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407Y1 -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 Google Patents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407Y1
KR200310407Y1 KR20-2003-0001219U KR20030001219U KR200310407Y1 KR 200310407 Y1 KR200310407 Y1 KR 200310407Y1 KR 20030001219 U KR20030001219 U KR 20030001219U KR 200310407 Y1 KR200310407 Y1 KR 200310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main body
plate member
case
pla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공
Original Assignee
이재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공 filed Critical 이재공
Priority to KR20-2003-0001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 문양을 조소하거나 사진 또는 그림을 붙일 수 있도록 평면을 갖는 다수개의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구비되고 이 판부재들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고 이 방향제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Fancy goods having aromatic}
본 고안은 구체적으로 실내에 구비되어 구석진 곳을 가리거나 꾸밀 수 있는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품들은 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나 집안의 탁자나 선반 등에 올려져 화사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장식품들이 미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인공 또는 천연원료를 함유하여 실내의 악취제거 기능과 함께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향기가 나는 자동차 실내장식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장식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10) 및 하부틀(30)로 구성되고, 이 상부틀(10)과 하부틀(30)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20)이 개재된다.
상부틀(10)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1)가 하향 돌출되고, 그 내면 둘레에는 자리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창구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틀(30)에는 상부틀(10)의 결합돌기(11)와 대응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되고, 그 내면 둘레에는 자리홈(32)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부틀(10)과 마찬가지로 창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틀(10)과 하부틀(30)의 각 자리홈(32)에는 그림이나 사진이 안착되어 끼워진다. 그리고 상부틀(10) 또는 하부틀(30)의 일면 중앙부에는 고리(12)가 구비되어 직접 또는 별도의 끈으로 벽면에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틀(10)과 하부틀(30)의 재질은 연질의 EVA나 PE이며, 이러한 입자상 원재료에 액체향료를 함침시켜 성형한다.
하지만, 종래의 장식품은 틀 자체에 액체향료를 함침시켰기 때문에 그 틀에 함유된 액체향료가 수명이 다하여 실내로 방출되는 향이 약해지거나 완전히 사라지게 되면 다시 액체향료를 주입하거나 액체향료만을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장식품은 틀에 함침된 액체향료의 향만을 배출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이 향에 싫증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식품은 단순히 실내 벽면에 거는 구조이므로, 실내의 지저분하고 구석진 곳을 효율적으로 가리거나 꾸밀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지저분하고 구석진 곳을 효과적으로 가리거나 꾸미도록 하고, 실내가 언제나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향을 배출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향을 교체할 수 있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향기가 나는 자동차 실내장식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판부재 60; 케이스
61; 본체 62; 본체의 소통구
63; 축경부의 구멍 64; 본체의 축경부
65; 연결구 66; 연결로드
67; 연결구의 구멍 70; 커버
80; 방향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문양을 조소하거나 사진 또는 그림을 붙일 수 있도록 평면을 갖는 다수개의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구비되어 이 판부재들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고 이 방향제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방향제가 삽입되도록 소통구가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축경된 지름을 갖는 다수개의 축경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축경부에 끼워져 상기 판부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판부재의 이동과 더불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연결구와, 상기 본체의 소통구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구멍은 본체의 축경부 및 상기 연결구의 외면상 동일 위치에 형성되며, 이 구멍은 상기 판부재가 일측으로 회동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지면 폐쇄되고, 상기 판부재가 타측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최외측에 위치한 판부재들의 외측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는 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재(50) 및 케이스(60) 등으로 구성된다.
우선, 판부재(50)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문양(文樣)을 조소(彫塑)하거나 붙일 수 있도록 평면(平面)을 갖는다.
실시예로, 판부재(50)는 사각형상의 판이되,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판이며 전후 양면에 문양을 조소하거나 붙일 수 있다.
판부재(50)는 본 실시예에서 총 4개로 구비되어 각자가 선호하는 문양으로 그 면들을 각각 꾸밀 수 있으며, 각 판부재(50)에는 문양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 등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일 수 있다.
하지만, 판부재(50)는 사각형상만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케이스(60)는 상기 판부재(50)들 사이에 구비되어 이 판부재(50)들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케이스(60)는 내부에 방향제(80)가 수용되고 이 방향제(80)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다수개의 구멍(63,67)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60)는 최외측에 위치한 판부재들(50)의 외측면에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60)는 총 5개로 구비되며, 이 중 최외측에 위치한 판부재들(50)의 외측면에 구비된 케이스(60)들은 회동하지 않고 그 판부재(50)들과 일체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60)는 본체(61), 연결구(65) 및 커버(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체(61)는 방향제(80)가 삽입되도록 소통구(62)가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축경된 지름을 갖는 다수개의 축경부(64)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6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필요에 따라서 원통형상 외에 기타 직육면체 또는 기타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61)의 축경부(64)에는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80)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다수개의 구멍(63)을 갖는다.
연결구(65)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61)의 축경부(64)에 끼워져 상기 판부재(5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판부재(50)의 이동과 더불어 회동한다.
실시예로 연결구(65)는 본체(6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축경부(64)에 링형상으로 끼워지며, 판부재(50)의 측면과 연결로드(66)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구(65) 각각에는 다수개의 구멍(67)이 형성된다.
연결로드(66)는 연결구(65)의 중심에서 일방향으로 치우쳐져 판부재(50)에 고정된다. 즉, 연결구(65)와 연결로드(66)의 합쳐진 형상은 'q'자 형상을 갖는다.
연결로드(66)가 연결구(65)의 중심에서 일방향으로 치우쳐져 판부재(50)에 고정되기 때문에 판부재(50)가 일측으로 완전히 회동되었을 시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판부재(5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진다.
이 때, 연결구(65)의 구멍(67)은 본체(61)의 축경부(64)에 형성된 구멍(63)과 불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방향제(80)의 향이 방출되지 않는다.
반면, 판부재(50)가 타측으로 완전히 회동되었을 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판부재(50)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정지된다.
이 때, 연결구(65)의 구멍(65)은 본체(61)의 축경부(64)에 형성된 구멍(63)과 일치하여 방향제(80)의 향이 방출되는 상태이다.
여기서, 연결구(65)와 연결로드(66)는 반드시 'q'자 형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연결구(65)의 중심에 연결로드(66)가 구비되도록 하여 판부재(5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완전히 회동되었을 경우, 각 판부재(5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지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연결구(65)와 연결로드(66)가 형성되면, 판부재(50)들이 서로 '<'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이동되었을 때, 연결구(65)의 구멍(67)과 본체(61)의 축경부(64)의 구멍(63)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본체(61)에 수용된 방향제(80)로부터 향이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70)는 상기 본체(61)의 소통구(62)를 개폐하여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80)를 보호한다. 커버(70)는 본체(61)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방향제(80)는 상기 케이스(60) 내부에 삽입되어 향을 방출한다.
실시예로, 방향제(80)는 향을 함유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고형방향제를 사용한다. 방향제(80)의 형태는 긴 로드형상을 가지며 섬유재질이기 때문에 일정량의 방향액을 함유할 수 있다.
하지만, 방향제(80)는 섬유재질 외에도 니켈, 구리-아연 합금, 금, 은, 동 등과 같은 다공성 금속 내부의 기공속으로 향료를 침투시킨 발향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향제(80)는 향이 약해지거나 발산되지 않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교체가 가능하며,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기존 향에 싫증을 느낄 경우에는 다른 향이 함유된 방향제로 교체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차 실내나 집안의 탁자 및 선반에 올려놓고 주위 환경을 꾸미거나 쾌적하게 하고자 할 때, 우선 각 케이스(60)의 커버(70)를 개방한 후, 케이스(60)의 본체(61)에 방향제(80)를각각 주입한다.
이렇게 각 케이스(60)에 방향제(80)를 주입한 후, 케이스(60)의 본체(61)의 소통구(62)를 커버(70)로 완전 폐쇄하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있던 다수개의 판부재(50)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회동시켜, 도 3b와 같은 상태로 펼쳐서 본체(61)의 축경부(64)에 형성된 구멍(63)과 연결구(65)에 형성된 구멍(67)을 일치시키는 것과 동시에 각 판부재(50)에 조소된 문양이나 표면에 붙은 사진 또는 그림이 보여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본 고안을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스(60)의 본체(61)에 수용된 방향제(80)의 향은 본체의 축경부의 구멍(63) 및 연결구(62)의 구멍(67)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본 고안은 판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케이스 내부에 각각 고형방향제를 삽입하므로서, 고형방향제의 수명이 다하여 향이 약해지더라도 케이스에 삽입된 고형방향제 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향을 다시 원래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 쾌적한 분위기를 지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방향제 향에 싫증을 느끼더라도 원래 고형방향제를 다른 향을 함유한 고형방향제로 간단히 교체하여 실내로 방출되는 향을 바꿀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장식품과는 달리 접이식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실내의 지저분하고 구석진 곳을 효율적으로 가리거나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양을 조소하거나 사진 또는 그림을 붙일 수 있도록 평면을 갖는 다수개의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구비되어 이 판부재들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고 이 방향제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방향제가 삽입되도록 소통구가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축경된 지름을 갖는 다수개의 축경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축경부에 끼워져 상기 판부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판부재의 이동과 더불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연결구와,
    상기 본체의 소통구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구멍은 본체의 축경부 및 상기 연결구의 외면상 동일 위치에 형성되며, 이 구멍은 상기 판부재가 일측으로 회동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지면 폐쇄되고, 상기 판부재가 타측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최외측에 위치한 판부재들의 외측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KR20-2003-0001219U 2003-01-15 2003-01-15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KR200310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19U KR200310407Y1 (ko) 2003-01-15 2003-01-15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19U KR200310407Y1 (ko) 2003-01-15 2003-01-15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407Y1 true KR200310407Y1 (ko) 2003-04-14

Family

ID=4940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19U KR200310407Y1 (ko) 2003-01-15 2003-01-15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4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8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8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17497A (ja) 芳香剤揮散容器
JP3227052U (ja) 芳香ディフューザー機能を有するスノードーム
KR200310407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CA2403414A1 (en) Fragrance diffuser
KR20160057110A (ko) 발향 액세서리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200235834Y1 (ko)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JP3168816U (ja) 吊下型の芳香具
JP3094229U (ja) 装飾具
USD520879S1 (en) Perfume bottle with bulb atomizer
JP2001314728A (ja) 室内空気調整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8532A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JPH11333149A (ja) 人形並びに芳香剤,消臭剤,芳香・消臭剤 充填収納容器をカバーする人形
KR200323056Y1 (ko) 향기를 내는 비즈 목걸이
JPH0847409A (ja) 装飾品
KR200297899Y1 (ko) 방향제 주머니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CN210309846U (zh) 一种陀螺旋转香薰座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KR200200842Y1 (ko) 부적함
JP3053095U (ja) 芳香体容器
JP2000050925A (ja)
JPH04327854A (ja) 薬液発散器
KR200231829Y1 (ko) 기능성 펜던트
JP3074827U (ja) 芳香性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