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398Y1 - 손수레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손수레용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9398Y1 KR200199398Y1 KR2020000014969U KR20000014969U KR200199398Y1 KR 200199398 Y1 KR200199398 Y1 KR 200199398Y1 KR 2020000014969 U KR2020000014969 U KR 2020000014969U KR 20000014969 U KR20000014969 U KR 20000014969U KR 200199398 Y1 KR200199398 Y1 KR 2001993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rod
- push rod
- lever
- ca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수레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수레에 있어서, 중공의 지지봉(12) 내에 설치된 푸쉬로드(14)의 상부는 핸들(10)과 연결되어 핸들(10)을 누르면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푸쉬로드(14)의 하단에는 레버(20)가 결합되어 푸쉬로드(14)가 하강하면 레버(20)가 힌지(20a)점을 중심을 회전하면서 레버(20)에 형성된 제동편(20b)이 뒷바퀴(3)의 허브에 결합된 제동부재(23)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이(23a)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가 분리되면서 뒷바퀴(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누르고 있던 핸들(10)을 놓으면 지지봉(12)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5,19)의 복원력에 의해 푸쉬로드(14)가 상승하면서 레버(20)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되고, 제동편(20b)이 제동부재(23)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이(23a)의 사이에 끼워져 뒷바퀴(3)를 제동시키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작업자가 간단하게 핸들을 누르기만 하면 손수레가 제동되고, 누르고 있던 핸들을 놓으면 제동이 해제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화물의 적재 또는 하역시에 손수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안전하게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손수레를 제동시키는 손수레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손수레는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는 정지 상태에서 작업을 하며, 이때 손수레가 움직이게 되면 작업이 불편하고 사고가 발생되는 위험부담이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손수레에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때 별도의 장봉을 프레임에 끼워서 지면에 접지시켜 손수레를 제동시켰다. 그러나,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장봉을 별도로 갖추고 다녀야 되는데 화물을 운반 중에 손수레의 요동으로 인해 장봉이 분실되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1985년 실용신안등록 제28633호에는 제동장치가 설치된 손수레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동장치는 조립되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높으며, 많은 부품으로 인해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동작으로 손수레를 용이하게 제동시키거나 또는 제동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손수레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용 제동장치는 중공의 지지봉과, 지지봉의 상단에 고정된 핸들커버와,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부는 핸들커버의 내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핸들과, 지지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핸들의 장공을 관통하는 헤드핀이 결합되어 핸들을 누르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쉬로드와, 지지봉내에 설치되어 푸쉬로드를 상방향으로 탄력있게 가압하는 압축스프링과, 지지봉의 하단에 고정되어 뒷바퀴를 수용하는 바퀴커버와, 바퀴커버의 하단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작동공간이 형성된 바퀴축과, 바퀴축과 뒷바퀴의 허브 사이에 개재되어 뒷바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과, 뒷바퀴의 허브에 결합되고 내경을 따라 기어이가 형성된 제동부재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푸쉬로드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바퀴축의 작동공간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작동공간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일부분에는 푸쉬로드의 작동에 따라 제동부재의 기어이 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뒷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편이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동장치가 설치된 손수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용 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푸시로드와 핸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용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수레 2,3: 앞바퀴,뒷바퀴
10: 핸들 10a: 힌지
10b: 장공 11: 핸들커버
12: 지지봉 12a: 받침턱
13: 보조핸들 14: 푸쉬로드
14a: 헤드부 14c: 헤드핀
15: 압축스프링 16: 조절볼트
17: 바퀴커버 18: 레버로드
18b: 힌지 19: 압축스프링
20: 레버 20a: 힌지
20b: 제동편 21: 바퀴축
21a: 작동공간 22: 베어링
23: 제동부재 23a: 기어이
24: 부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동장치가 설치된 손수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손수레용 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푸시로드와 핸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수레(1)는 작업자가 화물을 실고 운반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2개씩 앞바퀴(2)와 뒷바퀴(3)가 설치된다. 그리고, 뒷바퀴(3)에는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할 때 손수레(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동장치가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제동장치를 설명하면, 손수레(1)의 후방 양측에 각각 조립된 지지봉(12)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핸들커버(11)가 씌워져 고정되며, 하단에는 바퀴커버(17)가 고정된다.
또한, 내부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받침턱(12a)이 형성되고, 지지봉(12)의 상부에는 핸들(10)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공(12b)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조절볼트(16)가 체결되어 핸들(10)을 가압하면서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핸들(10)의 양측은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이 절곡부의 단부는 지지봉(12)의 관통공(12b)을 통과하여 핸들커버(11)의 내측에 힌지(10a)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절곡부에는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10b)이 형성된다.
핸들(10)의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조핸들(13)이 배치되며, 이 보조핸들(13)은 지지봉(12)의 상부 일측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보조핸들(13)은 핸들(1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함께 잡을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2)의 내부에는 푸쉬로드(14)가 상하로 작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푸쉬로드(14)의 상단에는 더 큰 직경의 헤드부(14a)가 형성되고, 헤드부(14a)의 상면에는 핸들(10)이 삽입되도록 소정 깊이의 안내홈(14b)이 형성되며, 헤드부(14a)의 상단 일측에는 핸들(10)의 장공(10b)을 관통하도록 헤드핀(14c)이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헤드부(14a)와 받침턱(12a)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5)이 개재되어 헤드부(14a)를 상방향으로 탄력있게 지지한다.
푸쉬로드(14)의 하부에는 레버로드(18)가 밀착되어 푸쉬로드(14)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로드(18)의 상단에는 더 큰 직경의 헤드부(18a)가 형성되고, 헤드부(18a)와 바퀴커버(17)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9)이 개재되어 레버로드(18)를 상방향으로 탄력있게 지지한다. 여기에서 레버로드(18)의 헤드부(18a) 상면은 푸쉬로드(14)가 하강할 때 중심부로 안내되도록 경사져 있다.
레버로드(18)의 하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레버(20)의 일단이 힌지(18b)결합되며, 레버(20)의 타단은 바퀴축(21)내로 삽입되어 바퀴축(21)내에 힌지(20a) 결합된다.
바퀴축(21)은 바퀴커버(17)의 내측 하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레버(20)가 삽입되어 작동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작동공간(21a)이 형성되며, 이 작동공간(21a)으로 레버(20)가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20)의 일측에는 제동편(20b)이 연장 형성되어 바퀴축(21)의 작동공간(21a)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제동편(20b)은 레버로드(18)가 하강하면 레버(20)가 힌지(20a)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함께 작동공간(21a)내로 삽입된다.
바퀴축(21)과 뒷바퀴(3)의 사이에는 뒷바퀴(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베어링(22)이 개재되어 있으며, 베어링과 베어링의 사이에는 제동부재(23)가 개재되어 뒷바퀴(3)의 허브에 결합되어 뒷바퀴(3)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동부재(23)의 내측에는 내측둘레를 따라 기어이(23a)가 형성되고, 이 기어이에는 상술한 제동편(20b)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제동편(20b)이 기어이(23a)의 사이에 끼워지면 뒷바퀴(3)는 제동된다.
그리고, 베어링(22)이 바퀴축(2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과 베어링의 사이에는 제동부재(23)가 부시의 역할을 하고, 베어링(22)과 바퀴커버(17)의 사이에는 별도의 부시(24)가 결합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정지되어 있는 손수레(1)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0)의 제동편(20b)이 뒷바퀴(3)의 허브에 결합되어 있는 제동부재(23)의 기어이(23a)의 사이에 끼워져 뒷바퀴(3)를 제동시키므로 손수레(1)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손수레(1)에 물건을 적재한 다음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수레(1)의 핸들(10)를 누르면서 밀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를 누르면 핸들(10)는 힌지(10a)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장공(10b)에 결합된 헤드핀(14c)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헤드핀(14c)이 하강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푸쉬로드(14)도 하강하게 되고, 푸쉬로드(14)는 하강하면서 레버로드(18)를 누르게 된다.
푸쉬로드(14)가 하강하면, 레버(20)도 함께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레버(20)는 일단부가 바퀴축(21)의 작동공간(21a)의 일측에 힌지(20a)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레버(20)에 형성된 제동편(20b)은 바퀴축(21)의 작동공간(21a)내로 삽입되면서 제동부재(23)의 기어이(23a)로부터 분리되어 뒷바퀴(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인해, 작업자가 핸들(10)을 누른 상태에서 손수레(1)를 밀게 되면 작업자는 원하는 곳으로 손수레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핸들(10)의 하부에 배치된 보조핸들(13)이 핸들의 누름상태를 좀더 수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즉, 작업자가 핸들(10)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과 함께 보조핸들(13)을 함께 잡게 되면, 보다 적은 힘으로 핸들의 누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수레(1)를 이동시킨 다음, 적재된 물건을 하역하기 위해 손수레(1)를 제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누르고 있던 핸들(10)을 놓기만 하면 된다.
핸들(10)을 놓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15,19)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로드(18)와 푸쉬로드(14)가 상승하게 되고, 레버로드(18)와 연결된 레버(20)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레버(20)는 힌지(20a)점을 중심으로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레버(20)에 형성된 제동편(20b)이 바퀴축(21)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제동부재(23)의 기어이(23a)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제동부재(23)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뒷바퀴(3)를 제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압축스프링(15)의 복원력이 약해지면 지지봉(12)의 상면에 체결된 조절볼트(16)를 조이면서 압축스프링(15)을 눌러 적당한 복원력을 갖도록 하면 되고, 압축스프링(15)의 복원력이 세면 조절볼트(16)를 풀면서 적당한 복원력을 갖도록 하면 된다.
압축스프링(15)의 적당한 복원력은 핸들을 누를 때 드는 힘과, 누르고 있던 핸들을 놓았을 때 핸들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힘을 비교하여 적당하게 유지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간단하게 핸들을 누르기만 하면 손수레가 제동되고, 누르고 있던 핸들을 놓으면 제동이 해제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화물의 적재 또는 하역시에 손수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 손수레에 있어서,중공의 지지봉(12)과,지지봉(12)의 상단에 고정된 핸들커버(11)와,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부는 핸들커버(11)의 내측에 힌지(10a)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장공(10b)이 형성된 핸들(10)과,상기 지지봉(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핸들(10)의 장공(10b)을 관통하는 헤드핀(14c)이 결합되어 핸들(10)을 누르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쉬로드(14)와,상기 지지봉(12)내에 설치되어 상기 푸쉬로드(14)를 상방향으로 탄력있게 가압하는 압축스프링(15)과,상기 지지봉(12)의 하단에 고정되어 뒷바퀴를 수용하는 바퀴커버(17)와,상기 바퀴커버(17)의 하단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작동공간(21a)이 형성된 바퀴축(21)과,상기 바퀴축(21)과 뒷바퀴(3)의 허브 사이에 개재되어 뒷바퀴(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22)과,상기 뒷바퀴(3)의 허브에 결합되고 내경을 따라 기어이(23a)가 형성된 제동부재(23)와,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상기 푸쉬로드(14)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축(21)의 작동공간(21a)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작동공간(21a)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0a)결합되며, 일부분에는 상기 푸쉬로드(1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동부재(23)의 기어이(23a) 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뒷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편(20b)이 형성된 레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14)와 레버(20)는 레버로드(18)에 의해 연결되고, 레버로드(18)는 별도의 압축스프링(19)을 통해 상방향으로 탄력있게 지지되는 것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2)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10)의 상면을 가압하고, 풀고 조이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1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의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봉(12)에 고정되는 보조핸들(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969U KR200199398Y1 (ko) | 2000-05-26 | 2000-05-26 | 손수레용 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969U KR200199398Y1 (ko) | 2000-05-26 | 2000-05-26 | 손수레용 제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9398Y1 true KR200199398Y1 (ko) | 2000-10-02 |
Family
ID=1965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4969U KR200199398Y1 (ko) | 2000-05-26 | 2000-05-26 | 손수레용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939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6583A (zh) * | 2019-08-12 | 2019-11-05 | 广东嘉得力清洁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带自动刹车的安全清洁车 |
-
2000
- 2000-05-26 KR KR2020000014969U patent/KR2001993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6583A (zh) * | 2019-08-12 | 2019-11-05 | 广东嘉得力清洁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带自动刹车的安全清洁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32188A (en) | Manually operated brake for hand truck | |
JP5361792B2 (ja) |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キャスターユニット、それらを備えた移動車 | |
KR100363387B1 (ko) | 손수레용 제동장치 | |
CN108502008A (zh) | 婴儿车 | |
KR200199398Y1 (ko) | 손수레용 제동장치 | |
JP5029863B2 (ja) | キャスター | |
CA2289844A1 (en) | Brake assembly for cart | |
JP3178390U (ja) | 車輪のブレーキ機構 | |
JP3062901B2 (ja) | キャスターの制動機構 | |
JP2012091557A (ja) |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 |
JPH09207786A (ja) | 手押し運搬車の停止装置 | |
KR200234261Y1 (ko) | 손수레용 제동장치 | |
KR101445667B1 (ko) | 자전거용 안티 다이브 서스펜션 포크 | |
US3074516A (en) | Braking mechanism for hand truck | |
JPH10250587A (ja) | 手押しカートのブレーキ装置 | |
JPH0731560U (ja) | 手押し運搬車のブレーキ装置 | |
JPH1072092A (ja) | 制動機構を備えた搬送容器 | |
KR200361993Y1 (ko) | 쇼핑카트 | |
JP6765670B2 (ja) | 運搬台車および制動装置 | |
JP3007902B2 (ja) | 手押式運搬車 | |
JPS633875Y2 (ko) | ||
KR200186119Y1 (ko) | 캐스터 | |
KR100630574B1 (ko) | 캐스터 | |
JP2759599B2 (ja) | ブレーキ付キャスター | |
KR101317652B1 (ko) | 자유 회전 방지 바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2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