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788B1 -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 Google Patents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88B1
KR101310788B1 KR1020110083903A KR20110083903A KR101310788B1 KR 101310788 B1 KR101310788 B1 KR 101310788B1 KR 1020110083903 A KR1020110083903 A KR 1020110083903A KR 20110083903 A KR20110083903 A KR 20110083903A KR 101310788 B1 KR101310788 B1 KR 10131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discharge needle
tungsten
tungsten discharg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567A (ko
Inventor
진찬우
Original Assignee
진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찬우 filed Critical 진찬우
Priority to KR102011008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에 사용되어지는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텅스텐은 모든 금속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낮은 증기압을 갖고 있어 이온전자의 발생량이 많은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Tungsten discharge tip for electricity removal process and device, tungsten tip is made by i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에 사용되어지는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텅스텐은 모든 금속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낮은 증기압을 갖고 있어 이온전자의 발생량이 많은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 즉, 반도체 장비인 LCD, PDP를 생산하는 라인에서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야기되는 제품불량을 해소할 목적으로 정전기 제거장치(일명:이오나이저(ionizer))를 생산라인에 설치하게 된다.
반도체와 같이 민감한 전기제품들은 10볼트의 정전기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있어 정전기 먼지에 의한 오염에 민감한 LCD, PDP와 같은 반도체 제품은 10볼트의 정전기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있다.
정전기 발생에 의한 제품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먼지가 정전기력에 의해 피도물(도장의 대상이 되는 제품을 말함) 표면에 부착되어지지 못하도록 피도물의 정전기를 방전시켜야 한다.
상기 피도물의 정전기력 방전에 사용되어지는 정전기 제거장치(일명:이오나이저(ionizer))에서 음이온 발생의 주도적인 역활을 하는 것이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 이다.
정전기 제거장치의 방점침으로 사용되어지는 소재는 주로 스테인레스(써스:SUS)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정전기 제거용 스테인레스 방전침은 가공하기는 쉬우나 용융점이 낮고 증기압이 높아 전자이온의 발생량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용 스테인레스 방전침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기 제거용 방전침이 텅스텐을 소재로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이다.
상기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은 용융점이 섭씨 3387도로 금속중에 가장 높고, 낮은 열팽창율 및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온전자의 발생량이 스테인레스를 방전침의 소재로 이용하였을 때 보다 이온전자의 발생량이 무려 100배 이상 발생하여 정전기 먼지에 의한 오염에 민감한 LCD, PDP와 같은 반도체 제품 생산라인에 적합하게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텅스텐을 소재로 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은 상온에서 그 비중과 경도가 높아 쉽게 가공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어 연마에 어려움이 있고, 그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끝부분(촉)을 10μm~100μm이하 내에서 다양하게 제조하는데 기존의 장치에서는 그 다양성을 실현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텅스텐을 소재로한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 제조장치 및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장치가 연마기의 연마휠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의 조정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 소재인 바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공급과 취출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공급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써, 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공급과 취출 작업이 용이하여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굵기에 따라 가공칫수가 달라지는 끝부분(촉)을 하나의 소재공급장치에 의해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하여 텅스텐 방전침의 다양성은 물론 텅스텐 방전침 제조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텅스텐 원자재의 표면 연마를 통해 2/100~5/1000 사이의 다양한 굵기를 갖도록 가공한 후,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용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로 가공하는 단계와;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로 가공되어진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소재공급장치의 물림쇠(chuck)에 물려 촉(鏃)을 성형하되,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물림쇠(chuck)에 물릴 때에는 상기 소재공급장치의 물림쇠동력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를 상부로 이동시켜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이 물림쇠연결봉에 설치된 동력연결블럭으로부터 이격되어지게 하여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물림쇠가 물림쇠튜브으로부터 선단이 빠져나와 벌어지는 핀삽입구멍에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삽입시킨 다음, 물림쇠전후진레버를 아래로 내려 동력전달시이소편이 물림쇠연결봉의 동력연결블럭을 밀어 물림쇠의 선단이 물림쇠튜브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게하여 물림쇠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세팅하는 단계와;
소재공급장치의 물림쇠에 세팅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선단을 연마기의 연마휠에 접촉시켜 촉(鏃)을 형성하되,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촉(鏃) 성형은, 기체의 일측 상부로 설치되어어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의 밑면 일측으로 형성된 랙크기어에 치합된 피니언이 연마레버의 회전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대를 전진 시킴과 동시에 연마레버의 회전작동과 함께 구동모터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벨트를 거쳐 물림쇠튜브에 설치된 풀리로 전달되어 물림쇠튜브와 함께 텅스텐 방전침 소재가 물려 있는 물림쇠가 회전을 하게 되며, 소재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가 이동대로부터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어 회전 연동하는 연마기의 연마휠에 대하여 물림쇠에 물려 있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가 경사각을 이루며 접촉되어져 선단에 뾰족한 촉(鏃)이 형성되어지게 하는 촉(鏃)성형 단계와;
촉(鏃)이 연마 형성되어서 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연마 성형이 완료되어지면, 연마레버를 하향 회전시켜 소재공급장치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연마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이 연마휠로부터 이격되도록 함과 더불어 구동모터의 구동이 멈춤과 동시에 물림쇠전후진레버를 위로 올려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이 물림쇠동력연결부재으로부터 이격되어지게 하여 물림쇠가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여서 선단이 물림쇠튜브 내측으로부터 벗어나 벌어진 핀삽입구멍으로부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을 취출해 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 상부로 설치되어어진 레일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대로부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가 조립되어져 있어 물림쇠에 고정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선단이 연마기의 연마휠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며 접촉되어 촉(鏃)의 성형이 가능 한 소재공급장치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소재공급장치의 물림쇠에 물린 텅스텐 방전침 소재의 선단을 뾰족하게 연마하여 촉(鏃)을 형성시키는 연마휠을 포함하는 연마기(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재공급장치는 기체의 상부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 3개소에 체결되어 볼트가 관통 위치하여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곡선슬롯홀이 후단 중앙과 선단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상면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를 잡아주는 물림쇠가 고정대에 용접된 베어링블럭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물림쇠튜브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림쇠의 후단에는 물림쇠튜브에 설치된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이 키 조립되어지면, 물림쇠튜브에 설치된 풀리와 연결된 벨트를 통해 상기 물림쇠튜브로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과 더불어 물림쇠가 물림쇠튜브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게 하는 동력연결블럭을 포함하는 물림쇠연결봉이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동력연결블럭에 대하여 키 조립되어지는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의 시이소 작동은 물림쇠튜브 외측으로 헐겁게 설치되어 물림쇠전후진레버의 상,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지는 가동간에 의해 전후진되어지는 물림쇠동력연결부재의 동력전달시이소작동구를 후진시켜면 경사내면에 선단이 눌리면서 이루어지며,
상기 물림쇠연결봉은 후단의 스프링연결블럭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단이 동력전달블럭에 고정되어진 스프링의 인장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물림쇠동력연결부재의 물림쇠전후진레버를 올려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를 전진 이동시키면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이 자유상태가 되어 동력연결블럭이 키 조립해제됨과 더불어 물림쇠 선단이 물림쇠튜브로부터 빠져나와 핀삽입구멍이 확경되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기는 기체 상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동대는 핸들과 함께 연동하는 피니언과 치합되어 연동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이동대이동스크류봉에 의해 좌우 이동되어지고, 그 상부에 다이어몬드연마부를 포함하는 연마휠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연마휠의 연마면을 드레싱 하는 드레싱기가 높낮이조절핸들의 조정으로 연마휠 상부로부터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공급장치의 이동대는, 기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안내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지고, 밑면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랙크기어가 연마레버 회전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피니언과 치합되어 있어 상기 연마레버의 상,하 회전 운동에 따라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림쇠동력연결부재는 물림쇠튜브에 대하여 헐겁게 위치하도록 외측으로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동력전달블럭의 동력전달시이소편이 시이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의 일측단을 점진적으로 압박시키는 경사내면을 형성하고 있고, 선단 외측에는 레버블럭의 물림쇠전후진레버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형성되어진 가동간의 안내핀이 위치하여지는 요홈환테가 형성되어 있는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와;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 아래로 위치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가동간을 포함하는 축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축의 일단에 축을 회전시켜 회전운동하는 가동간이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를 포함하는 레버블럭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림쇠는 텅스텐 방전핀 소재가 삽입고정되는 핀삽입구멍이 선단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경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흠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삽입구멍의 내경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림쇠튜브의 선단 내경에 대응하는 확경부가 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물림쇠연결봉이 나사식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은 길이가 4㎜인 촉(鏃)이 연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은,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장치(200)가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의 조정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 소재인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공급과 취출을 소재공급장치로부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재공급장치(200)를 개량한 것으로써,
첫째,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공급과 취출 작업이 용이하여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둘째,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의 굵기에 따라 가공칫수가 달라지는 끝부분(촉)(21)을 하나의 소재공급장치(200)에 의해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하여 텅스텐 방전침(20)의 다양성은 물론 텅스텐 방전침 제조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일측면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1의 평면도.
도 3은 도2의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소재공급장치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소재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레버블럭을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평면도로써, 텡스텐소재를 장착할 수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소재공급장치의 측단면도로써, 도6에서와 같이 텡스텐소재를 장착할 수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평면도로써, 텡스텐소재를 연마기의 연마휠에 접촉시켜 연마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소재공급장치의 측단면도로써, 도8에서와 같이 텡스텐소재를 연마기의 연마휠에 접촉시켜 연마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의 물림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은, 텅스텐 소재(10)을 공급하는 소재공급장치(200)와,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을 통해 공급되는 텅스텐소재(10)의 끝부분을 연마하는 연마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와 연마기(300)는 기체(100)에 설치되어 진다.
상기 기체(100)의 일측에는 소재공급장치(200)는 레일(110)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대(120)로부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215)가 조립되어져 있어 물림쇠(220)에 고정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이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며 접촉되어 끝부분(촉(鏃))(21)의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소재공급장치(200)는 기체(100)의 상부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레일(110)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대(120)의 상면에는 3개소에 체결된 볼트(122)가 관통 위치하여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곡선슬롯홀(215a)이 후단 중앙과 선단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15)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플레이트(215)의 상면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잡아주는 물림쇠(220)가 설치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물림쇠(220)는 고정대(291)에 용접된 베어링블럭(190)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물림쇠튜브(210) 내측으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물림쇠(220)의 후단에는 물림쇠튜브(210)에 설치된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키 조립되어지는 동력연결블럭(250)을 포함하는 물림쇠연결봉(230)이 연장 형성되어 진다.
상기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키 조립되어지는 동력연결블럭(250)을 포함하는 물림쇠연결봉(23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물림쇠튜브(210)에 설치된 풀리(280)와 연결된 벨트(510)를 통해 상기 물림쇠튜브(210)로 전달된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였다.
상기 동력연결블럭(250)에 대하여 키 조립되어지는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시이소 작동은, 물림쇠튜브(210) 외측으로 헐겁게 설치되어 물림쇠전후진레버(267)의 상,하작동에 따라 연동하여지는 가동간(266)에 의해 전후진되어지는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동력전달시이소작동구(261)를 후진시키면 경사내면(262)에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선단이 눌리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림쇠튜브(210)로부터 구동모터(500)이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물림쇠연결봉(230)은, 후단의 스프링연결블럭(270)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단이 동력전달블럭(240)에 고정되어진 스프링(275)의 인장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진 스프링(275)의 인장력을 반도록 설치되어진 물림쇠연결봉(230)은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올려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전진 이동시키면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자유상태가 되게하면, 스프링(275)의 인장력에 의해 동력연결블럭(250)이 동력전달시이소편(241)으로부터 키 조립해제 됨과 더불어 물림쇠(220) 선단이 물림쇠튜브(210) 선단으로부터 빠져나와 핀삽입구멍(221)이 확경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재공급장치(200)의 이동대(120)는, 기체(100)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안내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밑면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랙크기어(121)가 연마레버(122) 회전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피니언(123)과 치합되어 있어 상기 연마레버(122)의 상,하 회전 운동에 따라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진다.
상기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는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와, 레버블럭(264)으로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은, 물림쇠튜브(210)에 대하여 헐겁게 위치하도록 외측으로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시이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일측단을 점진적으로 압박시키는 경사내면(262)을 형성하고 있고, 선단 외측에는 레버블럭(264)의 물림쇠전후진레버(267)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265)에 형성되어진 가동간(266)의 안내핀(266a)이 위치하여지는 요홈환테(2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작동시키는 레버블럭(264)는,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 아래로 위치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가동간(266)을 포함하는 축(265)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축(265)의 일단에 축(265)을 회전시켜 회전운동하는 가동간(266)이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포함한다.
상기 물림쇠(220)는 텅스텐 방전핀 소재(10)가 삽입고정되는 핀삽입구멍(221)이 선단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삽입구멍(221) 내경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흠(222)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삽입구멍(221)의 내경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림쇠튜브(210)의 선단 내경(211)에 대응하는 확경부(223)가 선단으로 형성되어있으며, 후단에는 물림쇠연결봉(230)이 나사식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224)을 포함한다.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와 나란하도록 기체(100)일측에 설치되어지는 상기 연마기(300)는 기체(100) 상면에 설치된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310)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이동대(310)는 핸들(340)과 함께 연동하는 피니언(341)과 치합되어 연동하는 피니언(351)을 포함하는 이동대이동스크류봉(350)에 의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이동대(310)의 상부에 다이어몬드연마부를 포함하는 연마휠(331)이 구동모터(330)의 회전축에 장착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연마휠(331)의 연마면을 드레싱 하는 드레싱기(360)가 높낮이조절핸들(361)의 조정으로 연마휠(331) 상부로부터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 어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어진 정전기 제거용 방전침(20)은 길이가 4㎜인 끝부분(촉(鏃))(21)이 연마 형성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은, 텅스텐 원자재의 표면 연마를 통해 2/100~5/1000 사이의 다양한 굵기를 갖도록 가공한다.
이후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용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로 절단가공한다.
상기와 같이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로 절단 가공되어진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chuck)(220)에 물려 끝부분(촉(鏃))(21)을 성형하게 된다.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물림쇠(chuck)(220)에 물릴 때에는 도4내지 도7에서와 같이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 구성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상부로 이동시켜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물림쇠연결봉(230)에 설치된 동력연결블럭(250)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동력연결블럭(250)으로부터 이격되게어지면, 일단은 물림쇠연결봉(230)의 스프링연결블럭(270)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물림쇠튜브(210)에 고정된 동력전달블럭(240)에 연결된 스프링(275)의 인장력에 의해 물림쇠(220)가 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림쇠연결봉(230)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선단의 물림쇠(220)가 물림쇠튜브(210)으로부터 선단 즉, 확경부(223)가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림쇠(220)의 확경부(223)가 물림쇠튜브(210) 선단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내경이 작게 좁아져 있던 핀삽입구멍(221)의 내경이 넓어지게 된다.
핀삽입구멍(221)의 내경이 넓어질 수있는 이유는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확경부(223)가 물림쇠튜브(210)로부터 벗어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핀삽입구멍(221)의 내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흠(222)이 사방으로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물림쇠(220)가 전진하여 핀삽입구멍(221)이 넓어진 상태에서 연마 작업하고자 하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삽입시킨다.
핀삽입구멍(221)에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삽입시킨 다음,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물림쇠(220)에 세팅시킨다.
상기 물림쇠(220)에 삽입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세팅시킬 때에는 먼저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을 구성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아래로 내린다.
상기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아래로 내리면, 가동간(265)이 연동을 하게 되고, 연동되는 가동간(265)의 핀(266a)이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테홈(263)에 위치하고 있어 물림쇠튜브(210) 외측으로 헐겁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진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후진 이동시킨다.(도4, 도5, 도8,도9 참조)
도 9는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가 후진 이동한 상태의 예시로써,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가 후진 이동되어지면,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의 경사내면(262)과 접촉 위치하고 있는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 선단에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이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에 의해 선단이 압박되어지는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블럭(240)은 물림쇠튜브(210)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선단이 눌려 시이소 작동되어지는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은 동력전달블럭(240)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져 있어 시이소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이소 작동되어지는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후단은 물림쇠(220)와 연장되어진 물림쇠연결봉(230)으로 설치된 동력연결블럭(250)에 대하여 도 9와 같이 키 조립되어 짐과 동시에 동력연결블럭(250)을 후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동력연결블럭(250)이 후진 이동함에 따라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물려 있는 물림쇠(220)가 후진 연동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후진되어지는 물림쇠(220)의 선단 확경부(223)가 물림쇠튜브(210) 선단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림쇠튜브(210) 선단으로 확경부(223)가 인입되어짐에 따라 핀삽입구멍(221)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고, 핀삽입구멍(221)의 내경이 작아짐으로써,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안정되게 고정되어지게되는 것이다.
더불어, 물림쇠튜브(210)에 고정되어진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 후단이 물림쇠연결봉(230)으로 고정설치된 동력연결블럭(250)에 대하여 키 조립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물림쇠튜브(210)에 고정설치된 풀리(28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물림쇠(220)를 포함하는 물림쇠연결봉(230)으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220)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세팅 완료되어지면, 연마기(300)로 텡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이동시킨다.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연마기로 이동시킬 때에는 먼저 제어부(400)를 컨트롤 하여 전원 및 구동 조건 등을 조정한 후, 기체(100)의 상부로 설치되어져 있고, 소재공급장치(200)가 설치되어져 있는 이동대(120)를 가동시켜 텡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연마기(300)로 이동을 시킨다.
기체(100)에서 이동하는 이동대(120)는 기체(100)의 일측 상부로 설치되어진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진 이동대(120)의 이동은 연마레버(122)의 회전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연마레버(122)를 상부로 회전작동시키면, 연마레버(122)가 설치된 축과 일체로 설치되어진 피니언(123)이 연동하게 된다.
연마레버(122)에 의해 연동하는 피니언(123)에는 이동대(120)의 밑면 일측으로 형성된 랙크기어(121)가 치합되어 있어 피니언(123)의 회전운동이 랙크기어(121)에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지면서 소재공급장치(200)가 연마기(300)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레버(124)를 상부로 회동시켜 이동대(120)를 이동시킬 때 구동모터(500)에 전원이 공급되어져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물림쇠튜브(210)에 고정설치되어진 풀리(280)와 연결된 벨트(510)를 통해 상기 물림쇠튜브(210)로 전달되어지고, 구동모터(50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물림쇠튜브(210)의 회전력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물려 있는 물림쇠(220)로 전달되어져 함께 연동한다.
상기 물림쇠(220)가 연동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하였듯이 물림쇠튜브(210)에 고정되어진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물림쇠연결봉(230)으로 설치된 동력연결블럭(250)으로 키 조립되어져 있어 물림쇠(220)가 물림쇠튜브(210)와 연동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마레버(124)를 회동시킬 때 구동모터(500)가 구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연마레버(124)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여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게한느 로터리스위치방식 또는 연마레버(124) 회동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방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되어지는 이동대(120)에 설치되어진 소재공급장치(200)는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고 있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에 뽀족한 끝부분(촉(鏃))(21)이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의 각도조절은 이동대(120)로 체결되어지는 볼트(122)에 플레이트(215) 3개소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슬롯홀(215a)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볼트(122)에 곡선슬롯홀(215a)이 위치함으로써, 플레이트(215)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여 물림쇠(220)로 세팅되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며 접촉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마휠(33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촉 연마되어 됨과 동시에 구동모터(50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소재공급장치(200)를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와 나란하도록 기체(100)에 설치되어진 연마기(300)로 이동시켜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을 연마한다. (도9참조)
이때 연마휠(331)도 연마기(3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33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진다.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 연마는 연마휠(331)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되어지면서 연마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이 연마휠(331)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접촉되어지면서 연마되어지는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마휠(331)에 대하여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이 최초 접촉되어지는 치점은 성단 모서리 부분이 된다.
상기와 같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 모서리가 선접촉되어지는 이유는 연마휠(331)의 연마면에 대하여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선단 모서리가 선접촉 연마되어지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지속적으로 연마휠(331) 쪽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연마를 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연마되어지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이 연마휠(331)의 연마면을 벗어나지 않는 직전까지만 전진시켜 연마를 함으로써, 뾰족한 끝부분(촉(鏃))(21)이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을 연마휠(331)로 연마할 때,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마찰열을 해소하기위한 수단으로 냉각수노즐(370)을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어지게 된다.
이에 더불어 연마로 발생한 쇳가루와 냉각수는 집진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의 집진후드(600)로 모아져 처리되어 진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끝부분(촉(鏃))(21)이 연마 완료되어서 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을 취출해 내게 된다.
연마 완료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을 취출할 때에는 연마레버(122)를 하향 회전시켜 소재공급장치(20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연마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이 연마휠(33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연마레버(122)를 하향 회동시키면, 구동모터(500)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차단되어져 소재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물림쇠(220)와 물림쇠튜브(210)의 회전이 멈춰짐과 더불어 이동대(120)의 후진으로 연마휠(331)로부터 연마 완성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이 이격되어 진다.
소재공급장치(200)의 후진으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이 연마휠(331)로부터 이견되어지면,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위로 올려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전진 이동시킨다.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가 전진 이동하면, 경사내면(262)에 선단이 눌려 있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선단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동력전달시이소편(241) 선단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 되면, 일단이 물림쇠연결봉(230)에 설치되어진 스프링연결블럭(270)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물림쇠튜브(2100에 설치된 동력전달블럭(240)에 고정되어진 스프링(275)의 인장력에 의해 동력연결블럭(250)이 전진을 하면서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후단을 빌어줌으로써, 도7에서와 같이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위치하여지게 됨과 동시에 물림쇠(220)가 전진하여 물림쇠튜브(210) 선단으로부터 확경부(223)가 벗어나 핀삽입구멍(221)이 벌어져 물림쇠(220)로부터 연마 형성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을 취출해 냄으로써,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 제조가 완료되어지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연속반복하면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의 생산을 지속한다.
상기와 같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연마하여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을 연속적으로 생산함에 따라 연마휠(331)의 연마면이 마모되어지게 된다.
연마휠(331)의 연마면이 마모되어지면, 상기 연마휠(331)의 외경이 작아지는 결과가 초래되어 연마휠(331)의 연마면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상기 연마면의 마모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게 접촉되어질 수 있도록 간격을 보정해주게 된다.
연마휠(331) 연마면을 보정할 때에는 연마기(300)를 구성하는 이동대(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보정한다.
상기 연마기(300)의 이동대(310)를 이동시킬 때에는 핸들(340)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핸들(340)을 회전시키면 핸들(340)과 일체로 설치되어진 피니언기어(341)가 연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연동하는 피니언기어(341)에는 이동대(310)를 좌,우 이동시키는 스크류봉(350)에 설치되어진 피니언기어(351)가 치합되어 있어 상기 스크류봉(350)이 핸들(3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봉(350)이 회전함으로써, 연마휠(331)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대(310)가 좌우로 이동되어져 연마휠(331)의 위치 보정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한편, 연마휠(331)의 연마면의 불규칙하게 마모되어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을 연마하여서 형성되는 끝부분(촉(鏃)(21) 연마가 불량해지면, 상기 연마휠(331)의 연마면을 드레싱하여 연마면을 평탄하게 재생시키게 된다.
상기 연마휠(331)의 연마면 드레싱은 연마휠(331)의 상부로 위치하게 설치되어진 드레싱기(360)를 연마휠(331)의 연마면에 접촉시켜 작업을 수행하게된다.
상기 드레싱기(360)의 높낮이 조절은 높낮이조절핸들(361)에 의해 이루어진다.
100 : 기체 110 : 레일
120,310 : 이동대 121 : 랙크기어
122 : 볼트 123 : 피니언
124 : 연마레버 200 : 소재공급장치
210 : 물림쇠튜브 220 : 물림쇠
215 : 플레이트 215a : 곡선슬롯홀
221 : 핀삽입구멍 222 : 절개흠
223 : 확경부 224 : 나사산
230 : 물림쇠연결봉 240 : 동력전달블럭
241 : 동력전달시이소편 250 : 동력연결블럭
260 : 물림쇠동력연결부재 261 :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
262 : 경사내면 263 : 테홈
264 : 레버블럭 265 : 축
266 : 가동간 266a : 안내핀
270 : 스프링연결블럭 275 : 스프링
280 : 풀리 290 : 베어링블럭
291 : 고정대 300 : 연마기
320 : 레일 330 : 구동모터
331 : 연마휠 340 : 핸들
341, 351 : 피니언기어 350 : 스크류봉
360 : 드레싱기 361 : 높낮이조절핸들
400 : 제어부 500 : 구동모터
510 : 벨트

Claims (8)

  1. 텅스텐 원자재의 표면 연마를 통해 2/100~5/1000 사이의 다양한 굵기를 갖도록 가공한 후,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용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로 가공하는 단계와;
    단위 텅스텐 방전침 소재로 가공되어진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chuck)(220)에 물려 촉(鏃)을 성형하되,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물림쇠(chuck)(220)에 물릴 때에는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를 구성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상부로 이동시켜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물림쇠연결봉(230)에 설치된 동력연결블럭(250)으로부터 이격되어지게 하여 스프링(275)의 인장력에 의해 물림쇠(220)가 물림쇠튜브(210)으로부터 선단이 빠져나와 벌어지는 핀삽입구멍(221)에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삽입시킨 다음,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아래로 내려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물림쇠연결봉(230)의 동력연결블럭(250)을 밀어 물림쇠(220)의 선단이 물림쇠튜브(210)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게하여 물림쇠(220)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세팅하는 단계와;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220)에 세팅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을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접촉시켜 촉(鏃)을 형성하되, 상기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촉(鏃) 성형은, 기체(100)의 일측 상부로 설치되어어진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120)의 밑면 일측으로 형성된 랙크기어(121)에 치합된 피니언(123)이 연마레버(122)의 회전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대(120)를 전진 시킴과 동시에 연마레버(122)의 회전작동과 함께 구동모터(50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벨트(510)를 거쳐 물림쇠튜브(210)에 설치된 풀리(280)로 전달되어 물림쇠튜브(210)와 함께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물려 있는 물림쇠(220)가 회전을 하게 되며, 소재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15)가 이동대(120)로부터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어 회전 연동하는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물림쇠(220)에 물려 있는 텅스텐 방전침 소재(10)가 경사각을 이루며 접촉되어져 선단에 뾰족한 촉(鏃)이 형성되어지게 하는 촉(鏃)성형 단계와;
    촉(鏃)이 연마 형성되어서 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의 연마 성형이 완료되어지면, 연마레버(122)를 하향 회전시켜 소재공급장치(20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연마된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이 연마휠(331)로부터 이격되도록 함과 더불어 구동모터(500)의 구동이 멈춤과 동시에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위로 올려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물림쇠동력연결부재(250)으로부터 이격되어지게 하여 물림쇠(220)가 스프링(275)의 인장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여서 선단이 물림쇠튜브(210) 내측으로부터 벗어나 벌어진 핀삽입구멍(221)으로부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을 취출해 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2. 기체(100)의 일측 상부로 설치되어어진 레일(110)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대(120)로부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215)가 조립되어져 있어 물림쇠(220)에 고정된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이 연마기(300)의 연마휠(331)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며 접촉되어 촉(鏃)의 성형이 가능 한 소재공급장치(200)와;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의 물림쇠(220)에 물린 텅스텐 방전침 소재(10)의 선단을 뾰족하게 연마하여 촉(鏃)을 형성시키는 연마휠(331)를 포함하는 연마기(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공급장치(200)는 기체(100)의 상부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레일(110)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대(120)와, 상기 이동대(120) 3개소에 체결되어 볼트(122)가 관통 위치하여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곡선슬롯홀(215a)이 후단 중앙과 선단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15) 상면에 텅스텐 방전침 소재(10)를 잡아주는 물림쇠(220)가 고정대(291)에 용접된 베어링블럭(190)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물림쇠튜브(210)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림쇠(220)의 후단에는 물림쇠튜브(210)에 설치된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키 조립되어어지면, 물림쇠튜브(210)에 설치된 풀리(280)와 연결된 벨트(510)를 통해 상기 물림쇠튜브(210)로 전달된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과 더불어 물림쇠(220)가 물림쇠튜브(210)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게 하는 동력연결블럭(250) 포함하는 물림쇠연결봉(230)이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동력연결블럭(250)에 대하여 키 조립되어지는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시이소 작동은 물림쇠튜브(210) 외측으로 헐겁게 설치되어 물림쇠전후진레버(267)의 상,하작동에 따라 연동하여지는 가동간(266)에 의해 전후진되어지는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동력전달시이소작동구(261)를 후진시키면 경사내면(262)에 선단이 눌리면서 이루어지며,
    상기 물림쇠연결봉(230)은 후단의 스프링연결블럭(270)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단이 동력전달블럭(240)에 고정되어진 스프링(275)의 인장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의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올려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전진 이동시키면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자유상태가 되어 동력연결블럭(250)이 키 조립해제됨과 더불어 물림쇠(220) 선단이 물림쇠튜브(210)로부터 빠져나와 핀삽입구멍(221)이 확경되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300)는 기체(100) 상면에 설치된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31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동대(310)는 핸들(340)과 함께 연동하는 피니언(341)과 치합되어 연동하는 피니언(351)을 포함하는 이동대이동스크류봉(350)에 의해 좌우 이동되어지고, 그 상부에 다이어몬드연마부를 포함하는 연마휠(331)이 구동모터(330)의 회전축에 장착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연마휠(331)의 연마면을 드레싱 하는 드레싱기(360)가 높낮이조절핸들(361)의 조정으로 연마휠(331) 상부로부터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공급장치(200)의 이동대(120)는, 기체(100)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안내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지고, 밑면 일측으로 설치되어진 랙크기어(121)가 연마레버(122) 회전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피니언(123)과 치합되어 있어 상기 연마레버(122)의 상,하 회전 운동에 따라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쇠동력연결부재(260)는 물림쇠튜브(210)에 대하여 헐겁게 위치하도록 외측으로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동력전달블럭(240)의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이 시이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241)의 일측단을 점진적으로 압박시키는 경사내면(262)을 형성하고 있고, 선단 외측에는 레버블럭(264)의 물림쇠전후진레버(267)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265)에 형성되어진 가동간(266)의 안내핀(266a)이 위치하여지는 요홈환테(263)가 형성되어 있는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와;
    상기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 아래로 위치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가동간(266)을 포함하는 축(265)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축(265)의 일단에 축(265)을 회전시켜 회전운동하는 가동간(266)이 동력전달시이소편작동구(261)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림쇠전후진레버(267)를 포함하는 레버블럭(2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7.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쇠(220)는 텅스텐 방전핀 소재(10)가 삽입고정되는 핀삽입구멍(221)이 선단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경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흠(222)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삽입구멍(221)의 내경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림쇠튜브(210)의 선단 내경(211)에 대응하는 확경부(223)가 선단으로 형성되어있으며, 후단에는 물림쇠연결봉(230)이 나사식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22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20)은 길이가 4㎜인 촉(鏃)이 연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KR1020110083903A 2011-08-23 2011-08-23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KR10131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03A KR101310788B1 (ko) 2011-08-23 2011-08-23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03A KR101310788B1 (ko) 2011-08-23 2011-08-23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567A KR20130021567A (ko) 2013-03-06
KR101310788B1 true KR101310788B1 (ko) 2013-10-16

Family

ID=4817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903A KR101310788B1 (ko) 2011-08-23 2011-08-23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7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88Y1 (ko) 2000-03-15 2000-08-16 김병호 전극봉 연마기
KR200323141Y1 (ko) 2003-05-23 2003-08-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텅스텐 전극봉 연마 보조 장치
KR20080011770A (ko) * 2006-07-31 2008-02-11 주식회사 쎄타텍 텅스텐-구리 방전가공용 전극 제조방법
JP2010140746A (ja) 2008-12-11 2010-06-24 Kazuo Okano 放電電極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88Y1 (ko) 2000-03-15 2000-08-16 김병호 전극봉 연마기
KR200323141Y1 (ko) 2003-05-23 2003-08-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텅스텐 전극봉 연마 보조 장치
KR20080011770A (ko) * 2006-07-31 2008-02-11 주식회사 쎄타텍 텅스텐-구리 방전가공용 전극 제조방법
JP2010140746A (ja) 2008-12-11 2010-06-24 Kazuo Okano 放電電極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567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815B2 (ja) 多角柱状部材の研磨装置およびその研磨方法
KR100829037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JP5563427B2 (ja) 研磨装置
KR100592463B1 (ko) 드릴링 가공장치 및 방법
CN106985008A (zh) 金刚石刀头加工装置及加工方法
JP2007054896A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CN103894930B (zh) 一种磨轮的成型及修磨专用设备
KR101310788B1 (ko) 정전기 제거용 텅스텐 방전침 제조방법 및 장치 그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 방전침
JP6145548B1 (ja) 面取り研削方法及び面取り研削装置
CN111055171B (zh) 一种手术刀直刀刃磨削装置
KR101308036B1 (ko) 실리콘잉곳 가공기용 실리콘잉곳의 클램핑장치
KR200414442Y1 (ko)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KR100751908B1 (ko)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KR102375422B1 (ko) 롤형 공작물의 연마장치
JP2022047538A (ja) 面取り研削方法及び面取り研削装置
JP2005118981A (ja) 円形研削を行う方法及び装置
KR20090016106A (ko) 드릴스크루와 그 연삭장치
CN207255839U (zh) 一种刀具抛光设备
KR101110646B1 (ko) 잉곳 블럭의 자동 브러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곳 블럭의 자동 브러싱 방법
CN110936024A (zh) 一种精雕机
KR101007981B1 (ko) 천연 다이아몬드 유니버셜 폴리싱기
JP5270481B2 (ja) 電極加工方法
JP5010421B2 (ja) 工作物外径面および平面の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装置
JP2008137094A (ja) ロングドリル用素材などのワーク研削方法
CN104608054A (zh) 磨弧机刀头夹具、金刚石刀头磨弧机和刀头装夹控制策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