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736B1 -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36B1
KR101567736B1 KR1020140187154A KR20140187154A KR101567736B1 KR 101567736 B1 KR101567736 B1 KR 101567736B1 KR 1020140187154 A KR1020140187154 A KR 1020140187154A KR 20140187154 A KR20140187154 A KR 20140187154A KR 101567736 B1 KR101567736 B1 KR 10156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nit
roof structure
guide rail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이장형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3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emoving ro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은,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기둥의 연결부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의 길이를 증가시켜 상기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단계, 상기 기둥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상기 연장된 기둥의 연결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Jack-Up Apparatus for Roof Structure Having Lifting Unit and Jack-Up Method for Ro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한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다양한 형태로 건축되고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지붕 구조물 구조를 가진다. 특히 공장 등의 경우에는 넓은 부지에 걸쳐 건축되므로 지붕 구조물은 복수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붕 구조물은 설계 시 그 높이를 정하게 되나, 차후 공정의 변경, 또는 자동화 설비 등 시설 확충 등 다양한 이유로 지붕 구조물의 높이를 상향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다만, 이에 따라 건물을 신축하기에는 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은 경우 지붕 구조물만을 상향하는 방법을 채택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매우 고난이도의 작업으로서 현재까지는 이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이를 시도한다고 하더라도 공기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 비용이 크게 증가되므로, 실질적으로 그 효과를 크게 거두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6056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은 건축물 등의 지붕 구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상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고정부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유닛은 복수 개가 동일한 가이드레일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접한 리프팅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작업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지붕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둥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기둥 양측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작업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은,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기둥의 연결부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의 길이를 증가시켜 상기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단계, 상기 기둥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상기 연장된 기둥의 연결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는, 동일한 가이드레일에 복수 개의 리프팅유닛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 사이에 제1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지붕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둥의 양측으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둥 양측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작업발판 사이에 제2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유닛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기둥 상에 연장용 기둥을 더 연결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개(이때, n>1)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을 또 다른 영역의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유닛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내지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가 n회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리프팅유닛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지붕 구조물의 상향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합리적인 시공방법을 가지므로,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에 따라 전체 시공 소요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노후화된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수명 증대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건축물의 단위구획마다 설치된 지붕 구조물의 모습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을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 간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지붕 구조물이 상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을 건축물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지붕 구조물 상향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1)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Z1, Z2, Z3)으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Z1, Z2, Z3)은 복수의 단위구획(10)을 포함하며, 각 단위구획(10)에는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지붕 구조물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해 채택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건축물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대상 건축물은 그 면적에 따라 영역 분할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지붕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단위구획의 개수가 가감될 수도 있고, 또한 지붕 구조물이 별도의 단위구획 없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넓은 면적을 가지는 건축물(1)의 지붕 구조물 상향을 위해 효과적으로 영역을 분할한 것으로, 이와 같은 영역 분할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영역을 총 3개의 영역(Z1, Z2, Z3)로 분할하였으며, 이후에는 이들을 각각 제1영역(Z1), 제2영역(Z2), 제3영역(Z3)이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붕 구조물이라 함은, 일반적인 지붕의 형태뿐 아니라 트러스 구조물 형태, 상기 트러스 구조물 상에 추가적인 구조물이 더 구축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지붕 구조물은 건축물 등의 상부를 커버하는 구조물로서, 그 형태에 제한이 없다.
도 2는 건축물의 단위구획(10)마다 설치된 지붕 구조물(14)의 모습을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모듈화된 지붕 구조물(14)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각 단위구획(10)의 경계부에는 기둥(12)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 구조물(14)은 상기 기둥(12)에 연결부(16)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붕 구조물(14)은 트러스 구조물로서 복수의 앵글(A)이 서로 조립된 형태를 가지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100)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은, 먼저 건축물(1)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10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후술할 리프팅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건축물(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전체 건축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각 단위구획(10)의 양측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각 단위구획(10)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기둥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1영역(Z1) 내지 제3영역(Z3)에 걸쳐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시공의 편의를 위해 소정 길이마다 분할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100)은 지반(G)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구비되고, 후술할 리프팅유닛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리프팅유닛이 안착되는 안착면(122)과, 상기 안착면(122)의 양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24)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복열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유닛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레일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면(122)의 상부에 리프팅유닛을 지지하는 별도의 사각 플레이트를 더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철도의 레일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형태의 레일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을 가이드레일(100)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이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14)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100)을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되고,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리프팅유닛(200)을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길이는 상기 건축물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일측이 상기 건축물보다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일측에 설치한 뒤, 건축물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가이드레일(100)에 복수 개의 리프팅유닛(200)이 설치되며, 이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유닛(200)의 1차적인 기준위치는, 전술한 제1영역(Z1, 도 1 참조)의 각 단위구획인 것으로 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200) 사이에 제1작업발판(25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동일한 가이드레일(100)에 설치된 복수의 리프팅유닛(200)은 상기 제1작업발판(250)에 의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되며, 이에 따라 각 리프팅유닛(200)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가이드레일(100)에 설치된 상기 리프팅유닛(200) 간의 간격은 상기 단위구획의 중심점 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리프팅유닛(200)은 하나의 단위구획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리프팅유닛(200)의 간격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유닛(200)은 이동부(202)와, 고정부(210)와, 슬라이딩부(220)와, 지지부(240)와, 받침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202)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안착되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202)는 한 쌍의 이동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안착면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이동부(100) 상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220)는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상기 고정부(21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유닛(200)은 전체적으로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20)는 구동모터(222)와, 회전바(224)와, 연결바(226)와, 가이드롤러(228)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224)는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22)는 상기 회전바(224)에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224)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226)는 상기 회전바(224)에 구비된 이동부재와, 슬라이딩부(220)의 외측을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224)의 일 방향 회전 시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향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부(220) 전체가 상향되고, 상기 회전바(224)의 타 방향 회전 시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향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부(220) 전체가 하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228)는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상하 이동 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원활한 이동을 보조한다.
본 실시예의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은 타 구동 방식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 이동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후 상기 리프팅유닛(200)의 길이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지붕 구조물(14)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에 단순 접촉된 형태를 가지나, 이와 달리 상기 지지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앵글을 감싸는 고리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05)는 상기 고정부(210)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10)를 지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받침부(205)는 상기 리프팅유닛(200)이 기준위치로 이송된 이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정 시 안정성을 위해 상기 고정부(210)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205)는, 지반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정착구(207)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구(207)는 스크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유닛(200)이 이송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지반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유닛(200)은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에 의한 길이 조절 방식을 가지나, 이와 달리 유압 방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길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상기 지붕 구조물(14)을 지지하는 기둥(12)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유닛(200)은 상기 기둥(12)의 양측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 제2작업발판(27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 간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200) 사이에 제1작업발판(25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둥(12) 양측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유닛(20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작업발판(250) 사이에 제2작업발판(27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작업발판(270)은 상기 제1작업발판(250)과 함께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제2작업발판(270)의 경우 상기 기둥(12)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지붕 구조물과 기둥(12)의 연결부를 해체 및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작업발판(270)은 상기 기둥(12)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기둥(12)에 걸리지 않도록 해체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작업발판(270)은, 발판부(272) 및 연결부(274)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74)를 결합 및 분리하여 용이하게 해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지붕 구조물(14)이 상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200)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구조물(14)과 기둥(12)의 연결부(16)를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리프팅유닛(200)의 길이를 증가시켜 상기 지붕 구조물(14)을 상향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즉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킨 뒤 지반에 고정시키고, 상기 리프팅유닛(200)의 지지부(240)가 상기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지붕 구조물(14)과 기둥(12)의 연결부(16)를 해체하여 지붕 구조물(14)과 기둥(12)을 독립적으로 분리시키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30)를 구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부(2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붕 구조물(14)을 상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12)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구조물(14)과 상기 연장된 기둥(12)의 연결부(16)를 체결하는 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붕 구조물(14)을 상향시킨 상태에서는, 종래의 기둥(12)와 지붕 구조물(14) 사이에 공백 높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기둥(12)의 높이를 연장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둥(12)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기둥(12) 상에 연장용 기둥(22)을 더 연결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지붕 구조물(14)을 상향시킨 상태에서 종래의 기둥(12) 상에 연장용 기둥(22)을 연결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붕 구조물(14)과 연장용 기둥(22)의 연결부(16)를 체결하여 지붕 구조물(14)을 고정시킨다.
다만, 상기 기둥(12)의 높이 연장방법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처음부터 지붕 구조물의 상향을 염두에 두고 건축물을 시공하였다고 할 때, 상기 기둥(12) 자체가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을 복원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상기 지붕 구조물(14)과 상기 연장된 기둥(12)의 연결부(16)를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복원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본 단계에서는 지지부(240)를 지붕 구조물(14)의 하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슬라이딩부(220)를 하향시켜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최초의 길이로 복원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건축물의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지 않았다고 할 때, 이와 같은 한 번의 작업만으로 전체 지붕 구조물(14)이 상향되었을 것이므로,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복원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200) 및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해체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건축물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한 번의 작업으로는 제1영역(Z1, 도 1 참조)의 지붕 구조물(14)만이 상향된 상태이며, 이후 제2영역(Z2) 및 제3영역(Z3)의 지붕 구조물 상향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에 있어서, 리프팅유닛(200)을 건축물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복원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또 다른 영역의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후 전술한 상기 리프팅유닛(200)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내지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가 반복된다.
즉 상기 건축물(1)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개(이때, n>1)의 영역으로 분할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또 다른 영역의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프팅유닛(200)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내지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는 n회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건축물(1)의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킬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리프팅유닛(200) 및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해체하는 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영역(Z1), 제2영역(Z2) 및 제3영역(Z3)으로 분할하였으므로, 상기 과정이 총 3회 수행된다. 즉 제1영역(Z1)의 시공을 마친 후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도 11과 같이 제2영역(Z2) 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제2영역(Z3)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한다.
그리고 제3영역(Z3)의 시공을 종료한 후 상기 리프팅유닛(200)을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제1영역(Z1) 외측의 돌출 지점으로 이송시켜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해체함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건축물 10: 단위구획
12: 기둥 14: 지붕 구조물
16: 연결부 22: 연장용 기둥
100: 가이드레일 110: 베이스부
120: 가이드부 200: 리프팅유닛
202: 이동부 205: 받침부
210: 고정부 220: 슬라이딩부
230: 구동부 240: 지지부

Claims (11)

  1.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리프팅유닛이 기준위치로 이송된 이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정착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복수 개가 동일한 가이드레일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접한 리프팅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작업발판을 더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지붕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둥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기둥 양측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작업발판을 더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6.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 하부 지반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청구항 1의 이동부, 지지부, 받침부, 및 정착구를 구비하고, 상하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기준위치로 이송시키고, 상기 받침부에 구비된 상기 정착구를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의 상기 지지부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기둥의 연결부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유닛의 길이를 증가시켜 상기 지붕 구조물을 상향시키는 단계;
    상기 기둥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
    상기 지붕 구조물과 상기 연장된 기둥의 연결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는,
    동일한 가이드레일에 복수 개의 리프팅유닛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서로 인접한 리프팅유닛 사이에 제1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지붕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둥의 양측으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둥 양측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작업발판 사이에 제2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높이를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기둥 상에 연장용 기둥을 더 연결하는 것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개(이때, n>1)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팅유닛을 또 다른 영역의 기준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유닛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계 내지 상기 리프팅유닛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가 n회 더 수행되는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KR1020140187154A 2014-12-23 2014-12-23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KR10156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54A KR101567736B1 (ko) 2014-12-23 2014-12-23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54A KR101567736B1 (ko) 2014-12-23 2014-12-23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36B1 true KR101567736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154A KR101567736B1 (ko) 2014-12-23 2014-12-23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42B1 (ko) * 2017-12-14 2018-10-01 주식회사 원방테크 2분할 리프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리프팅 방식 시스템 실링 시공방법
CN114961284A (zh) * 2022-06-06 2022-08-30 上海柜族实业有限公司 一种集装箱房屋的组装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42B1 (ko) * 2017-12-14 2018-10-01 주식회사 원방테크 2분할 리프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리프팅 방식 시스템 실링 시공방법
CN114961284A (zh) * 2022-06-06 2022-08-30 上海柜族实业有限公司 一种集装箱房屋的组装设备
CN114961284B (zh) * 2022-06-06 2023-09-26 上海柜族实业有限公司 一种集装箱房屋的组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8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liding a structure attached to the wall
CN105909278A (zh) 一种组合式自动控制的模架及使用方法
CN110700871A (zh) 一种土木工程用隧道支撑模板
KR101567736B1 (ko)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상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구조물 상향방법
KR20190129189A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133182B1 (ko) 악세스플로어의 모듈화 시공방법
JP6917948B2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CN208884960U (zh) 一种建筑工程高空施工用的可移动式挑架
CN208455637U (zh) 一种基坑内钢支撑的安装系统
JP6568817B2 (ja) 加熱炉の構築方法
CN105951899A (zh) 基桩静载荷检测台移位机
KR20090101878A (ko)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및 방법
JP5940404B2 (ja) 梁部材の架設方法
CN105113536A (zh) 一种移动式地下结构侧墙支模系统及其施工方法
CN103343626A (zh) 板型钢网架t型支撑滑移安装方法及其结构
CN209413302U (zh) 带有施工平台的可移动式侧墙模板支撑系统
JP6318076B2 (ja) 鉄塔の解体方法及び鉄塔の解体装置
JP2017071998A (ja) 移動架設台車
JP2003268879A (ja) 屋根構造物の構築方法
JP7390259B2 (ja) 建物ユニットの設置方法
JP6878819B2 (ja) 屋根の構築方法
CN205677281U (zh) 一种用于房改造的屋架结构荷载快速转移装置
JP7380322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KR200197364Y1 (ko)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JP5676724B1 (ja) 建て起し工法及び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