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623A -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623A
KR20020001623A KR1020010036843A KR20010036843A KR20020001623A KR 20020001623 A KR20020001623 A KR 20020001623A KR 1020010036843 A KR1020010036843 A KR 1020010036843A KR 20010036843 A KR20010036843 A KR 20010036843A KR 20020001623 A KR20020001623 A KR 20020001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recording
data
area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755B1 (ko
Inventor
아야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11B20/0017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wherein the origin of the content is checked, e.g.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has originally been retrieved from a legal disc copy or another trusted sour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매체의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기록과 재생을 제어하는 기록재생 제어수단과, 원시 액세스명령과 비원시 액세스명령 모두를 수신하는 명령수신수단 및 수신된 명령의 종류에 근거하여 인증될 명령발행시점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재생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기에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와, 인증된 상기 명령발행시점의 경우와 이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명령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MEDIUM AND INFORMATION ASSEMBLY}
본 발명은 AV(audio visual;시청각)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퍼스널 컴퓨터, 디스크장치, 자기디스크와 같은 장치의 보급 및 발달과 더불어 이것들이 대용량과 고속도 때문에 주로 외부기억장치로 사용되어진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현저한 발전과 취급된 데이터의 용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외부기억장치로서 사용된 이들 디스크 장치는 메모리 용량과 처리속도와 같은 동작의 영역에서 급속히 발달되어 왔다. 이것들이 고속도 및 대용량의 디스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디지털 기술에 적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AV기기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도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AV데이터가 있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 자기디스크와 같은 장치는 디스크매체를 이용하여 기록되고 재생되며, AV/C 명령세트는 AV데이터가 기록되고 재생되는 경우 동시에 관습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AV/C 명령세트는 AV/C 디지털 인터페이스 명령세트를 의미한다.
AV/C 명령세트에 따르면,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는 바로 액세스되지 않거나 또는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바로 액세스하는 명령을 공급하지 않는다. 즉, 디스크매체로부터 또는 디스크매체로 AV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은 기록시작명령, 재생시작명령, 기록 및 재생 정지명령등에의해 제어되고, 이들 명령은 AV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지정하여 유출된다. 그러므로, 관리정보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내의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므로써 외부장치로부터 바로 액세스될 수 없다.
이런 식으로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는 AV/C 명령세트와 같은 비원시(non-raw) 액세스명령의 수단에 의해 AV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한다.
반면에, 퍼스널 컴퓨터에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를 접속하는 것은 가능하다. 퍼스널 컴퓨터가 디스크매체를 액세스하는 경우에, 데이터는 LBA(논리 블록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관습적으로 기록 또는 판독된다.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 경우에, 원시(raw) 액세스명령이 LBA를 지정하여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것은 유리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경우, 퍼스널 컴퓨터는 기록매체 또는 디스크매체에 저장된 AV데이터에 관하여 AV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정보를 바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AV데이터 또는 디스크매체에 저장된 AV데이터를 제어하는 관리정보를 바로 액세스 할 수 있다.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가 AV기기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에도 접속될 수 있는 경우에, AV데이터는 기록되고 재생될 뿐만아니라 디스크매체에 저장된 AV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편집되고 처리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비원시 액세스명령 뿐만아니라 원시 액세스명령도 또한 공급함으로써,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는 AV기기에 접속될 뿐만아니라 또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고, 기록, 재생, 편집 및 처리등과 같은 대용량의 기능이 제공될수 있다.
그러나,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와 같은 기록재생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와 AV기기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해도 퍼스널 컴퓨터는 LBA를 지정하여 디스크매체를 바로 액세스 하고 즉, 원시 디스크명령과 그것의 결과를 사용하여 디스크매체를 액세스하고, 디스크매체 또는 관리정보가 실수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일이 발생하는 경우에,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는 AV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할 수 없다.
즉, 원시 액세스명령을 공급하는 기기가 기록재생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경우에 원시 액세스명령을 공급하는 상기 기기가 실수로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나 또는 AV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파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시 액세스명령을 공급하는 기기가 기록재생장치에 접속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기록재생장치의 디스크매체에 저장된 AV데이터와 AV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파괴하지 않는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성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에 접속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정보영역과 AV데이터영역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원시 액세스명령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 2 : 디지털 VCR
3 : 퍼스널 컴퓨터 4 : HDD
5 : 관리정보영역1 6 : 관리정보영역2
7 : AV 데이터영역1 8 : AV 데이터영역2
9 : 입/출력회로 10 :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
11 : 기록재생 제어회로 20 : 버스
22 : 관리정보영역 23 : AV 데이터영역
본 발명의 제 1발명은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매체의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기록과 재생을 제어하는 기록재생 제어수단과,
원시 액세스명령과 비원시 액세스명령 모두를 수신하는 명령수신수단, 및
수신된 명령의 종류에 근거하여 인증될 명령발행시점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재생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기에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와, 인증된 상기 명령발행시점의 경우와 이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명령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요데이터는 AV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요데이터는 AV데이터와 AV데이터에 추가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 4발명은 제 1 내지 제 3발명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명령의 종류는 원시 액세스명령이거나 비원시 액세스명령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인 경우에 실행될 인증을 판단하는 상기 인증수단은 원시 액세스명령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인 경우에 필요로 하지 않는 인증은 비원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은 상기 명령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제 1영역과 상기 비원시 액세스명령에 의해서만 액세스될 수 있는 제 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의 종류는 상기 제 1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거나 상기 제 2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명령의종류에 따라서 실행될 인증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발명은 제 1내지 제 3발명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명령의 종류는 원시 액세스명령의 기록명령, 원시 액세스명령 또는 비원시 액세스명령의 판독명령이다.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원시 액세스명령의 기록명령인 경우에 실행될 경우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원시 액세스명령과 판독명령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비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 필요로하지 않는 인증이라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발명은 제 1내지 제 3발명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은 상기 주요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영역과 상기 기록된 주요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의 종류는 상기 데이터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거나 상기 관리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며,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관리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인 경우에 실행될 인증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데이터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인 경우에 필요로 하지 않는 인증이라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발명은 매체에 관한 것으로 제 1내지 제 7발명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은 컴퓨터로 이행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반하고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발명은 정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제 1발명 내지 제 7발명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은 컴퓨터로 이행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는 버스(20)에 접속된다. AV기기, 예컨대 디지털 VCR(2)과 퍼스널 컴퓨터(3)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가 디지털 VCR(2)또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을 실행하여 AV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기중의 하나가 되도록 버스(20)에 접속된다.
버스(20)는 예를 들어 "IEEE 표준 1394-1995, 고성능 직렬버스표준"에 의해 확정된 버스이다.
디지털 VCR(2)은 AV/C 명령세트를 사용하여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와 함께 AV를 교환하고 테이프매체상에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명령발행 기능을 가지고 있는 AV기기이다. 다음에, AV/C 명령세트의 액세스명령은 비원시 액세스명령을 위해 참조된다.
퍼스널 컴퓨터(3)는 LBA를 지정하여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를 액세스하고 AV데이터의 판독을 편집하고 처리하기 위해 AV데이터를 판독하는 기기이다. 다음에,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서 LBA를 지정하고 자기디스크 매체를 액세스하는명령은 원시 액세스명령을 위해 참조된다.
영상음성 기록재생장치(1)는 HDD(4),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 입/출력회로(9)와 기록재생 제어회로(11)로 구성된다.
HDD(4)는 자기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하드디스크 장치이다.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HDD(4)로부터 자기디스크 매체는 AV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인 AV데이터 기록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데이터 기록영역은 관리정보영역1(5), AV데이터영역1(7), 관리정보영역2(6), 및 AV데이터영역2(8)으로 구성된다.
AV데이터영역1(7)은 AV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AV데이터가 오직 비원시 액세스명령에 의해 기록되고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중의 한 영역이다.
관리정보영역1(5)은 AV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AV데이터영역1(7)에 기록된 AV데이터를 관리하는 저장정보에 대한 영역중의 한 영역이다.
AV데이터영역2(8)은 AV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AV데이터가 비원시 액세스명령 뿐만아니라 원시 액세스명령에 의해 기록되고 재생될 수 있도록하는 영역중의 한 영역이다.
관리정보영역2(6)은 AV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AV데이터영역2(8)에 저장된 AV데이터를 제어하는 저장정보에 대한 영역중의 한 영역이다.
입/출력회로(9)는 버스(20)를 통해 AV데이터 또는 입력이나 출력명령을 하는 회로이다.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수신된 명령의 종류에 근거하여 인증될 명령발행시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결과에 따른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는 수단이다.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입/출력회로(9)로부터 전송된 비원시 액세스명령 또는 원시 액세스명령에 근거하여 HDD(4)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도 3은 관리정보영역1(5) 또는 관리정보영역2(6)의 예뿐만 아니라 AV데이터영역1(7) 또는 AV데이터영역2(8)의 예를 나타낸다.
AV데이터의 식별정보와, AV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자기디스크 매체의 어드레스가 있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페어(pair)는 관리정보영역(22)에 저장된다.
또한, 관리정보영역(22)의 어드레스로 지정된 영역에서 "타이틀"로 지정된AV데이터는 AV데이터 영역(23)에 저장된다.
AV데이터가 자기디스크 매체에 새롭게 기록되는 경우에 영상음성재생장치(1)는 관리정보영역(22)을 업데이트하고 그 관리정보영역(22)을 사용하여 기록된 AV데이터가 있는 자기디스크 매체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도 4는 비원시 액세스명령의 예를 든 AV/C에서 명령의 예를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 비원시 액세스명령은 AV데이터의 타이틀을 지정하고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대해 재생명령을 전송하여, 지정된 타이틀에 의해 AV데이터를 재생할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를 명령할 수 있다.
반면에, 원시 액세스명령은 지정된 LBA의 일부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록하기 위해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서 자기디스크 매체의 LBA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 따른 AV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제어수단의 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 따른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수단의 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회로(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 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VCR(2)과 그 AV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인 경우의 동작이 설명된다.
첫번째로, 디지털 VCR(2)는 테이프 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의 재생과, 동시에 버스(20)를 통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음성재생기록장치(1)에 대하여 비원시 액세스명령의 형성에서 기록명령의 전송을 시작한다.
입/출력회로(9)는 디지털 VCR(2)로부터 전송된 기록명령을 수신하고, 그 후에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으로 이것을 통보한다.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이 통보를 수신하고 명령의 종류에 근거하여 식별될 명령발행시점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명령발행시점으로부터 전송된 명령인 경우에는 비원시 액세스명령이고, 그것은 원시 액세스명령의 경우 동안에 인증이 필요없다는 것이 결정되고, 그것은 인증될 명령발행시점이라는 것이 결정된다. 그 다음에, 이 결정결과에 따라서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한다. 비원시 액세스명령은 디지털 VCR(2)로 부터 전송되므로,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디지털 VCR(2)을 인증하지 않는다. 이후, 그것은 디지털 VCR(2)을 인증할 필요가 없는 입/출력회로(9)를 통보한다.
그 다음에 입/출력회로(9)는 버스(20)를 통해 기록명령이 허락되는 디지털 VCR(2)에 통보한다.
입/출력회로(9)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 대하여 기록명령을 전송한다.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기록명령을 수신하는 즉시 기록에 대한 시작준비를 위하여 HDD(4)를 제어한다. 즉, HDD(4)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기록을 시작한다. 즉, 관리정보는 이런 점으로부터 관리정보영역(1)내에서 기록을 위해 준비된다. 한편, 디지털 VCR(2)은 버스(20)에 재생된 AV데이터를 출력한다.
입/출력회로(9)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서 출력되어 있는 버스(20)로부터 전송된 AV데이터를 수신한다.
AV데이터가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서 출력될 때, 기록을 위해 사용될 자기디스크 매체내의 AV데이터 영역1(7)의 어드레스는 이 어드레스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위해 결정되고 관리정보영역1(5)의 관리정보는 업데이트된다.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는 동일한 방법으로 AV데이터를 연속하여 기록한다.
그 다음에 정지명령이 디지털 VCR(2)로 부터 전송될 때,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AV데이터의 기록을 종료한다.
이 방법으로 디지털 VCR(2)로부터 전송된 AV데이터는 영상음성기록 재생장치(1)내에 기록된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VCR(2)은 비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를 명령한다. 따라서 디지털 VCR(2)은 AV데이터가 기록된 자기디스크 매체의 어드레스를 바로 명령할 수 없고 AV데이터가 기록된 자기디스크 매체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AV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버스(20)에 연결된 기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기기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21)가 추가로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21)는 영상음성 기록재생장치(1)의 자기디스크 매체내에 있는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하기 위해 실행되지 않는 기기중의 한 기기가 될것이라는 것을 가정해보고, 반면에 퍼스널 컴퓨터(3)는 영상음성 기록재생장치(1)의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하기 위해 실행되는 기기중의 한 기기가 될것이라는 것을 가정해본다.
첫번째로,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의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21)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내의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도를 했다고 가정해본다.
퍼스널 컴퓨터(21)는 버스(20)를 통하여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기록명령을 내린다. 퍼스널 컴퓨터(21)로부터 전송되어진 기록명령을 수신하는 즉시, 입/출력회로(9)는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에 수신된 명령을 통보한다.
이 통보를 수신하자마자,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수신된 명령의 종류이 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는 인증되어야 할 명령발행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수신된 명령의 종류이 비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는 인증이 필요없다는 것을 판단한다. 그다음에 명령발행시점은 이 판단결과에 따라서 인증된다. 원시 액세스명령이 퍼스널 컴퓨터(21)로부터 전송되기 때문에,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인증되어야하고 인증시켜야 할 명령발행시점이 있는 퍼스널 컴퓨터(21)를 판단한다. 퍼스널 컴퓨터(21)는 자기디스크 매체의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인증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그다음에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입/출력회로(9)에 인증결과를 통보한다.
입/출력회로(9)는 버스(20)를 통해 디지털 퍼스널 컴퓨터(21)에 인증결과를 통보한다. 또한, 인증결과의 통보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 전해지고 퍼스널 컴퓨터(21)로부터 전송되어진 기록명령의 통보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에 또한 전해진다.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입/출력회로(9)로부터 전송된 인증결과에 따라서 그것들이 수신된 경우라도 퍼스널 컴퓨터(21)에 의해 유출된 기록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또한 퍼스널 컴퓨터(21)는 성공하지 못한 인증을 보고하는 통지를 무시하고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의 AV데이터 영역으로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더욱 더 시도된다. 입/출력회로(9)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를 위해 퍼스널 컴퓨터(21)로부터 전송된 기록명령을 출력한다.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전송되어진 인증결과에 근거하여 이들 기록명령을 실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의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21)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AV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의 AV데이터 영역을 액세스하기 위해 허가하는 퍼스널 컴퓨터(3)인 경우의 동작이 설명된다.
퍼스널 컴퓨터(3)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를 위해 원시 액세스 명령에 따라 기록명령을 내린다.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수행되어질 인증을 판단하고, 기록명령이 원시 액세스명령이기 때문에 인증을 실행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 매체의 AV데이터 기록영역은 관리정보영역1(5), AV데이터 영역1(7), 관리정보영역2(6) 및 AV데이터 영역2(8)의 네가지 영역으로 분리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3)가 AV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영역을 위한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인증이 성공하는지의 여부가 설명된다.
처음에, 퍼스널 컴퓨터(3)는 관리정보영역1(5)과 AV데이터 영역1(7)에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시도된다는 것을 가정해본다.
이런 경우, 인증은 관리정보영역1(5)과 AV데이터 영역1(7)을 위해 액세스하고 시도되어질 원시 액세스명령에 액세스될 수 없기 때문에 실패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3)는 관리정보영역2(6)에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시도된다고 가정해본다.
이런 경우, 인증은 관리정보영역2(6)이 원시 액세스명령에 시도되지 않기 때문에 실패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3)는 AV데이터 영역2(8)에 AV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시도했다고 가정해본다.
이런 경우, 인증은 AV데이터 영역2(8)이 원시 액세스명령과 비원시 액세스 명령 모두를 액세스 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성공한다.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은 입/출력회로(9)에 인증결과를 통보한다.
입/출력회로(9)는 기록재생 제어회로(11)를 위해 명령발행기기 식별수단(10)으로부터 전송된 인증결과를 통보한다.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인증결과에 근거하여 실행된 명령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명령은 인증에 성공한 명령발행시점이 있는 퍼스널 컴퓨터(3)인 경우에 수행된다. 그리고, 명령은 인증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3)는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원시 액세스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AV데이터 영역2(8)으로 AV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로 AV데이터를 기록하는것이 허용된 퍼스널 컴퓨터(3)는 오직 AV데이터 영역2(8)에서만 AV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가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관련된 재생명령이 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라도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고 판독명령을 수행한다.
이런 방법으로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AV데이터에 기록하기 위해 실행된 기기중의 한 기기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되지 않는 기기중의 한 기기는 원시 액세스명령과 함께 자기기록매체에 AV데이터를 기록하여 기록매체의 콘텐츠를 파괴시키지 않을 것이다.
또한,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AV데이터를 기록하는 것과 같이, AV데이터는 관리정보영역1(5) 또는 관리정보영역2(6)과 같은 관리정보영역을 기입하기 위해 AV데이터가 실행된 기기중의 한 기기라 하더라도 기입될 수 없다. 따라서, 실행된 기기중의 한 기기는 원시 액세스영역과 함께 자기기록매체의 관리정보영역에 AV데이터를 기록하여 기록매체의 콘텐츠를 파괴시키지 않을 것이다.
또한,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기록될 AV데이터가 있는 기기중의 한 기기가 실행되지 않으면 AV데이터 영역1(7)에 AV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고, 상기 기록은 오직 비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한 AV데이터는 미리 AV데이터 영역1(7)에 기록되기 때문에 AV데이터는 보호될 수 있고, 그래서 AV데이터가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동시에 기입되는 것을 파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AV데이터가 실행된 기기중의 한 기기가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기입된다 하더라도 AV데이터는 AV데이터 영역2(8)에 기록될 수 있고, 상기 기록은 비원시 액세스명령과 원시 액세스명령 모두를 사용하여서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행된 기기중의 한 기기가 원시 액세스명령을 사용하여 자기디스크 매체 로 AV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AV데이터의 편집과 처리는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록 재생명령이 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를 설명한다 하더라도 기록재생 제어회로(11)는 이들 명령을 수행하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독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들 판독명령은 AV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판독될 원시 액세스명령이고, 이들 판독명령을 허용하는것은 그것들이 실행되지 않는 명령발행시점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안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리영역이 실행되지 않는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보호의 목적을 위한 원시 액세스명령에 의해 액세스되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정보는 데이터 파괴의 불안이 없는 기기에서 원시 액세스명령을 액세스하여 실행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명령발행시점이 VCR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기기중의 한기기에 의해 설명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령발행시점은 예를들면 하나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처리중에서 특별한 처리를 할 것이다. 이런 경우, 식별처리는 각각의 처리에 일치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VCR(2)이 버스(20)에 접속된 것을 설명한다 하더라도 본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TB(셋탑박스)가 디지털 VCR(2) 대신에 접속되는 경우와, STB와 VCR이 동시에 접속되는 경우, 그리고 간단히 말해서 그와 같은 것은 비원시 액세스명령을 이용할 수 있는 AV기기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기기가 버스(20)에 접속되기만 하면 허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퍼스널 컴퓨터가 버스(20)에 접속된 것을 설명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퍼스널 컴퓨터 대신에 어떤 종류의 기기라도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에 AV데이터를 기록하고 원시 액세스명령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이기만 하면 접속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원시 액세스명령이 LBA를 지정하여 자기디스크 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명령을 한다는 것이 설명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시 액세스명령은 자기디스크 매체의 위치를 지정하고 그 지정된 위치에 AV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간단한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에서 비원시 액세스명령이 AV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지정된 AV데이터를 액세스하여 타이틀을 지정하는 명령을 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타이틀, 예컨대 데이터와 시간, 및 AV데이터에 첨부된 식별번호 이외의 AV데이터를 특정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자기디스크 매체에 AV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것을 명령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비원시 액세스명령은 자기디스크 매체의 위치를 바로 지정하고 그 지정된 위치에 AV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명령을 하지 않는다는 어떤 명령을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자기디스크 매체로부터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1)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을 설명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간단히 말해서 임의의 어셈블리, 예컨대 광디스크장치인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되고 재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은 하드웨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행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을 이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반하는 매체는 본 발명에 속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허용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로 특징이 부여된 정보 어셈블리도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는 데이터 구조, 데이터 포맷, 데이터의 종류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매체는 ROM과 같은 기록매체, 인터넷과 같은 전송매체, 광선과 전파 및 음파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송매체는 예를들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매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것은 ROM과 같은 기록매체의 경우에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것과 전송매체의 경우에 전송 대상물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전송의 결과로서 컴퓨터에 의해 취급될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어셈블리는 예를들면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블록,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이행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는 컴퓨터와 협력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기록매체를 허용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시 액세스명령을 공급하는 기기중의 한 기기가 재생기록장치에 접속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AV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정보 또는 기록재생장치의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파괴하지 않는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을 갖는 기록매체의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기록과 재생을 제어하는 기록재생 제어수단과,
    원시 액세스명령과 비원시 액세스명령 모두를 수신하는 명령수신수단, 및
    수신된 명령의 종류에 근거하여 인증될 명령발행시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재생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발행시점을 인증하기에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와, 인증된 상기 명령발행시점의 경우와 이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명령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데이터는 AV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데이터는 AV데이터와 AV데이터에 추가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의 종류는 원시 액세스명령이거나 비원시 액세스명령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인 경우에 실행될 인증을 판단하는 상기 인증수단은 원시 액세스명령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인 경우에 필요로 하지 않는 인증은 비원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은 상기 명령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제 1영역과 상기 비원시 액세스명령에 의해서만 액세스될 수 있는 제 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의 종류는 상기 제 1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거나 상기 제 2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며,
    상기 수신된 명령이 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명령의 종류에 따라서 실행될 인증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의 종류는 원시 액세스명령의 기록명령, 원시 액세스명령 또는 비원시 액세스명령의 판독명령이고,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원시 액세스명령의 기록명령인 경우에 실행될 경우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원시 액세스명령과 판독명령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비원시 액세스명령인 경우에필요로하지 않는 인증이라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데이터 기록영역은 상기 주요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영역과 상기 기록된 주요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의 종류는 상기 데이터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거나 상기 관리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이며,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관리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인 경우에 실행될 인증이고 상기 수신된 명령의 종류가 상기 데이터영역을 액세스하는 명령인 경우에 필요로 하지 않는 인증이라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은 컴퓨터로 이행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반하고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9.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의 수단,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은 컴퓨터로 이행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어셈블리.
KR1020010036843A 2000-06-27 2001-06-27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 KR100723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3463A JP3976989B2 (ja) 2000-06-27 2000-06-27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0-193463 2000-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623A true KR20020001623A (ko) 2002-01-09
KR100723755B1 KR100723755B1 (ko) 2007-05-30

Family

ID=1869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843A KR100723755B1 (ko) 2000-06-27 2001-06-27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90879B2 (ko)
EP (1) EP1168341A3 (ko)
JP (1) JP3976989B2 (ko)
KR (1) KR100723755B1 (ko)
CN (1) CN12375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7651B2 (en) * 2004-04-27 2012-02-14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n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1351A (ja) 1986-03-31 1987-10-09 Nec Corp フアイル保護方式
JPH0387945A (ja) 1989-08-30 1991-04-12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ファイルセキュリティ制御方式
JP2980940B2 (ja) 1990-05-09 1999-11-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磁気情報記録再生方法
JPH0553895A (ja) 1991-08-22 1993-03-05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フアイルセキユリテイ制御方式
JP3501485B2 (ja) 1993-12-24 2004-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TW346571B (en) 1996-02-06 1998-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recept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ata reception method
JPH1079174A (ja) * 1996-02-06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物の不正コピーの防止に好適なデータ受信装置
JP3783282B2 (ja) 1996-06-04 2006-06-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US6519656B2 (en) 1998-03-17 2003-0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list of auxiliary information by appending a corresponding ID codes with respective auxiliary information
GB9809685D0 (en) 1998-05-06 1998-07-01 Sony Uk Ltd Ncam AV/C CTS subunit proposal
CN100359583C (zh) * 1998-11-02 2008-0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和再现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16864A (ja) 2002-01-18
CN1337698A (zh) 2002-02-27
JP3976989B2 (ja) 2007-09-19
KR100723755B1 (ko) 2007-05-30
US7190879B2 (en) 2007-03-13
US20020051624A1 (en) 2002-05-02
EP1168341A3 (en) 2005-11-30
EP1168341A2 (en) 2002-01-02
CN1237537C (zh)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26910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 reproduction, support de programme enregistre, support enregistre, antememoire et emetteur
US20020152337A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list of auxiliary information by appending a corresponding id codes with respective auxiliary information
JP3537684B2 (ja) 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589518B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에서의 데이터 독출 속도 가변 제어방법
KR10112592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H11328849A (ja) データ記録装置
CN100587826C (zh) 用于交互式光盘的验证系统与方法
JP2002203366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録音装置
JP2002203365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録音装置
KR100723755B1 (ko) 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 어셈블리
US6771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 drive data security using a servo wedge
KR20030007710A (ko) 오디오 선택들을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0298942A (ja) ディスク記憶装置及び同装置に適用するコピー防止システム
JP2002351705A (ja)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2001332021A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媒体および情報集合体
JP6693417B2 (ja) リーダライタ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557818B2 (ja) ソフトデータの管理方法
JP2000163936A5 (ko)
JPH10255394A (ja) 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機
JP2000156036A (ja) ディジタル信号記憶システム、ディジタル信号記憶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ディジタル信号記録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JP2949757B2 (ja) 情報再生装置
KR100317628B1 (ko) 메모리카드를매체로하는오디오및비디오데이타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KR100585094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및 장치
JP3859894B2 (ja) 機器制御コマンド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20154899A1 (en) Recorded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and recorded information man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