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64Y1 -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64Y1
KR200197364Y1 KR2020000012769U KR20000012769U KR200197364Y1 KR 200197364 Y1 KR200197364 Y1 KR 200197364Y1 KR 2020000012769 U KR2020000012769 U KR 2020000012769U KR 20000012769 U KR20000012769 U KR 20000012769U KR 200197364 Y1 KR200197364 Y1 KR 200197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tage
bridge
support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안만선
Original Assignee
영신기공주식회사
주식회사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기공주식회사, 주식회사삼호 filed Critical 영신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2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쌍으로 건설된 교량과 교량의 사이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교량을 이동하면서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통량이 진행하는 방향마다 교량이 평행으로 분리 건설되고 교각이 같은 선 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상판을 지지하는 빔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각 교량의 상판 하부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에 지지되는 행거를 형성하며, 상기 행거에는 수직으로 신축이 가능한 붐을 형성하고 붐의 단부에는 신축과 회전이 가능한 수평붐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작업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Moving work facility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교량의 점검 및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이 1쌍으로 건설되고 상판을 지지하는 빔의 높. 낮이가 상이하며 교각이 엇갈리게 건설된 교량과 교량의 사이 상판 하부에 설치된 레일에 지지되어 교량을 이동하면서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량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중장비를 동원하여 교량의 상판 하부에 장시간에 걸쳐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을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할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작업 지원이 교량의 상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통량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평행으로 건설된 1쌍의 교량 사이의 상판 하부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 하, 좌. 우로 신축하면서 교량을 이동하고 양측의 교량을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 점검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1쌍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사이가 평행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교량에 한정한다. 본 고안은 교각이 건설되는 지형에 따라 교각이 같은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교각의 거리에 따라 상판을 지지하는 빔의 크기가 상이한 교량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수직붐은 1단 이상으로 신축할 수 있으며 수평붐 역시 1단 이상으로 신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수평붐은 수직붐의 3단 붐에 결합하며 상기 3단 붐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평붐의 회전을 유도한다. 동력은 전력을 이용하거나 자체동력을 이용한다.
도 1은 교량의 높은 부분의 작업상태도.
도 2는 교량의 낮은 부분의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행거 12 : 레일
13 : 수직붐(a,b,c) 14 : 수평붐(a,b)
15 : 작업대 16 : 받침대
17 : 와이어(a,b) 18 : 조종대
19 : 상판 20 : 밸런스 웨이트
21 : 롤러 22 : 빔(a,b)
23 : 테이블 24 : 사다리
25 : 프레임 26 : 슬라이드박스
27 : 유압실린더 28 : 동력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2개의 레일(12)에 지지되는 행거(11)와 행거(11)에 지지되는 테이블(23)과 테이블(23)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25)에 지지되어 1단 이상으로 신축되는 수직붐(13a,13b,13c)과 상기 수직붐(13a,13b,13c)에 지지되어 회전과 신축(伸縮)이 가능한 수평붐(14a,14b)과 슬라이드박스(26), 수평붐(14b) 일측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대(15)와 스직붐(13a,13b,13c)을 신축(伸縮)하는 조종대(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직붐 신축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이동할 때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쌍의 레일(12)에 각각 일측에 동력이 설치된 행거(11)가 지지되고 상기 행거(11)에는 테이블(23)이 지지되며, 테이블(23)의 상부에는 조종대(18)가 형성되고 테이블(23)의 하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수직붐(13a,13b,13c)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붐(13a,13b,13c)은 3단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붐(13a)은 테이블(23)에 지지되면서 조종대(18) 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되며 2단수직붐(13b)의 외면 크기는 1단수직붐(13a)의 내면의 크기와 같이 형성되어 2단수직붐(13b)이 1단수직붐(13a)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하여 2단수직붐(13b)은 1단수직붐(13a)의 내측에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되고 3단수직붐(13c)은 2단수직붐(13b)의 단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드박스(26)와 결합되며, 슬라이드박스(26)와 결합된 3단수직붐(13c)은 2단수직붐(13b)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3단수직붐(13c)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박스(26)는 2단수직붐(13b)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3단수직붐(13c)을 기점으로 일측은 슬라이드박스(26)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슬라이드박스(26)와 수평붐(14a,14b)의 전체 밸런스 유지하기 위한 밸런스웨이트(20)가 형성되며 3단수직붐(13c)의 다른 일측은 1단수평붐(14a)과 2단수평붐(14b)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박스(26)는 3단수직붐(13c)에 결합되고 1단수평붐(14a)은 그 외부 크기가 슬라이드박스(26) 내부 크기와 같도록 형성되어 1단수평붐(14a)은 슬라이드박스(26) 내부로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2단수평붐(14b)의 외부 크기는 1단수평붐(14a)의 내부 크기와 같으므로 2단수평붐(14b)은 1단수평붐(14a)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하여 수평붐(14a,14b)은 전체적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2단수평붐(14b)의 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대(15)가 설치되고 작업대(15)는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신축이 가능한 받침대(16)에 의해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작업대(15) 일측에는 상판(19)과 통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다리(24)가 형성된다.
교량의 구조는 지형과 미관을 고려하여 교각의 모양이 다양하고 상판(19)을 지지하는 빔(22a,22b)의 구조가 다양하여 교량의 전체적인 모양이 다양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교랑 중에서 2개의 교량이 1쌍으로 건설되고 각 교량의 사이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상판(19)을 지지하는 빔(22a,22b)의 크기가 상이하며 각 교량의 교각의 위치가 엇갈리는 교량에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량과 교량 사이의 각 상판(19) 하부에 형성된 2개의 레일(12)에 레일(1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행거(11)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11)에는 복수개 이상으로 롤러(21)가 형성되고 롤러(21)는 레일(12)과 결합되어 레일(12)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행거(11)는 테이블(23) 양측과 결합되고 테이블(23) 일측에는 동력이 설치되어 롤러(21)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고 동력은 전력이 이용되거나 자체 동력이 이용된다. 테이블(23) 상부는 그 중앙에 조종대(18)가 설치되고 테이블(23) 하부에는 수직붐(13a,13b,13c)을 지지하는 프레임(25)이 설치된다. 상기 조종대(18)에는 동력이 형성되고 동력에는 와이어(17a)가 연계되어 와이어(17a) 일단은 3단수직붐(13c)의 단부에 고정되고 조종대(18)의 동력이 작동되어 와이어(17a)가 짧아지면 도 1의 A와 같이 수직붐(13a,13b,13c)의 2단수직붐(13b)이 1단수직붐(13a)의 내부로 삽입되고 1단수직붐(13a)의 상부는 테이블(23)의 하부에 밀착되어 수직붐(13a,13b,13c)은 전체적으로 가장 짧은 상태가 되고 3단수직붐(13c)과 연계된 수평붐(14a,14b)에서 상판(19)을 지지하는 빔(22b)의 크기가 작은 곳의 작업이 용이해 진다.
상기와 반대로 와이어(17a)가 길어지면 수직붐(13a,13,13c)이 신장되므로 상기 3단수직붐(13c)에 연계된 수평붐(14a,14b)에서 빔(22a)의 크기가 큰 곳에서 작업이 용이해 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 교량의 작업이 완료되면 3단수직붐(13c) 일측에 형성된 동력(도시되지 않음)을 작동하여 다른 교량 측으로 회전시켜 상기와 같은 작업 방법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판(19)을 지지하는 빔(22a,22b)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교량을 횡으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수평붐(14a,14b)의 신축이 가능해야하므로 수평붐(14a,14b)의 신축시는 슬라이드박스(26) 일측에 형성된 동력(도시되지않음)의 작동으로 와이어(17b)를 수축하거나 신장하는 방법으로 1단수평붐(14a)은 슬라이드박스(26)로 삽입되고 2단수평붐(14b)은 1단수평붐(14a)으로 삽입되어 작업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붐(14a,14b)을 조종할 수 있으며, 작업할 때는 2단수평붐(14b) 일단에 형성된 작업대(15)의 받침대(16)를 유압실린더(27)로 작동하여 작업대(15)를 상. 하로 이동하며 작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단칸의 작업이 완료하면 3단수직붐(13c)을 회전시켜 수평붐(14a,14b)이 교량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위치를 변경하고 행거(11)의 롤러(21)를 작동하여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작업토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 장치는 교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24시간 이용이 가능하여 교량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발견할 수 있고 발견 후에는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시에는 교량의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 및 관리가 가능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획기적 예산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량의 상판 하부의 레일에 지지되어 레일을 이동하며 점검 및 보수작업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차에 있어서, 1쌍으로 건설되고 사이 간격이 균일한 교량의 상판(19) 하부에 1쌍으로 형성되는 레일(12)과 상기 레일(12)에 지지되어 레일(12)을 이동하는 1쌍의 행거(11)와 상기 행거(11)에 지지되는 테이블(23)의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은 수직붐(13a,13b,13c)의 아랫 단부에 고정된 와이어(17a)를 신축시키는 조종대(18)와 상기 테이블(23)에 지지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수직붐(13a,13b,13c)과 상기 수직붐(13a,13b,13c)과 연계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박스(26)와 상기 슬라이드박스(26)와 연계되어 좌. 우로 이동되는 수평붐(14a,14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붐(13a,13b,13c)은 3단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붐(13a)은 프레임(25)에 지지되고, 2단수직붐(13b)은 1단수직붐(13a)에 지지되며, 1단수직붐 (13a)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3단수직붐(13c)은 2단수직붐(13b)에 지지되며, 2단수직붐(13b)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붐(14a,14b)은 2단으로 형성되고, 1단수평붐(14a)은 슬라이드박스(26)에 지지되며, 슬라이드박스 (26)내부로 일부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 되고 2단수평붐(14b)은 1단수평붐(14a)에 지지되며, 1단수평붐(14a)에 삽입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2020000012769U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200197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769U KR200197364Y1 (ko)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769U KR200197364Y1 (ko)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64Y1 true KR200197364Y1 (ko) 2000-09-15

Family

ID=1965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769U KR200197364Y1 (ko) 2000-05-04 2000-05-04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29B1 (ko)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KR100874373B1 (ko) 2008-07-03 2008-12-18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29B1 (ko)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KR100874373B1 (ko) 2008-07-03 2008-12-18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5578B2 (ja) 橋梁用移動足場
JP4796411B2 (ja) 橋梁一括撤去工法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197364Y1 (ko)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20000049885A (ko)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JPH0415330B2 (ko)
JP2971042B2 (ja) 桁運搬機及び桁運搬方法
KR101016263B1 (ko)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을 위한 더블시저타입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JPH0765295B2 (ja) 橋梁用移動式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13832863B (zh) 一种双幅桥架梁的方法
CN205820800U (zh) 可实现无脚手架搭设模板架的液压升降装置
KR101149877B1 (ko)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CN214988152U (zh) 铁路车辆轮对转向装置
KR200197362Y1 (ko) 아취교의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197361Y1 (ko) 이중교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JP4706826B2 (ja) タービン用ダイヤフラム上半受台
KR101567736B1 (ko)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CN105484154A (zh) 多功能桥梁施工检测车
JP4519588B2 (ja) 立体交差構築方法
JP7415657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CN219710107U (zh) 一种桥梁连续顶升系统
JP7380322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JPH08105014A (ja) 橋梁保守・点検用移動台車
JP2019189447A (ja) 高所作業装置及びトンネル内の作業方法
CN214091151U (zh) 一种建筑工程钢结构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