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048Y1 -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048Y1
KR200190048Y1 KR2020000004630U KR20000004630U KR200190048Y1 KR 200190048 Y1 KR200190048 Y1 KR 200190048Y1 KR 2020000004630 U KR2020000004630 U KR 2020000004630U KR 20000004630 U KR20000004630 U KR 20000004630U KR 200190048 Y1 KR200190048 Y1 KR 200190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all
signal
unit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샬롬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502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645969B1/ko
Application filed by 샬롬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샬롬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차의 승무원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객차에 설치되며,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차내장치(100)와; 기관차에 설치되며, 상기 차내장치에서 송신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무선송신하며, 또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객차번호(객차의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기관장치(200)와; 승무원이 휴대하며, 상기 기관장치에서 전송된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단말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객이 좌석에 설치된 호출버튼을 누르면, 호출을 행하는 승객의 좌석번호 및 객차번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승무원에게 전달하여 줌으로써, 승무원이 열차내의 어디에 있던지 간에 호출을 행한 승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SYSTEM TO CALLING A TRAIN CREW}
본 고안은 열차의 승무원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이 좌석에 설치된 호출버튼을 누르면, 호출을 행하는 승객의 좌석번호 및 객차번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승무원에게 전달하여 줌으로써, 승무원이 열차내의 어디에 있던지 간에 호출을 행한 승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량운송수단인 열차는 소수의 승무원이 다수의 승객을 보호, 안내하여 운행하고 있어, 소수의 승무원이 다수인 승객 모두를 보살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급상황 처리, 민원처리를 위해 각 객차마다 승객과 승무원의 대화를 위한 통신장치를 설치하여 운행하고 있다.
즉, 각 객차와 기관차 사이에 마이크와 스피커 및 호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인터폰을 유선으로 설치한 후, 승객의 호출이 있을 시 해당 인터폰에 대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대화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장치는, 승무원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폰 장치가 각 객차의 앞, 또는 뒤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첫째, 승객이 이를 이용하려면 자기 좌석에서 이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둘째, 인터폰을 사용할 때에는 통로를 점하게 되어 다른 승객의 통행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호출을 행한 승객의 객차 및 좌석의 위치를 알 수 없어 승무원이 승객에게 찾아가기 위해서는 승객에게 객차번호, 좌석번호 등을 일일이 물어보아야 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통신장치는, 유선 인터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기관차와 객차사이의 단순 연결이기 때문에 기관사를 제외한 승무원이 기관차가 아닌 다른곳에 있을 경우에는 승객의 부름에 즉각 응답하여 찾아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그 연결이 유선이므로 인해 차량편성시 상기 통신선로에 대한 점검 및 보수가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각 객차의 좌석에 무선호출버튼(또는 유선호출버튼)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호출버튼을 눌러 승무원을 호출하면, 승객이 탑승한 객차번호 및 좌석번호가 무선으로 승무원에게 자동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이 열차내의 어디에 있던지 간에 호출을 행한 승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승객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 객차의 좌석에는 서로 다른 인식번호를 갖는 무선호출버튼(또는 유선호출버튼) 및 무선송신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차내장치를 설치하고, 승무원에게는 호출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가 수신되는 단말장치를 휴대케하며, 기관차에는 상기 차내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기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승무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관장치는 열차편성정보로부터 차내장치의 편성 순서를 파악하여 객차의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한다.
도 1 은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내장치 110: 인식코드설정부
120: 차내장치제어부 130: 호출스위치부
140: 차내장치송신부 200: 기관장치
210: 기관장치수신부 220: 저장부
230: 기관장치제어부 240: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
250: 기관장치송신부 300: 단말장치
310: 단말장치수신부 320: 단말장치제어부
330: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 340: 표시부
350: 알람부 351: 음발생부
352: 진동발생부 S10: 객차번호부여단계
S20: 차내장치제어단계 S30: 기관장치제어단계
S40: 단말장치제어단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은, 각 객차에 설치되며,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차내장치와; 기관차에 설치되며, 상기 차내 장치에서 송신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무선 송신하며, 또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객차번호(객차의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기관장치와; 승무원이 휴대하며, 상기 기관장치에서 전송된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내장치는, 객차의 각 좌석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승무원 호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호출스위치부와; 상기 호출스위치부의 각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설정하는 인식코드설정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차내장치송신부와; 상기 호출스위치부와, 인식코드설정부와, 차내장치송신부 사이에 접속되어, 호출스위치가 승객에 의해 조작되었을 시 조작된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인식코드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차내장치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차내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란, 각각의 차내장치가 나타내는 고유 인식코드를 의미하며, 객차번호란, 열차 편성 정보(열차편성순서)를 가지고 각 객차에 부여한 번호를 의미한다. 이하 같다.
상기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번호를 분리하는 이유는, 어떤 특정한 객차가 열차 편성시마다 동일한 위치로 편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어떤 특정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를 편성할 시에는 그 시간대의 승객수와 객차 상황을 고려하여 기관차에 연결할 객차의 수를 결정한 후 편성 가능한 객차를 선별하여 열차를 편성하는 것으로, 어떤 특정의 객차가 어떤 기관차에 어떤 위치로 연결될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각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차내장치에 부여한 후, 열차 편성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각 객차에 객차번호를 할당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호출스위치부는, 각각의 스위치가 무선 호출기능을 갖는 무선호출스위치로 이루어져, 승무원의 호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차내장치제어부로 출력할 경우 무선송신장치를 통해 무선송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각 좌석마다(또는 일정 좌석수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호출스위치와 차내장치제어부와의 호출신호 전송을 무선통신을 통해 행함으로 인해 다수의 호출스위치를 유선설치하여야 하는 복잡함과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차내장치제어부는, 각 호출스위치가 위치한 좌석을 나타내는 인식코드 부여시 상기 호출스위치 각각에 부여된 인식코드를 사용하여 좌석에 대한 인식코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코드설정부에서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는, 각각의 호출스위치가 설치된 좌석번호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관장치는, 차내장치에서 전송되는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기관장치수신부와; 열차편성정보 등을 입력하는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열차편성정보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객차번호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기관장치송신부와; 상기 기관장치수신부와,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와, 저장부 및 기관장치송신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와, 상기 열차편성정보로부터 산출된 객차번호(객차의 일련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기관장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산출하여 상기 기관장치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기관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는 수동, 또는 자동입력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내장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그 열차편성순서대로 수동 입력하거나, 또는 열차편성순서에 대한 외부데이터를 온라인(ON-LINE), 또는 오프라인(OFF-LINE)(예: 디스켓을 통한 복사) 상태로 자동입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기관장치에서 전송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장치수신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승객의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호출신호의 수신을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와; 단말장치수신부와, 표시부와, 알람부 및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장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검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알람부를 통해 나타내다가,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승무원의 호출신호 인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발생중인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단말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부는, 호출신호의 수신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음발생부와; 호출신호의 신호를 촉각적으로 나타내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내장치와, 기관장치 및, 단말장치는,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다가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각 차내장치의 객차번호를 부여하는 객차번호부여단계와; 상기 객차번호부여단계를 수행한 후, 승객의 호출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호출을 행한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호출을 행한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기관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차내장치 제어단계와; 상기 차내장치제어단계를 수행한 결과 호출을 행한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호출을 행한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기관장치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차내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를 기관장치에서 수신하여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기관장치제어단계와; 상기 기관장치제어단계를 수행하여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단말장치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 등을 단말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단말장치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은, 승무원 호출을 위한 호출스위치를 각 좌석마다 설치한 후, 승객의 승무원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승무원이 휴대하는 단말장치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승무원이 열차내의 어디에 있던지 간에 호출을 행한 승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객차 좌석마다 설치된 다수의 호출스위치로 이루어진 호출스위치부(130)와, 인식코드설정부(110)를 차내장치제어부(120)에 접속하고, 차내장치송신부(140)를 상기 차내장치제어부(12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하여 차내장치(100)를 이루고; 기관장치수신부(210)와, 저장부(220)와,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240) 및 기관장치송신부(250)의 신호 입력단, 또는 신호 출력단을 기관장치제어부(230)에 접속하여 기관장치(200)를 이루며; 단말장치수신부(310)와,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330)와, 표시부(340) 및 알람부(350)의 신호 입력단, 또는 신호 출력단을 단말장치제어부(32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300)를 이루어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여기서, 호출스위치부(330)의 각 호출스위치는 무선 전송 기능을 갖는 푸쉬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고,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240)와,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330)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알람부(340)는, 음발생부(351)와 진동발생부(352)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발생부(351)는 공지의 경보신호발생장치로 구성하고, 진동발생부(352)는 공지의 편심추를 갖는 모터와 모터제어회로등으로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차의 편성을 완료한 후 기관장치(200)를 작동시키면, 상기 기관장치제어부(220)는 객차번호부여단계(S10)를 수행하여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다가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각 차내장치의 객차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즉, 각 객차를 특징짓는 인식코드를 객차의 열차 편성 순서로 나열하여 그 순서에 따라 객차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열차가 6개의 객차를 기관차에 연결하여 편성되어 있고, 상기 각 객차의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가 '10A1', '1011', '10AB', '10F1', '1101', '1AF5'라 하고, 상기 나열순서대로 열차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면, 상기 나열순서에 따라 객차번호를 부여한 후, 이를 저장부(21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객차번호부여단계(S10)를 수행한 후에는 승객의 호출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호출을 행한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호출을 행한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기관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차내장치 제어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객차번호부여단계(S10)를 완료한 후에는 차내장치제어부(120)가 호출스위치부(130)의 호출스위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승객에 의해 호출스위치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상기 눌려진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그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차내장치송신부(140)를 통해 기관장치(200)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는 실질적으로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기관장치(200)는, 기관장치수신부(210)를 통해 차내장치(100)에서 전송되는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210)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기관장치송신부(250)를 통해 단말장치(300)로 무선 전송하는 기관장치제어단계(S30)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차내장치를 특징짓는 인식코드로부터 당해 차내장치가 열차 편성시 몇번째로 편성되어 있으며, 그 객차번호는 무엇으로 할당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객차번호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좌석번호는,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차내장치제어부(120)의 내부메모리, 또는 상기 차내장치제어부(120)의 제어를 받는 외부메모리(미도시)에 좌석번호와 대응되도록 저장하였다가, 호출시 비교하여 산출하게 된다.
참고로, 유선을 통해 차내장치제어부에 접속된 유선호출스위치일 경우에는, 그 접속한 률에 따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차내장치제어부의 몇번 입력단자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관장치제어단계(S30)를 수행한 결과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300)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단말장치(300)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 등을 단말장치의 표시부(340)를 통해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람신호를 알람부(350)를 통해 발생하는 단말장치제어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100)의 표시부(340)에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람신호를 음발생부(351),또는 진동발생부(352)를 통해 발생하여 승무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승무원이 열차의 어느곳에 있던지 간에 승객의 호출(좌석번호, 객차번호)을 받고 즉시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무원은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33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알람신호의 정지, 호출된 신호의 삭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출신호를 승무원의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한정지었으나, 단말장치에 송신부를 구비하여 승객과 승무원 사이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출스위치부의 스위치 각각을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호출스위치로 구성하였으나, 차내장치제어부에 소정의 방법(예: 디코더, 인코더)를 통해 유선접속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은, 특히, 각 객차의 좌석에 호출버튼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호출버튼을 눌러 승무원을 호출하면, 승객이 탑승한 객차번호 및 좌석번호가 무선으로 승무원에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이 열차내의 어디에 있던지 간에 호출을 행한 승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승객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게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각 객차에 설치되며,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차내장치와; 기관차에 설치되며, 상기 차내장치에서 송신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과 객차에 대한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무선 송신하며, 또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객차번호(객차의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기관장치와; 승무원이 휴대하며, 상기 기관장치에서 전송된 승무원을 호출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내장치는, 객차의 각 좌석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승무원 호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호출스위치부와; 상기 호출스위치부의 각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설정하는 인식코드설정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차내장치송신부와; 상기 호출스위치부와, 인식코드설정부와, 차내장치송신부 사이에 접속되어, 호출스위치가 승객에 의해 조작되었을 시 조작된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를 인식코드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차내장치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차내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스위치부는, 각각의 스위치가 무선 호출기능을 갖는 무선호출스위치로 이루어져, 승무원의 호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차내장치제어부로 출력할 경우 무선송신장치를 통해 무선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설정부에서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는, 각각의 호출스위치가 설치된 좌석번호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장치는, 차내장치에서 전송되는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기관장치수신부와; 열차편성정보 등을 입력하는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열차편성정보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객차번호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기관장치송신부와; 상기 기관장치수신부와,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와, 저장부 및 기관장치송신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와, 상기 열차편성정보로부터 산출된 객차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기관장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호출스위치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와 객차를 특정하는 인식코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산출하여 상기 기관장치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기관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편성정보는 수동, 또는 자동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기관장치에서 전송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장치수신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승객의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호출신호의 수신을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와; 단말장치수신부와, 표시부와, 알람부 및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장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검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알람부를 통해 나타내다가, 단말장치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승무원의 호출신호 인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발생중인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단말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호출신호의 수신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음발생부와; 호출신호의 신호를 촉각적으로 나타내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내장치와, 기관장치 및 단말장치는,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다가 열차편성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열차편성정보로부터 각 차내장치의 객차번호를 부여하는 객차번호부여단계와; 상기 객차번호부여단계를 수행한 후, 승객의 호출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호출을 행한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호출을 행한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기관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차내장치 제어단계와; 상기 차내장치제어단계를 수행한 결과 호출을 행한 호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와 호출을 행한 차내장치를 나타내는 인식코드를 기관장치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차내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를 기관장치에서 수신하여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기관장치제어단계와; 상기 기관장치제어단계를 수행하여 호출을 행한 승객의 좌석번호와 객차번호를 단말장치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단말장치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좌석번호와 객차번호 등을 단말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나타냄과 동시에 호출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단말장치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무원 호출시스템.
KR2020000004630U 2000-02-01 2000-02-19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KR200190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30U KR200190048Y1 (ko) 2000-02-01 2000-02-19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023A KR100645969B1 (ko) 2000-02-01 2000-02-01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004630U KR200190048Y1 (ko) 2000-02-01 2000-02-19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023A Division KR100645969B1 (ko) 2000-02-01 2000-02-01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048Y1 true KR200190048Y1 (ko) 2000-07-15

Family

ID=2663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30U KR200190048Y1 (ko) 2000-02-01 2000-02-19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0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76B1 (ko) 2005-12-26 2010-1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속전철의 인터콤 통화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76B1 (ko) 2005-12-26 2010-1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속전철의 인터콤 통화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7188B (zh) 车辆诊断测试与报告方法
US6600975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2739854B (zh) 利用智能电话作为远程信息处理装置接口的方法
US94897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driver to a condition of a vehicle
JP2007031153A (ja) 輸送手段、特にエレベータによりユーザを輸送する方法
JP2012203799A (ja) 車両用装置
KR100645969B1 (ko)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90048Y1 (ko) 열차 승무원 호출 시스템
US8600011B2 (en) Navigation system support of in-vehicle TTY system
JP2015198393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センター並びに携帯電話
KR101631126B1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RU2732266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маневровым локомотивом
KR20060037696A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JP4210576B2 (ja) 車内放送装置及び非常通話装置の自己診断システム
JP3036635B1 (ja) 交通機関用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JP2845849B2 (ja) バス接近予告表示解除回路
KR100309417B1 (ko) 개인휴대통신을 이용한 차량위치 추적시스템의 차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중계방법 및 그 중계기
JP2005016985A (ja) 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CN111386239B (zh) 电梯装置以及通信装置
JP2003089483A (ja) エレベーターインターホン通話状態確認システム
JP2008244527A (ja) 鉄道車両通話システム
JP2000196768A (ja) 携帯電話を利用した遠隔制御システム
US20080069371A1 (en) Hands free system for vehicle
JPH03207150A (ja) 非常電話機の試験方式
KR100913204B1 (ko) 항공기 비행 테스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