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373B1 -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 Google Patents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373B1
KR100874373B1 KR1020080064281A KR20080064281A KR100874373B1 KR 100874373 B1 KR100874373 B1 KR 100874373B1 KR 1020080064281 A KR1020080064281 A KR 1020080064281A KR 20080064281 A KR20080064281 A KR 20080064281A KR 100874373 B1 KR100874373 B1 KR 10087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shaft
roll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to KR102008006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교량에 있어서; 인접된 교량 슬래브 선단 중앙분리대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위치되되 중앙분리대 상면과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단수직절곡된 좌우측 한 쌍의 판체로, 내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내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내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내측판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외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외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외측판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내측판과 상기 수직외측판 사이의 상단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좌우측단에서 상부로 수직절곡되는 좌우측축돌부를 갖으며 좌우측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상단면과 밀착되어 유선조정기와 연결된 콘트롤박스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상단구동롤러를 갖는 수평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판 전후방선단에는 연결관이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구동틀과;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각 연결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형상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측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각각 관통되는 전후방관통공을 각각 갖고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을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고정바가 형성되는 간격유지틀과;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좌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어 우측하부에 위치되며 중심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좌측지지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우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좌측지지바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 지지축이 축고정되는 축공을 갖으며 좌측하부에 위치되는 우측지지바가 형성되는 전후방측지지틀과; 전후방측에 상기 전후방측지지틀의 좌우측지지바 하단의 축봉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내레일홈을 전후방측에 각각 갖고 작업자가 기립되는 판체인 작업판이 형성되고, 작업판 선단부 사방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이 기립설치되는 작업대를 구비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교량이 인접된 쌍 교량에서 교량 하부의 안전 진단을 시행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고, 주행이 가능한 안전진단 기구대를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두 개의 교량사이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여 안전진단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전후방측구동틀, 간격유지틀, 전후방측지지틀, 작업대

Description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Safety check-up apparatus of median strip for bridge that is possible regulation of width}
본 발명은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교량이 인접된 쌍 교량에서 교량 하부의 안전 진단을 시행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고, 주행이 가능한 안전진단 기구대를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두 개의 교량사이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여 안전진단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교량 하부의 안전 진단 작업시, 크레인 또는 특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상기 크레인 또는 특수 사다리차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 진단 작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폭이 넓은 한강과 같은 교량 또는 해상 교량에 대한 안전 진단 작업시 교량을 전면 통제하고 안전 진단 작업이 실시되는 관계로, 막대한 장비의 동원에 따른 예산 낭비와, 안전 진단 작업중 낙하되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포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교량이 인접된 쌍 교량에서 교량 하부의 안전 진단을 시행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고, 주행이 가능한 안전진단 기구대를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두 개의 교량사이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여 안전진단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교량에 있어서; 인접된 교량 슬래브 선단 중앙분리대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위치되되 중앙분리대 상면과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단수직절곡된 좌우측 한 쌍의 판체로, 내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내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내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내측판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외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외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외측판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내측판과 상기 수직외측판 사이의 상단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좌우측단에서 상부로 수직절곡되는 좌우측축돌부를 갖으며 좌우측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상단면과 밀착되어 유선조정기와 연결된 콘트롤박스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상단구동롤러를 갖는 수평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판 전후방선단에는 연결관이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구동틀과;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각 연결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형상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측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각각 관통되는 전후방관통공을 각각 갖고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을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고정바가 형성되는 간격유지틀과;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좌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어 우측하부에 위치되며 중심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좌측지지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우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좌측지지바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 지지축이 축고정되는 축공을 갖으며 좌측하부에 위치되는 우측지지바가 형성되는 전후방측지지틀과;
작업자가 기립되어 이동되는 판체인 작업판이 형성되고, 작업판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으로 길고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그 전후방측 선단면에는 각각 상기 전후방측지지틀의 좌우측지지바 하단의 축봉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내레일홈이 각각 형성되며, 작업판 선단부 사방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이 기립설치되는 작업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교량이 인접된 쌍 교량에서 교량 하부의 안전 진단을 시행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고, 주행이 가능한 안전진단 기구대를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두 개의 교량사이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여 안전진단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작업대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는, 교량 슬리브(50,50a) 중앙분리대(51,51a) 전후방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과,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의 좌우측이나 전후방측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간격유지틀(20)과,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 하단에 작업대(4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전후방측지지틀(30,30a)과, 작업자가 위치되어 안전진단이 이루어지는 작업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은 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교량에 있어서, 인접된 교량 슬래브(50,50a) 선단 중앙분리대(51,51a)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위치되되 중앙분리대(51,51a) 상면과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단수직절곡된 좌우측 한 쌍의 판체로, 내측면에는 롤러홈(13a)을 갖고 롤러홈(13a)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13c,13d)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13c,13d)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51,51a) 내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내측가이드롤러(13b)를 갖는 수직내측판(1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롤러홈(12a)을 갖고 롤러홈(12a)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12c,12d)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12c,12d)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51,51a) 외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외측가이드롤러(12b)를 갖는 수직외측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내측판(13)과 상기 수직외측판(12) 사이의 상단면에는 롤러홈(11a)을 갖고 롤러홈(11a) 좌우측단에서 상부로 수직절곡되는 좌우측축돌부(11d,11e)를 갖으며 좌우측축돌부(11d,11e)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51,51a) 상단면과 밀착되어 유선조정기(15)와 연결된 콘트롤박스(14)에 의해 구동모터(11c)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상단구동롤러(11b)를 갖는 수평연결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판(11) 전후방선단에는 연결관(16)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틀(20)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의 각 연결관(16)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형상의 간격유지폭조절바(22,22a)가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측의 간격유지폭조절바(22,22a)가 각각 관통되는 전후방관통공(21a,21b)을 각각 갖고 상기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을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고정바(21)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측지지틀(30,30a)은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10,10b)의 좌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12)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31c)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31b)이 통공형성되어 우측하부에 위치되며 중심측에는 관통공(31a)을 갖는 좌측지지바(31)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10a,10c)의 우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12)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32b)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32a)이 통공형성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좌측지지바(31)가 관통하는 관통장공(32c)을 갖고 상기 관통공(31a) 연장선상에 지지축(32d)이 축고정되는 축공(32e)을 갖으며 좌측하부에 위치되는 우측지지바(32)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40)는 작업자가 기립되어 이동되는 판체인 작업판(41)이 형성되고, 작업판(41)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으로 길고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그 전후방측 선단면에는 각각 상기 전후방측지지틀(30,30a)의 좌우측지지바(31,32) 하단의 축봉(31c,32b)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내레일홈(42,42a)이 각각 형성되며, 작업판(41) 선단부 사방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43)이 기립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50,50a) 중앙분리대(51,51a) 전후방측에 좌우 한 쌍의 전후방측구동틀(10,10a)(10b,10c)을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간격유지틀(20)로 좌우측과 전후방측의 간격을 조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후방측지지틀(30,30a) 하단의 작업대(40) 작업판(41)에 작업자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유선조정기(15)를 거쳐 콘트롤박스(14)를 통해 구동모터(11c)를 각각 구동시키면 작업대(40) 서서히 전방이나 후방측으로 구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교량 슬래브(50,50a)의 인접된 중앙분리대(51,51a)의 안전을 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작업대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 : 전후방측구동틀 11 : 수평연결판
11a : 롤러홈 11b : 상단구동롤러
11c : 구동모터 11d,11e : 좌우측축돌부
12 : 수직외측판 12a : 롤러홈
12b : 외측가이드롤러 12c,12d : 상하부측돌부
13 : 수직내측판 13a : 롤러홈
13b : 내측가이드롤러 13c,13d : 상하부축돌부
14 : 콘트롤박스 15 : 유선조정기
16 : 연결관
20 : 간격유지틀 21 : 간격유지고정바
21a,21b : 전후방관통공 22,22a : 간격유지폭조절바
30,30a : 전후방측지지틀 31 : 좌측지지바
31a : 관통공 31b : 높낮이조절공
31c : 축봉 32 : 우측지지바
32a : 높낮이조절공 32b : 축봉
32c : 관통장공 32d : 지지축
32e : 축공
40 : 작업대 41 : 작업판
42,42a : 안내레일홈 43 : 난간
50,50a : 교량 슬리브 51,51a : 중앙분리대

Claims (1)

  1. 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교량에 있어서; 인접된 교량 슬래브 선단 중앙분리대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위치되되 중앙분리대 상면과 내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단수직절곡된 좌우측 한 쌍의 판체로, 내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내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내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내측판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상하부축돌부를 갖으며 상하부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외측면과 밀착되어 축회동되는 외측가이드롤러를 갖는 수직외측판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내측판과 상기 수직외측판 사이의 상단면에는 롤러홈을 갖고 롤러홈 좌우측단에서 상부로 수직절곡되는 좌우측축돌부를 갖으며 좌우측축돌부에 축결합되어 중앙분리대 상단면과 밀착되어 유선조정기와 연결된 콘트롤박스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상단구동롤러를 갖는 수평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판 전후방선단에는 연결관이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구동틀과;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각 연결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형상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측의 간격유지폭조절바가 각각 관통되는 전후방관통공을 각각 갖고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을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고정바가 형성되는 간격유지틀과;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좌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어 우측하부에 위치되며 중심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좌측지지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구동틀의 우측에 위치된 수직외측판 하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간격으로 축봉이 삽입되는 높낮이조절공이 통공형성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좌측지지바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 지지축이 축고정되는 축공을 갖으며 좌측하부에 위치되는 우측지지바가 형성되는 전후방측지지틀과;
    작업자가 기립되어 이동되는 판체인 작업판이 형성되고, 작업판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으로 길고 상하로 관통형성되되 그 전후방측 선단면에 각각 상기 전후방측지지틀의 좌우측지지바 하단의 축봉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내레일홈이 각각 형성되며, 작업판 선단부 사방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이 기립설치되는 작업대를 구비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KR1020080064281A 2008-07-03 2008-07-03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KR10087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81A KR100874373B1 (ko) 2008-07-03 2008-07-03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81A KR100874373B1 (ko) 2008-07-03 2008-07-03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373B1 true KR100874373B1 (ko) 2008-12-18

Family

ID=4037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281A KR100874373B1 (ko) 2008-07-03 2008-07-03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19B1 (ko) 2010-11-08 2011-03-29 (주)한맥도시개발 교각 고핑용 교좌장치의 안전진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11Y1 (ko) 2000-01-28 2000-07-15 김동필 교량 점검용 방호벽을 이용한 이동식 출입장치
KR200197364Y1 (ko)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200364283Y1 (ko) 2004-07-23 2004-10-19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교량의 중앙 분리대 공간을 이용한 안전진단 기구대
KR100851247B1 (ko) 2008-04-10 2008-08-08 (주)한국건설안전진단 교량 중앙 분리대 공간을 이용한 안전진단 기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11Y1 (ko) 2000-01-28 2000-07-15 김동필 교량 점검용 방호벽을 이용한 이동식 출입장치
KR200197364Y1 (ko)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200364283Y1 (ko) 2004-07-23 2004-10-19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교량의 중앙 분리대 공간을 이용한 안전진단 기구대
KR100851247B1 (ko) 2008-04-10 2008-08-08 (주)한국건설안전진단 교량 중앙 분리대 공간을 이용한 안전진단 기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19B1 (ko) 2010-11-08 2011-03-29 (주)한맥도시개발 교각 고핑용 교좌장치의 안전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0812B (zh) 一种新型高效铺砖机
CN210855185U (zh) 一种房建施工用升降装置
KR100922315B1 (ko) 아케이드 지붕청소 및 점검장치
KR100874373B1 (ko) 폭조절이 가능한 교량 중앙 분리대의 안전진단 기구대
JP6092343B1 (ja) 乗客コンベア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CN115367618A (zh) 一种应用于桥门式起重设备的起吊小车
CN204162313U (zh) 建筑吊装设备
JP4866849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かご案内装置
CN108867388A (zh) 多功能作业平台车
CN214269960U (zh) 一种具有防啃轨小车的起重装置
CN212076212U (zh) 一种吊钩桥式起重机
RU2007138071A (ru) Передвижные подмости
CN207312883U (zh) 无井道电梯
CN206393443U (zh) 用于固定打磨工件的移动台
KR200308491Y1 (ko) 고가 사다리 소방차용 사다리의 상부 프레임 구조
RO134297A2 (ro) Pat retractabil cu sistem mecanic pentru înălţime variabilă
CN220502364U (zh) 可拆卸电梯立柱组件
CN220814809U (zh) 一种建筑工程用脚手架
CN219548369U (zh) 一种新型建筑施工吊篮
CN214463185U (zh) 一种工程施工用防护栏
CN212388923U (zh) 一种自动抹墙机
CN216379175U (zh) 一种用于拱桥拱肋的自行爬升脚手架装置
CN220953016U (zh) 桥外侧快速移动吊篮
CN108946421B (zh) 一种防跌落手扶电梯安全机械辅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