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888Y1 - 전극봉 연마기 - Google Patents

전극봉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88Y1
KR200191888Y1 KR2020000007335U KR20000007335U KR200191888Y1 KR 200191888 Y1 KR200191888 Y1 KR 200191888Y1 KR 2020000007335 U KR2020000007335 U KR 2020000007335U KR 20000007335 U KR20000007335 U KR 20000007335U KR 200191888 Y1 KR200191888 Y1 KR 200191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motor
coupled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극봉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내부로 각 구조물들이 내장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전기 전원의 연결로 회전되는 모터(10)와;
이 모터(10)의 회전으로 모터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어 전극봉(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연마휠(20)과;
전극봉(1)을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1)이 구비되는 홀딩부(30)와;
전극봉(1)이 노출되도록 고정된 홀딩부(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정부(50)와;
상기 조정부(50)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60)로 구성되어 전극봉(1)을 홀딩부(30)에 노출되도록 끼워 넣어 고정하여, 상기 홀딩부(30)를 가이드부(40)에 결합시킨 후 연마휠(20)을 모터(10)에 의해 회전시켜 연마하면서 가이드부(40)의 높이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 그리고 깊이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전극봉(1)의 연마 각도 및 연마 깊이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른 전극봉(1)의 외주면의 모양을 다양하고, 균일하게 연마 할 수 있으므로, 용접시 안정적인 아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품질이 개선되고 고정밀과 고품질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전극봉 연마기{Grinder with electrode rod}
본 고안은 전극봉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봉의 연마각도 조정이 용이하도록 개선하여, 전극봉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어, 연마된 전극봉을 사용하여 용접할 경우 용입율과 연전도율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극봉은 적당한 저항을 거친 직류나 교류전원을 2개의 전극에 접속시켜 고열을 발생시키는 아아크 용접에 사용된다.
따라서, 전극봉이 하나의 전극이 되고 용접되는 모재가 하나의 전극이 되어 아아크에 의한 고열을 발생시켜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극봉의 끝단은 용접중 고열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고 모재가 용해되어 전극봉 표면에 고착되어 외주면이 외곡된 형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정밀하고 견고한 용접을 위해서는 균일한 아아크를 발생시키도록 전극봉의 끝단 외주면을 작업중에 수시로 연마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전극봉을 연마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회전모터에 연마휠을 장착한 그라인더(Grinder)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연마하였다.
또는, 속이 비어있는 케이스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어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휠과 전극봉이 삽입되어 상기 연마휠로 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축결합된 조정부로 구성된 연마기를 사용하였다.
즉, 상기 전극봉을 가이드부에 삽입하여 연마휠에 접촉시킨 후 전극봉을 회전시키면서 연마하며, 작업중 가이드부와 연마휠과 이루는 각도 조정을 통해 전극봉 끝단 외주면의 연마각도를 조정하여 연마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그라인더를 사용한 전극봉 연마방법은 수작업을 통하여 작업되므로 작업이 어렵고, 전극봉의 외주면이 불균일하고 편심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종래의 연삭기를 사용하여 연마할 경우 전극봉이 삽입된 가이드부와 연마휠과 이루는 각도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전극봉의 외주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연마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극봉으로 아아크 용접을 할 경우 안정적 아아크를 발생시키지 못하여, 용접전류 및 아아크스타트가 불안정하며 선단마모및 열변형에 의한 전극봉의 소모가 빠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용접품질이 저하되고, 고품질의 정밀용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극봉을 연삭수단으로 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의 높이 조정, 연마휠과 이루는 각도조정, 전후 이송조정이 가능하도록하여 균일하고 사용자의 용도에 적합한 외주면을 가지는 전극봉을 연마할 수 있는 전극봉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정적인 아아크를 발생하고, 선단마모 및 열변형에 강한 전극봉을 연마할 수 있는 전극봉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정밀용접이 가능한 전극봉을 연마할 수 있는 전극봉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승강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투명창
120 - 분진함 130 - 사물함
1 - 전극봉 10 - 모터
20 - 연마휠 30 - 홀딩부
31 - 고정수단 32 - 손잡이
40 - 가이드부 41 - 조정손잡이
42 - 나사산 43 - 암부재
50 - 조정부 51 - 힌지부
52 - 각도조정나사 60 - 승강부
61 - 승강봉 62 - 지지대
63 - 고정나사 64 - 승강조정손잡이
65 - 기어 66 - 웜기어
70 - 자동회전장치 71 - 회전모터
72 - 타이머
이러한 고안의 목적은 속이 빈 내부로 각 구조물들이 내장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전기 전원의 연결로 회전되는 모터(10)와;
이 모터(10)의 회전으로 모터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어 전극봉(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연마휠(20)과;
전극봉(1)을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1)이 구비되는 홀딩부(30)와;
전극봉(1)이 노출되도록 고정된 홀딩부(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정부(50)와;
상기 조정부(50)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일단은 전극봉(1)을 홀딩부(30)에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끼워 고정수단(31)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홀딩부(30)를 가이드부(40)에 결합하여 전극봉(1)을 연마휠(20)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휠(20)에 의해 연삭시키는 작업중에 전극봉(1)이 끼워진 상기 홀딩부(30)를 회전시키면서 연마정도에 따라 전후,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조정, 상하 등 세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극봉(1)의 외주면이 균일하게 연마될 수 있고,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극봉(1)의 외주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므로 용입효과를 향상시키고, 더욱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투명창과 분진함, 사물함을 구비한 케이스에 장착된 상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척이 전후 이송, 전극봉이 연마휠과 이루는 각도조정, 조정부가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타이머가 장착된 회전모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 평면도이다.
도 4는 웜기어와 기어가 맞물린 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전원공급을 받아 회전가능한 모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0)에는 모터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므로서 전극봉(1)을 연마하는 연마휠(20)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는 작업중 발생하는 사용자의 분진에 의한 호흡기 피해와 연마휠(2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작업중 연마상태를 사용자가 감시할 수 있도록 투명창(110)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연마분진을 모아주는 분진함(120)을 장착하여 주위의 청결을 유지할 수도 있고, 전극봉(1)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물함(130)을 구비할 수 도있다.
전극봉(1)을 연마하는 상기 연마휠(20)은 모터(1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편심이나 열변형이 없어 연마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다이아몬드 디스크 휠을 사용한다.
전극봉(1)이 일정길이 노출하게 삽입되는 중공형 홀딩부(30)는 가이드부(40)에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외부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회전 시킬 수 있는 손잡이(32)와 하단에는 전극봉(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1)으로 척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극봉(1)을 홀딩부(30)에 삽입한 후 하단에 형성된 고정수단(31)인 척을 사용하여 고정하므로서 전극봉(1)의 중심과 홀딩부(3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어 연마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방지한다.
또한, 하단에 척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길이가 짧은 전극봉(1)도 연마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부(40)는 홀딩부(30)가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내부가 상기 홀딩부(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40)는 상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조정손잡이(41)가 부착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42)에 대응되는 암부재(43)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업중 조정손잡이(41)를 회전시키면 숫부재인 가이드부(40)가 암부재(43)의 내측 나사산(4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어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홀딩부(30)가 가이드부(4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작업중 사용자가 손잡이(32)를 잡고 전극봉(1)이 노출되도록 끼워져 고정된 홀딩부(30)를 회전시켜 균일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균일한 외주면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홀딩부(30)를 작업중 회전시키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32)를 파지하여 손으로 돌리면서 작업할 수 도 있으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내부에 회전모터(71)와 회전력을 홀딩부(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3)을 구비한 자동회전장치(7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회전장치(70)에 구비되는 회전모터(71)에는 타이머(72)를 부착시켜 일정시간 동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작업과 동일한 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73)으로 마찰차를 회전모터의 축에 결합하여 홀딩부(30) 표면에 접촉시켜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부재(43)에 결합된 가이드부(40)는 조정부(50)에 축결합되어 이 조정부(50)에 관통되어 끼워진 각도조정나사(50)로 접촉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가이드부(40)는 조정부(50)에 축결합되므로 이 조정부(50) 내측에 힌지부(51)가 형성되어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각도조정나사(52)를 풀어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정한 후 이 각도조정나사(52)를 조임으로서 가이드부(40)를 고정시키고, 각도를 재조정할 경우에는 상기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조정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0)는 승강봉(61)과 승강봉(61)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62)와 고정나사(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61)은 지지대(62)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고정나사(63)는 승강봉(61)과 접하도록 케이스(100)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대(62)에 설치된 승강봉(61)의 위치를 조정한 후 고정나사(30)를 조임으로서 고정할 수 있고, 다시 재조정할 경우에는 고정나사(30)를 풀어 조정한 후 다시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부(6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봉(61)하단에 나사 산(42)이 형성되어 기어(65)가 결합되고, 승강손잡이(64)가 구비된 축에 연결된 웜기어(66)가 상기 기어(65)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 축이 교차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웜기어 대신에 베벨기어를 구비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즉, 승강손잡이(64)를 좌우로 회전하므로서 기어가 연동되어 승강봉(61)이 하단의 나사산(42)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은 전극봉(1)을 홀딩부(30)에 삽입하여 상기 홀딩부(30)를 가이드부(40)에 결합시킨 후 연마휠(20)을 모터(10)에 의해 회전시켜 연마하면서 가이드부(40)의 높이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 그리고 전후이동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전극봉(1)의 연마 각도 및 연마 깊이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균일하고 다양한 외주면을 가지는 전극봉(1)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봉(1)이 삽입된 가이드부(40)가 이송수단(43)을 구비하여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고, 가이드부(40)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정되도록 조정부(50)에 결합되고, 상기 조정부(50)를 승강시킬수 있는 승강부(60)로 구성되어 전극봉(1)을 사용자가 연마할 경우 필요와 연마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연마각도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초보자도 용이하게 전극봉(1)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른 전극봉(1)의 외주면의 모양을 다양하고,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으므로, 용접시 안정적인 아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품질이 개선되고 고정밀과 고품질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속이 빈 내부로 각 구조물들이 내장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전기 전원의 연결로 회전되는 모터(10)와;
    이 모터(10)의 회전으로 모터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어 전극봉(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연마휠(20)과;
    전극봉(1)을 끼워져 고정시키는 정수단(31)이 구비되는 홀딩부(30)와;
    전극봉(1)이 노출되도록 고정된 홀딩부(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가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정부(50)와;
    상기 조정부(50)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극봉 연마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3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31)으로 척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극봉 연마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는 외측면이 나사산(42)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암부재(43)에 결합하므로서, 상기 가이드부(40)를 회전시키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극봉 연마기.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가 각도조정나사(52)가 결합된 조정부(50)에 축결합되어 이 각도조정나사(52)를 조였을 때 고정되고, 풀었을 때 연마휠(20)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기.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타이머(72)가 부착된 회전모터(71)와 상기 회전모터(7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홀딩부(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3)으로 구성된 자동회전장치(70)를 장착하여 상기 홀딩부(30)가 일정시간동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기.
  6.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60)는 승강봉(61)과 이 승강봉(61)과 접하도록 수직으로 케이스(100)에 결합된 고정나사(63)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나사(63)를 풀어 상하로 위치 조정한 후 다시 조여 상기 승강봉(6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기.
  7.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60)가 승강봉(61)하단에 나사산(42)이 형성되어 기어(65)가 결합되고, 승강손잡이(64)가 구비된 축에 연결된 웜기어(66)가 상기 기어(65)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손잡이(64)를 회전하므로서 기어가 연동되어 상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극봉 연마기.
KR2020000007335U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KR2001918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84A KR20010091408A (ko)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84A Division KR20010091408A (ko)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88Y1 true KR200191888Y1 (ko) 2000-08-16

Family

ID=196554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84A KR20010091408A (ko)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KR2020000007335U KR200191888Y1 (ko)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84A KR20010091408A (ko) 2000-03-15 2000-03-15 전극봉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914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88B1 (ko) 2011-08-23 2013-10-16 진찬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KR102079943B1 (ko) *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492B1 (ko) * 2012-05-02 2014-07-16 김인태 텅스텐 전극봉 연마용 핸드 그라인더
CN110539232B (zh) * 2019-09-11 2021-05-11 马鞍山市新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矿石加工用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283Y2 (ko) * 1980-08-30 1989-03-06
KR890000086Y1 (ko) * 1985-06-22 1989-03-06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공구 연삭기용 총형커터 지지장치
JPS637448U (ko) * 1986-06-30 1988-01-19
KR910000798Y1 (ko) * 1987-07-21 1991-02-08 박정훈 농업용수 개폐용 수문의 안전 구동장치
KR950005482Y1 (ko) * 1993-08-10 1995-07-12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텅스텐 용접봉의 연마장치
JP2736402B2 (ja) * 1994-04-13 1998-04-02 彰久 村田 電極棒研磨機
KR200153627Y1 (ko) * 1997-02-22 1999-08-02 백운환 옷걸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88B1 (ko) 2011-08-23 2013-10-16 진찬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KR102079943B1 (ko) *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408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9157091A1 (ja) ソーチェンの研磨機
KR200191888Y1 (ko) 전극봉 연마기
CN211029293U (zh) 一种金属材料加工用打磨装置
CN217572141U (zh) 用于井盖加工的砂轮机
CN215919943U (zh) 一种圆柱滚子轴承的加工器具
CN212240358U (zh) 一种机械工件加工用打磨装置
CN211136727U (zh) 一种用于焊丝生产的线材表面处理设备
CN209831255U (zh) 一种纹身针抛光机
KR101847583B1 (ko) 워크서포트 연삭장치
KR200243773Y1 (ko) 휴대용텅스텐봉연마기
KR100820186B1 (ko)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CN212635339U (zh) 一种钢结构件表面油漆用打磨机
US6645055B1 (en) Apparatus, in particular for the grinding of electrodes for TIG welding
CN211890173U (zh) 一种便于打磨的电机加工用打磨装置
KR100545878B1 (ko) 칼 연마기
CN219336573U (zh) 一种多角度焊接固定装置
JP3215829U (ja) ディスクグラインダーの研磨補助具
CN213289807U (zh) 一种家具生产修边装置
CN212947018U (zh) 一种工业制造用的打磨装置
JP2568231Y2 (ja) 電極棒研磨機
CN211897644U (zh) 一种钢轨用仿形打磨机
CN216298759U (zh) 一种金属管材加工设备
CN215747483U (zh) 一种大面积自行走钢板焊接用的夹持装置
CN213225474U (zh) 一种管道焊缝打磨装置
KR200213206Y1 (ko) 모서리 면취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