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22Y1 - 분리기 - Google Patents
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3122Y1 KR200193122Y1 KR2020000006122U KR20000006122U KR200193122Y1 KR 200193122 Y1 KR200193122 Y1 KR 200193122Y1 KR 2020000006122 U KR2020000006122 U KR 2020000006122U KR 20000006122 U KR20000006122 U KR 20000006122U KR 200193122 Y1 KR200193122 Y1 KR 2001931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discharge
- powder
- wind
- 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분말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분리작업의 용이성과 위생적인 처리의 가능 및 생산원가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기(30)의 상기 배출부(45)는 상기 분리기체(35)의 하방에 형성되는 배출구(46)와 연결되어 분리된 분말과 바람을 분리하는 분리구(50)와 분리구(50)의 하방에 연결되어 바람이 제거된 분말을 최종배출하는 배출가이드(70)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구(50)는 내부에 분리기체(35)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직통할 수 없도록 경사지게 구획하여 일측에 분말이 낙하가능하도록 낙하구(51)를 가지는 차단판(52)과 고정공(54)의 양측에 확장시켜 차단판(52)과 연통되도록 한 공간부(56)와 공간부(52)의 상방에 구비되는 배출관(57)을 포함하는 바람배출구(55);
상기 배출가이드(70)는 전방에 형성되는 최종배출구(72)의 저면에 배출슈트(73)를 연결하여 구비되는 베이스(71) 베이스(71)의 중앙에는 모터(74)와 감속수단(75)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축(76)에 고정되어 낙하되는 분말을 최종배출구(72)로 전달하는 임펠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되는 과정에서 뭉쳐진 쌀,보리등과 같은 곡물의 분말이나 고추와 같은 양념류의 분말을 분리시켜주는 개선된 분리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분리기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곡물과 양념류를 분말로 만들때 자체에 함유한 수분등의 요인에 의하여 분쇄된 입자끼리 뭉쳐져 덩어리 상태로 있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이 뭉쳐진 덩어리를 회전하는 임펠러와 임펠러가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분리기는 종래에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분리기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분리기(1)는 개략 (┛)형상의 프레임(2)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4)를 내장한 기체(5)가 전방에 고정된다.
상기 기체(5)의 상방에는 분리할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6)가 연결되는 투입구(7)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고, 상기 기체(5)의 하방에는 임펠러(4)에 의하여 분리된 분말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8)가 돌출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분리기는 분쇄된 곡물이나 양념류의 분말덩어리를 실질적으로 분리하는 기체가 철재질이나 청동재질로 주물성형되기 때문에 임펠러가 내장되고 분리할 곡물과 양념류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의 표면을 매끄럽게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물성형된 기체의 내부에 도료등으로 코팅처리 함으로서 코팅제가 분리되는 곡물 및 양념류(이하 분말이라 한다.)와 함께 배출됨으로서 위생상 상당히 불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분리되어 배출되는 분말이 임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에 보자기로 커버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보자기가 바람에 의하여 부풀어올라 외관이 좋지않고, 보자기가 지면등과 접지되는 등의 현상으로 비위생적인 측면이 강하다.
그리고, 기체의 구성이 금속재질로 주물성형됨으로서 무겁고 생산과 조립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됨은 물론 생산원가의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분리기를 개선하여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분말이 분리 배출되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분리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위생적인 처리와 생산원가의 절감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분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분리기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분리기
35; 분리기체
45; 배출부
50; 분리구
52; 차단판
55; 바람배출구
70; 배출가이드
72; 최종배출구
80; 임펠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분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되는 과정에서 뭉쳐진 쌀,보리등과 같은 곡물의 분말이나 고추와 같은 양념류의 덩어리진 분말을 분리시켜주는 것이 분리기(30)이다.
이러한 분리기(30)는 개략 역ㄴ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전방에 장착되어 실질적인 분리를 수행하는 분리기체(35)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기체(35)는 분리할 분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호퍼(36)가 연결되는 투입구(37)를 상방에 가지는 개,폐도어(38)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기체(35)의 하방에는 프레임(31)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9)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40)에 의하여 분리된 분말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5)를 가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분리기(30)는 분리기체(35)전체를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하여 분말이 분리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분리된 분말에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분말을 최종배출하는 배출부(45)부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45)는, 분리기체(35)의 하방에 형성되는 배출구(46)와 연결되어 분리된 분말과 바람을 분리하는 분리구(50)와 상기 분리구(50)의 하방에 연결되어 바람이 제거된 분말을 최종배출하는 배출가이드(70)로 구성한다.
상기 분리구(50)는 내부에 분리기체(35)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직통할 수 없도록 경사지게 구획되어 일측에 분말이 낙하할 수 있도록 낙하구(51)를 가지는 차단판(52)을 구비한다.
상기 분리구(50)의 상면에는 배출구(46)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53)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공(54)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공(54)의 양측으로는 확장시킨 바람배출구(55)를 형성하여 차단판(51)에 부딪혀 역류하는 바람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람배출구(55)는 차단판(52)과 연통되도록 공간부(56)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56)의 상방으로는 돌출되는 관체타입의 배출관(57)을 형성한다.
상기 분리구(50)의 저면 양측에는 분리구(50)의 하방에 결합되는 배출가이드(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58)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분리구(50)의 저면에 결합되는 배출가이드(70)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71)의 전방에 분리된 분말을 최종배출할 수 있도록 최종배출구(72)를 형성하고, 상기 최종배출구(72)의 저면에는 관체타입의 배출슈트(73)를 연결한다.
상기 베이스(71)의 중앙에는 베이스(71)의 저면 후측에 설치되는 모터(74)와 기어등의 감속수단(75)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축(76)을 돌출시킨다.
상기 구동축(76)에는 낙하되는 분말을 최종배출구(72)로 전달하기 위한 임펠러(8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호퍼(36)에 분리할 분말을 공급하면 호퍼(36)와 연결된 투입구(37)를 통하여 분리기체(35)내에서 모터(39)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40)로 투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덩어리의 분말은 임펠러(40)의 회전과 임펠러(4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고운 입자상태로 분리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분말은 분리기체(35)의 하방에 형성된 배출부(45)를 통하여 바람과 함께 하방의 분리구(5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리구(50)로 이동되는 분말은 분리구(50)의 내측에 형성된 차단판(52)에 일차로 부딪힌 후 낙하구(51)를 통하여 배출가이드(70)의 베이스(71)상에 낙하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52)에 부딪히면서 분말은 하방으로 낙하하고 바람은 차단판(52) 측방으로 형성된 공간부(56)를 통하여 바람배출구(55)로 이동된다.
즉, 차단판(52)에 부딪힌 바람이 차단판(52)측방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이동한 후 바람배출구(55)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배출관(57)을 통하여 최종배출되어 진다.
물론, 상기 배출관(57)상에는 배출되는 바람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풍성이 좋은 재질로 된 자루타입의 확산방지포를 연결하여 배출되는 바람이 자연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다.
분리구(50)를 경유하여 배출가이드(70)로 낙하한 분말은 베이스(71)상에서 모터(74)와 감속수단(75)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80)에 의하여 베이스(71) 전방에 형성한 최종배출구(72)와 배출슈트(73)를 통하여 하방에 비치된 용기로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분리기(3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한 상태이기 때문에 덩어리진 분말의 투입과 최종배출과정을 작업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분리기 자체의 제작용이성은 물론 원가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개선된 분리기를 제공하여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분말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분리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분리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함은 물론, 생산원가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되는 과정에서 뭉쳐져 덩어리진 분말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장착되는 분리기체(35);상기 분리기체(35)는 분리할 분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호퍼(36)가 연결되는 투입구(37)를 상방에 가지는 개,폐도어(38)와;상기 분리기체(35)의 하방에는 프레임(31)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9)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40)에 의하여 분리된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45)를 가지는 분리기(30)에 있어서;상기 배출부(45)는 상기 분리기체(35)의 하방에 형성되는 배출구(46)와 연결되어 분리된 분말과 바람을 분리하는 분리구(50)와;상기 분리구(50)의 하방에 연결되어 바람이 제거된 분말을 최종배출하는 배출가이드(70)로 구성하고;상기 분리구(50)는 내부에 분리기체(35)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직통할 수 없도록 경사지게 구획하여 일측에 분말이 낙하가능하도록 낙하구(51)를 가지는 차단판(52)과;상기 고정공(54)의 양측에 확장시켜 차단판(52)과 연통되도록 한 공간부(56)와 상기 공간부(52)의 상방에 구비되는 배출관(57)을 포함하는 바람배출구(55);상기 분리구(50)의 상면과 저면에는 배출구(46)의 플랜지(53)와 배출가이드(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54,58)을 포함하고;상기 배출가이드(70)는 전방에 형성되는 최종배출구(72)의 저면에 배출슈트(73)를 연결하여 구비되는 베이스(71);상기 베이스(71)의 중앙에는 모터(74)와 감속수단(75)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축(76)에 고정되어 낙하되는 분말을 최종배출구(72)로 전달하는 임펠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분리기(30)의 임펠러(40,80)를 제외한 분리기체(35), 개,폐도어(38), 분리구(50) 및 배출가이드(7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122U KR200193122Y1 (ko) | 2000-03-06 | 2000-03-06 | 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122U KR200193122Y1 (ko) | 2000-03-06 | 2000-03-06 | 분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3122Y1 true KR200193122Y1 (ko) | 2000-08-16 |
Family
ID=1964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6122U KR200193122Y1 (ko) | 2000-03-06 | 2000-03-06 | 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312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9430B1 (ko) | 2009-03-02 | 2011-11-02 | 김기대 | 분말제조장치용 분말배출기 |
KR101525900B1 (ko) * | 2014-01-27 | 2015-06-03 | 박성수 | 판재 에지의 시트지 접착용 고형 접착제 투입장치 |
-
2000
- 2000-03-06 KR KR2020000006122U patent/KR2001931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9430B1 (ko) | 2009-03-02 | 2011-11-02 | 김기대 | 분말제조장치용 분말배출기 |
KR101525900B1 (ko) * | 2014-01-27 | 2015-06-03 | 박성수 | 판재 에지의 시트지 접착용 고형 접착제 투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889833A (ja) | 攪拌ミル | |
KR200193122Y1 (ko) | 분리기 | |
KR101984388B1 (ko) | 사이클론 내부의 자석장치를 이용한 곡물의 철분 분리장치 | |
GB1378370A (en) | Domestic flour and meal mills | |
KR102070758B1 (ko) | 전후방이 개방되는 분쇄통유닛이 구비된 미세분쇄장치 | |
KR200453178Y1 (ko) | 곡물선별기 | |
KR100609390B1 (ko) | 착즙분쇄기 | |
JP4276316B2 (ja) | 遠心破砕機のロ−タ | |
CN113351310A (zh) | 全自动粉碎机 | |
JP2005288270A (ja) | 破砕分級装置 | |
KR200375586Y1 (ko) | 곡물 분말 제조장치 | |
KR200305817Y1 (ko) | 공기 배출기를 장착한 곡물분쇄기용 배출장치 | |
JP3883178B2 (ja) | 高性能石抜き機 | |
CN2225298Y (zh) | 碾米粉碎综合机 | |
CN117718229B (zh) | 一种用于金属材料回收的气流分选装置 | |
CN218167270U (zh) | 一种藕粉生产用粉碎装置 | |
JP3211124B2 (ja) | 縦形穀類選別機の残留米排出装置 | |
JPS6122698Y2 (ko) | ||
JPH0335423Y2 (ko) | ||
JPH09150068A (ja) | 連続粉砕機の粉体捕集機構 | |
KR20030080461A (ko) | 미분체의 분쇄 및 정제장치 | |
KR200229849Y1 (ko) | 사출기에 탑재형 분쇄기 | |
US4004741A (en) | Grinding mechanism | |
JPS6144538B2 (ko) | ||
KR200209966Y1 (ko) | 고춧가루분해기의 자동공급 배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