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866Y1 - 꽃꽂이용 향수캔 - Google Patents

꽃꽂이용 향수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866Y1
KR200190866Y1 KR2020000001789U KR20000001789U KR200190866Y1 KR 200190866 Y1 KR200190866 Y1 KR 200190866Y1 KR 2020000001789 U KR2020000001789 U KR 2020000001789U KR 20000001789 U KR20000001789 U KR 20000001789U KR 200190866 Y1 KR200190866 Y1 KR 200190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opening
wick
fragran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정
Original Assignee
김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정 filed Critical 김태정
Priority to KR202000000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꽃꽂이용 향수캔에 관한 것이며 향수캔의 뚜껑을 개봉하면 휘발성인 향수가 심지를 통하여 발산되도록 하고 캔의 마개에는 조화등으로 꽃꽂이하여 장식용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향수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캔 용기에 향수를 장입하고 그 위로 마개에 심지를 내장한 중공관을 끼워 구성한 마개를 얹고 개봉시 환돌부가 구성되는 갖는 캔뚜껑으로 밀봉 결합한 구성이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캔뚜껑을 개봉시키고 노출되는 마개에 조화를 장식하게 되면 장식용 화분이 되고 심지를 통하여 향수가 발산되어 방향의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장식용 화분을 겸하여 방향되는 화분이 되므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꽃꽂이용 향수캔 { A perfume can for flower arrangement }
본 고안은 꽃꽂이용 향수캔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발성 향수를 캔에 수납하고 그 위에 꽃꽂이를 겸하는 마개에 심지를 수납시켜 마개에 조화등을 꽃꽂이하여 장식화분을 겸하며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나 건물의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향제로는 용기에 향수나 고체의 방향제를 수납시켜 이를 개봉하므로서 방향제가 발산되면서 방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장식효과를 얻기 위하여 향수 또는 방향제의 용기를 동물형상이나 자동차형상등으로 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방향제의 발산이 완료되면 장식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못하여 버리게하는 결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향수캔의 뚜껑을 개봉하면 휘발성인 향수가 심지를 통하여 발산되도록 하고 캔의 마개에는 조화등을 꽃꽂이하여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향수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종단면도
1 : 캔용기 2 : 마개
3 : 중공관 4 : 심지
5 : 캔뚜껑 5a : 환돌부
캔용기(1)에 일정량의 향수를 장입하고 그 위로 꽃꽂이가 가능한 소재로 된 마개(2)에 끼운 심지(4)를 중공관(3)을 고정시키고 이를 수납하여 개봉시 환돌부 (5a)가 구성되는 가지는 캔뚜껑(5)으로 밀봉 결합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은 개봉 손잡이, 11은 개봉판, 12는 조화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는 캔용기(1)에 휘발성이 강한 향수를 장입하고 그 위에 위로 발포성수지로 구성한 마개(2)에 심지(4)를 끼운 중공관(3)은 고정시키고 이를 수납시킨 다음 그 위로 캔뚜껑(5)으로 밀봉하여서 제품화하고, 이를 사용시에는 캔뚜껑(5)의 개봉 손잡이(10)를 당겨 개봉판(11)을 제거하게 되면 마개(2)가 노출되고 동마개(2)는 캔뚜껑(5)의 환돌부(3)의 내에 위치되므로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되며 동마개(2)의 소재가 발포성 수지재(스티로폼 또는 발포우레탄 등)로 구성되어져 있어 조화로 꽃꽂이를 하게 되면 장식용 화분이 되고 캔용기(1) 내의 향수는 심지(4)를 타고 상승하여 마개(2)의 선단에서 발산되어 방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향수캔은 실내는 물론 차량내에서도 장식을 겸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수의 발산이 완료되더라도 장식용 화분으로 계속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향수를 수납시킨 캔의 뚜껑을 개봉하고 마개에 조화등으로 꽃꽂이를 하게 되면 장식화분과 방향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실용적일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캔 용기(1)에 일정량의 향수를 장입하고 위로 꽃꽂이가 가능한 소재로 된 마개(2)에 심지(4)를 끼운 중공관(3)을 고정시키고 이를 수납하여 개봉시 환돌부(5a)가 구성되는 캔뚜껑(5)으로 밀봉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꽃꽂이용 향수캔(독립항)
KR2020000001789U 2000-01-22 2000-01-22 꽃꽂이용 향수캔 KR200190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89U KR200190866Y1 (ko) 2000-01-22 2000-01-22 꽃꽂이용 향수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89U KR200190866Y1 (ko) 2000-01-22 2000-01-22 꽃꽂이용 향수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866Y1 true KR200190866Y1 (ko) 2000-08-01

Family

ID=1963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89U KR200190866Y1 (ko) 2000-01-22 2000-01-22 꽃꽂이용 향수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8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419Y1 (ko) 세라믹 디퓨저
US7837930B2 (en) Fragrance diffuser kit and method
US4335540A (en) Combined plant container and watering device
KR200190866Y1 (ko) 꽃꽂이용 향수캔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JP4490674B2 (ja) 薬剤器
JP2007068524A (ja) 植物への液体補給装置
KR20190038532A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KR200200593Y1 (ko) 방향제 용기
JP2005006671A (ja) 消臭・芳香剤容器
KR200235834Y1 (ko)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JPS629977Y2 (ko)
KR200249013Y1 (ko)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JPS5816708Y2 (ja) 放香装飾体
JP3107146U (ja) 香料容器
JPH0847409A (ja) 装飾品
JPH0449974Y2 (ko)
JPS645485Y2 (ko)
KR20180003325U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JP2005125069A (ja) 放香器
JPH0449970Y2 (ko)
JPS629978Y2 (ko)
JPS6118783Y2 (ko)
KR200310407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