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678Y1 - 전자식 사방치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사방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678Y1
KR200188678Y1 KR2019990025774U KR19990025774U KR200188678Y1 KR 200188678 Y1 KR200188678 Y1 KR 200188678Y1 KR 2019990025774 U KR2019990025774 U KR 2019990025774U KR 19990025774 U KR19990025774 U KR 19990025774U KR 200188678 Y1 KR200188678 Y1 KR 200188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late
game
screen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민
Original Assignee
고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성민 filed Critical 고성민
Priority to KR2019990025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유 민속놀이에 관한 것으로, 사방치기를 전자식으로 구현하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사방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사방치기 형상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면을 갖고, 상기 다수의 면이 가압될 경우 각각으로 스위칭 동작되도록 하며, 소정의 쿠션재질로 형성된 구동판; 스피커와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화면및 스피커상으로 영상및 음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판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신호가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될 때 전송된 신호가 상기 영상및 음향과 동조되는지를 검출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소프트웨어 제공장치로 구성되어, 전통놀이를 근거로 한 가정용 전자게임으로써 별도의 게임 법칙을 갖지 않고 우리의 리듬과 룰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참여함에 따라 활용범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으며, 민족의 전통 놀이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자식 사방치기{ELECTRIC SA-BANG-CHI-GI}
본 고안은 고유 민속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방치기를 전자식으로 구현하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사방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개발증대로 인해 전자 오락산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근래에 사용되는 DDR(Dance Dance Revolution)이 그 대표적인 일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DDR은 가정용으로도 출시되어 사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단가 또한 저렴하게 생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면 상기 DDR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가정용 DDR을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한 DDR(100)은, 쿠션재(113) 위로 다수의 스위치(미도시함)를 균일 간격 배치하고 상기 스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 모양의 셀판(111)을 구비한 발판(107), 상기 발판 (107), 스피커(103)와 화면(119)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101),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1)로 비트있는 화면및 음향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스위치의 동작신호가 상기 화면및 음향과 동조되는지를 검출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소프트웨어 제공장치(10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105)의 출력단자를 디스플레이장치 (101)와 접속시키고, 발판(107)의 입력단자를 신호 전송라인(109)과 접속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조작버튼(117)을 통해 DDR의 초기 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이 때 소프트웨어 제공장치(105)는 디스플레이장치(101)로 초기 영상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스피커(103)로 초기 음향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발판(107) 위로 발을 안착시킨 후, 발판(107) 위에 도시된 'START' 셀판을 누른다. 상기 'START' 셀판에 대응하여 설치된 스위치의 스위칭신호는 신호전송라인(109)을 거쳐 소프트웨어 제공장치(105)로 전송되며, 이로부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105)는 사용자 선택 또는 난수에 의거 음악과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1)및 스피커(103)로 전송시킴으로써, DDR이 시작된다.
상기 화면(119)에는 사용자가 발판(107)을 통해 밟아야할 셀판(111)의 위치를 지시함과 더불어, 스피커(103)를 통해 사용자의 음향 리듬을 돋구도록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리듬에 맞춰 화면(119)에서 지시하는 셀판(111)의 위치에 따라 발판(107) 위에 방향별로 도시된 특정 셀판(111)을 밞음으로서 여러가지의 몸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면(119)에서 지시되는 셀판(111)의 위치와 사용자가 발판(107) 위에서 밞은 셀판(111)의 위치가 동일하면 이에 상응한 점수가 부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DDR은 가정용으로도 많이 배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 적응이 빠른 젊은 층에서 주로 사용하는 놀이기구이기 때문에, 가족내에서의 활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족간의 화목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민족의 주체성을 살릴 수 있는 전자식 사방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점에 따른 전자식 사방치기는, 사방치기 형상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면을 갖고, 상기 다수의 면이 가압될 경우 각각으로 스위칭 동작되도록 하며, 소정의 쿠션재질로 형성된 구동판; 스피커와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화면및 스피커상으로 영상및 음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판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신호가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될 때 전송된 신호가 상기 영상및 음향과 동조되는지를 검출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소프트웨어 제공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DDR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전자식 사방치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블록도.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구동판 203 : 준비판
207 : 소프트웨어 제공장치 209 : 디스플레이장치
217-229 : 셀판 301 : 디코더
303 : 마이컴 305 : 메모리
307 : 영상출력부 309 : 음향출력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사방치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한 사방치기는, 사방치기 형상으로 구획되어 각각으로 구획된 다수의 면이 가압될 경우 각각으로 스위칭 동작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의 쿠션재질을 갖는 구동판(201)및 상기 구동판 (201)의 일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게임시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준비판(203)으로 구성된 사방치기 발판(200), 스피커(213)와 화면(211)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209),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9)의 화면(211)및 스피커(213)상으로 영상및 음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판(201)및 준비판(203)에 구비된 다수의 스위칭 신호가 신호전송라인(215)을 통해 전송될 때 전송된 신호가 상기 영상및 음향과 동조되는지를 검출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판(201)과 준비판(203)은 신호선(215')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판(201)은 사방치기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구획판을 갖으며, 각각으로 좌측 1번셀판(217), 우측 1번셀판(219), 2번셀판(225), 좌측 3번셀판(221), 우측 3번셀판(223), 4번셀판(231), 좌측 5번셀판(227)및 우측 5번셀판(229)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에서 제공되는 음향은 비트있는 현대 가요로 할 수 있지만, 장구, 소구, 꽹과리, 징 등의 음향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요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4-Way 스피커를 사용하여 각 스피커로 민속 고유 악기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이 옳을 것이다.
한편, 도 3은 도 2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한 본 고안은, 구동판 (201)및 준비판(203)으로 구성된 사방치기 발판(200), 상기 사방치기 발판(200)에서 생성되는 신호가 신호전송라인(215)을 통해 유입될 때 소정의 제어코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코더(301), 상기 디코더(301)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거 게임프로그램의 영상제어와 음향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303), 상기 마이컴(303)의 동작제어에 따른 알고리듬과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305), 상기 마이컴(303)에서 출력되는 음향및 영상을 스피커(213)및 디스플레이장치(209)로 전송하기 위한 음향출력부(309)및 영상출력부(307)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에 구비된 다수의 키(미부호)중 시스템의 동작키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9)의 화면(211)및 스피커(213)로 초기 영상및 음향이 제공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준비판 (203)에 두 발을 올려 놓음으로서 게임이 시작되는 것이다.
즉, 상기 준비판(203)에 구비된 스위치가 접점을 이루면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에 구성된 디코더(30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303)으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마이컴(303)은 메모리(305)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리드하며, 상기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출력부(307)및 음향출력부(309)로 게임 시작에 따른 초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다.
초기 메뉴라 함은, 게임 방법을 선택하거나 게임에 사용되는 음향을 선택 또는 게임의 빠르기 등을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게임 방법은 첫 번째로 고유 민속놀이에 의거 상기 좌우측 1번셀판(217)(219)부터 좌우측 5번셀판(227)(229)까지 양발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좌우측 5번셀판(227)(229)부터 좌우측 1번셀판(217)(219)까지 완주하는 게임과,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 (207)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화면(211)상에서 지정하는 셀판의 번호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이도록 하는 게임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음향선택은 북, 장구, 꽹과리, 징 등과 같은 민속악기를 이용한 음향출력내지 서양악기를 이용한 통상의 비트있는 음향을 선택하는 것이다.
마이컴(303)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초기 메뉴를 입력받아, 메모리 (305)로부터 메뉴선택에 따른 프로그램을 리드한 후, 상기 프로그램을 근거로 게임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로서, 사용자가 고유민속 놀이에 의거한 사방치기를 선택했을 경우, 상기 준비판(203)에 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1번셀판(217) 또는 우측 1번셀판(219)을 손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이는 손으로 상기 셀판을 가압하는 것으로 이로부터 형성된 스위칭신호는 신호전송라인(215)을 통해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셀판의 번호를 시점으로 상기 좌우측 5번셀판(227)(229)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에 맞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화면(211)의 하단부터 사용자가 밞아야할 구동판(201)의 셀번호를 디스플레이시키면서 화면(211)의 상단으로 순차적으로 올라가도록 함을 일예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의 리듬에 맞춰 화면(211)에서 표시하는 셀번호에 따라 구동판(201)의 번호를 양발 또는 한 발로 밞으면서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셀판 번호가 2개일 경우에는 양쪽 발을 사용하느 것이며, 셀판의 번호가 한 개일 경우에는 한 발을 사용하여 밞는 것으로 통상적인 사방치기의 룰과 같게 움직이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마이컴(303)은 구동판(201)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신호 즉, 화면(211)에서 표시되는 순서및 타이밍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스위칭신호가 디코더 (301)를 통해 입력될 때, 상기 화면(211)에 표시되는 번호와 타이밍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로부터 게임의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영상출력부(307)를 통해 화면(211)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서, 사방치기의 전통 방식에 따르지 않고 마이컴(303)이 특정 셀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번호를 근거로 셀판을 옮겨 다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면(211)상으로 특정의 셀판 번호가 규칙없이 표시되도록 하되, 음향의 비트에 맞는 타이밍을 갖고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면(211)상에 표시되는 셀판 번호는 사용자가 밞아야 할 구동판(201)의 번호로서 마이컴(303)은 현재 표시되는 셀판의 번호와 사용자가 구동판(201)을 통해 밞는 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의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전통놀이를 근거로 한 가정용 전자게임으로써 별도의 게임 법칙을 갖지 않고 우리의 리듬과 룰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참여함에 따라 활용범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으며, 민족의 전통 놀이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사방치기 형상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면을 갖고, 상기 다수의 면이 가압될 경우 각각으로 스위칭 동작되도록 하는 구동판(201);
    상기 구동판(201)의 스위칭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및 음향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 동작과 상기 영상신호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상응한 점수를 산출하는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 및
    상기 영상신호와 점수를 그래픽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2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사방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제공장치(207)는 상기 구동판(201)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거 상기 영상신호의 제어와 상기 음향신호의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303);
    상기 마이컴(303)의 동작제어에 따른 알고리듬과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305); 및
    상기 마이컴(303)에서 출력되는 음향및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9)로 각각으로 전송하기 위한 음향출력부(309)및 영상출력부(307)로 구성된 신호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사방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309)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는 고유 민속악기의 음향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305)에 의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사방치기.
KR2019990025774U 1999-11-23 1999-11-23 전자식 사방치기 KR200188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774U KR200188678Y1 (ko) 1999-11-23 1999-11-23 전자식 사방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774U KR200188678Y1 (ko) 1999-11-23 1999-11-23 전자식 사방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678Y1 true KR200188678Y1 (ko) 2000-07-15

Family

ID=1959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774U KR200188678Y1 (ko) 1999-11-23 1999-11-23 전자식 사방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6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01B1 (ko) 2012-10-22 2014-07-01 이형곤 사방치기 놀이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01B1 (ko) 2012-10-22 2014-07-01 이형곤 사방치기 놀이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413B1 (en) Music game system
JP2001231904A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情報記憶媒体、ゲーム配信装置及びゲーム配信方法
US10617941B2 (en) Computer game interface
JP2003245467A (ja) キーボードゲームプログラムにおける汎用キーボード設定プログラム
JP2010220941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1246154A (ja) ゲーム装置、情報記憶媒体、ゲーム配信装置、ゲーム配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JP2003175283A (ja) 観戦モードプログラム
JP2001353371A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188678Y1 (ko) 전자식 사방치기
KR100434243B1 (ko) 음악 게임 진행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음악 게임 진행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702585B2 (ja) 入力判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907206B1 (ko) 게임 시스템, 게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JP2001104635A (ja) ボールパドルゲーム装置
JPH08276073A (ja) ビデオゲーム機
JP5633868B2 (ja) 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JP4528291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1062019A (ja) ダンスゲーム機及び記憶媒体
JP5210908B2 (ja) 動画像生成装置、ゲーム装置、動画像生成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1506186A (zh) 运动娱乐系统
JP3560817B2 (ja) ゲーム機器用入力装置
JP2002210250A (ja) キャラクタ待機時間表示制御プログラム、キャラクタ待機時間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キャラクタ待機時間表示方法及びゲーム装置
JP2001178965A (ja) ダンスゲーム装置
KR200188987Y1 (ko) 댄스연습용 게임시스템
JP2000070425A (ja) ダンスゲ―ム用踏み台及び床盤面体
JP2003071132A (ja) 麻雀ゲーム装置、麻雀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