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69Y1 -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69Y1
KR200197369Y1 KR2020000012951U KR20000012951U KR200197369Y1 KR 200197369 Y1 KR200197369 Y1 KR 200197369Y1 KR 2020000012951 U KR2020000012951 U KR 2020000012951U KR 20000012951 U KR20000012951 U KR 20000012951U KR 200197369 Y1 KR200197369 Y1 KR 200197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vertical structure
rotary boom
work vehicl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안만선
Original Assignee
영신기공주식회사
주식회사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39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49885A/ko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기공주식회사, 주식회사삼호 filed Critical 영신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2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하부에 이동식 작업차를 설치하여 교각에 관계없이 교통통제를 하지 않고 전천후로 교량 점검 및 보수 작업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양측 상판 하부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레일을 가이드로하는 행거를 형성하고 상기 행거와 일체형으로 수직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구조체의 외경에는 회동되는 회전붐을 형성하고 각각의 회전붐을 서로 대칭으로 작동시키면 회전붐 일단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교각을 통과시에는 연결을 해제하고 회전붐을 교량의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하여 교량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식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Working automobile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본 고안은 교량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교량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식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양측의 상판 하부에 설치된 레일을 가이드로하여 교각에 관계없이 교통통제를 하지 않고 교량을 이동하면서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량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중장비를 동원하여 교량의 상판 하부에 장시간에 걸쳐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을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할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작업 지원이 교량의 상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통통제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하부에 지지되어 교량을 이동하면서 교량의 교통 통제 없이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작업시 교량의 차량 통행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교량의 전 구간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어야 하고, 교량의 상판과 연계되어 작업이 순환할 수 있어야 한다.
교량은 일정한 구간에 교각이 설치되므로 본 고안이 상기 교각을 통과 할 수 있도록 교량의 상판 하부 양측에 형성된 레일에 지지되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독립되어 교량을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하되 작업차가 이동할 때는 정숙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작업차의 작업시에는 상기 2개의 회전붐이 회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결합하고, 작업자가 2개의 회전붐을 왕래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업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투영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 투영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시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행거 12 : 레일
13 : 롤러(a,b) 14 : 테이블
15 : 지주 16 : 가이드
17 : 출입사다리(a,b) 18 : 수직구조체
19 : 개구부 20 : 회전붐
21 : 밸런스 웨이트 22 : 사다리
23 : 실린더 24 : 교각
25 : 상판 26 : 연결구
27 : 동력 28 : 작업대
29 : 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므로 주로 일측의 작업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동력(27)이 형성되고 레일(12)에 지지되는 행거(11)와 본 고안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6)와 출입식 사다리(17b)가 형성된 테이블(14)과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된 수직구조체(18)의 하부에 작업대(28)를 형성한 회전붐(2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업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조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방법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량은 일정한 간격으로 교각(24)이 형성되고 교각(24) 위에 상판(25)의 시공으로 형성되며, 상판(25)이 빔(29) 밖으로 일정한 길이로 진출되어 형성된 상판(25) 하부에 형성된 레일(12)에 본 고안이 이용된다.
본 고안은 수직구조체(18)를 축으로 하여 윗 부분은 테이블(14)이 형성되고 아랫부분은 회전붐(2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붐(20)은 작업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공간으로 구성되며 통행자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수직구조체(18)의 상. 하로 사다리(22)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블(14)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구조체(18)와 일체화로 결합되고 수직구조체(18)의 상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지주(15)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행거(11)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11)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롤러(13a)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롤러(13a)의 일측에는 롤러(13a)를 구동시키는 동력(27)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13a)는 레일(12)과 결합된다. 상기 지주(15) 일측에는 본 고안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6)가 형성되고 가이드(16)의 상단부는 롤러(13b)가 형성되고 상판(25) 하부와 밀착되며 밀착의 정도는 가이드(16)에 형성된 유압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작업차의 전체 수평이 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14)은 작업자의 통행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넓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테이블(14)의 일측에 상판(25)으로 출입할 수 있는 사다리(17a,17b)가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17a,17b)는 본 고안에 출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구조체(18)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하로 구분되어 하부는 상부를 축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는 테이블(14)과 일체로 구성되고 하부는 회전붐(20)과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구조체(18)의 하부는 회전붐(20)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19)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붐(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력이 향상되는 철골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붐(20)은 수직구조체(18)를 축으로 일측은 회전붐(20) 전체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21)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은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28)가 형성되며, 회전붐(20)의 단부에는 다른 작업차와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연결구(2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교량의 양측 상판(25) 하부에 1대씩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점검 및 보수를 할 때는 상기 회전붐(20)을 마주보게 하고 회전붐(20)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구(26)를 이용하여 상기 2대의 회전붐(20)을 견고히 결합한 후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일정한 장소에 계류되는 것은 원칙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으로 교량의 단칸(교각과 교각사이)을 작업하고자할 때, 교량의 상판(25)에서 작업자가 출이사다리(17a,17b))를 이용하여 탑승한다.
일반적으로 점검 및 보수작업은 테이블(14)과 회전붐(20)과 작업대(28)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대(28)의 작동은 유압식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 하로 신축되며 본 고안이 이동하면서 상판(25)의 하부와 상판(25)을 지지하는 빔(29)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보수 까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단칸에서 완료되면 다음 칸으로 이동한다. 본 고안이 다음 칸으로 이동할 때는 작업대(28)를 축소시키고, 회전붐(20)과 회전붐(20)을 연결한 연결구(26)를 분리하고, 수직구조체(18)에 형성된 동력(도시되지않음)을 작동하여 회전붐(20)을 90°로 회전시켜 회전붐(20)이 레일(12)과 같은 방향이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붐(20)이 레일(12)과 같은 방향이 되면 행거(11)에 설치된 동력(27)을 작동하고 행거(11)의 롤러(13a)를 구동하여 레일(12)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이 교각(24)을 통과하면 수직구조체(18)를 작동하여 회전붐(2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붐(20)의 단부를 연결구(26)에 의해 결합하고 작업토록 한다.
색인 : 본 고안의 동력은 교량에 설치된 전력을 이용하거나 자체동력을 이용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는 교량과 일체로 구성되므로 24시간 이용이 수시로 가능하여 교량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발견할 수 있는 효과와, 발견 후에는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시에는 교량의 교통 통제없이 작업할 수 있는 효과와, 적은 인력으로 작업 및 관리가 가능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예산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판(25) 하부에 고정된 레일(12)에 지지되고 레일(12)을 따라 구동할 수 있는 롤러(13a)가 고정된 행거(11)와 상기 행거(11)에 지지되고 수직구조체(18)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판(25)과 통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출입사다리(17b)가 고정 지지되며 작업장소의 공간이 형성된 테이블(14)과, 테이블(14)에 지지되고 상부는 롤러(13b)가 형성되어 상판(25) 하부에 밀착되며 유압실린더(23)의 조정으로 작업차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가이드(16)와, 수직구조체(18)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직구조체(18)를 축으로 일측은 밸런스 웨이트(2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작업자와 작업대(28)가 통행할 수 있는 회전붐(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구조체(18)는 상. 하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부는 테이블(14)과 결합되고 하부는 회전붐(20)과 결합되어 하부 수직구조체(18)는 상부 수직구조체(18)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는 수직구조체(18)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상. 하로 사다리(22)가 형성되며 회전붐(20) 전체를 통행할 수 있는 개구부(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붐(20)은 수직구조체(18)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붐(20)의 어느 위치에 작업이 용이하도록 높. 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업대(2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붐(20)의 단부에는 회전붐(20)과 회전붐(20)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연결구(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2020000012951U 2000-05-04 2000-05-08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200197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51U KR200197369Y1 (ko) 2000-05-04 2000-05-08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70A KR20000049885A (ko)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2020000012951U KR200197369Y1 (ko) 2000-05-04 2000-05-08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970A Division KR20000049885A (ko)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69Y1 true KR200197369Y1 (ko) 2000-09-15

Family

ID=2663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51U KR200197369Y1 (ko) 2000-05-04 2000-05-08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51B1 (ko) * 2000-07-10 2003-10-11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KR100823638B1 (ko) * 2007-06-15 2008-04-21 주식회사 에코카 터널과 교량의 비상 및 다목적 관리용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51B1 (ko) * 2000-07-10 2003-10-11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KR100823638B1 (ko) * 2007-06-15 2008-04-21 주식회사 에코카 터널과 교량의 비상 및 다목적 관리용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190B1 (ko) 환상형 주행레일 이동식 교량 점검차와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및 보수방법
KR20000049885A (ko)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100987297B1 (ko) 교량 보수 점검 장치
CA2492987A1 (en) Sliding sign
CN111021740B (zh) 一种采光顶屋面组合吊装体系施工方法
CN217378620U (zh) 一种智能架桥系统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200197369Y1 (ko)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101003403B1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KR102225739B1 (ko) 크레인의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방법
KR20160123513A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 장치
KR101794205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JPH03110208A (ja) 橋梁用移動式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0377529B1 (ko) 교량공사용 이동 작업대
JPS6250628B2 (ko)
KR200233184Y1 (ko) 교량 점검대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KR200197362Y1 (ko) 아취교의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197361Y1 (ko) 이중교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20054259A (ko)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H08105014A (ja) 橋梁保守・点検用移動台車
CN215857302U (zh) 一种跨座式单轨的检修车
CN217839696U (zh) 工字梁梁体检测车
CN221029678U (zh) 一种钢箱梁移动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