롤 스위치 23 : 제2컨트롤 스위치
24 : 명판 홀더 25 : 호스
26 : 스프로킷 27 : 제1가이드 바
28 : 제2가이드 바 29 : 제3가이드 바
30 : 제1브라켓 31 : 제2브라켓
32 : 플레이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박스 진행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컨베이어(10) 및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11)과, 전동용 체인(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위한 모터(13) 및 감속기(14)와, 상기 컨베이어(10)의 중간에서 90°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실린더(15) 및 상표 인쇄용 명판(16)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실린더(15)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박스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제2실린더(17)와, 상기 컨베이어(10)의 구동과 제1실린더(15) 및제2실린더(17)의 순차 작동을 위한 소정의 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모터(13) 및 감속기(14)는 소정의 신호에 의한 구동 정지 후 박스를 관성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플라이 휠(1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의 작업구간 일측에는 원심력에 의해 진행되는 박스를 정위치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잡아줄 수 있는 클램핑 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17)에는 박스의 정렬상태를 바로 잡아줄 수 있도록 제2실린더(17)의 작동시 함께 작동되는 박스 정렬 가이드(19)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수단은 박스의 작업구간 투입 개시를 감지하여 모터(13) 및 감속기(14)의 구동을 끊어주는 오프 리미트 스위치(20) 및 박스의 작업구간 배출 개시를 감지하여 모터(13) 및 감속기(14)를 재차 구동시켜주는 온 리미트 스위치(21)와, 박스의 작업구간 투입 완료를 감지하여 제1실린더(15)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컨트롤 스위치(22) 및 제1실린더(15)의 작동 완료를 감지하여 제2실린더(17)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컨트롤 스위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표 인쇄용 명판(16)은 제2실린더(17)의 로드에 부착되어 있는 명판 홀더(24)로부터 슬라이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는 박스를 이동시키는 수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 상표 인쇄용 명판을 이용하여 상표를 인쇄하는 수단, 박스의 위치 등을 제어하는 수단 등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스 이동수단은 컨베이어(10)와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10)는 박스 진행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며, 컨베이어(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받침판은 박스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등의 고마찰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텐션 조절기를 포함하고 있고, 후술하는 모터(13) 및 감속기(14)에 의해 구동되며, 전동수단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이 스프로킷(26) 및 체인(12)을 적용할 수 있으나, 풀리나 벨트 등을 적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전(前) 작업인 박스 밴딩 작업측 컨베이어와 후(後) 작업인 박스 보관 및 운반 작업측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하여 박스의 진행이 전후 작업과 연결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10)를 지지하는 프레임(11)은 다수의 각형 튜브를 상자형으로 조합하여 그 안쪽으로 모터(13) 및 감속기(14)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있으며, 경사지게 배치되는 컨베이어(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나란한 ㄷ자형 채널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은 프레임(11)의 내측에 설치되며 모터(13)와 감속기(14)로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오프 리미트 스위치(20) 및 온 리미트 스위치(21)의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13)가 구동되고, 모터(13)의 회전력은 그대로 감속기(14)로 전달되어 컨베이어(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속기(14)의 축과 컨베이어(10)의 한쪽 구동축에는 각각 스프로킷(26)을 장착하고 각 스프로킷(26)을 체인(12)으로 연결하여 모터(13) 및 감속기(14)의 구동과 함께 컨베이어(10)가 가동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이용한 동력전달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이러한 간접적인 동력전달방식 이외의 모터 및 감속기를 컨베이어에 직접 연결하여 가동시키는 직접적인 동력전달방식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감속기(14)에는 플라이 휠(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플라이 휠(18)은 모터(13)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 자체적인 관성력을 발휘하여 컨베이어(10)를 일정구간 가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모터(13)의 구동이 정지되면 컨베이어(10)가 곧바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플라이 휠(18)의 관성력에 의해 어느 정도 가동된 후 멈추는 것이다.
상기 상표 인쇄수단은 별도의 에어 컴프레서 등으로부터 공기압을 공급받아작동되는 2개의 실린더 수단으로 구성한다.
컨베이어(10)의 길이 중간쯤에서 박스의 진행 방향에 대해 90°방향으로 제1실린더(15)를 설치하고, 이 제1실린더(15)의 로드에는 박스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2실린더(17)를 설치한다.
상기 제1실린더(15)는 컨베이어(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2) 상의 제1브라켓(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2실린더(17)는 제1실린더(15)의 로드에 일체 결합되는 제2브라켓(31)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각각의 실린더는 작동시 흔들림이 없는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 바(27) 및 제2가이드 바(28)에 의한 작동 안내를 받도록 한다.
상기 제1실린더(15)와 제2실린더(17)는 서로 순차적인 작동이 가능하므로 박스 진행시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상표를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박스의 작업구간 위치를 감지하는 제1컨트롤 스위치(22)와 제1실린더(15)의 작동완료를 감지하는 제2컨트롤 스위치(23)의 각각의 감지신호를 받으면 제1실린더(15)가 작동한 후 계속해서 제2실린더(17)가 작동한다.
또한, 제1실린더(15)의 일측에는 이 제1실린더(15)와 함께 동작되면서 박스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박스 정렬 가이드(19)를 설치한다.
상기 박스 정렬 가이드(19)는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길다란 봉과 이 봉을 지지하는 제3가이드 바(29)로 구성하고, 제3가이드 바(29)의 한쪽을 제1실린더(15)의 제1가이드 바(27)에 연결하여 제1실린더(15)의 전진 작동시 함께 전진되어 컨베이어(10)을 따라 비스듬하게 진행되어 오는 박스가 있으면,이를 똑바로 잡아서 박스에 대한 인쇄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실질적인 인쇄작업은 제2실린더(17)에 장착되어 있는 상표 인쇄용 명판(16)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실린더(17)의 로드에는 양편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 홈을 갖는 명판 홀더(24)를 일체 설치하고, 상표 인쇄용 명판(16)은 명판 홀더(24) 내에 슬라이드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다수의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한다.
박스가 작업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작업구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컨베이어(10)의 가동을 멈추게 하는 오프 리미트 스위치(20)와 온 리미트 스위치(21)를 구비한다.
상기 오프 리미트 스위치(20)는 컨베이어(10) 상의 작업구간 초입에 설치하여 박스와 직접 접촉되면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 리미트 스위치(21)는 컨베이어(10) 상의 작업구간 말기에 설치하여 역시 박스와 직접 접촉되면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오프/온 리미트 스위치(20),(21)의 감지신호에 받은 모터(13) 및 감속기(14)의 구동 여부에 따라 컨베이어(10)가 멈추거나 재가동될 수 있게 된다.
박스가 작업구간 내에 완전히 위치한 것을 감지하여 제1실린더(15)를 작동시키는 제1컨트롤 스위치(22)와, 제1실린더(15)가 전진작동을 완료한 것을 감지하여 제2실린더(17)를 작동시키는 제2컨트롤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컨트롤 스위치(22)는 컨베이어(10) 상의 작업구간 내에 설치하여 박스와 직접 접촉되면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컨트롤 스위치(23)는 제1실린더(15)에 있는 제1가이드 바(27)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는 포장 및 밴딩 작업측으로 연결되는 컨베이어와 보관 및 운송측으로 연결되는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므로서, 포장 및 밴딩 작업과 상표 인쇄 작업과 보관 및 운송 작업이 연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a는 포장 및 밴딩 작업을 마친 박스가 상표 인쇄 작업을 위해 컨베이어(10)를 타고 진행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의 제1실린더(15) 및 제2실린더(17)는 컨베이어(10)의 바깥쪽으로 빠져 나와 있는 상태이므로 박스가 간섭없이 컨베이어(10) 상의 작업구간까지 진행할 수 있다.
컨베이어(10)의 가동에 따라 박스가 계속 진행하다가 작업구간의 초입에 있는 오프 리미트 스위치(20)와 접촉하면, 오프 리미트 스위치(20)의 감지 신호를 받은 모터(13) 및 감속기(14)는 구동이 중단되고, 이때부터는 플라이 휠(18)의 관성력에 의해 컨베이어(10)가 일정구간 가동되어 박스를 작업구간까지 옮겨준다.
플라이 휠(18)이 발휘하는 관성력은 박스를 작업구간 내에 정확히 위치시킬수 있는 정도로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13) 및 감속기(14)의 구동 정지 후 플라이 휠(18)까지 회전을 멈추면, 컨베이어(10)의 가동 정지와 동시에 박스는 작업구간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플라이 휠(18)의 관성력으로 컨베이어(10)가 가동되어 박스가 진행하다가 작업구간 내에 정확히 위치하면, 작업자의 인위적인 조작 등으로 박스를 세울 수 있게 하는 것이 정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가 작업구간 내에 위치하면 작업구간 내의 일측 제1컨트롤 스위치(22)가 박스의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제1실린더(15)를 전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박스 정렬 가이드(19)도 함께 전진하여 박스의 삐뚤어진 상태를 바로 잡아준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5)가 전진 작동을 완료하면 이것을 감지한 제2컨트롤 스위치(23)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2실린더(17)가 전진 작동하면서 상표 인쇄용 명판(16)으로 박스에 상표를 인쇄한다.
이때, 박스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표 인쇄용 명판(16)이 박스를 위로 밀어주면서 인쇄를 하므로 상표를 보다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린더(17)의 전진 작동과 함께 상표 인쇄용 명판(16)으로 인쇄를 거의 마치는 시점, 즉 제2실린더(17)에 의해 박스가 어느 정도 밀려나 작업구간 말기 위치까지 올려진 시점이 되면, 박스가 온 리미트 스위치(21)와 접촉한다.
온 리미트 스위치(21)의 감지 신호에 의해 모터(13) 및 감속기(14)가 구동되면, 상표 인쇄를 마친 박스는 컨베이어(10)의 가동과 동시에 보관 및 운송 작업을 위해 연접된 컨베이어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박스의 상표 인쇄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를 사용하여 인쇄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종전 2명의 작업 인부를 1명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상표 인쇄용 명판만 갈아 끼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1대의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로 여러 작목반원 개개인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 경사 진행방식의 컨베이어 수단, 2단 작동방식의 실린더 수단, 박스의 위치를 설정하는 각종 스위치 수단 등을 조합하여 만든 상표 인쇄기를 제공함으로써, 박스의 상표 인쇄작업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박스 진행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컨베이어(10) 및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11)과,
    전동용 체인(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위한 모터(13) 및 감속기(14)와,
    상기 컨베이어(10)의 중간에서 90°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실린더(15) 및 상표 인쇄용 명판(16)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실린더(15)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박스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제2실린더(17)와,
    상기 컨베이어(10)의 구동과 제1실린더(15) 및 제2실린더(17)의 순차 작동을 위한 소정의 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3) 및 감속기(14)는 소정의 신호에 의한 구동 정지 후 박스를 관성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플라이 휠(1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의 작업구간 일측에는 원심력에 의해진행되는 박스를 정위치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잡아줄 수 있는 클램핑 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17)에는 박스의 정렬상태를 바로 잡아줄 수 있도록 제2실린더(17)의 작동시 함께 작동되는 박스 정렬 가이드(19)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박스의 작업구간 투입 개시를 감지하여 모터(13) 및 감속기(14)의 구동을 끊어주는 오프 리미트 스위치(20) 및 박스의 작업구간 배출 개시를 감지하여 모터(13) 및 감속기(14)를 재차 구동시켜주는 온 리미트 스위치(21)와, 박스의 작업구간 투입 완료를 감지하여 제1실린더(15)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컨트롤 스위치(22) 및 제1실린더(15)의 작동 완료를 감지하여 제2실린더(17)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컨트롤 스위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인쇄용 명판(16)은 제2실린더(17)의 로드에 부착되어 있는 명판 홀더(24)로부터 슬라이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KR10-2000-0041406A 2000-07-19 2000-07-19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KR10036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06A KR100369227B1 (ko) 2000-07-19 2000-07-19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06A KR100369227B1 (ko) 2000-07-19 2000-07-19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13U Division KR200228040Y1 (ko) 2000-10-06 2000-10-06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879A true KR20020007879A (ko) 2002-01-29
KR100369227B1 KR100369227B1 (ko) 2003-01-24

Family

ID=1967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406A KR100369227B1 (ko) 2000-07-19 2000-07-19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2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27380B2 (en) * 2007-03-16 2010-06-10 Lg Electronics Inc.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966623B1 (ko) * 2009-07-20 2010-06-29 서창엽 쟁기
KR101646677B1 (ko) * 2016-03-18 2016-08-12 로젠(주) 택배 박스의 무게정보 인쇄장치
KR101646676B1 (ko) * 2016-03-18 2016-08-12 로젠(주) 택배 박스의 송장정보 인쇄장치
CN108689104A (zh) * 2018-05-24 2018-10-23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一种电气控制自动化生产定频操作设备
CN109552850A (zh) * 2018-11-30 2019-04-02 湖南福德电气有限公司 瓷壳自动排列系统
CN109552850B (zh) * 2018-11-30 2024-05-24 湖南福德电气有限公司 瓷壳自动排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312B2 (ja) * 1990-05-11 1998-12-09 塩▲崎▼商衡株式会社 印字装置
KR970000867Y1 (ko) * 1991-11-19 1997-02-12 김용웅 브레이크패드의 마킹장치
JP2500875Y2 (ja) * 1993-08-27 1996-06-12 株式会社イシダ 計量値付け装置
KR100238022B1 (ko) * 1997-09-25 2000-01-15 윤종용 제품 포장박스의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27380B2 (en) * 2007-03-16 2010-06-10 Lg Electronics Inc.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966623B1 (ko) * 2009-07-20 2010-06-29 서창엽 쟁기
KR101646677B1 (ko) * 2016-03-18 2016-08-12 로젠(주) 택배 박스의 무게정보 인쇄장치
KR101646676B1 (ko) * 2016-03-18 2016-08-12 로젠(주) 택배 박스의 송장정보 인쇄장치
CN108689104A (zh) * 2018-05-24 2018-10-23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一种电气控制自动化生产定频操作设备
CN108689104B (zh) * 2018-05-24 2023-11-10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一种电气控制自动化生产定频操作设备
CN109552850A (zh) * 2018-11-30 2019-04-02 湖南福德电气有限公司 瓷壳自动排列系统
CN109552850B (zh) * 2018-11-30 2024-05-24 湖南福德电气有限公司 瓷壳自动排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227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227B1 (ko)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TWI436841B (zh) Tube cutting device
KR200228040Y1 (ko) 검사필 상표 자동 인쇄기
KR20110014746A (ko) 커팅 장치
KR20200002239A (ko) 미성형 포장박스 묶음 해체시스템
JPH0827225B2 (ja) 引張折曲試験機
US3443513A (en) Wooden framing fabrication system
CN209927730U (zh) 毛发剪断检测装置
KR102071285B1 (ko) 본넬용 자동 클립핑 장치
KR102048242B1 (ko) 미성형 포장박스 묶음 해체로봇 장치
CN208231210U (zh) 一种羊角架自动装配装置
US5006193A (en) Automatic clamp tightener
JPH085037Y2 (ja) 長尺成形物の自動切断機
CN220975549U (zh) 定子移载机构
JPH1190741A (ja) 自動釘抜き装置
CN218836493U (zh) 一种全自动卷料快速切片激光切割设备
CN220419029U (zh) 一种拉力测试装置
US7036705B1 (en) Automated multiple point fastener driving system
KR100407070B1 (ko) 선전물 자동 인쇄장치
CA2386394A1 (en) Saw apparatus and feed apparatus therefor
JPH081476Y2 (ja) 材料試験片連続体用の材料試験装置
JPH05318224A (ja) 切断装置
JP4199481B2 (ja) 半導体ウエハ加工装置
JPH0325926Y2 (ko)
SU149170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групповой раскр жевк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