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57Y1 -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457Y1
KR200187457Y1 KR2020000003962U KR20000003962U KR200187457Y1 KR 200187457 Y1 KR200187457 Y1 KR 200187457Y1 KR 2020000003962 U KR2020000003962 U KR 2020000003962U KR 20000003962 U KR20000003962 U KR 20000003962U KR 200187457 Y1 KR200187457 Y1 KR 200187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pening
cov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서영
Original Assignee
엄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서영 filed Critical 엄서영
Priority to KR2020000003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커버에서 자체적으로 용변구를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기존의 외부로 노출된 덮개를 삭제하여 변기커버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판(11)의 상부에 쿠션재(12)가 안착되어 시트(13)로 피복되며 그 중앙에는 용변구(14)가 형성된 변기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커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 (20)의 하부에 고정되어 그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편(31)이 부착된 환형 받침판 (30); 상기 받침판(3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용변구(14)를 개폐시키는 다수개의 호형 개폐편(40); 상기 개폐편(40)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편(40)을 작동시키는 환형 조절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WATER-CLOSET BOWLS COVER'S CLOSED AND OPEN APPARATUS}
본 고안은 양변기용 변기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변기커버에서 자체적으로 용변구를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기존의 외부로 노출된 덮개를 삭제하여 변기커버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변기커버의 용변구를 별도의 커버덮개를 이용하여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커버덮개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조립되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변기커버에서 자체적으로 용변구를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기존의 외부로 노출된 덮개를 삭제하여 변기커버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변기커버의 저부에 좌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부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다수의 받침편이 부착된 환형 받침판을 고정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는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에서 용변구를 개폐시키는 다수개의 호형 개폐편들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개폐편들의 상부에는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에서 개폐편을 작동시키는 조절판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도 1a,1b는 본 고안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용변구가 열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용변구가 닫힌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변기커버 11 : 좌판
12 : 쿠션재 13 : 시트
14 : 용변구 20 : 하우징
21 : 놉조절공 30 : 받침판
31 : 받침편 32 : 축공
40 : 개폐편 41 : 개폐돌기
42 : 회전축 50 : 조절판
51 : 장공 52 : 조절놉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는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판(11)의 상부에 쿠션재(12)가 안착되어 시트(13)로 피복되며 그 중앙에는 용변구(14)가 형성된 변기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커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고정되어 그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편(31)이 부착된 환형 받침판(30); 상기 받침판 (3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용변구(14)를 개폐시키는 다수개의 호형 개폐편(40); 상기 개폐편(40)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편(40)을 작동시키는 환형 조절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은 변기커버(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조절판(50),개폐편(40)을 수용할 수 있는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이때 하우징(20),조절판(50),받침판(30)의 중앙부에는 변기커버(10)의 용변구(14)에 대응하는 용변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놉조절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30),조절판(50)상에는 다수개의 축공(32) 및 장공(51)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폐편(40)들의 양측 상,하부에는 장공(51)과 축공(32)에 각각 끼워지는 개폐돌기(41),회전축(42)이 돌출되고, 상기 조절판(50)의 일측에는 놉조절공(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놉(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놉조절공(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조절놉(52)을 화살표 방향으로(시계방향) 완전히 돌리면 조절판(5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조절판(50)의 장공(51)에 끼워진 개폐돌기(41)가 장공(51)을 따라 도 4a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개폐편(40)들이 원형을 이루므로, 이에 의해 용변구 (14)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때, 상기 개폐편(40)들은 받침판(30)의 축공(32)에 끼워진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린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조절놉(52)을 반대 방향으로(반시계방향) 완전히 돌리면 조절판(5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장공 (51)에 끼워진 개폐돌기(41)가 장공(51)을 따라 도 4c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개폐편(40)들이 방사형으로 이루므로, 이에 의해 용변구(14)는 완전히 폐쇄된다.
그리고 도 4b에서와 같이 조절놉(52)을 놉조절공(21)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편(40)들이 절반정도만 열린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변기커버(10)의 저부에 설치된 개폐편(40)으로 용변구(14)를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종래 사용된 커버덮개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변기커버(10)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기커버의 저부에 설치된 셔터부재로 용변구를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기존의 외부로 노출된 커버덮개가 삭제되므로 변기커버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해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좌판(11)의 상부에 쿠션재(12)가 안착되어 시트(13)로 피복되며 그 중앙에는 용변구(14)가 형성된 변기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커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고정되어 그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편(31)이 부착된 환형 받침판(30); 상기 받침판 (3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용변구(14)를 개폐시키는 다수개의 호형 개폐편(40); 상기 개폐편(40)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편(40)을 작동시키는 환형 조절판(50)을 포함하는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놉조절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30),조절판(50)상에는 다수개의 축공(32) 및 장공(51)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폐편(40)들의 양측 상,하부에는 장공(51)과 축공(32)에 각각 끼워지는 개폐돌기(41),회전축(42)이 돌출되고, 상기 조절판(50)의 일측에는 놉조절공(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놉(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KR2020000003962U 2000-02-15 2000-02-15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KR200187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62U KR200187457Y1 (ko) 2000-02-15 2000-02-15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62U KR200187457Y1 (ko) 2000-02-15 2000-02-15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457Y1 true KR200187457Y1 (ko) 2000-07-01

Family

ID=1964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962U KR200187457Y1 (ko) 2000-02-15 2000-02-15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4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26B1 (ko) 2009-02-05 2011-04-14 한정우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KR102097925B1 (ko) * 2019-11-13 2020-04-06 이유진 흡착식 위생용 변기구조물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26B1 (ko) 2009-02-05 2011-04-14 한정우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KR102097925B1 (ko) * 2019-11-13 2020-04-06 이유진 흡착식 위생용 변기구조물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493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KR100287515B1 (ko)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KR100815370B1 (ko)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
KR790001882B1 (ko) 수세식 변기
KR200187457Y1 (ko)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KR950000269B1 (ko) 가정용 아이스 쉐이버
CN114680702A (zh) 一种全自动子母坐圈坐便器
KR200247678Y1 (ko) 배전반용 핸들
JPH1118858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のシンク構造
CN103908185B (zh) 一种带座盖的座椅型电子座便器
KR200187447Y1 (ko) 화장실 변기와 좌판의 힌지부재
JP4430180B2 (ja) 便蓋開閉検知装置及び便座装置
KR200201297Y1 (ko) 어린이용 좌변기
KR930004396B1 (ko) 가정용 아이스 쉐이버
KR200208963Y1 (ko) 밀폐용 도어핸들
KR960011015A (ko) 세족기(洗足器)가 부설된 좌변기
KR20230032110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양변기용 시트커버
JP2538793Y2 (ja) 蓋付き容器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141736Y1 (ko) 좌변기 뚜껑을 이용한 세족기와 세면대
KR200210873Y1 (ko) 소변기의 밸브 조정구조
JP2017124112A (ja) 便座装置
KR200265104Y1 (ko) 변기좌대
JPH0128595Y2 (ko)
KR200176688Y1 (ko) 카메라 부착 도어폰의 체결부 커버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