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273Y1 - 고무제품 성형기 - Google Patents

고무제품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273Y1
KR200193273Y1 KR2020000001675U KR20000001675U KR200193273Y1 KR 200193273 Y1 KR200193273 Y1 KR 200193273Y1 KR 2020000001675 U KR2020000001675 U KR 2020000001675U KR 20000001675 U KR20000001675 U KR 20000001675U KR 200193273 Y1 KR200193273 Y1 KR 200193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ress
product
mol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7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고무제품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고무제품의 성형에 사용되는 사출기와 프레스기를 일체로 시스템화하여 두 기기의 정점만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무 원재료를 절감하면서 고무제품을 성형완료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인원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생산량도 큰폭으로 증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정량 공급받아 사출하면서 고무제품을 일차적으로 가성형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이송받아 프레싱하여 완전한 형태로 성형하는 프레스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품 이송장치와, 상기 제품 이송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제품 취출장치로 이루어 진 고무제품 성형기이다.

Description

고무제품 성형기{machine for molding of rubber products}
본 고안은 고무제품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기와 프레스기를 일체로 시스템화하여 상기 사출기와 프레스기의 장점만을 이용하도록 함에 따라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제품로스(products loss) 및 런너로스(runner loss)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어떠한 종류의 제품이던지 빠른시간에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제품은 각종 기기및 기구물의 부품으로 사용되는데, 성형은 통상 사출기를 이용하거나 프레스기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고무제품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사출기는 관련 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사출용 하금형을 사출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시켜 사출금형을 이루는 사출금형 결합공정과,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적정량 계량하면서 이 계량된 만큼의 고무 원재료를 상기 사출금형 내로 공급하여 사출금형의 형상대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 고무제품 가성형공정과, 상기 사출금형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구워 완전한 형상의 고무제품으로 성형하는 가열공정과, 상기 가열공정에 의해 사출금형의 형상대로 구워져 성형된 고무제품을 상기 사출금형에서 분리하는 고무제품 분리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고무제품을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사출용 하금형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사출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되면서 사출금형을 이루게 되면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가 적당량 만큼 계량되면서 상기 사출금형 내로 공급되어 고무제품이 가성형된다.
이후 사출용 하열판과 사출용 상열판이 가열되어 사출금형의 온도를 고무제품이 완전하게 성형 될 수 있을 만큼의 온도인 150∼180℃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면 상기 사출금형 내의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구워지면서 완전한 형상의 고무제품으로 성형 완료된다.
이와 같이하여 고무제품이 성형 완료되고 나면 사출용 하금형과 사출용 상금형이 분리되는데, 이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성형 완료되어 있는 고무제품을 취출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사출기는 고무제품의 성형에 들어갈 고무 원재료의 중량을 별도로 마출 필요가 없고, 구조적으로 복잡한 형상이거나 크기가 큰 고무제품도 성형이 가능하며, 고무 원재료의 손실율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로 한꺼번에 많은수량을 성형하지 못하고, 기기의 가격이 고가인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고무제품 성형을 위해 사출금형 내로 고무 원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사출금형 내부와 연통되어 고무 원재료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내부에 고무 원재료가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상기 제품금형 내로 공급된 고무 원재료를 구워 성형시킬 때 공급관로 내에 남아있는 고무 원재료도 그대로 구워지면서 성형이 되므로 상기 공급관로의 형상대로 런너로스가 일체형성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취출한 후에는 반드시 런너로스 제거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수의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함은 물론 완벽한 상태의 고무제품이 만들어지기 까지의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량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고무제품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스기는 관련 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판상의 고무 원재료를 적정중량으로 계량하여 이를 사출용 하금형 위로 올려 놓는 원재료 투입공정과, 상기 적정중량의 원재료가 투입된 사출용 하금형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사출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된 상태로 프레스금형을 이루면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 고무제품 가성형 공정과, 상기 프레스금형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구워 완전한 형상의 고무제품으로 성형하는 가열공정과, 상기 가열공정에 의해 프레스금형의 형상대로 구워져 성형된 고무제품을 상기 프레스금형에서 분리하는 고무제품 분리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고무제품을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판상의 조각으로된 고무 원재료를 일차적으로 계량하여 적정중량으로 맞춘 다음 이 계량된 판상의 고무 원재료 조각을 일단 프레스용 하금형 위에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용 하금형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프레스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되면 프레스금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스금형의 형상대로 고무제품이 가성형된다.
이후 프레스용 하열판과 프레스용 상열판이 가열되어 프레스금형의 온도를 고무제품이 완전하게 성형 될 수 있을 만큼의 온도인 150∼180℃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면 상기 프레스금형 내의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구워지면서 완전한 형상으로 고무제품이 성형 완료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스기는 한꺼번에 많은수량을 성형할 수 있고, 기기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로 고무제품의 성형에 들어갈 고무 원재료의 중량을 성형작업 이전에 별도로 맞추어야 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한 형상이거나 크기가 큰 고무제품은 성형이 어려우며, 성형된 고무제품과 고무제품 사이 부분인 제품로스에 들어갈 량 만큼 고무 원재료를 필요로 하므로 상기 고무 원재료의 손실율이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무제품 성형을 위해 판상의 고무 원재료 조각이 올려진 프레스용 하금형을 프레스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시켜 복수개의 고무제품을 일체로 가성형한 다음 완전하게 성형 완료하였을 때 상기 각 프레스성형된 고무제품 사이에는 실제로 고무제품의 성형에 들어가지 않는 부분인 제품로스가 생기게 되므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취출한 후에는 반드시 별도의 제품로스 제거용 프레스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수작업에 의해 상기 제품로스를 제거하여 성형 완료된 순수한 고무제품만을 분리해내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수의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함은 물론 완벽한 상태의 고무제품이 만들어지기 까지의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량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출기 및 프레스기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사출기와 프레스기를 일체로 시스템화하여 두 기기의 정점만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무원재를 절감하면서 고무제품을 성형완료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인원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생산량도 큰폭으로 증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기에 의해 사출 성형 완료된 직후의 고무제품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프레스기에 의해 프레스 성형 완료된 직후의 고무제품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되기 전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하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여 진공흡착부재가 제품금형을 클램핑한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진공흡착부재가 제품금형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이송장치의 수직이동판이 상방으로 수직이동된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평이동대가 프레스장치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진공흡착부재에 클램핑된 제품금형을 상기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킨 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여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된 제품금형을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 완료시킨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을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 완료시킨 다음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다시 상방으로 수직이동된 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안착된 프레스용 수평이동대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된 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17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하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18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도
도 19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에 들어있는 고무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일차 수직이동된 상태도
도 20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에 들어있는 고무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이차 수직이동되어 고무제품을 취출하는 상태도
도 21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2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구성요소인 제품금형에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사출용 메인 실린더
3, 사출용 가이드바 4. 사출용 지지체
4a. 원재료 주입통공 5. 사출용 가동판
6. 사출용 하열판 7. 사출용 하금형
8. 사출용 수직이동대 9. 사출용 가이드레일
10. 사출용 수평이동대 11.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
12. 제품금형 13. 공급관로
14. 스크류 컨베이어 15. 원재료 주입실린더
16. 사출용 상열판 17. 사출용 상금형
18. 사출용 록킹 실린더 19. 사출용 고정판
20. 사출용 고정바 21.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
22. 프레스용 가이드바 23. 프레스용 지지체
24. 프레스용 가동판 25. 프레스용 하열판
26. 프레스용 하금형 27. 프레스용 수직이동대
28. 프레스용 가이드레일 29. 프레스용 수평이동대
30.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 31. 프레스용 상열판
32. 프레스용 상금형 33.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
34. 프레스용 고정판 35. 프레스용 고정바
38. 이송용 지지대 39. 이송용 가이드레일
40. 이송용 수평이동대 41. 이송용 연결대
42.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 43. 이송용 가이드바
44. 이송용 수직이동판 45. 이송용 수직실린더
46. 진공흡착부재 47, 스프링
48, 취출용 수평이동판 50. 취출용 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정량 공급받아 사출하면서 고무제품을 일차적으로 가성형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이송받아 프레싱하여 완전한 형태로 성형하SMS 프레스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품 이송장치와, 상기 제품 이송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제품 취출장치로 이루어 진 고무제품 성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2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되기 전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하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도이고, 또한 도 8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여 진공흡착부재가 제품금형을 클램핑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진공흡착부재가 제품금형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이송장치의 수직이동판이 상방으로 수직이동된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평이동대가 프레스장치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진공흡착부재에 클램핑된 제품금형을 상기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킨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여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된 제품금형을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 완료시킨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을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 완료시킨 다음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다시 상방으로 수직이동된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안착된 프레스용 수평이동대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된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상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하부로 수직이동 완료된 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도이며, 도 19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에 들어있는 고무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일차 수직이동된 상태도이고, 도 20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로서,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에 들어있는 고무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하방으로 이차 수직이동되어 고무제품을 취출하는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의 구성요소인 제품금형에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사출용 메인 실린더(2)가 고정되고, 상기 사출용 메인 실린더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사출용 가이드바(3)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중심부에는 고무 원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원재료 주입공(4a)이 일체 형성된 사출용 지지체(4)가 고정되며, 상기 사출용 가이드바(3)에는 사출용 메인 실린더(2)의 작동시 각 사출용 가이드바(3)의 안내를 받아 상,하 수직이동가능하도록 사출용 가동판(5)이 설치되고, 상기 사출용 가동판의 상부에는 사출용 가동판(5)의 이동시 함께 수직이동하도록 사출용 하열판(6)을 갖는 사출용 하금형(7)이 고정되며, 상기 사출용 가동판(5)의 상방에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틀 형상의 사출용 수직이동대(8)가 사출용 가이드바(3)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출용 가동판(5)에 의해 하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사출용 가동판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는 사출용 가이드레일(9)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사출용 수평이동대(10)가 설치되며,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후면에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11)가 부착되고,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는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데 일차적으로 이용됨과 함께 이후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주는데 이용되도록 제품금형(12)이 안착되며, 상기 사출용 지지체(4)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공급관로(13)가 고정되고, 상기 공급관로의 일측 적소에는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외부에서 공급받아 이를 적정량 만큼 계량하면서 공급관로(12) 내로 공급하도록 스크류 컨베이어(14)가 부착되며, 상기 사출용 지지체(4)의 상부에는 공급관로(12)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급관로 내로 공급된 적정량의 고무 원재료를 사출용 지지체(4)에 형성된 원재료 주입공(4a)을 통해 사출용 금형 내로 주입하도록 원재료 주입실린더(15)가 부착되고, 상기 사출용 지지체(4)의 하부에는 사출용 가동판(5)이 상부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사출용 하금형(7)과 어느 순간 기밀 접촉되도록 사출용 상열판(16)을 갖는 사출용 상금형(17)이 고정되어 사출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양측면 후반부에는 복수개의 사출용 록킹 실린더(18)가 부착되어 상기 각 사출용 록킹 실린더의 로드(18a)가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된 제품금형(12)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도록 한다.
상기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메인 실린더(2)의 외측 적소에는 상부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출용 고정판(19)이 고정되고,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하부면 적소에는 사출용 가동판(5)과 함께 사출용 수직이동대(8)가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그 하단이 각 사출용 고정판(19) 및 사출용 메인 실린더(2)에 접촉되면서 사출용 수직이동대(8)를 사출용 하금형(7)과 이격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사출용 고정바(20)가 고정된다.
또한 사출장치와 일정간격 이격된 일측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프레스용 가이드바(22)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프레스용 지지체(23)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스용 가이드바(22)에는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의 작동시 각 프레스용 가이드바(22)의 안내를 받아 상,하 수직이동가능하도록 프레스용 가동판(24)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의 상부에는 프레스용 가동판(24)의 이동시 함께 수직이동하도록 프레스용 하열판(25)을 갖는 프레스용 하금형(26)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24)의 상방에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틀 형상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가 프레스용 가이드바(22)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스용 가동판(24)에 의해 하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사출용 가동판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에는 프레스용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후면에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도록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30)가 부착되고, 상기 프레스용 지지체(23)의 하부에는 프레스용 가동판(24)이 상부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프레스용 하금형(26)과 어느 순간 기밀 접촉되도록 프레스용 상열판(31)을 갖는 프레스용 상금형(32)이 고정되어 프레스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양측면 후반부에는 복수개의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33)가 부착되어 상기 각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의 로드(33a)가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된 제품금형(12)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도록 한다.
상기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의 외측 적소에는 상부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레스용 고정판(34)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하부면 적소에는 프레스용 가동판(24)과 함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가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그 하단이 각 프레스용 고정판(24) 및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에 접촉되면서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를 프레스용 하금형(26)과 이격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프레스용 고정바(35)가 고정된다.
그리고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지지체(4)의 전면 바깥쪽에는 사출용 고정브라켓(36)이 고정됨과 함께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지지체(23)의 전면 바깥쪽에는 프레스용 고정브라켓(37)이 고정되고, 상기 사출용 고정브라켓(36)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의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프레스용 고정브라켓(37)에는 상기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각 이송용 지지대의 상부면에는 이송용 가이드레일(39)을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각각 이송용 수평이동대(40)가 설치되고, 상기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는 이송용 연결대(41)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프레스용 고정브라켓(37)에는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40)중 어느 하나의 이송용 수평이동대에 좌,우로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42)가 부착되고, 상기 이송용 수평이동대(40)에서 부터 이송용 연결대(41)를 향해 복수개의 이송용 가이드바(43)가 상,하 수직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이송용 가이드바의 하단에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용 연결대(41)에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상,하 수직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부착되고,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는 제품금형(12)을 진공 흡착기 위한 진공흡착부재(46)가 스프링(47)에 의해 수직이동가능한 상태로 탄력설치되어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의 하부에는 이송용 수직실린더(45)에 의해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수직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도록 취출용 수평이동판(48)이 복수개의 취출용 고정바(49)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취출용 수평이동판(48)의 하부면에는 취출용 수평이동판이 하부로 이동할 때 제품금형(12)에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취출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취출용 핀(50)이 고정되어 제품 취출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고무제품 성형기에 의해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 상태에서는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의 선단을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4)의 원재료공급공(14a)에 물려 이후 기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가 스크류 컨베이어 내로 일차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4와 같은 상태는 사출장치에 의해 고무제품을 가성형하기 전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가동판(5)과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가동판(24)이 하방으로 완전이 수직이동되어 있고, 상기 사출장치의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 사출용 가이드레일(9)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가 사출용 하금형(7) 및 사출용 상금형(17)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프레스장치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에 프레스용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프레스용 하금형(26) 및 프레스용 상금형(32)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데 일차적으로 이용되는 제품금형(12)이 상기 사출장치의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있다.
또한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의 상부면에 각각 이송용 가이드레일(39)을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수평이동대(40)는 사출장치 쪽인 도면상 우측으로 완전하게 수평이동되어(도 3 참조) 이후 과정에서 사출장치에 의해 고무제품이 가성형되었을 때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상기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베이스(1)에 고정된 사출용 메인 실린더(2)가 작동하여 로드(2a)를 밀어주면 사출용 가동판(5)이 상기 사출용 메인 실린더(2)의 로드(2a)에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사출용 가이드바(3)에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상기 사출용 가동판(5)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는 사출용 가동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사출용 하열판(6)을 갖는 사출용 하금형(7)과 사출용 가동판(5)에 하부이동이 제한되도록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직사각틀 형상의 사출용 수직이동대(8) 그리고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에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사출용 수평이동대(10) 및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12)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하부면 적소에 부착된 복수개의 사출용 고정바(2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사출용 메인 실린더(2)에 의해 사출용 가동판(5)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어느 순간 도 5와 같이 사출용 하금형(7)의 상단과 사출용 상금형(17)의 하단이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기밀 접촉되어 상기 사출용 하금형(7)과 사출용 상금형(17) 그리고 제품금형(12)이 하나의 사출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사출용 금형 결합체가 이루어지기 전 상태에서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사출용 록킹 실린더(18)가 동시에 작동하여 로드(18a)를 서로 대향되는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므로 상기 각 사출용 록킹 실린더(18)의 로드(18a)가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의 상부면 가장자리부를 잡아주게되므로 결국 상기 제품금형(12)이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록킹된 상태로 있게된다.
상기에서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된 제품금형(12)이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록킹되도록 한 것은, 후술하는 작용에서 사출용 금형 결합체 내로 고무 원재료가 주입되어 고무제품이 일차적으로 가성형된 후 사출용 가동판(5)이 사출용 하금형(7)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출용 수직이동대(8)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이 사출용 상금형(17)에서 달라붙지 않고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도 5와 같이 사출용 금형 결합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크류 컨베이어(14)가 구동하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원재료공급공(12a)에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의 선단이 물려 있으므로 상기 고무 원재료는 스크류 컨베이어(14) 내로 공급된 다음 계속해서 사출용 지지체(4)의 상부면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는 공급관로(13) 내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관로 내로 공급되는 고무 원재료는 도시하지 않은 계량수단에 의해 적정량(일회 고무제품이 성형될 수 있을 만큼의 고무 원재료량)으로 이미 계량된 상태이면서 도시하지 않은 가열수단에 의해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50∼60℃)로 가열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적정량의 고무 원재료가 공급관로(13) 내로 공급 완료되고 나면 상기 공급관로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원재료 주입실린더(15)가 작동하여 상기 공급관로(13) 내로 공급되어 있는 고무 원재료를 하방으로 가압시켜 주므로 고무 원재료는 사출용 지지체(4)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재료 주입통공(4a)을 통해 사출용 금형 결합체 내로 주입되어 상기 사출용 금형의 형상대로 고무제품이 일차적으로 가성형되는데, 상기 고무 원재료가 사출용 금형 결합체 내로 주입되어 고무제품이 일차적으로 가성형되는 동안 사출용 하열판(6)과 사출용 상열판(16)은 약 50∼60℃ 정도로 가열되면서 가성형되는 고무제품이 완전한 형태의 고무제품으로 구워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그 열이 식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무 원재료가 사출용 금형 결합체 내로 주입되어 고무제품이 가성형되면, 곧바로 사출용 메인 실린더(2)가 작동하여 로드(2a)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므로 상방으로 수직이동되어 있던 사출용 가동판(5)이 사출용 가이드바(3)에 안내되면서 사출용 하금형(7)과 함께 다시 하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이때에는 사출용 가동판(5)에 하부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사출용 가동판과 이격되어 있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가 사출용 가이드바(3)의 안내를 받으면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수직이동되므로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 전,후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는 제품금형(12)이 안착되어 있고, 이 안착된 제품금형은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8)에 록킹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제품금형(12)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사출용 상금형(17)과 큰 어려움 없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작용에 의해 사출용 가동판(5)이 하방으로 수직이동 되는 어느 순간 상기 사출용 가동판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하부면 적소에는 복수개의 사출용 고정바(20)가 고정되어 있고, 사출용 메인 실린더(2)의 둘레면 적소에는 사출용 고정판(19)이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사출용 고정바(20)중 일부는 사출용 고정판(19)에 간섭됨과 동시에 일부는 사출용 메인 실린더(2)에 직접 간섭되므로 이후 계속해서 사출용 메인 실린더(2)의 로드(2a)가 하방으로 더 잡아당겨지면서 사출용 가동판(5)과 함께 사출용 하금형(7)을 더욱 하방으로 수직이동시키더라도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 만큼은 더이상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사출용 수평이동대(8)에 안착되어 록킹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은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그대로 계속 들어있는 상태에서 사출용 하금형(7)과 도 6과 같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8)가 하방으로 이동 완료된 직후에는 사출용 수직이동대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된 복수개의 사출용 록킹 실린더(18)가 작동하여 로드(18a)를 잡아당겨 주므로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후면에 부착된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11)가 작동하여 로드(11a)를 밀어주면, 상기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11)의 로드(11a)가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 설치되어 있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와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사출용 가이드레일(9)을 따라 전방쪽인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10)가 도 7과 같이 전방쪽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출용 하금형(7) 및 사출용 상금형(17)의 수직선상에서 전방 바깥측으로 완전하게 빠져나와 있게 된다.
계속해서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면서 한쌍의 이송용 수평이동대(40)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이송용 연결대(41)에 부착된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로드(45a)를 하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45)의 로드(45a)가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은 하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이때에는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수평이동대(40)에서 부터 상기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를 일체로 연결하여 주고 있는 이송용 연결대(41)를 향해 복수개의 이송용 가이드바(43)가 상,하 수직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은 각 이송용 가이드바(4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이송용 가이드바(43)도 이송용 수직이동판(44)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하방 수직이동을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적소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스프링(47)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진공흡착부재(46)의 패드가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의 상부면에 도 8과 같이 기밀 접촉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입기가 상기 진공흡착부재(46)의 패드 내부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만들어주므로 결국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 있는 제품금형(12)이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고, 이후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로드(45a)를 잡아당겨주면 결국 진공흡착부재(46)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된 제품금형(12)은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서 빠져나와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가 설치되어 있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상방에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용 지지체(23)의 전면 바깥쪽에 고정되어 사출용 고정브라켓(36)과 함께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를 수평상태로 고정하고 있는 프레스용 고정브라켓(37)에 부착된 제품 이송장치인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42)가 작동하여 로드(42a)를 도면상 좌측인 프레스장치 쪽으로 잡아당겨 주면, 상기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42)의 로드(42a)가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의 상부면에 각각 이송용 가이드레일(39)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수평이동대(40)중 어느 하나의 이송용 수평이동대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42)의 로드(42a)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이송용 수평이동대가 사출장치 쪽인 도면상 우측(도 10 참조)에서 프레스장치 쪽인 도면상 좌측으로 먼저 수평이동력을 갖게되는데, 상기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40)는 이송용 연결대(41)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40)가 이송용 가이드레일(39)을 따라 함께 프레스장치 쪽인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송용 수평이동대(40)가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상태에서는 이송용 연결대(41)에 부착되어 있는 이송용 수직실린더(45)와 상기 이송용 수평이동대(40)에서 부터 이송용 연결대(41)를 향해 수직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복수개의 이송용 가이드바(43) 그리고 상기 이송용 가이드바의 하단에 고정된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함께 수평이동하므로 결국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설치된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어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던 제품금형(12)이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위치이동 된다.
상기한 작용에서 제품 이송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이 사출장치 쪽에서 프레스장치 쪽으로 수평이동하는 동안 상기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에 전,후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는데(도 11 참조),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은 후술하는 과정에서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한 제품금형(12)의 흡착력이 해제될 때 상기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받쳐지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로드(45a)를 하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45)의 로드(45a)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각 이송용 가이드바(43)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어느 순간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설치된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이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받쳐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흡착부재(46)의 패드에 가해지는 흡입력이 제거되므로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은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도 13과 같이 받쳐지면서 안착되는데, 상기 제품금형(12)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고 나면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설치되어 제품금형(12)을 흡착하고 있던 진공흡착부재(46)의 패드에 가해지는 공기흡입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진공흡착부재에 의한 제품금형(12)의 흡착력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곧바로 작동하여 이송용 수평이동판(44)을 상방으로 도 14와 같이 수직이동시켜 주므로 이후 과정에서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가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수직이동판(44) 및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에 설치된 진공흡착부재(46)에 간섭되는 일이 없게된다.
계속해서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면,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30)가 작동하여 로드(30a)를 잡아당기므로 상기 제품금형(12)이 안착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프레스용 가이드레일(28)을 따라 후방으로 수평이동하고,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도 15와 같이 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이 프레스용 하금형(26) 및 프레스용 상금형(3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데, 상기 제품금형(12)이 안착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후방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직후에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된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33)가 작동하여 로드(33a)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므로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어 있는 가성형된 고부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이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록킹된다.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제품금형(12)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록킹된 후 베이스(1)에 고정된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가 작동하여 로드(21a)를 상방으로 밀어주면, 프레스용 가동판(24)이 상기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의 로드(21a)에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24)은 프레스용 가이드바(22)에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24)이 상방으로 수직이동할 때는 프레스용 가동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프레스용 하열판(25)을 갖는 프레스용 하금형(26)과 프레스용 가동판(24)에 하부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이격되게 지지되어 있는 직사각틀 형상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 그리고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에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수평이동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 및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하부면 적소에 부착된 복수개의 프레스용 고정바(35)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에 의해 프레스용 가동판(24)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어느 순간 도 16과 같이 프레스용 하금형(26)의 상단과 프레스용 상금형(32)의 하단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어 가성형된 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기밀 접촉되어 상기 프레스용 하금형(26)과 프레스용 상금형(32) 그리고 제품금형(12)이 하나의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제품금형에 들어있는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프레싱되면서 완전한 형태로 성형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가 이루어진 직후부터는 프레스용 하열판(25)과 프레스용 상열판(31)이 150∼180℃로 일정시간(성형될 고무제품의 크기와 두께)동안 가열되므로 상기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 내의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구워지면서 굳어지게 됨에 따라 결국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의 형상대로 고무제품이 완전하게 성형 완료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고무제품이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 내에서 완전하게 성형되고 나면, 프레스용 메인실린더(21)가 작동하여 로드(21a)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므로 상방으로 수직이동되어 있던 프레스용 가동판(24)이 프레스용 가이드바(22)에 안내되면서 프레스용 하금형(7)과 함께 다시 하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이때에는 프레스용 가동판(24)에 하부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이격되게 지지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가 프레스용 가이드바(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수직이동되므로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에 전,후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는 제품금형(12)이 안착되어 있고, 이 안착된 제품금형은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록킹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제품금형(12)은 완전하게 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프레스용 상금형(32)과 큰 어려움 없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작용에 의해 프레스용 가동판(24)이 하방으로 수직이동 되는 어느 순간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하부면 적소에는 복수개의 프레스용 고정바(35)가 고정되어 있고,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의 둘레면 적소에는 프레스용 고정판(34)이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프레스용 고정바(35)중 일부는 프레스용 고정판(34)에 간섭됨과 동시에 일부는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에 직접 간섭되므로 이후 계속해서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21)의 로드(21a)가 하방으로 더 잡아당겨지면서 프레스용 가동판(24)과 함께 프레스용 하금형(26)을 더욱 하방으로 수직이동시키더라도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 만큼은 더이상 하방으로 수직이동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록킹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은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이 그대로 계속 들어있는 상태에서 프레스용 하금형(26)과 도 17과 같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가 하방으로 이동 완료된 직후에는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된 복수개의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33)가 작동하여 로드(33a)를 잡아당겨 주므로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의 후면에 부착된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30)가 작동하여 로드(30a)를 밀어주면, 상기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30)의 로드(30a)가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와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는 프레스용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전방쪽인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가 도 18과 같이 전방쪽으로 수평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어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프레스용 하금형(26) 및 프레스용 상금형(32)의 수직선상에서 전방 바깥측으로 완전하게 빠져나와 있게 된다.
계속해서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제품 이송장치의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로드(45a)를 하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45)의 로드(45a)가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은 하방으로 수직이동하는데, 이때에는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38)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수평이동대(40)에서 부터 상기 각 이송용 수평이동대를 일체로 연결하여 주고 있는 이송용 연결대(41)를 향해 상,하 수직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복수개의 이송용 가이드바(43)가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이동을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적소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스프링(47)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진공흡착부재(46)의 패드가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되어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의 상부면에 기밀 접촉되는데, 이후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하방으로 더욱 수직이동력을 발생시키므로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은 이송용 수직실린더(45)의 추가 하부이동력 만큼 각 진공흡착부재(46)를 탄력 설치하고 있는 스프링(47)의 압축력을 받으면서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의 하부이동시에는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하부에 복수개의 취출용 고정바(49)로서 고정되어 있는 취출용 수평이동판(48)도 함께 수직이동하므로 어느 순간 상기 취출용 수평이동판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취출용 핀(50)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29)에 안착된 제품금형(12)에 성형 완료된 상태로 들어있는 고무제품을 하방으로 밀어주므로 상기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이 제품금형(12)에서 빠져나와 중력방향으로 떨어지고, 이에 따라 특정 형상의 고무제품을 얻을 수 있게된다.
상기 제품금형(12)에서 빠져나와 중력방향으로 떨어지는 성형 완료된 상태의 고무제품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호퍼에 의해 모아지면서 취출되어 보관용기에 보관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제품금형(12)에 들어있는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이 상기 제품금형에서 빠져나온 후에는 이송용 수직실린더(45)에 설치된 진공흡착부재(46)가 상기 고무제품이 들어있지 않은 빈 제품금형(12)을 진공흡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로드(45a)를 잡아당겨 주므로 이송용 수직이동판(44)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어 있는 제품금형(12)을 프레스용 수직이동대(27)와 이격되게 상방으로 들어 올려 주는데, 이후에는 곧바로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42)가 작동하여 로드(42a)를 밀어주므로 이송용 지지대(38)의 상부면에 설치된 이송용 수평이동대(40)가 사출장치 쪽인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송용 수평이동대(40)에 설치된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어 있는 빈 제품금형을 상기 사출장치 쪽으로 이동시켜 준다.
계속해서 이송용 수직실린더(45)가 작동하여 사출장치 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이송용 수평이동대(40)를 하방으로 밀어주면 어느 순간 상기 이송용 수평이동대의 진공흡착부재(46)에 흡착되어 있는 빈 제품금형(12)이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 설치되어 도 11과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있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에 안착되고,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빈 제품금형(12)이 안착되고 나면 진공흡착부재(46)에 의한 빈 제품금형(12)의 진공흡착이 해제되는데, 이후에는 이송용 수직실린더(45)에 의해 이송용 수직이동판(48)은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어 다음에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들어있는 제품금형(12)을 사출장치 쪽에서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대기함과 함께 상기 빈 제품금형이 안착되어 있는 사출용 수평이동대(10)는 사출용 수직이동대(8)에 부착되어 있는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11)의 작동에 의해 사출용 가이드레일(9)을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도 6과 같이 이동한 다음 또다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기 위한 사출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기 위해 사출용 가동판(5)과 함께 사출용 가이드레일(9)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제품금형(12)을 사출장치 쪽에서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하기 위해,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진공흡착부재(46)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44)에 기구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클램프부재로 하여금 제품금형(12)을 집어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구성으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는 하나의 프레스장치 그리고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기 위해 계속해서 프레스장치로 이송하는 하나의 제품 이송장치 및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된 고무제품을 취출하는 하나의 취출장치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하나의 프레스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하나의 프레스장치를 사출장치의 다른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하나의 사출장치와 두개의 프레스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는데, 이때에는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기 위해 계속해서 교호로 각각의 프레스장치로 이송하도록 두개의 제품 이송장치 및 상기 각각의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된 고무제품을 독자적으로 취출하는 두개의 제품 취출장치를 필요로 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하나의 사출장치와 두개의 프레스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도 되는 것은, 사출장치는 고무제품을 가성형하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지만 프레스장치는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여야 하므로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형성하기 위해 높은 온도에서 구워내는 시간이 길어짐을 감안할 때(성형된 고무제품의 크기, 내부에 다른 금속성부재의 삽입유,무 등에 따라 구워지는 시간은 달라진다) 하나의 사출장치와 두개의 프레스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생산능력이 향상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사출장치에서는 고무제품을 가성형하기만 하고, 프레스장치에서는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기만 하므로 상기 사출장치의 장점과 프레스장치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고무제품이 성형되기 위한 고무 원재료가 실제 고무제품의 성형에 필요한 정확한 량 만큼만 들어가게 되므로 원재료의 절감이 가능하고,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사출장치에서는 고무제품을 완전하게 성형하지 않고 가성형만 하므로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에는 사출 금형 결합체 내로 고무 원재료가 주입되는 부분인 입구부분이 붙어있지 않아 런너로스가 전혀 없게되며, 프레스장치에서는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받아 완전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그대로 구워주는 역할만 하므로 제품로스도 전혀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 완료된 상태의 고무제품은 자동으로 취출됨은 종래에서 처럼 인위적으로 취출하는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취출된 상태의 고무제품은 서로 달라 붙어 있지 않아 종래에서 처럼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의 취출후 제품로스 부분을 별도의 절달프레기에 의해 절단하여 제거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제거하여 절단하는 불편함도 없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량이 증가됨은 물론 제품생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정량 공급받아 사출하면서 고무제품을 일차적으로 가성형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이송받아 프레싱하여 완전한 형태로 성형하는 프레스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 의해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하나의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하나의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품 이송장치와,
    상기 제품 이송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제품 취출장치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출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사출용 메인 실린더와,
    상기 사출용 메인 실린더의 상방에 복수개의 사출용 가이드바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는 고무 원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원재료 주입공이 일체 형성된 사출용 지지체와,
    상기 사출용 가이드바에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용 메인 실린더의 작동시 각 사출용 가이드바의 안내를 받아 선택적으로 상,하 수직이동하는 사출용 가동판과,
    상기 사출용 가동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사출용 가동판의 이동시 함께 수직이동하도록 사출용 하열판을 갖는 사출용 하금형과,
    상기 사출용 가이드바에 끼워진 상태로 사출용 가동판의 상방에 이격되게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틀 형상의 사출용 수직이동대와,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에 사출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사출용 수평이동대와,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의 후면에 부착되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는 사출용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데 일차적으로 이용됨과 함께 이후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 주는데 이용되는 제품금형과,
    상기 사출용 지지체의 상부면 중심부에 고정된 공급관로와,
    상기 공급관로의 일측 적소에 부착되어 리본화된 고무 원재료를 외부에서 공급받아 이를 적정량 만큼 계량하면서 공급관로 내로 공급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사출용 지지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공급관로 내로 공급된 적정량의 고무 원재료를 사출용 지지체에 형성된 원재료 주입공을 통해 사출용 금형 결합체 내로 주입하는 원재료 주입실린더와,
    상기 사출용 지지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사출용 가동판이 상부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사출용 하금형과 어느 순간 결합되면서 제품금형과 함께 사출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는 사출용 상열판을 갖는 사출용 상금형과,
    상기 사출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기 위해 사출용 하금형이 사출용 가동판의 상부이동에 따라 사출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거나 사출용 가동판의 하부이동에 따라 사출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이 사출용 수평이동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켜 주는 사출용 제품금형 록킹수단과,
    사출용 하금형이 사출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사출용 가동판의 하부이동시 사출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사출용 수직이동대는 더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록킹되어 있는 제품금형이 사출용 하금형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사출용 제품금형 이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출용 제품금형 록킹수단은,
    사출용 수직이동대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된 복수개의 사출용 록킹 실린더로 구성하여 상기 각 사출용 록킹 실린더의 작동시 로드가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사출용 제품금형 이격수단은,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사출용 메인 실린더의 외측 적소에 고정된 사출용 고정판과,
    상기 사출용 수직이동대의 하부면 적소에 고정되어 사출용 가동판과 함께 사출용 수직이동대가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그 하단이 각 사출용 고정판 및 사출용 메인 실린더에 접촉되면서 사출용 수직이동대가 더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복수개의 사출용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스장치는,
    사출장치와 일정간격 이격된 일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와,
    상기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의 상방에 복수개의 프레스용 가이드바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 프레스용 지지체와,
    상기 프레스용 가이드바에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의 작동시 각 프레스용 가이드바의 안내를 받아 선택적으로 상,하 수직이동하는 프레스용 가동판과,
    상기 프레스용 가동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프레스용 가동판의 이동시 함께 수직이동하도록 프레스용 하열판을 갖는 프레스용 하금형과,
    상기 프레스용 가이드바에 끼워진 상태로 프레스용 가동판의 상방에 이격되게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틀 형상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와,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에 프레스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장치의 사출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을 이송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받는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와,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의 후면에 부착되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는 프레스용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프레스용 지지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프레스용 가동판이 상부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프레스용 하금형과 어느 순간 결합되면서 제품금형과 함께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는 프레스용 상열판을 갖는 프레스용 상금형과,
    상기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기 위해 프레스용 하금형이 프레스용 가동판의 상부이동에 따라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거나 프레스용 가동판의 하부이동에 따라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켜 주는 프레스용 제품금형 록킹수단과,
    프레스용 하금형이 프레스용 금형 결합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프레스용 가동판의 하부이동시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프레스용 수직이동대는 더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록킹되어 있는 제품금형이 프레스용 하금형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프레스용 제품금형 이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스용 제품금형 록킹수단은,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의 양측면 후반부에 부착된 복수개의 프레스용 록킹 실린더로 구성하여 상기 각 프레스용 록킹실린더의 작동시 로드가 프레스용 수평이동대에 안착된 제품금형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스용 제품금형 이격수단은,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의 외측 적소에 고정된 프레스용 고정판과,
    상기 프레스용 수직이동대의 하부면 적소에 고정되어 프레스용 가동판과 함께 프레스용 수직이동대가 하부로 이동하는 어느 순간 그 하단이 각 프레스용 고정판 및 프레스용 메인 실린더에 접촉되면서 프레스용 수직이동대가 더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복수개의 프레스용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 이송장치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의 사출장치와 하나의 프레스장치를 연결하는 한쌍의 이송용 지지대와,
    상기 각 이송용 지지대의 상부면에 이송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이송용 연결대에 의해 일체화된 이송용 수평이동대와,
    상기 하나의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요소에 부착되어 이송용 수평이동대에 좌,우로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는 이송용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이송용 연결대에 부착되어 수직이동력을 부여하는 이송용 수직실린더와,
    상기 이송용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이송용 수직실린더의 수직이동력을 받아 수직이동하는 이송용 수직이동판과,
    상기 이송용 수직이동판에 구비되어 실제로 제품금형을 클램핑하는 제품 클램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품 클램핑수단은,
    이송용 수직이동판에 수직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하단으로 흡착패드를 갖는 진공흡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품 취출장치는,
    제품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용 수직이동판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송용 수직실린더에 의해 이송용 수직이동판이 수직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취출용 수평이동판과,
    상기 취출용 수평이동판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취출용 수평이동판이 하부로 이동할 때 제품금형에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하방으로 가압시켜 취출하는 복수개의 취출용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품 성형기.
KR2020000001675U 2000-01-20 2000-01-21 고무제품 성형기 KR200193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75U KR200193273Y1 (ko) 2000-01-20 2000-01-21 고무제품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52 2000-01-20
KR2020000001675U KR200193273Y1 (ko) 2000-01-20 2000-01-21 고무제품 성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652 Division 2000-01-20 2000-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273Y1 true KR200193273Y1 (ko) 2000-08-16

Family

ID=2663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75U KR200193273Y1 (ko) 2000-01-20 2000-01-21 고무제품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2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837B1 (ko) * 2001-04-03 2003-07-31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KR101636646B1 (ko) * 2015-03-09 2016-07-05 윤영근 자동차 부품 제조용 고무 사출성형기의 안전 작업환경이 제공되는 무발판 고무사출성형기
KR2018005284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20190136523A (ko) * 2018-05-31 2019-12-10 고다테크 주식회사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KR102342220B1 (ko) * 2021-07-07 2021-12-21 황문택 냉각트레이를 이용한 고무제품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837B1 (ko) * 2001-04-03 2003-07-31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KR101636646B1 (ko) * 2015-03-09 2016-07-05 윤영근 자동차 부품 제조용 고무 사출성형기의 안전 작업환경이 제공되는 무발판 고무사출성형기
KR2018005284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101897518B1 (ko) * 2016-11-11 2018-09-1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20190136523A (ko) * 2018-05-31 2019-12-10 고다테크 주식회사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KR102131395B1 (ko) 2018-05-31 2020-07-08 고다테크 주식회사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KR102342220B1 (ko) * 2021-07-07 2021-12-21 황문택 냉각트레이를 이용한 고무제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80262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го формова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меющих основание из листа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432237B1 (ko)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93273Y1 (ko) 고무제품 성형기
CA2098409A1 (en) Automatic molding system
CN111098108A (zh) 一种耳机扬声器磁路组装装置
SK7312001A3 (en) Tire vulcanizing device
CN212303364U (zh) 一种超薄电感热压塑形工艺连线设备
CN211939810U (zh) 一种耳机扬声器磁路组装装置
CN109987826B (zh) 玻璃模具移载设备及包括其的玻璃加工系统
CN217226427U (zh) 一站式成型设备
CN111113963B (zh) 一种用于隐形眼镜干片提取的设备及方法
KR100372028B1 (ko)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
KR200222799Y1 (ko) 고무제품 성형기
CN216758894U (zh) 一种全自动挂架组装机
CN115958740A (zh) 一种自动化注塑模具生产装置
KR102408581B1 (ko) 수지 몰딩 장치 및 수지 몰딩 방법
CN209919246U (zh) 一种自动组装设备
CN109775964B (zh) 玻璃加工设备和玻璃加工系统
CN208745152U (zh) 一种全自动精密模压封装线
CN215242826U (zh) 一种注塑产品加工成型装置
CN220904247U (zh) 纸托自动成型设备
CN215434835U (zh) 一种注塑方便的显示面板注塑模
CN220163004U (zh) 一种电熔弯头管件的脱模装置
CN219310618U (zh) 一种衣架夹自动化装配设备
CN220864675U (zh) 一种具有自动取料装置的注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