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395B1 -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395B1
KR102131395B1 KR1020180062359A KR20180062359A KR102131395B1 KR 102131395 B1 KR102131395 B1 KR 102131395B1 KR 1020180062359 A KR1020180062359 A KR 1020180062359A KR 20180062359 A KR20180062359 A KR 20180062359A KR 102131395 B1 KR102131395 B1 KR 10213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ubber product
rubber
fix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523A (ko
Inventor
이정노
Original Assignee
고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40Compensating volume change, e.g. re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제조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재료를 가압하여 주입하고, 중단부를 승강시켜 제조된 고무 제조물을 분리하므로, 쉽고 빠르게 고무 제조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라이너 가공시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중단부와 하부를 승강이송부의 지지체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 상기 중단부의 중단홀 및 하부의 하부홈에 내부체를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단부의 상측에 상부를 결합하고, 중단부와 상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고정체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이 완료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를 승강이송부를 통해 주입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승강이송부를 통해 결합된 상태의 상부, 중단부 및 하부가 주입부로 이송되면, 주입부의 결합부재로 하부의 고정부재를 결합 고정시키고, 재료를 상부의 투입홈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의 투입홈에 재료가 투입되면 주입부의 주입체를 하강시켜 재료를 상부의 투입구를 통해 상부의 상부홈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재료를 상부의 투입홈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부홈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가 상부의 상부홈, 중단부의 중단홀 및 하부의 하부홈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고무 제조물이 제조되면, 승강이송부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를 이송시켜 상부를 제거하고, 고무제조물의 상측에 방지체를 삽입하여 고무 제조물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단부를 승강체를 통해 승강시켜 내부체와 고무 제조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체와 분리된 고무 제조물을 일정 시간 냉각시키고, 중단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uffer rubber for u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ffer rubber for liner molding o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제조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재료를 가압하여 주입하고, 중단부를 승강시켜 제조된 고무 제조물을 분리하므로, 쉽고 빠르게 고무 제조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 외측에 고무 제조물이 결합되어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의 외형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고무 제조물은 금형에 성형홀을 형성하고, 성형홀에 고무를 주입하여 고무 제조물을 제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 제조물의 경우 금형에서 고무 제조물을 제거할 때 외형이 고정되지 않아 변형되거나, 손상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고무 제조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차체와 적재함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의 운행 또는 적재함에 물건을 실었을 때 적재함의 하중이 직접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발포 사출성형을 통해 플라스틱 라이너를 제조함으로써 라이너의 배꺼짐 현상을 극복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저발포 사출성형에 의한 차량용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무 제조물의 구성이 아니며, 제조 과정 또한 다른 구성이므로, 고무 제조물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7204호(2010.05.03.)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제조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재료를 가압하여 주입하고, 중단부를 승강시켜 제조된 고무 제조물을 분리하므로, 쉽고 빠르게 고무 제조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은, 차량의 라이너 가공시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중단부와 하부를 승강이송부의 지지체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 상기 중단부의 중단홀 및 하부의 하부홈에 상측에서 내부체를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단부의 상측에 상부를 결합하고, 중단부와 상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고정체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이 완료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를 승강이송부를 통해 주입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승강이송부를 통해 결합된 상태의 상부, 중단부 및 하부가 주입부로 이송되면, 주입부의 결합부재로 하부의 고정부재를 결합 고정시키고, 재료를 상부의 투입홈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의 투입홈에 재료가 투입되면 주입부의 주입체를 하강시켜 재료를 상부의 투입구를 통해 상부의 상부홈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재료를 상부의 투입홈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부홈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가 상부의 상부홈, 중단부의 중단홀 및 하부의 하부홈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고무 제조물이 제조되면, 승강이송부로 상부, 중단부 및 하부를 승강이송부측으로 이송시켜 상부를 제거하고, 고무제조물의 상측에 방지체를 삽입하여 고무 제조물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단부를 승강체를 통해 승강시켜 내부체와 고무 제조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체와 분리된 고무 제조물을 일정 시간 냉각시키고, 중단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중단부 및 상부는 하부를 지지체 상측에 적층 결합하고, 하부의 체결봉을 중단부의 고정홀에 삽입시켜 중단부를 결합 고정시키며, 상부의 고정홀에 체결봉을 삽입하여 중단부 및 상부가 하부와 일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체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외측으로 상측 및 하측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이 돌출 형성되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며,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체는 상측이 상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고무 제조물의 상측보다 넓게 형성되고, 하측이 고무 제조물의 상측 내부에 접촉 삽입되도록 좁게 형성되어 고무 제조물을 내부체와 이탈시킬 때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이송부는, 상기 하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체 및 상기 하부의 상측에 중단부를 적층시키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부는 후측에 형성되어 승강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 중단부 및 하부가 적층 결합 상태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상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부의 투입홈에 투입되는 재료를 투입홈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해 상부홈으로 승강을 통해 가압 주입시키는 주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제조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재료를 가압하여 주입하고, 중단부를 승강시켜 제조된 고무 제조물을 분리하므로, 쉽고 빠르게 고무 제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상부, 중단부, 내부체 및 하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 이송부를 통해 주입부로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주입부를 통해 재료를 상부의 투입홀로 주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고무 제조물이 제조된 뒤 상부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고무 제조물 상측에 방지체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이송부를 통해 중단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이송부를 통해 중단부가 승강되어 내부체가 고무 제조물과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중단부에서 고무 제조물이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라이너 가공시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중단부(20)와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의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S10); 상기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내부체(60)를 상측에서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S20); 상기 중단부(20)의 상측에 상부(30)를 결합하고, 중단부(20)와 상부(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하는 단계(S30); 상기 결합이 완료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주입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S40); 상기 승강이송부(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의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주입부(50)로 이송되면, 주입부(50)의 결합부재(51)로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결합 고정시키고,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상기 상부(30)의 투입홈(32)에 재료(70a)가 투입되면 주입부(50)의 주입체(52)를 하강시켜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구(33)를 통해 상부(30)의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S51); 상기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및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70a)가 상부(30)의 상부홈(31),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70)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S60); 상기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면, 승강이송부(40)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측으로 이송시켜 상부(30)를 제거하고, 고무제조물의 상측에 방지체(80)를 삽입하여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S70); 상기 중단부(20)를 승강체(41)를 통해 승강시켜 내부체(60)와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80) 및 상기 내부체(60)와 분리된 고무 제조물(70)을 일정 시간 냉각시키고, 중단부(20)에서 분리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10), 중단부(20) 및 상부(30)는 하부(10)를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고, 하부(10)의 체결봉(14)을 중단부(20)의 고정홀(g)에 삽입시켜 중단부(20)를 결합 고정시키며, 상부(30)의 고정홀(g)에 체결봉(14)을 삽입하여 중단부(20) 및 상부(30)가 하부(10)와 일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체(6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외측으로 상측 및 하측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내부체(60)의 중단부 외경은 중단홀(21)의 상단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중단부(20)의 중단홀(21)에 체결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하단이 돌출 형성되어 하부(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에 삽입고정되며,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6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체(80)는 상측이 상부(30)가 제거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고무 제조물(70)의 상측보다 넓게 형성되고, 하측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 내부에 접촉 삽입되도록 좁게 형성되어 고무 제조물(70)을 내부체(60)와 이탈시킬 때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이송부(40)는, 상기 하부(10)의 바닥에 형성되어 하부(10)를 지지하는 지지체(42); 상기 지지체(42)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체(43) 및 상기 하부(10)의 상측에 중단부(20)를 적층시키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체(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부(50)는 후측에 형성되어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적층 결합 상태에서 하부(10)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3)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51) 및 상기 상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되는 재료(70a)를 투입홈(32)에 형성되는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으로 승강을 통해 가압 주입시키는 주입체(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최종 제조물로서 완충고무인 고무 제조물(70)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은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로 구성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홈(11), 중단홀(21) 및 상부홈(31)이 고무 제조물(70)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무 제조물(70)의 내부형상이면서 라이너의 외형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체(60)가 삽입 고정되어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10)는 상측 내부에 고무 제조물(70)의 하부(10) 형상으로 하부홈(11)이 형성되며, 하부홈(11)의 중앙에 내부체(6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홈(11)의 외측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봉(14)이 형성되어 중단부(20)에 형성되는 고정홀(g) 및 상부(30)에 형성되는 삽입홈(s)에 삽입되어 중단부(20) 및 상부(30)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10)의 외측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주입부(50)의 후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재(51)가 결합되어 하부(10)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중단부(20)는 하부(10)의 상측에 적층되며, 중앙에 고무 제조물(70)의 중단 형상과 대응되는 중단홀(21)이 형성되어 내부체(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중단홀(21)의 외측으로 고정홀(g)이 하부(10)의 체결봉(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부(10)의 체결봉(14)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단부(20)의 외측면에는 고정돌부(d)가 형성되어 고정체(h)를 통해 상부(3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중단부(20)의 상측에는 돌출체(22)가 형성되어 상측에 고무 제조물(70)이 상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30)는 중단부(20)의 상측에 적층되어 결합되며, 하측 방향으로 상부홈(31)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면에 고무 제조물(70)을 이루는 재료(70a)가 투입되는 투입홈(32)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홈(32)에는 다수의 투입구(33)가 투입홈(32)과 상부홈(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주입부(50)를 통해 주입되는 재료(70a)가 상부홈(31)을 통해 중단홈 및 하부홈(11)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30)의 상부홈(31) 외측에는 하향으로 하부(10)의 체결봉(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s)이 형성되어 체결봉(14)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30)는 중단부(20)의 상측에 적층된 뒤 중단부(20)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체(h)를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h)는 상부(30) 및 중단부(20)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돌부(d)를 고정하여 중단부(20)와 상부(30)가 주입부(50)를 통해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구(33)로 주입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이러한 상기 내부체(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외측으로 상측 및 하측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6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체(60)는 중단부(20)를 승강시킴으로써, 고무 제조물(70)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내부체(60)의 무게로 인해 고무 제조물(70)가 탄력을 통해 하측이 벌어지며 내부의 내부체(60)가 자연적으로 분리된 후, 고무 제조물(70)의 하부는 다시 탄력으로 원상 복귀되며, 상기 승강된 중단부(20)에서 제조가 완료된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30), 중단부(20), 하부(10) 및 내부체(60)가 결합되면,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이송 및 승강되고, 주입부(50)를 통해 재료(70a)가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의 내부로 주입되어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이송부(40)는 하부(10)가 고정되고, 중단부(20)를 승강시키며. 적층 결합되는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이송부(40)는 하부(10)의 바닥에 형성되어 하부(10)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지지체(42), 지지체(42)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체(43) 및 하부(10)의 상측에 중단부(20)를 적층시키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체(4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4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10)가 상측에 고정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적층 결합된 상태가 되면 주입부(50) 측으로 슬라이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체(43)는 지지체(42)의 외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이송체(43)는 실린더 또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모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랙기어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41)는 중간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승강시켜 고무 제조물(7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부(10)의 상측에 적층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체(41)는 중단부(20)의 돌출부재를 받치는 받침부재와 받침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받침부재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적층된 상태에서 주입부(50)로 이송되면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부(30)에 재료(70a)를 주입할 때 받침부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송체(43)를 통해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결합된 상태로 주입부(50)로 이송되면, 주입부(50)에서 투입홈(32)에 투입되는 재료(70a)를 가압하여 투입홈(32)의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으로 주입하게 되며, 재료(70a)의 주입이 완료되면 이송체를 통해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이송승강부(40) 측인 전측으로 이송되어 승강체(41)을 통해 중단부(2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주입부(50)는 후측에 형성되어 승강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적층 결합 상태에서 하부(10)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3)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51) 및 상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되는 재료(70a)를 투입홈(32)에 형성되는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으로 승강을 통해 가압 주입시키는 주입체(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51)는 후측에 형성되어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누르며 고정시키도록 회전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걸림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걸어 하부(10)가 승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주입체(52)는 상부(30)의 투입홈(3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투입홈(32)에 삽입되어 재료(70a)를 가압하여 투입홀을 통해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입체(52)는 상측에 실린더 또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승강체(53)가 형성되어 승강체(53)의 구동을 통해 승강되어 주입체(52)가 승강되어진다.
상기 방지체(80)는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된 뒤 상부(30)가 분리되면, 중단부(20)의 중단홀(21) 상측에 결합되어 중단부(20)를 승강시킬 때 내부체(60)의 분리로 인해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제조물(7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에 삽입된다.
상기 방지체(80)는 상측이 상부(30)가 제거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고무 제조물(70)의 상측보다 넓게 형성되고, 하측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 내부에 접촉 삽입되도록 좁게 형성되어 고무 제조물(70)을 중단부(20)의 승강을 통해 내부체(60)에서 고무 제조물(70)을 이탈시킬 때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내부체(60), 상부(30), 중단부(20), 하부(10), 승강이송부(40) 및 주입부(50)를 통해 고무 제조물(70)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상부(30), 중단부(20), 내부체(60) 및 하부(10)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중단부(20)와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의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S10);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상측에서 내부체(60)를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S20); 중단부(20)의 상측에 상부(30)를 결합하고, 중단부(20)와 상부(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하는 단계(S30); 결합이 완료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주입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S40); 승강이송부(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의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주입부(50)로 이송되면, 주입부(50)의 결합부재(51)로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결합 고정시키고,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상부(30)의 투입홈(32)에 재료(70a)가 투입되면 주입부(50)의 주입체(52)를 하강시켜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구(33)를 통해 상부(30)의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S51);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및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70a)가 상부(30)의 상부홈(31),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70)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S60);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면, 승강이송부(40)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이송시켜 상부(30)를 제거하고, 고무제조물의 상측에 방지체(80)를 삽입하여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S70); 중단부(20)를 승강체(41)를 통해 승강시켜 내부체(60)와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80) 및 내부체(60)와 분리된 고무 제조물(70)을 일정 시간 냉각시키고, 중단부(20)에서 분리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S10)를 통해 승강이송부(40)의 지지체(42) 상에 하부(10)를 적층하여 고정시키고, 하부(10)의 상측에 중단부(20)를 적층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S10)를 통해 하부(10)와 중단부(20)가 결합되면, 내부체(60)를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S20)를 통해 내부체(60)를 중단홀(21) 및 하부홈(11)에 삽입하여 하부홈(11)에 고정시키게 된다.
삭제
상기 내부체(60)를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S20)를 통해 내부체(60)가 중단홀(21) 및 하부홈(11)에 삽입 결합되면,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하는 단계(S30)를 통해 상부(30)를 중단부(20) 상측에 결합하고, 고정체(h)를 통해 상부(30)와 중단부(20)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 이송부를 통해 주입부로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주입부를 통해 재료를 상부의 투입홀로 주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고무 제조물이 제조된 뒤 상부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고무 제조물 상측에 방지체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하는 단계(S30)를 통해 상부(30)와 중단부(20)가 고정되면, 주입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주입부(50)로 이송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입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결합되어 이송되면,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를 통해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주입부(50)의 결합부재(51)로 고정시키고,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한다.
상기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를 통해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면,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S51)를 통해 주입부(50)의 주입체(52)를 승강시켜 상부(30)의 투입홈(32)을 가압하여 재료(70a)가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재료(70a)가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 중단홀(21) 및 하부홈(11)으로 주입되어 고무 제조물(70)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S51)를 통해 재료(70a)를 상부홈(31) 내부로 주입하면, 고무 제조물(70)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S60)를 통해 투입홈(32)에 재료(70a)를 투입하고, 주입체(52)를 통해 투입구(33)를 통해 주입하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70a)가 상부홈(31), 중단홀(21) 및 하부홈(11)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70)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이송부를 통해 중단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승강이송부를 통해 중단부가 승강되어 내부체가 고무 제조물과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의 중단부에서 고무 제조물이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무 제조물(70)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S60)를 통해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S70)를 통해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승강이송부(40)의 승강체(41) 측으로 이송시키고, 고정체(h)를 제거한뒤 상부(30)를 분리하고, 중단부(20) 상측에 노출되는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에 방지체(8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S70)를 통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에 방지체(80)를 결합하면,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80)에서 승강이송부(40)의 승강체(41)를 통해 중단부(2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중단부(20)에 고정되는 고무 제조물(70)에서 내부체(60)가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부체(60)의 무게로 인해 고무 제조물(70)가 탄력을 통해 하측이 벌어지며 내부에서 내부체(60)가 자연적으로 분리되고, 고무 제조물(70)의 하부는 다시 탄력으로 원상 복귀된다.
도 9를 통해 상기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80)를 통해 고무 제조물(70)과 내부체(60)가 분리되면, 중단부(20)에서 분리시키는 단계(S90)를 통해 고무제조물을 일정시간 냉각시키고, 방지체(80)를 제거한뒤 중단부(20)의 중단홀(21)에서 고무제조물을 분리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고무 제조물(70)이 제조 완료되어 차량의 라이너 외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조 완료되는 고무 제조물(7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라이너의 외주연을 덮으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너를 성형할 때 라이너를 고정시킬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제조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재료를 가압하여 주입하고, 중단부를 승강시켜 제조된 고무 제조물을 분리하므로, 쉽고 빠르게 고무 제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하부 11 : 하부홈
12 : 고정홈 13 : 고정부재
14 : 체결봉
20 : 중단부 21 : 중단홀
22 : 돌출체
d : 고정돌부 g : 고정홀
30 : 상부 31 : 상부홈
32 : 투입홈 33 : 투입구
s : 삽입홈 h : 고정체
40 : 승강이송부 41 : 승강체
42 : 지지체 43 : 이송체
50 : 주입부 51 : 결합부재
52 : 주입체 53 : 승강체
60 : 내부체 61 : 요홈
70 : 고무 제조물 70a : 재료
80 : 방지체

Claims (6)

  1. 차량의 라이너 가공시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중단부(20)와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의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는 단계(S10);
    상기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내부체(60)를 상측에서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S20);
    상기 중단부(20)의 상측에 상부(30)를 결합하고, 중단부(20)와 상부(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부(d)를 고정체(h)로 고정하는 단계(S30);
    상기 결합이 완료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주입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S40);
    상기 승강이송부(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의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주입부(50)로 이송되면, 주입부(50)의 결합부재(51)로 하부(10)의 고정부재(13)를 결합 고정시키고,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상기 상부(30)의 투입홈(32)에 재료(70a)가 투입되면 주입부(50)의 주입체(52)를 하강시켜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구(33)를 통해 상부(30)의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S51);
    상기 재료(70a)를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하는 단계(S50) 및 상부홈(31) 내부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재료(70a)가 상부(30)의 상부홈(31), 중단부(20)의 중단홀(21) 및 하부(10)의 하부홈(11)에 채워져 고무 제조물(70)로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S60);
    상기 고무 제조물(70)이 제조되면, 승강이송부(40)로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를 승강이송부(40)측으로 이송시켜 상부(30)를 제거하고, 고무제조물의 상측에 방지체(80)를 삽입하여 고무 제조물(70)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단계(S70);
    상기 중단부(20)를 승강체(41)를 통해 승강시켜 내부체(60)와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80) 및
    상기 내부체(60)와 분리된 고무 제조물(70)을 일정 시간 냉각시키고, 중단부(20)에서 분리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10), 중단부(20) 및 상부(30)는 하부(10)를 지지체(42) 상측에 적층 결합하고, 하부(10)의 체결봉(14)을 중단부(20)의 고정홀(g)에 삽입시켜 중단부(20)를 결합 고정시키며, 상부(30)의 고정홀(g)에 체결봉(14)을 삽입하여 중단부(20) 및 상부(30)가 하부(10)와 일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6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외측으로 상측 및 하측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내부체(60)의 중단부 외경은 중단홀(21)의 상단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중단부(20)의 중단홀(21)에 체결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하단이 돌출 형성되어 하부(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에 삽입고정되며,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6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60)는 중단부(20)를 승강시킴으로써, 고무 제조물(70)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내부체(60)의 무게로 인해 고무 제조물(70)가 탄력을 통해 하측이 벌어지며 내부의 내부체(60)가 자연적으로 분리된 후, 고무 제조물(70)의 하부는 다시 탄력으로 원상 복귀되며,
    상기 승강된 중단부(20)에서 제조가 완료된 고무 제조물(70)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체(80)는 상측이 상부(30)가 제거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고무 제조물(70)의 상측보다 넓게 형성되고, 하측이 고무 제조물(70)의 상측 내부에 접촉 삽입되도록 좁게 형성되어 고무 제조물(70)을 내부체(60)와 이탈시킬 때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송부(40)는,
    상기 하부(10)의 바닥에 형성되어 하부(10)를 지지하는 지지체(42);
    상기 지지체(42)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체(43) 및
    상기 하부(10)의 상측에 중단부(20)를 적층시키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체(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50)는 후측에 형성되어 승강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상부(30), 중단부(20) 및 하부(10)가 적층 결합 상태에서 하부(10)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3)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51) 및
    상기 상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부(30)의 투입홈(32)에 투입되는 재료(70a)를 투입홈(32)에 형성되는 투입구(33)를 통해 상부홈(31)으로 승강을 통해 가압 주입시키는 주입체(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KR1020180062359A 2018-05-31 2018-05-31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KR10213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59A KR102131395B1 (ko) 2018-05-31 2018-05-31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59A KR102131395B1 (ko) 2018-05-31 2018-05-31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523A KR20190136523A (ko) 2019-12-10
KR102131395B1 true KR102131395B1 (ko) 2020-07-08

Family

ID=6900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359A KR102131395B1 (ko) 2018-05-31 2018-05-31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268A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포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273Y1 (ko) 2000-01-20 2000-08-16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무제품 성형기
KR100877797B1 (ko) 2007-10-25 2009-01-12 사카팬코리아 주식회사 강판권취용 고무슬리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9412B1 (ko) 2009-04-23 2009-12-03 주식회사 산양화학 고무 금형
JP2016087851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ゴム成形用金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705A (ko) 2007-08-08 2007-09-21 태형 주식회사 저 발포 사출성형 방법
KR20120086029A (ko) * 2011-01-25 2012-08-02 신종현 밀봉단자용 실리콘 부착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273Y1 (ko) 2000-01-20 2000-08-16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무제품 성형기
KR100877797B1 (ko) 2007-10-25 2009-01-12 사카팬코리아 주식회사 강판권취용 고무슬리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9412B1 (ko) 2009-04-23 2009-12-03 주식회사 산양화학 고무 금형
JP2016087851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ゴム成形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523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714B2 (e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a sealing member for water tightness attached thereto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131395B1 (ko)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TWI720973B (zh) 吹模單元及使用其之吹製成型裝置
AU2013303168B2 (en) Injection molded tray for blood collection tubes
KR101810200B1 (ko) 콘택트렌즈용 파렛트
KR102131396B1 (ko)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
KR100480517B1 (ko) 수지 밀봉 시스템
KR101309970B1 (ko)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CN103118849B (zh) 轮胎硫化机及其运输或包装方法
CN102655098A (zh) 用于半导体封装的模塑装置及模塑半导体芯片的方法
KR102039437B1 (ko) 유리 고정 팔레트
US11911939B2 (en) Method of forming a transportation system with an over-molded friction element
KR200457796Y1 (ko) 립스틱 성형장치
CN107116778B (zh) 用于制作带底座塑料托盘的一体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KR102605118B1 (ko) 마카롱 오토 샌딩 시스템
KR20170023524A (ko) 파렛트
KR101038371B1 (ko)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406479B1 (ko) 오버몰딩 사출장치 및 오버몰딩 사출물의 제조방법
KR102485438B1 (ko) 용기 뚜껑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611906B1 (ko)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KR101811697B1 (ko) 배출지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재 성형물 성형장치
KR101703153B1 (ko) 적재박스 이송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적재박스
JP2013067079A (ja) 運搬補助具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57415C (zh) 模具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