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426B1 -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426B1
KR101029426B1 KR1020090009331A KR20090009331A KR101029426B1 KR 101029426 B1 KR101029426 B1 KR 101029426B1 KR 1020090009331 A KR1020090009331 A KR 1020090009331A KR 20090009331 A KR20090009331 A KR 20090009331A KR 101029426 B1 KR101029426 B1 KR 10102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locking member
blocking
support member
scatte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61A (ko
Inventor
한정우
Original Assignee
한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우 filed Critical 한정우
Priority to KR10200900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4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으로 살펴보면, 양변기(P) 내면에 설치되고, 배수를 감지하는 센서(16)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와이어(12)를 권취하는 롤러(14)가 구비되는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 하단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와이어(12)에 연결되어 권취롤러(14)의 작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접철되면서 양변기(P)를 폐쇄하는 차단부재(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양변기를 사용 후 배수시 차단부재에 의해 입구가 순간적으로 폐쇄됨에 따라 배수중 고인물과 투입물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기포의 비산이 방지되어 대소변에 포함된 세균으로부터 실내환경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됨과 더블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까지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양변기, 롤러, 와이어, 세균, 차단부재, 차단판, 센서

Description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Bacillus scattering prevention divice of toilet stool}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소변을 본 후 배수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한 공기중 세균확산을 차단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주거환경의 개선으로 실내에서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대소변을 배설후에는 물을 내려 정화조로 수거처리하므로 청결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양변기에 배설된 대소변을 처리하기 위해 배수시 고인물과 유입되는 물이 마찰되면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되고, 기포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거실이나 침실, 주방 등의 실내공간으로 확산된다.
이때, 기포는 순수한 물이 아닌 대소변에 포함된 세균이 대량 포함되는바, 즉 인체의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무수히 많은 세균이 배변시 체외로 배설되고, 미세기포에 묻어 생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됨에 따라 질병의 위험인자 속에 노출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26389호(명칭: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 구가 구비된 좌변기)에서 좌대의 회전 작동에 따라 본체와 좌대 사이에서 승?하강 작동되는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남성의 경우 선 자세에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외부로 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좌변기 주위가 소변으로 인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매우 위생적이면서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는 기술이 선 공개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기술은 소변을 볼 때 좌변기에 고인물과 마찰되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므로 소변을 본 후, 배수시 기포발생으로 인한 세균확산을 차단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대소변을 보는 순간에 오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거나, 양변기를 사용후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양변기 입구를 밀폐하는 기술이므로, 배수시 다량 발생되는 기포와 함께 세균이 확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양변기 사용중 배수시 발생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기포들에 포함된 세균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여 실내환경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양변기(P) 내면에 설치되 고, 배수를 감지하는 센서(16)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와이어(12)를 권취하는 롤러(14)가 구비되는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 하단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와이어(12)에 연결되어 권취롤러(14)의 작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접철되면서 양변기(P)를 폐쇄하는 차단부재(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가이드레일(22a)과 가이드홈(22b)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는 다수로 구비된 아치형의 살대(24)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살대(24)와 살대(24)사이는 차단필름(24a)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단부재(20)가 서로 대응하는 일면에 자석(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 혹은 차단부재(20)는 양변기에 설치되는 비데노즐(N)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공(10a)(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은 내부에 물이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19)와, 유로(19)상에 연통되면서 차단부재(20) 상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보조유로(19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양변기를 사용 후 배수시 차단부재에 의해 입구가 순간적으로 폐쇄됨에 따라 배수중 고인물과 투입물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기포의 비산이 방지되어 대소변에 포함된 세균으로부터 실내환경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됨과 더블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까지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절개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유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는 양변기(P)에 대소변을 본 후, 배수 및 비데사용 시 고인물과 투입물(낙수)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기포가 세균과 함께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지지부재(10), 차단부재(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10)는 양변기(P) 내면에 설치되고, 배수를 감지하는 센서(16)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와이어(12)를 권취하는 롤러(14)가 구비된다. 지지부재(10)는 양변기(P) 상단부 내주면의 형상을 고려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양면테이프, 나사못, 고리를 포함한 체결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고정되고, 와이어(12)와 롤러(14)를 통하여 후술하는 차단부재(20)를 접철가능하게 지지하는바, 이때 롤러(14)는 모터에 의해 정역구동되도록 설치되고, 롤러(14) 외주면에 와이어(12)가 권취된다. 그리고 와이어(12) 끝단부는 차단부재(20)상에 연결되어 롤러(14)의 정역구동방향에 따라 권취 혹은 풀리면서 차단부재(20)의 접철작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롤러(14)의 구동은 센서(16)에 의해 제어되는바, 이때 센서(16)는 양변기(P)를 사용후 배수하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 1처럼 양변기(P)의 배수레버(P1) 일단에 위치되어 배수레버(P1)가 작동시 터치되어 배수시점을 감지하거나 도 3a와 같이 배수시 양변기(P)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송라인(P2)상에 설치되어 배수시점이 감지된다.
이에, 양변기(P)를 사용후 배수레버(P1)를 작동시켜 대소변을 배수시 센서(16)가 이를 감지하고 롤러(14)를 구동시켜 와이어(12)가 풀리면 차단부재(20)가 펼쳐지면서 도 2처럼 양변기(P)를 폐쇄하고, 또 통상의 타이머(도시생략)를 설치하여 설정된 타임(예컨대, 대소변이 배수된 후 투입물이 충진되는 동안의 시간으로 5~20초 정도)이 경과되면 롤러(14)가 역구동되어 와이어(12)를 권취하므로 차단부 재(20)가 초기상태로 접히게 된다. 이처럼 대소변을 본 후 배수시 차단부재(20)에 의해 기포발생으로 인한 세균확산이 차단되는바, 여기서 차단부재(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재는 지지부재(10) 하단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와이어(12)에 연결되어 권취롤러(14)의 작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접철되면서 양변기(P)를 폐쇄한다. 차단부재(20)는 각각 반에 반구형으로 분할 접철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차단부재(20)가 펼쳐질 경우 단부가 서로 면접되어 반구형으로 유지되는바, 이에 따른 차단부재(20)의 접철구성은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에서,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가이드레일(22a)과 가이드홈(22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차단판(22)은 합성수지 혹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재질의 판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는 전후면에 가이드레일(22a)과 가이드홈(22b)이 구비되어 슬라이드이송가능하도록 연속 결합된다. 그리고 일측에 위치되는 차단판(22)은 와이어(12)와 연결되어 롤러(14)의 정역구동방향에 따라 가이드레일(22a)과 가이드홈(22b)을 타고 일률적으로 접철된다.
도 3b에서,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된다. 차단판(22)은 상기 도 3a처럼 합성수지 혹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통공이 관통되어 회전축(18)상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에 위치되는 차단판(22)은 와이어(12)와 연결되어 롤러(14)의 정역구동방향에 따라 회전축(18)을 축으로 선회되면서 일률적으로 접철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에서 차단판(22)은 펼쳐진 상태로 사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하는 전후면 단부에 마감돌부(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서, 차단부재(20)는 다수로 구비된 아치형의 살대(24)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살대(24)와 살대(24)사이는 차단필름(24a)에 의해 마감된다. 차단필름(24a)은 투명 혹은 불투명한 비닐 재질로 형성되어 다수의 살대(24)를 서로 연결 마감하므로 차단부재(20)가 펼쳐지면 서로 면접된 상태로 반구형의 차단막을 형성하여 양변기(P)를 폐쇄한다. 그리고 일측에 위치되는 살대(24)는 와이어(12)와 연결되어 롤러(14)의 정역구동방향에 따라 다수의 살대(24)가 회전축(18)을 축으로 선회되어 일률적으로 접철된다.
또한, 한 쌍의 차단부재(20)가 서로 대응하는 일면에 자석(26)이 구비된다. 이에 양변기(P)를 사용후 배수시 한 쌍으로 구비된 반에 반구형의 차단부재(20)가 펼쳐지면서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면 자석(26)의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므로 배수시 발생되는 기포 확산이 더욱 긴밀하게 차단되고, 비데가 설치되는 양변기(P)에 설치시에는 비데노즐(N)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해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자석(26)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단부재(20)는 양변기(P)를 폐쇄하기 위해 와이어(12)가 풀리면 자중 에 의해 펼쳐짐에 따라 원활한 폐쇄작동을 유도하기 위해 차단부재(20)가 서로 면접되는 단부에 중량추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 혹은 차단부재(20)는 양변기에 설치되는 비데노즐(N)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공(10a)(20a)이 형성된다. 도 4a은 지지부재(10)상에 절개공(10a)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절개공(20a)이 차단부재(20)상에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에 비데가 장착된 양변기(P)에 세균 비산방지장치를 장착하더라도 절개공(10a)(20a)을 통하여 비데노즐(N)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은 내부에 물이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19)와, 유로(19)상에 연통되면서 차단부재(20) 상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보조유로(19a)가 형성된다. 이때 유로(19)는 별도의 호수(도시생략)를 통하여 양변기(P)상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배관에 연결되고,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이에 양변기(P)를 사용후 배수레버(P1)를 작동시켜 대소변을 배수 및 비데사용 시 센서(도시생략)가 이를 감지하고 도 5와 같이 보조유로(19a)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차단부재(20) 상면에 잔류하는 이물질까지 깨끗하게 세척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절개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의 유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7)

  1. 양변기(P) 내면에 설치되고, 배수를 감지하는 센서(16)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와이어(12)를 권취하는 롤러(14)가 구비되는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 하단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와이어(12)에 연결되어 권취롤러(14)의 작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접철되면서 양변기(P)를 폐쇄하는 차단부재(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가이드레일(22a)과 가이드홈(22b)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분할형성된 아치형의 차단판(22)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다수로 구비된 아치형의 살대(24) 양단이 지지부재(10)상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살대(24)와 살대(24)사이는 차단필름(24a)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단부재(20)가 서로 대응하는 일면에 자석(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 혹은 차단부재(20)는 양변기에 설치되는 비데노즐(N)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공(10a)(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7.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은 내부에 물이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19)와, 유로(19)상에 연통되면서 차단부재(20) 상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보조유로(19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KR1020090009331A 2009-02-05 2009-02-05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KR10102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31A KR101029426B1 (ko) 2009-02-05 2009-02-05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31A KR101029426B1 (ko) 2009-02-05 2009-02-05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61A KR20100090061A (ko) 2010-08-13
KR101029426B1 true KR101029426B1 (ko) 2011-04-14

Family

ID=4275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31A KR101029426B1 (ko) 2009-02-05 2009-02-05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84A (ko) 2017-08-28 2019-03-08 이용섭 양변기용 오물 흡착장치
KR102013396B1 (ko) * 2017-09-29 2019-08-22 정우형 좌변기 시트
WO2020189809A1 (ko) * 2019-03-18 2020-09-24 정우형 좌변기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457Y1 (ko) 2000-02-15 2000-07-01 엄서영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KR200424513Y1 (ko) 2006-05-24 2006-08-23 곽왕규 위생용 변기 커버장치
JP2006247304A (ja) 2005-03-08 2006-09-21 Shigeto Toida トイレ飛散防止シート
KR200436813Y1 (ko) 2006-11-14 2007-10-09 김수용 변기의 개폐 및 세척수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457Y1 (ko) 2000-02-15 2000-07-01 엄서영 변기커버의 용변구 개폐장치
JP2006247304A (ja) 2005-03-08 2006-09-21 Shigeto Toida トイレ飛散防止シート
KR200424513Y1 (ko) 2006-05-24 2006-08-23 곽왕규 위생용 변기 커버장치
KR200436813Y1 (ko) 2006-11-14 2007-10-09 김수용 변기의 개폐 및 세척수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61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26B1 (ko)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KR101066922B1 (ko) 개폐 및 세척기능을 갖는 소변기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20080063977A (ko) 환자용 침대
CN108716242B (zh) 一体化节能卫浴厕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KR200370142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
JP3882359B2 (ja) 便器の殺菌装置
JPH02300427A (ja) 便器洗浄槽に於ける上水、中水併用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90025466A (ko) 소변기 덮개 자동개폐장치
KR20060023639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
CN211485339U (zh) 装有洁身便盆的坐便床
JPH10195960A (ja) 吸込装置
JP6047746B1 (ja) 腰かけ式水洗トイレシステムがあらかじめ造り付けされた一体型の水洗トイレ室ユニット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KR20110137527A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3143565U (ja) はね上げ装置付筒状水洗小便器
JP5278875B2 (ja) 水洗便器へのアタッチメント式臀部内面洗浄装置
JP2018526554A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JPH02274931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3148255U (ja) はね上げ装置付筒状水洗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