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013Y1 -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 Google Patents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013Y1
KR200249013Y1 KR2020010020601U KR20010020601U KR200249013Y1 KR 200249013 Y1 KR200249013 Y1 KR 200249013Y1 KR 2020010020601 U KR2020010020601 U KR 2020010020601U KR 20010020601 U KR20010020601 U KR 20010020601U KR 200249013 Y1 KR200249013 Y1 KR 200249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suction rod
case
pres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20010020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013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내에 수용된 액상 방향제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한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효과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부에 방향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미세공극을 갖는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방향액에 그 하단이 잠기도록 봉형상으로 제공되는 흡입봉, 및 그 상단을 가림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봉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림편, 그리고 상기 가림편 상부에 돌설되어 발향면을 제공하는 장식부로 구성된 발향체와; 상기 흡입봉 상단에 끼워지는 링형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주둥이 부분과 흡입봉과의 이격공간을 밀폐하는 고무패킹; 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Decoration effect have a utensil perfume}
본 고안은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내에 수용된 액상방향제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한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인공 또는 천연의 향료를 사용하여 실내의 악취 제거기능과 함께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방향제는 용기에 담기어지거나 조형물에 함침된 상태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방향제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장식적인 효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말해, 상기 방향제는 통상적으로 용기에 방향제를 수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티슈나 수건등에 일정량의 방향액을 함침시켜 사용하는 경우 및 장식구등에 향료를 첨가하여 장식구 자체에서 방향이 발향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형태 등 여러가지 유형의 방향제가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흥하기 위하여 향료의 종류와 색상, 그리고 장식성을 고려한 다양한 악세서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방향제들은 케이스 및 덮개 형상을 캐릭터화 하거나 덮개에 장식구를 설치하여 장식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유형중에서 용기에 액체 또는 고체 방향제를 수용하는 구조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분말 또는 고체상태로 가공된 방향제의 경우 가공성이 우수해서 휴대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향의 범위가 좁고 단기간내에 향기가 소멸되므로 빈번하게 교체하여햐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용기에 담긴 액상 방향제는 발향의 범위가 넓고 장기간 발향이 지속되는 장점은 있지만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방향제 용기가 넘어지게 되면 용기내에 담기어 있는 방향액이 외부로 유출되어 의복등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었으며 더욱이 파손의 위험과 함께 용기에 담긴 액체 방향제는 용기 상단에 농도조절기능을 포함하는 장식물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사용자의주의와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려한 장식성을 가지면서도 용기내에 수용된 액상 방향제의 발향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발산되는 향의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넓은 발향면을 통해 다양한 장식적 효과를 얻는데 부족함이 없는 고부가가치의 방향용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의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의 결합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케이스, 30: 발향체, 32: 장식부, 34: 가림편, 36: 흡입봉,
36a: 미세공극, 40: 방향액, 50: 고무패킹
상기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방향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미세공극을 갖는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방향액에 그 하단이 잠기도록 봉형상으로 제공되는 흡입봉, 및 그 상단을 가림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봉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림편, 그리고 상기 가림편 상부에 돌설되어 발향면을 제공하는 장식부로 구성된 발향체와; 상기 흡입봉 상단에 끼워지는 링형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주둥이 부분과 흡입봉과의 이격공간을 밀폐하는 고무패킹;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제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제용구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제용구의 작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20)와 발향체(30)와 고무패킹(5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20)는 내부에 방향액(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상의 용기가 사용된다. 이 같은 케이스(20)는 내용물의 투시를 통해 방향제의 색상이나 남은정도를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유기 또는 플라스틱의 투명한 소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져 미세공극(36a)을 갖는 흡입봉(36)이 케이스(2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방향액(40)에 잠기도록 삽입된다. 상기 흡입봉(36)은 길다란 막대형상으로서 방향액(40)에 잠기게 되는 그 하부가 상기 케이스(20)에 수용된 방향액(40)을 상부로 공급하는 이른바 심지역할을 하도록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봉(36) 상단에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주둥이부분을 가리울 수 있도록 가림편(34)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같은 상기 가림편(34)은 케이스(20)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체워진 방향액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과 더불어 개폐시 손잡이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림편(34)의 상부에는 넓은 발항면을 갖는 장식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식부(32)는 가림편(20)에 일체로 돌설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봉(36)을 통해 안내되는 상기 방향 액체가 상기 넓은 발향면적을 갖는 장식부(32)의 미세공극(36a)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외부에 발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식부(32)는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꽃이나 만화 캐릭터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방향제가 놓여지는 주변 물체와 조화를 이루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내 보이는 곳에 배치하고 장식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봉(36) 상단에는 상기 케이스(20) 주둥이부분에 끼워져 설치되는 흡입봉(36)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5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무패킹(50)은 흡입봉(36)과 상기 케이스(20) 주둥이부분의 이격된 공간을 수밀하게 채움하게 되는 것이므로 케이스(20)의 기울어짐에 따른 방향 액체의 쏟아짐을 방지함은 물론 향기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오로지 방향제의 배출통로를 흡입봉(36)으로 단일화 시키게 된다.
이같은 고무패킹(50)은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도너츠형의 구조로서 상기 흡입봉(36)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무패킹(50)의 상단에는 후렌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20)에 결합시 밀려 올라가거나 움직임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케이스(20) 내부에 방향액(40)을 일정량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방향액(40)에는 흡입봉(36)을 삽입한다.
상기 흡입봉(36) 삽입시 상기 흡입봉(36) 상단에 끼움 결합된 고무패킹(50)이 케이스(20) 상단 내주면과 견고하게 밀착되고, 상기 흡입봉(36)에 함침된 방향은 흡입봉(36)의 미세공극(36a)을 통하여 상기 가림편(34)과 장식부(32)의 미세공극(36a)을 통해 외부로 향이 서서히 그리고 일정하게 발산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 방향제는 지속적으로 은은한 향을 실내로 발산하게 되며 상기 방향제가 소비자의 부주위로 쓰러져도 상기 방향액(40)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식성을 가지면서도 용기내에 수용된 액상 방향제의 발향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발산되는 향의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넓은 방향면을 통해 장식효과를 얻는데 부족함이 없는 고부가가치의 방향용구를 제공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방향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미세공극을 갖는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방향액에 그 하단이 잠기도록 봉형상으로 제공되는 흡입봉, 및 그 상단을 가림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봉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림편, 그리고 상기 가림편 상부에 돌설되어 발향면을 제공하는 장식부로 구성된 발향체와;
    상기 흡입봉 상단에 끼워지는 링형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주둥이부분과 흡입봉과의 이격공간을 밀폐하는 고무패킹;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KR2020010020601U 2001-07-07 2001-07-07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KR200249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01U KR200249013Y1 (ko) 2001-07-07 2001-07-07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01U KR200249013Y1 (ko) 2001-07-07 2001-07-07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013Y1 true KR200249013Y1 (ko) 2001-11-17

Family

ID=731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601U KR200249013Y1 (ko) 2001-07-07 2001-07-07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0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12U (ko) * 2016-09-25 2018-04-04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KR20210000789U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단향 발향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12U (ko) * 2016-09-25 2018-04-04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KR200488419Y1 (ko) * 2016-09-25 2019-04-17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KR20210000789U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단향 발향 용기
KR200494341Y1 (ko) * 2019-10-01 2021-09-23 주식회사 단향 발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633B1 (en) Dispensing container
JPH09117497A (ja) 芳香剤揮散容器
JPH11197226A (ja) 芳香器
US6202938B1 (en) Scent emitting blind operating rod
WO1991013637A1 (en) Vapor releasing device
KR200488419Y1 (ko) 세라믹 디퓨저
US7614876B1 (en) Two in one candle
US5259555A (en) Wooden air freshener with fragrance loading chamber
KR200484530Y1 (ko) 방향 디퓨져기능을 가지는 스노우글로브
US6565012B1 (en) Air freshener
KR200249013Y1 (ko)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US5299736A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KR200200593Y1 (ko) 방향제 용기
JP3094229U (ja) 装飾具
KR20190038532A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KR200235834Y1 (ko)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KR200282869Y1 (ko)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KR100867428B1 (ko) 방향제 케이스
KR200308497Y1 (ko) 용기 호환성을 갖는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JP3118560U (ja) 芳香付き造花
KR200348006Y1 (ko) 향수용기의 장식용 외부 케이스
KR20190000953U (ko) 스탠드 조명등
KR200401132Y1 (ko) 향기 발생장치가 구비된 조화용 화분
JP4717518B2 (ja) 芳香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