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299A - 철구 - Google Patents

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299A
KR20020003299A KR1020010039399A KR20010039399A KR20020003299A KR 20020003299 A KR20020003299 A KR 20020003299A KR 1020010039399 A KR1020010039399 A KR 1020010039399A KR 20010039399 A KR20010039399 A KR 20010039399A KR 20020003299 A KR20020003299 A KR 2002000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erating
pressing
base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209B1 (ko
Inventor
히가시노다카요시
고이케세이이치
이즈미겐이치
Original Assignee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439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32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다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2002000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3Resiliently biased including means to open or clo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3Resiliently biased including means to open or close fastener
    • Y10T24/204Pivotally mounted on pin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5One piece
    • Y10T24/206Mounted on suppor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76Spring or resiliently biased about pivot
    • Y10T24/44385Distinct spring
    • Y10T24/44427Distinct spring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 Y10T24/44436Distinct spring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including pivoted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53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Abstract

베이스(11)에 지지된 조작부재(12)와, 이 조작부재(12)의 이동에 의해 베이스(11)의 면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13)와, 이 누름부재(13)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조작부재(12)를 로킹하는 로킹수단(15)을 구비하여 철구(10)가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재(12)는 제 1의 조작영역(50)과 제 2의 조작영역(51)을 구비하고 있고, 제 1의 조작영역을 베이스(11)의 면으로 향해서 가압했을 때에 조작부재(12)를 로킹하여 누름부재(13)를 철하기위치에 유지하고, 제 2의 조작영역(51)을 동일하게 가압했을 때에 로킹을 해제하여 누름부재(13)를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킨다.

Description

철구{FILING DEVICE}
본 발명은 철구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부재를 철하기위치로 한때의 조작부재의 로킹상태를, 극히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55에 도시되는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철구(200)는 금속재를 성형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당해 철구(200)는, 표지체 (201)의 내면에 고정된 베이스(202)와, 이 베이스(202)에 복수의 연결축 (203)을 통해서 지지된 누름부재(204)와, 당해 누름부재(204)에 코일스프링(205)을 통해서 연결된 조작부재(20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2)는, 표지체(201)의 내면에 접하는 설치면부(210)와, 이 설치면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한 지지벽부(211)와, 상기 설치면부(210)를 부분적으로 절단 기립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벽부(211)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중간벽부(2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벽부(211)에는, 복수의 둥근구멍(211A)과, 조작부재(206)를 로킹하기 위한 각형상구멍(2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204)는 횡단면형상이 하향 ㄷ자형상을 이루는 외형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의 평면부(204A)와, 이 평면부(204A)의 짧은 폭방향 양측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복수 개소에 구멍(204C)을 구비한 한쌍의 측면부(20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05)은, 상기 지지벽부(211)와 한개의 중간벽부(212) 사이에 건너질러 놓인 핀(213)의 축주위에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205)은, 일단측이 누름부재(204)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멍(204C)을 관통하는 한편, 타단측이 조작부재(206)의 하면위치에서 자유단측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조작부재(206)가 도시한 도복(倒伏) 위치에 있을 때에, 누름부재(204)가 서류(P)에 누르는 힘을 부여하는 한편, 조작부재(206)가 항상 기립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203)은 크랭크형의 형상을 이루고, 그 일단측이 누름부재(204)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구멍(203C)을 관통하여 뻗고, 타단측이 지지벽부(211)와 중간벽부(212) 사이에 건너질러 놓이도록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누름부재(204)가 베이스(202)의 설치면부(210)에 대하여 이격접근할 때에, 당해 설치면부(210)와의 평행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206)는, 그 일단측이, 코일스프링(205)의 코일부를 관통하는 핀(213)에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206)의 도면중 앞쪽으로 되는 자유단측의 측면부분에는, 상기 각형상구멍(211B)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돌기(2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214)가 각형상구멍(211B)에 걸리므로써, 조작부재(206)가 로킹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철구(200)에 있어서는, 조작부재(206)의 로킹을 해제할 때에, 당해 조작부재(206)의 자유단측을 설치면부(210)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지지벽부(211)로부터 이격되는 수평방향(도 55중 우측수평방향)으로도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안되며, 조작방향이 2방향으로 되어 조작의 간편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철하기서류의 매수가 많을 때는, 코일스프링(205)의 스프링력이 강하게 발휘되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방향으로 조작력을 부여하는 것은 가압력이 분산되고 마는 원인으로 되고, 더 나아가서는 로킹해제에 극히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조작은, 조작부재(206)에 비틀림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기부측으로의 부하도 크고,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206)의 변형 등을 초래하여 작동불량을 야기한다고 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단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고, 그 목적은, 1방향으로 향한 힘을 조작부재에 가하는 것만으로 당해 조작부재의 로킹과,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한 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킹수단의 일부를 변위시키는 것만으로 조작부재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는 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베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베이스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확대 좌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9는 조작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조작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조작부재의 저면도,
도 12는 조작부재의 배면도,
도 13은 도 9의 C-C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확대 좌측면도,
도 15는 누름부재를 구성하는 판형상체의 평면도,
도 16은 도 18의 D-D선을 따르는 화살표 단면도,
도 17은 상기 판형상체의 정면도,
도 18은 상기 판형상체의 저면도,
도 19는 도 18의 E-E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F-F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21은 누름부재를 구성하는 누름편의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도 21의 J-J선에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24는 누름부재의 단면도,
도 25는 스프링부재의 평면도,
도 26은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7은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본 도 26의 일부 개략 분해사시도,
도 28은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조작부재의 자유단측 영역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9는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30은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분해사시도,
도 31은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조작부재의 평면도,
도 32는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조작부재의 정면도,
도 33은 도 31의 K-K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34는 도 31의 L-L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35는 도 31의 좌측면도,
도 36은 도 31의 M-M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37은 제 4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분해사시도,
도 39는 도 37의 N-N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40은 제 5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P-P선을 따르는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42는 제 6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조작부재가 로킹상태에 있는 및/또는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3은 제 6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의 조작부재가 로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4는 슬라이딩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5는 슬라이딩부재의 측면도,
도 46은 슬라이딩부재의 평면도,
도 47은 슬라이딩부재의 저면도,
도 48은 도 45의 좌측면도,
도 49(A)는 조작부재의 평면도, 도 49(B)는 그 정면도,
도 50(A)는 조작부재의 배면도, 도 50(B)는 도 50(A)의 Q-Q선 화살표 확대 단면도,
도 51은 조작부재를 로킹시키는 초기조작방법을 설명하기위한 개략 단면도,
도 52는 슬라이딩부재가 기립부재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3은 조작부재가 로킹되기 직전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54는 조작부재가 로킹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및
도 55는 종래의 철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조작력의 방향을 조작도중에 변화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의 간편성을 얻을 수 있는 철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나사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부여되는 조작력의 방향을 조작도중에 변화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 또는, 조작부재의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당해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궤적을 변경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는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조작영역을 소정방향으로 조작한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여 누름부재를 철하기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상기 제 2의 조작영역을 상기 소정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로킹을 해제하여 누름부재를 베이스로부터 이격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의 조작영역을 제 1의 조작영역에 가하는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한 간편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조작부재에 대하여 가압력의 부여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의 부여를 동시에 작용시킬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조작부재에 대한 조작력을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재에 비틀림등의 변형이 초래되는 것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은, 상기 조작부재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의 구성을 극히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부재는, 제 1의 조작영역을 구비한 본체에 제 2의 조작영역을 형성하는 별도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으로도 된다. 이때에, 별도 부품은, 상기 본체내에 수용되는 받침목형상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받침목형상부재는, 탈락불능하게 유지된 형태로 상기 로킹해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완전히 독립한 것으로 되고,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이어져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으로 뻗는 연장축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서 상기 연장축부를 걸기가능한 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조작영역을 가압한 때에 상기 연장축부를 훅부에 걸어 상기 로킹을 행하는 한편, 제 2의 조작영역을 가압했을 때에, 상기 연장축부의 축선위치를 변위시켜서 상기 로킹을 해제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2의 조작영역에는, 상기 연장축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재가 설치되고, 제 2의 조작영역을 가압했을 때의 접촉부재의 변위로 상기 연장축부가 로킹해제방향으로변위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스프링부재를 이용한 로킹구조가 채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2의 조작영역의 조작으로 연장축부가 축선위치를 변위함으로써 조작부재의 변형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연장축부가 변위하는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장축부의 안정된 변위가 유지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제 1의 로킹형성부와, 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되어 제 1의 로킹형성부에 걸기가능한 제 2의 로킹형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 또는 제 2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걸기위치로부터 변위시키므로써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도 채용할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 2의 로킹형성부재를, 예를 들면, 손가락끝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각 로킹형성부재의 걸기를 해제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힘에 의해 누름부재에 의한 철하기 힘이 해제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당해 구멍의 형성가장자리에 걸기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를 철하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당해 조작부재의 철하기위치를 로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외연부(外緣部:외부 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외연부에 걸기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작부재에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한 구조로 로킹수단을 구성할 수 있고, 당해 조작부재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부재의 선단은, 조작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있을 때의 당해 조작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기립부재를 변위시키기위한 힘을 기립부재에 대하여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기립부재의 높이 또는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당해 기립부재를 무리없이 변위시킬 수 있게 되고, 과대한 힘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로킹해제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재를 철하기위치로 할 때의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조작부재의 내뻗기방향을 따라서 당해 조작부재의 영역내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 2의 로킹형성부와의 걸기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 로킹형성부의 걸기해제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내뻗기방향을 따라서 조작함으로써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로킹형성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작력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6에는,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가 도시되어 있다. 전체구성 및 그 분해사시도가 도시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철구(10)는, 베이스(11)와, 이 베이스(11)에 지지된 레버형상의 조작부재(12)와, 당해 조작부재(12)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11)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한 누름부재(13)와, 이 누름부재(13)와 조작부재(1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14)와, 상기 누름부재(13)가 도 1에 도시되는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조작부재(12)를 로킹하는 로킹수단(15)과, 상기 누름부재(13)를 베이스(11)상에 지지하는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1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금속재를 성형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11)는, 도 3 내지 도 8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표지체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뻗는 설치면부(20)와, 이 설치면부(20)의 짧은 치수방향 일단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기립하는 지지벽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설치면부(20)의 면내에는, 그 길이방향 양측에 고정용 구멍(22)이 형성되고, 이들의 고정용 구멍(22)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리벳을 사용하여 소정의 표지체에베이스(1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고정용 구멍(22,22)사이의 4개소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초승달모양의 절단 기립부(23)가 형성되고, 이들의 절단 기립부(23)에 의해, 철해지는 서류에 탈락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설치면부(20)의 짧은 치수 폭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길이방향 양측에는, 당해 설치면부(20)를 부분적으로 절단 기립해서 형성된 서류 끝가장자리 맞닿기편(24, 25)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맞닿기편(24, 25)사이에는, 동일한 절단 기립에 의해 형성된 제 1의 중간벽부(26)와 축받이 벽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설치면부(20)의 길이방향 일단측(도 4중 우단측)에 있어서, 제 1의 중간벽부(26)와 대략 동일평면으로 되는 위치에 제 2의 중간벽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의 중간벽부(26, 28)와 축받이벽부(27)의 각 면내에는, 구멍(30, 31, 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면부(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부(21)의 형성위치와 반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뻗은 리브형상의 융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벽부(21)는, 설치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는 제 1의 지지벽부(34)와, 상기 제 2의 중간벽부(28)와 상대하는 위치에서 당해 제 2의 중간벽부(28)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한 제 2의 지지벽부(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지지벽부(34)는, 기립면부(34A)와, 이 기립면부(34A)의 상단에 이어져 외측수평방향으로 향한 굴곡면부(34B)로 된다. 기립면부(34A)의 면내에는, 상기 제 1의 중간벽부(26)와 축받이벽부(27)에 형성된 구멍(30, 32)에 대응하는 구멍(37, 38)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킹수단(15)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향 열쇠형상의훅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의 지지벽부(35)에는, 상기 제 2의 중간벽부(28)에 형성된 구멍(31)에 대응하는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재(12)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12)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을 이루는 본체(42)와, 이 본체(42)의 일단측에 있어서 짧은 폭방향 2개소에 설치된 한쌍의 축받이날개(43, 43)와, 상기 본체(42)의 이면측에 당해 본체(42)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리브형상의 보강부(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축받이벽부(27)와 제 1의 지지벽부(34)의 각 구멍(32, 38)과 상기 축받이날개(43, 43)의 각 축받이구멍(43A)을 일치시켜서 축(46)을 삽입함으로써, 일단측이 베이스(11)에 지지되어서 타단측을 자유단으로 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본체(42)의 자유단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L자형상의 슬릿(48)이 형성되어있고, 이 슬릿(48)으로 둘러싸이는 내측이 조작부재(12)를 로킹시키기 위한 제 1의 조작영역(50)으로 되는 한편, 외측 즉 자유단측이 조작부재(12)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제 2의 조작영역(51)으로 되어 있다. 제 1의 조작영역(50)의 하면측에는 수하벽(垂下壁:늘어뜨린 벽)(5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수하벽(53)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면의 방향이 본체(42)의 짧은 치수폭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고, 외측 끝 가장자리(동도면중 좌측 끝 가장자리)에서,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절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55)는, 그 절결깊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차츰 낮은 위치로 되는 경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조작영역(51)의 하면측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이등변삼각형으로 되는 면형상을 구비한 접촉부재(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재(57)의 면도 본체(42)의 짧은 치수폭방향을 따르도록 향해져 있음과 동시에, 경사 가장자리(57A)가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 가장자리(57A)는, 상기 절결부(55)의 경사방향과 크로스하는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재(12)의 기부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42)의 하면측에는, 도 2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이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받이부재(59)는 L자형상을 이루고, 그 긴 편을 형성하는 연직면(59A)의 방향이 본체(42)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한편, 짧은 편을 형성하는 하단 수평면(59B)이 본체(42)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13)는, 도 15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체(60)와, 이 판형상체(60)의 하면측에 장착된 2매의 누름편(61, 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판형상체(60)의 하면측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편(61, 61)이 끼워넣기 가능한 2열의 홈(62, 6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홈(62, 62)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방향, 즉 판형상체(60)의 짧은 치수폭방향에는,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 17)의 각 일단측을 각각 수용하는 축받이 홈(64, 64)이, 판형상체(60)의 길이방향 2개소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받이 홈(64, 64)의 중간위치에는, 당해 축받이홈(64)의 홈폭보다도 큰 홈폭을 갖는 중간 축받이홈(65)이 설치되고, 이 중간 축받이홈(65)에, 스프링부재(14)의 일단측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받이홈(64, 64) 및중간 축받이홈(65)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체(60)의 짧은 치수폭방향을 따라 일측면 즉 조작부재(12)측이 개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2열의 홈(62, 62)의 내면측에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체(60)의 두께방향을 따라 뻗는 복수의 융기부(62A)가 형성되고, 이들의 융기부(62A)에 의해, 각 홈(62)내에 끼워넣어지는 누름편(61,61)의 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강한 끼움 압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누름편(61, 61)은 금속제의 가늘고 긴 판조각에 의해 각각 동일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편(61)은,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체(60)의 상기 홈(62)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그 하단이 판형상체(60)의 하면보다 약간 돌출하는 정도의 짧은 치수방향폭 즉 상하방향폭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누름편(61)의 면내에는, 당해 누름편(6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절단 기립편(61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절단 기립편(61A)은, 그 돌출방향이 누름편(6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서로 다른 관계를 이루고, 이것에 의해, 누름편(61)이 홈(62)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각 절단 기립 편(61A)이 누름편(61)의 면내에 수용되도록 되고, 초기의 절단 기립각도로 돌아가려는 힘은 홈(62)의 내벽면에 양호한 밸런스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 누름편(61)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축받이홈(64, 64)과 상호 작용하여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17)의 일단측을 삽입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축받이오목부(68, 68)와, 이들 축받이오목부(68)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축받이홈(65)과 상호 작용하여 스프링부재(14)의 일단측을 삽입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중간 축받이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14)는, 도 2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형상부(70)와, 이 코일형상부(70)의 일단으로부터 뻗는 직선축부(71)와, 이 직선축부(71)의 선단에 이어짐과 동시에, 당해 직선축부(71)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한 굴곡축부(72)와, 상기 코일형상부(70)의 타단측으로부터 뻗어서 로킹수단(15)을 구성하는 연장축부(7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일형상부(70)는, 그 내부에 전술한 축(46)(도 2참조)이 관통되도록 되어 있고, 굴곡축부(72)는, 누름부재(13)의 중간 축받이홈(65)과 중간 축받이오목부(69)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연장축부(74)는, 상기 조작부재(12)의 하면측에 위치하여 당해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달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연장축부(74)는, 조작부재(12)의 상기 수직벽(53)에 형성된 절결부(55)내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부재(57)의 경사 가장자리(57A)에 대략 접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중간에 약간의 경사부(7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1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형을 구비한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17)을 통해서 베이스(11) 및 조작부재(12)에 연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연결축(16)은, 그 일단측이 제 1의 중간벽부(26)에 형성된 구멍(30)과 제 1의 지지벽(34)에 형성된 구멍(37)에 삽입되는 한편, 타단측이 누름부재(13)의 하면측에 형성된 한쪽의 축받이홈(64)과 누름편(61)의 축받이오목부(68)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의 연결축(17)은, 그 일단측이 베이스(11)에 있어서 제 2의 중간벽부(28)에 형성된 구멍(31)과, 제 2의 지지벽부(35)에 형성된 구멍(40)에 삽입되는 한편, 타단측이, 누름부재(13)의 하면측에 형성된 다른쪽의 축받이 홈(64)과 누름편(61)의 축받이오목부(68)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누름부재(13)내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 17)의 선단부와, 상기 스프링부재(14)의 선단부는, 이들이 누름부재(13)에 조립되었을 때에, 당해 누름부재(13)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도시생략한 코킹에 의한 탈락방지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관한 철구(10)의 조립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누름부재(13)의 조립시에는, 당해 누름부재(13)의 판형상체(60)를 뒤집어서,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 17)의 일단측을 축받이 홈(64)내에 내려넣음과 동시에, 스프링부재(14)의 상기 굴곡축부(72)도 중간 축받이홈(65)내에 내려넣는다. 그리고, 그 위에서, 누름편(61, 61)을 판형상체(60)의 홈(62)에 끼우면 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 17)의 끝부, 및 굴곡축부(72)의 끝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킹에 의한 탈락방지부가 미리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당해 연결축(16,17) 및 굴곡축부(72)가 누름부재(13)에서 빠지지않고, 또, 누름편(61,61)도 홈(62)에 강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들도 탈락할 우려는 없다.
계속해서, 제 1 연결축(16)의 타단측을 제 1의 중간벽부(26)와 제 1의 지지벽부(34)의 각 구멍(30,37)에 삽입하는 한편, 제 2의 연결축(17)의 타단측을 제 2의 중간벽부(28)와 제 2의 지지벽부(35)의 각 구멍(31,40)에 삽입한다. 이것과 병행하여, 스프링부재(14)의 연장축부(74)를 당해 조작부재(14)의 하면측을 따르게함과 동시에, 코일형상부(70)를 조작부재(12)의 축받이 날개(43, 43)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축받이날개(43, 43)의 각 축받이구멍(43A)과, 상기 축받이벽부(27) 및 제 1의 지지벽부(34)에 형성된 구멍(32, 34)을 일치시켜서 축(46)을 삽입한다.
이 후, 상기 제 1의 지지벽부(34) 및 제 2의 지지벽부(35)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의 연결축(16, 17)의 각 선단과, 상기 축(46)의 선단을 코킹하여 탈락방지함으로써 철구(10)를 완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철구(10)는, 제 1의 조작영역(50)을 상방으로부터 설치면부(20)측으로 가압하여 조작부재(12)를 대략 수평자세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연장축부(74)가 훅부(39)의 상부형상을 따라서 초기의 축선위치(도 14의 점선위치)로부터 우측 즉 누름부재(13)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훅부(39)의 상부를 타고 넘었을 때에, 초기의 축선위치로 복귀하여 훅부(39)에 걸어서 로킹되는 것으로 되고, 동시에, 누름부재(13)가 베이스(11)의 설치면부(20)에 대하여 철하기위치에 세팅된다.
누름부재(13)에 의한 철하기를 해제할 경우, 즉, 조작부재(12)의 로킹을 해제할 경우에는, 제 2의 조작영역(51)을 제 1의 조작영역(50)과 동일하게, 설치면부(20)측으로 가압조작하면 된다. 이 가압조작에 의해, 제 2의 조작영역(51)은, 전술한 슬릿(48)의 형성에 의해, 독립해서 면위치를 낮게 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 변위에 의해 하면에 설치된 접촉부재(57)의 경사 가장자리(57A)위치도 하방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이것에 접하는 연장축부(74)는, 그 축선위치를 도 14중 우측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이 변위에 의해, 훅부(39)로부터 탈락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장축부(74)가 훅부(39)에서 탈락하여 로킹이 해제되면, 조작부재(12)는, 스프링부재(14)의 힘에 의해 떠올라서 가압부재(13)를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동시에, 연장축부(74)는, 초기의 축선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1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연장축부(74)와 훅부(39)에 의해 로킹 및 그 해제시에, 간단히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을 설치면부(20)를 향해서 가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동등의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제 2 실시예]
도 26 내지 도 28에는,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철구(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철구(10)는, 슬릿(48)의 형성위치를 변경하여, 제 1의 조작영역(50)과 제 2의 조작영역(52)의 위치를 역전시킨 것에 특징을 가진다. 그 때문에, 전술한 수직벽(53)을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설치하는 한편, 접촉부재(57)를 이것의 내측에 설치하는 설계변경이 행해진다. 그 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 1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실시예에 의해도,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29 내지 도 36에는 제 3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제 1 및 제 2의 조자영역(50,51)의 배치를, 제 2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 2의 조작영역(51)을 별체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더 상술하면, 제 2의 조작영역(51)은, 별도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목형상부재(8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받침목형상부재(80)는, 평면부(81)와, 이 평면부(81)의 하면으로 수하하는 접촉부재(57)와, 이 접촉부재(57)를 중간위치로 하여 평면부(81)의 외주 2개소로부터 하방으로 수하하는 한쌍의 클릭형상부재(8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재(12)를 구성하는 본체(42)의 자유단측 근방에는, 상기 받침목형상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부(84)의 영역내에는, 상기 접촉부재(5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받이들이는 긴구멍(85)이 형성되어있음과 동시에, 이 긴구멍(85)의 양측(도 31중 좌우양측)에는, 상기 클릭형상부재(82)의 상방으로의 탈락을 불가능하게 유지하는 장착용 구멍(86,8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목형상부재(80)는, 상기 함몰부(84)내에서 탈락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받침목형상부재(80)가 하강했을 때에, 접촉부재(57)의 아래 가장자리(57A)가 연장축부(74)(도 36참조)를 눌러 내림으로써 당해 연장축부(74)와, 베이스측의 도시생략한 훅부와의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되어 있다.또한, 받침목형상부재(80)는, 가압력을 상면측으로부터 부여하지 않은 상태로, 최고 상승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평면부(81)의 하면과 함몰부(84)의 상면 사이에 일정한 눌러내림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3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2의 조작영역(51)이 본체(42)와 별도 부품으로 된 받침목형상부재(80)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의 조작영역(51)의 가압조작력이 받침목형상부재(80)의 하강력으로서 무리없이 작용하도록 되고, 더 나아가서, 연장축부(74)를 한층 더 확실히 로킹위치에서 탈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37 내지 도 39에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로킹수단(15)의 구성을 달리하고, 당해 로킹수단(15)을 소정의 조작을 하므로써 조작부재(12)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즉, 로킹수단(15)은,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 1의 로킹형성부로서의 구멍(88)과, 이 구멍(88)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제 2의 로킹형성부로서의 기립부재(8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멍(88)의 형성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자유단측 내면(88A)과 조작부재(12)의 자유단 사이에는 당해 구멍(88)으로 통하는 통로(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립부재(89)는, 도 39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에 형성된 구멍부착 융기부(91)내에 수용되는 기부(89A)와, 이 기부(89A)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부(11)상에 돌출하는 각주형상의 돌출편(89B)과, 이 돌출편(89B)의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90)에 걸기가능하게 되는 클릭(89C)으로 이루어진다. 돌출편(89B)은, 그 상단이, 조작부재(12)를 로킹위치로 했을 때에, 당해 조작부재(12)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는 길이 또는 높이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89B)은, 도 39중 좌우방향의 두께가, 구멍(88)의 같은 방향 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있고, 이것에 의해, 돌출편(89B)의 상단 만곡면에 손가락 끝을 꼭 대서 화살표(F)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을 부여했을 때에, 돌출편(89B)의 상부가 우측으로 변위하여 클릭(89C)과 통로(90)의 걸기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돌출편(89B)의 상부 만곡면에는, 홈형상의 미끄럼방지부(89D)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을 부여했을 때에, 손가락끝의 미끄럼이 생기는 일없이 확실히 외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4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립부재(89)에 대하여, 한방향인 F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것으로 되고, 제조코스트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립부재(89)가 조작부재(12)의 면내를 관통하도록 뻗는 구성이기 때문에, 손가락 끝으로 로킹를 해제했을 때에, 당해 손가락 끝이 조작부재(12)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조작부재(12)가 스프링부재(14)의 힘에 의해 세차게 기립되고 마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40 및 도 41에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수단(15)의 변형적 형태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재(12)에 구멍을 설치하는 일없이 당해 조작부재(12)를 로킹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조작부재(12)의 외연부로 되는 자유단측 상면(42A)이 제 1의 로킹형성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는 베이스측에 설치된 기립부재(8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립부재(89)는, 그 상부내측면에 상기 자유단측 상면(42A)에 걸기 가능하게 되는 클릭(89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립부재(89)는, 돌출편(89B)이 대략 연직방향으로 되는 상태에서 클릭(89C)이 자유단측 상면(42A)에 걸리고, 클릭(89C)을 도 41중 좌측으로 변위시키므로써 조작부재(12)의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된다. 또, 클릭(89C)과 자유단측 상면(42A)의 맞춤면에는 깔쭉깔쭉한 톱니 등으로 이루어지는 맞물림부(93)가 설치되어 있고, 클릭(89C)에 의해 상기 걸기가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4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효과외에, 조작부재(12)의 형상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로킹해제는, 기립부재(89)의 선단측에 손가락끝을 걸어 당기기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기 때문에, 조작력을 무리없이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클릭(89C)과 자유단측 상면(42A) 사이에 맞물림부(9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는 로킹해제도 회피가능하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42 내지 도 54에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제 4 및 제 5의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수단(15)을 더 개량한 형태에 관한 것이다. 즉, 제 6의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수단(15)은,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제 1의 로킹형성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부재(100)가 설치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를 구성하는 기립부재(101)가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100)는,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설치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작사각형상의 부착구멍(103)에 탈락불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기립부재(101)는, 베이스(11)의 면을 부분적으로 절단 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2)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슬라이딩판부(105)와, 이 슬라이딩판부(105)의 하면측으로부터 수하하는 받침목형상부(106) 및 이것에 병설된 암형상의 편 스프링(10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판부(105)는 부착구멍(103) 보다도 큰 평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그 일단측에 융기부(105A)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슬라이딩판부(105)에 손가락 끝을 대서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으로 당기기조작했을 때에 손가락 끝과 슬라이딩판부(105)의 상대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당기기 조작력을 슬라이딩판부(105)에 확실히 미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받침목형상부(106)는, 슬라이딩판부(105)의 하면측에 있어서, 당해 슬라이딩판부(105)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길이의 약 1/2정도의 길이와, 슬라이딩판부(105)의 짧은 치수방향 폭보다도 작은 두께로 되는 판형상을 이루고, 그 판의 면이 슬라이딩판부(105)의 짧은 치수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목형상부(106)에 있어서,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으로 되는 일단은 슬라이딩판부 (105)의 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외측 수하가장자리(106A)로 되고, 그 반대측으로 되는 타단은, 하단 가장자리(106B)와의 사이에 경사 가장자리(106C)를 갖는 내측 수하 가장자리(106D)로 되어 있다. 내측 수하 가장자리(106D)에는 당해 내측 수하 가장자리(106D)로부터 외측 수하 가장자리(106A)를 향하는 절결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목형상부(106)는, 도 48 및 도 5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부(105)측으로 얕은 홈(110)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단측의 판두께가 약간 작게 설정되어, 이것에 의해, 상기 부착구멍(103)내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당해 부착구멍(103)에 슬라이딩부재(100)를 장착한 후에, 조작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딩이동을 허용하면서 부착구멍(103)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형상의 편 스프링(107)은, 기단이 받침목형상부(106)의 근방에 위치하는 한편, 선단부(107A)가 받침목형상부(106)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편 스프링(107)의 선단부(107A)는 슬라이딩판부(105)와 대략 수평으로 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선단가장자리는 상기 부착구멍(103)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 기립편(112)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로킹형성부를 구성하는 기립부재(101)는, 받침목형상부(106)의 절결부(109)에 걸기 가능하게 되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클릭부(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기립부재(101)는, 베이스(11)의 면을 부분적으로 절단 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외에, 이 절단 기립을 행하는 일없이 별도로 설치된 기립부재를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서 고정해도 된다.
또한, 제 6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재(12)는 금속판을 판금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12)는, 판형상의 본체(42)의 축받이 날개(43)에서 부착구멍(103) 근방 위치까지의 영역에 걸쳐서, 본체(42)의 짧은 치수폭방향 일단으로부터 수하하는 측벽(11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벽(115)의 대략 중간부에는, 절결 오목부(116)가 설치되어 연결축(16)과의 위치적인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끝부에 위치하는 지지벽부(21)는, 베이스(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뻗는 한편의 기립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립부재(101)에 인접하는 부분은, 높이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부재(12)를 로킹하는 경우에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에 손가락 끝을 대서 눌러 내리는 힘(F)을 부여하면 된다. 조작부재(12)가 차차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변위하면, 상기 클릭부(104)가 받침목형상부(106)의 경사 가장자리(106C)에 접촉한다. 그리고, 눌러서 내리는 힘을 계속 더 부여하면, 받침목형상부(106)가 클릭부(104)에 의해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으로 누르는 상태로 된다. 그러면, 편 스프링(107)이 만곡하면서 변형하고, 슬라이딩판부(105)가 조작부재(12) 위를 자유단측으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클릭부(104)가 경사 가장자리(106C)를 통과하여 절결부(109)위치에 도달하면, 만곡변형하고 있던 편 스프링(107)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복귀력을 생기게 되고, 이 때, 「찰칵」이라는 음을 가지고 클릭부(104)가 절결부(109)에 걸리게 되어,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12)가 로킹위치에 유지되는 상태로 된다.
한편, 로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판부(105)의 상면에 손가락 끝을 대고, 이것을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으로 당기기 조작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판부(105)가 조작부재(12) 위를 자유단부측으로 슬라이딩했을 때에, 클릭부(104)가 절결부(109)로부터 탈출하는 것으로 된다. 이 탈출이 행해지면, 조작부재(12)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16)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작부재(12)의 자유단측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로킹해제가 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제 6의 실시예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예는, 조작부재(12)에 대하여 한방향으로의 조작력부여로 로킹 및 그 해제가 될 수 있는 것이면, 각부 구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 4 내지 제 6의 실시예는, 기립부재(89)와 조작부재(12)의 상호 걸기가 가능한 구성이면, 형상, 상대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에 부여되는 힘의 방향, 또는,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궤적을 변경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를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극히 간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철구를 제공할 수 있다.특히, 조작부재에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을 설치함과 동시에, 제 2의 조작영역을 제 1의 조작영역에 대한 조작방향과 동일하게 로킹을 해제가능하게 한 구성에 의하면, 제 2의 조작영역을 단지 조작하는 것만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한 간편성을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종래와 같이 조작부재에 대하여 가압력의 부여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의 부여를 동시에 작용시킬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조작부재에 대한 조작력을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재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초래되는 것도 해소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에 슬릿을 설치하여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을 구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조작부재의 구성을 극히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의 조작영역을 구비한 본체에 제 2의 조작영역을 형성하는 별도부품, 예를 들면, 상기 본체에 탈락불능으로 유지된 상태로 로킹해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받침목형상부재를 조립하여 조작부재를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에 더해지는 조작력이 완전히 독립한 것으로 되고,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제 2의 조작영역에서는, 상기 로킹수단을 구성하는 연장축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설치하고, 이 접촉부재의 위치변위로 연장축부가 로킹해제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제 2의 조작영역의 조작으로 연장축부가 축선위치를 확실히 변위하게 되고, 로킹의 확실한 해제를 실현할 수 있는 외에, 조작부재에 대한 비틀림 등의 변형요인을 연장축부가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철구의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연장축부가 변위하는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이드부를 조작부재에 설치하였으므로, 연장축부의 안정된 변위가 유지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에 설치된 제 1의 로킹형성부와, 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된 제 1의 로킹형성부에 걸기가능한 제 2의 로킹형성부에 의해 로킹수단을 구성하고, 제 1의 로킹형성부 또는 제 2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걸기위치로부터 변위시키므로써 조작부재의 로킹을 해제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이들의 로킹형성부재의 어딘가에, 손가락 끝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각 로킹형성부재의 걸기를 해제할 수 있어, 로킹동작과 로킹해제조작이 간이하게 된다.
더욱이,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조작부재에 설치한 구멍에 의해 구성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를 구멍에 삽입하여 당해 구멍의 형성 가장자리에 걸기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조작부재를 철하기위치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당해 조작부재의 철하기위치를 로킹할 수 있다.
또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조작부재의 외연부에 의해 구성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를 외연부에 걸기 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조작부재에 구멍을 설치하는 일 없이 로킹수단을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조작부재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기립부재의 선단이 철하기위치에 있는 조작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립부재를 변위시키기위한 힘을 기립부재에 대하여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기립부재의 높이 또는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당해 기립부재를 무리없이 변위시킬 수 있게 되고, 과대한 힘을 요하는 일없이 로킹해제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제 2의 로킹형성부와의 걸기 해제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조작부재가 뻗어나가는 방향을 따라서 조작함으로써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제 1의 로킹형성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작력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6)

  1.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조작력의 방향을 조작도중에 변화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2.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스프링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부여되는 조작력의 방향을 조작도중에 변화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3.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로킹 및 로킹해제시에, 당해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궤적을 변경하는 일없이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4.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조작영역을 소정방향으로 조작한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여 누름부재를 철하기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상기 제 2의 조작영역을 상기 소정방향으로 조작한 때에 상기 로킹를 해제하여 누름부재를 베이스로부터 이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은, 상기 조작부재에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제 1의 조작영역을 구비한 본체에 제 2의 조작영역을 형성하는 별도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 부품은, 상기 본체내에 수용되는 받침목형상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받침목형상부재는, 탈락불능하게 유지된 상태로 상기 로킹해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이어져 상기 제 1 및 제 2의 조작영역으로 뻗는 연장축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축부를 걸기가능한 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조작영역을 가압했을 때에 상기 연장축부를 훅부에 걸어 상기 로킹을 행하는 한편, 제 2의 조작영역을 가압했을 때에, 상기 연장축부의 축선위치를 변위시켜서 상기 로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조작영역에는, 상기 연장축부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재가 설치되고, 제 2의 조작영역을 가압했을 때의 접촉부재의 변위로 상기 연장축부가 로킹해제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연장축부가 변위하는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1. 베이스에 일단측이 지지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당해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격접근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이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누름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철구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제 1의 로킹형성부와, 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되어 제 1의 로킹형성부에 걸기가능한 제 2의 로킹형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 또는 제 2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걸기위치로부터 변위시키므로써 상기 조작부재의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당해 구멍의 형성가장자리에 걸기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외연부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제 2의 로킹형성부는 상기 외연부에 걸기가능한 기립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재의 선단은, 조작부재가 철하기위치에 있을 때의 당해 조작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는, 조작부재의 내뻗기방향을 따라서 당해 조작부재의 영역내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 2의 로킹형성부와의 걸기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로킹형성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내뻗기방향을 따라서 조작함으로써 로킹이 해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
KR10-2001-0039399A 2000-07-04 2001-07-03 철구 KR10041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6838 2000-07-04
JPJP-P-2000-00206838 2000-07-04
JP2000385682 2000-12-19
JPJP-P-2000-00385682 2000-12-19
JP2001076370A JP4288861B2 (ja) 2000-07-04 2001-03-16 綴じ具
JPJP-P-2001-00076370 2001-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299A true KR20020003299A (ko) 2002-01-12
KR100419209B1 KR100419209B1 (ko) 2004-02-19

Family

ID=2734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399A KR100419209B1 (ko) 2000-07-04 2001-07-03 철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39783B2 (ko)
EP (1) EP1172232B1 (ko)
JP (1) JP4288861B2 (ko)
KR (1) KR100419209B1 (ko)
CN (1) CN1176814C (ko)
AT (1) ATE349343T1 (ko)
DE (1) DE60125465T2 (ko)
TW (1) TW546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8861B2 (ja) * 2000-07-04 2009-07-01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JP4248291B2 (ja) * 2003-04-08 2009-04-0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及びファイル
WO2007068165A1 (en) * 2005-12-12 2007-06-21 Leco Stationery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A lever file
US20080292387A1 (en) * 2007-04-26 2008-11-27 Ang Manuel Paper fastener prong cover
JP2010537853A (ja) * 2007-09-06 2010-12-09 セヴァスティアノヴァ アルヴェティナ ミカイロウナ 溝またはスリット内に入るクリップエッジを持つクリップレポートカバー
US8425139B2 (en) * 2009-11-02 2013-04-23 Stephen Kwok Ki Chan Sheet holder and edge pattern mak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5119369B1 (ja) * 2012-04-27 2013-01-16 株式会社リヒトラブ 綴じ具
CN105593028B (zh) * 2013-09-19 2017-07-28 株式会社喜利 装订工具
CN110435328B (zh) * 2019-07-02 2024-04-23 得力集团有限公司 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773A (en) * 1959-03-31 Cumulative paper
US938621A (en) * 1908-01-04 1909-11-02 Henry Vail Wagoner Binder.
GB190927532A (en) 1909-11-26 1910-03-17 Petty And Sons Ltd Improvements in Check Sales or the like Books.
CH221945A (de) * 1941-10-18 1942-06-30 J M Neher Soehne Aktiengesells Klemmvorrichtung für Briefordner.
US3492701A (en) * 1967-07-24 1970-02-03 S E & M Vernon Inc Paper clamp
US3706502A (en) * 1970-06-15 1972-12-19 Hector La Fleur Loose leaf binding mechanism
US3827109A (en) * 1973-01-29 1974-08-06 J Langwell Clamp device for releasably securing a stack of sheets together while enabling the sheets to be successively torn away
US3891093A (en) * 1973-03-12 1975-06-24 Gordon D Petrie Clamping device
US4453743A (en) * 1981-10-30 1984-06-12 Hallmark Cards, Incorporated Diary with combination-controlled lock
USD293886S (en) * 1985-04-08 1988-01-26 Chang Ming S Locking clip
US4903379A (en) * 1988-06-16 1990-02-27 Uchtman Charles C Pin and clip arrangement for name tags and badges
NL9200023A (nl) * 1992-01-08 1993-08-02 Remigius Vincent Hendrikx Klem.
NL9300002A (nl) * 1993-01-04 1994-08-01 Titus Anno Stoelinga Klem voor vel- of plaatvormige produkten.
IT230650Y1 (it) * 1993-10-19 1999-06-09 Lombarda Meccanica Ind Srl Morsetto fermafogli
IL107618A (en) * 1993-11-15 1997-01-10 Dromi Aviva Paper gripping device
US5658014A (en) * 1995-03-10 1997-08-19 Steelcase Inc. Clipboard
USD376813S (en) * 1995-05-31 1996-12-24 King Jim Co., Ltd. Binding device
JP4288861B2 (ja) * 2000-07-04 2009-07-01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49343T1 (de) 2007-01-15
KR100419209B1 (ko) 2004-02-19
DE60125465D1 (de) 2007-02-08
CN1176814C (zh) 2004-11-24
JP4288861B2 (ja) 2009-07-01
TW546206B (en) 2003-08-11
US20020009326A1 (en) 2002-01-24
CN1331015A (zh) 2002-01-16
US6739783B2 (en) 2004-05-25
DE60125465T2 (de) 2007-04-19
EP1172232A1 (en) 2002-01-16
EP1172232B1 (en) 2006-12-27
JP2002248883A (ja) 200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955B2 (ja) 髭剃カートリッジに解放可能に接続されるシェーバのためのハンドル
KR100419209B1 (ko) 철구
US6916134B2 (en) Safety ring binder having sliding actuators
US7441338B2 (en) Clamping device for toolless clamping of a saw blade
TWI376211B (ko)
JPH0596475A (ja) 綴じ部材用の打ち込み装置
KR100890576B1 (ko) 바인딩 기구
CN112334321B (zh) 装订夹
US6899504B2 (en) Fastener
US7607853B2 (en) Slidable binding mechanism
US5377393A (en) Seat belt buckle
EP2780174B1 (en) Fastener for sheet objects
JP3836036B2 (ja) 綴じ具
JP3760367B2 (ja) 綴じ具
JP3055955U (ja) 綴 具
JP2002019359A (ja) 綴じ具
JP3506141B2 (ja) 綴じ具
CN218613861U (zh) 一种订书机通用压杆
JP4218466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H07101192A (ja) 綴 具
JP3738671B2 (ja) 綴じ具
JP3115858B2 (ja) 綴 具
JPS6018956Y2 (ja) プラスチツク製バインダ−綴具
JP2642871B2 (ja) ヘアクリップ
WO2010091552A1 (en) Paper-retai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