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396B1 - 좌변기 시트 - Google Patents
좌변기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396B1 KR102013396B1 KR1020170127496A KR20170127496A KR102013396B1 KR 102013396 B1 KR102013396 B1 KR 102013396B1 KR 1020170127496 A KR1020170127496 A KR 1020170127496A KR 20170127496 A KR20170127496 A KR 20170127496A KR 102013396 B1 KR102013396 B1 KR 102013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eat body
- rotating
- blade piece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내부에 자신 또는 타인의 대ㆍ소변을 볼 수 있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대소변을 볼 수 없도록 하고, 특히 남아(男兒)들이 서서 보는 것을 방지하여 좌변기가 오염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는 좌변기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힌지공이 형성된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수직완충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 하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날개편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힌지공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의 일측끝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동날개편과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면 내주 일끝단 상ㆍ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롤러부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연결공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회동롤러부에 감겨진 와이어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 일측단면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내부에 자신 또는 타인의 대ㆍ소변을 보고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에 대소변을 볼 수 없도록 하고, 특히 남아(男兒)들이 서서 보는 것을 방지하여 좌변기가 오염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坐便器)는 걸터 앉아서 대소변을 볼 수 있는 수세식 변기로 양변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좌변기는 앉아서 대변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고, 특히, 여성들은 앉아서 대변은 물론 소변을 보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좌변기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ㆍ하면이 평탄한 링 형상의 좌변기 시트가 올려져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좌변기 시트를 올려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된 좌변기 시트를 사용자가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불쾌감을 느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3) 상부에 힌지결합된 시트(7)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페달(10)과; 상기 페달(10)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10)을 누르면 상기 시트(7)를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시트(7)를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3)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승강로드(30)와 일측이 상기 페달(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로드(3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10)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30)를 상승시키는 링크부(20)와 상기 시트(7)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30)와 결합되되 상기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시트(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와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캡을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좌변기 시트는 페달에 의해 시트가 회동하므로써 여ㆍ남아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를 잡지 않고 오픈할 수 있어 좌변기를 보다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좌변기 시트가 회전되어 남아(男兒) 사용자가 소변시 좌변기 주변 또는 시트 등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시트가 개방된 형태로 마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ㆍ소변을 볼 수 있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의 내부에 자신 또는 타인의 대ㆍ소변을 볼 수 없도록 하여 쾌적함을 제공토록 하고, 특히 남아(男兒)들이 서서 보는 것을 방지하여 좌변기가 오염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힌지공이 형성된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수직완충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 하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날개편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힌지공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의 일측끝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동날개편과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면 내주 일끝단 상ㆍ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롤러부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연결공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회동롤러부에 감겨진 와이어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 일측단면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날개편은 하나 내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날개편의 날개편 외주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롤러부는 외주에 와이어를 감길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유도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된 회동보빈과 상기 회동보빈의 유도홈에 체결되어 상ㆍ하로 이동시 상기 회동보빈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돌기가 형성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회동보빈의 상부와 결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보빈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유도하는 유도공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본체의 가이드부 중심부에 형성된 유도공 상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는 좌변기 시트에 회동하는 회동날개편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시에만 좌변기 시트가 개방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자신 또는 타인의 대ㆍ소변을 볼 수 없도록 하고, 특히 남아(男兒)들이 서서 보는 것을 방지하여 좌변기가 오염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동날개편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 6b는 본 발명의 회동날개편을 나타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회동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8b는 도 7에 대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을 회동롤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동날개편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 6b는 본 발명의 회동날개편을 나타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회동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8b는 도 7에 대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을 회동롤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적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1)는 좌변기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힌지공(14)이 형성된 시트본체(10)와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수직완충부재(20)와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12) 하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12)을 개폐하는 날개편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6)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10)의 힌지공(14)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32)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36)의 일측끝단에는 연결공(34)이 형성된 회동날개편(30)과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면 내주 일끝단 상ㆍ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롤러부(40)와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연결공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회동롤러부(40)에 감겨진 와이어(50)와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 일측단면에 연결된 제1탄성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수직완충부재(20)는 고무, 솜 등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 중 충격을 완충함과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설치된 수직완충부재(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설치하여 안정적인 쿠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특히 상기 시트본체(10) 하부에 설치된 회동롤러부(40)에 설치된 외주면의 수직완충부재(20)는 타 수직완충부재(20) 보다 탄성비가 높은 것으로 사용하여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회동롤러부(40)가 신속하게 회동함과 상기 회동롤러부(40)와 연동되는 회동날개편(30)이 신속하게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개폐하는 상기 회동날개편(30)은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개폐하는 날개편(36)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6)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10)의 힌지공(14)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32)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36)의 일측끝단에는 상기 와이어(50)가 연결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공(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날개편(30)은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날개편(30)은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전체부분을 개폐하는 하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신속한 개폐 및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둘레부분에 다수가 설치되어 이루어져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둘레부분에 다수로 회동날개편(30)이 설치되어 회동시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계단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보다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날개편(30)의 날개편(36) 외주에는 경사면부(36-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날개편(30)의 날개편(36) 외주에 형성된 경사면부(36-2)는 상기 회동날개편(30)이 회동시 서로 충돌하는 방지하는 효과 및 상기 회동날개편(3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날개편(36) 외주에 형성된 경사면부(36-2)를 따라 이동하여 좌변기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동날개편(30) 일측에 설치되어 시트본체(10)의 하부면에 고정된 제1탄성스프링(60)은 상기 회동날개편(30) 일측에 하나 내지 둘 이상이 설치되거나 다수의 회동날개편(30)이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면에 설치시 다수의 회동날개편 중 하나 설치하거나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날개편(30)의 일측에 설치된 제1탄성스프링(6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0)을 당기면 상기 회동날개편(30)이 회동하여 상기 제1탄성스프링(60)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며, 상기 와이어(50)의 당기는 힘이 없어지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스프링(60)을 가압하는 힘이 해체되어 상기 회동날개편(30)이 신속하게 회동하여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탄성스프링(60)은 회동날개편(30)의 일측과 시트본체(10) 하부에 결합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회동날개편(30)의 힌지축(32)에 삽입되어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날개편(30)의 회동을 제어하는 와이어(50)는 회동롤러부(40)에 의해 제어하는데 상기 회동롤러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와이어(50)가 감길 수 있도록 홈부(42-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유도홈(42-3)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42-4)이 구비된 회동보빈(42)과 상기 회동보빈(42)의 유도홈(42-3)에 체결되어 상ㆍ하로 이동시 상기 회동보빈(42)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돌기(44-2)가 형성된 수직이동부재(44)와 상기 회동보빈(42)의 상부와 결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베어링(18-2)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보빈(42)의 홈부(42-2)와 대응되는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44)를 유도하는 유도공(18-4)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관통공(12)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상기 회동날개편(30)은 복수개의 날개편(36)을 구비한 좌측회동날개편(30-2)과 복수개의 날개편(36)을 구비한 우측회동날개편(30-1)으로 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날개편(30)를 제어하는 와이어(50)는 회동롤러부(40)의 회동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본체(10)의 착석하여 하부로 가압시 상기 회동보빈(42)이 회동하여 와이어(50)가 상기 회동보빈(42)의 홈부(42-2)에 감겨진 것이 당겨지므로써 상기 와이어(50)에 연결결합된 상기 좌측회동날개편(30-2)과 상기 우측회동날개편(30-1)이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방되게 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재(44)는 상기 회동보빈(42)이 회동에 의해 상기 시트본체(10)의 가이드부재(18)에 형성된 유도공(18-4)으로 이동된다.
상기 회동날개편(30)를 제어하는 와이어(50)는 회동롤러부(40)의 회동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본체(10)의 착석하여 하부로 가압시 상기 회동보빈(42)이 회동하여 와이어(50)가 상기 회동보빈(42)의 홈부(42-2)에 감겨진 것이 당겨지므로써 상기 와이어(50)에 연결결합된 상기 좌측회동날개편(30-2)과 상기 우측회동날개편(30-1)이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방되게 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재(44)는 상기 회동보빈(42)이 회동에 의해 상기 시트본체(10)의 가이드부재(18)에 형성된 유도공(18-4)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본체(10)로부터 일어나면 하부로 가압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시트본체(10)는 수직완충부재(2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회동롤러부(40)의 회동보빈(42)에 형성된 홈부(42-2)에 감겨진 와이어(50)가 풀어지면서 상기 회동롤러부(40)의 회동보빈(42)이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50)에 연결결합된 상기 좌측회동날개편(30-2) 및 상기 우측회동날개편(30-1)이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중앙으로 회동되여 맞닿음으로써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폐쇄하게 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44)는 상기 회동보빈(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시트본체(10)의 가이드부재(18)에 형성된 유도공(18-4)으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롤러부(40)는 상기 시트본체(10)의 가압에 따라 상기 회날개편(30)이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롤러부(40)가 시트본체(10)의 가압에 따라 상기 회동롤러부(40)가 회동되는 것으로 이때 시트본체(10)를 가압하는 힘이 없을 경우 신속하게 상기 회동롤러부(40)의 회동보빈(42)이 회동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본체(10)의 가이드부(18) 중심부에 형성된 유도공(18-4) 상부에는 제2탄성스프링(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1)는 도 10a, 10b,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좌변기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힌지공(14)이 형성된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완충부재(20)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 하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12)을 개폐하는 날개편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6)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10)의 힌지공(14)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32)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36)의 일측끝단에는 연결공(34)이 형성된 회동날개편(30)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부면 내주 일끝단 상ㆍ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롤러부(40)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연결공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회동롤러부(40)에 감겨진 와이어(5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시트본체(10)의 하부 내주 일측단면에 연결된 제1탄성스프링(6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좌변기 관통공(12)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상기 회동날개편(30)은 복수개의 날개편(36)을 구비한 좌측회동날개편(30-2)과 복수개의 날개편(36)을 구비한 우측회동날개편(30-1)으로 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좌변기 관통공(12)의 개방시에는 좌측회동날개편(30-2)은 좌측으로 회동되여 접철되며 우측회동날개편(30-1)은 우측으로 회동되여 접철되여 좌변기 관통공(12)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방되는 것이고, 좌변기 관통공(12)의 폐쇄시에는 좌측회동날개편(30-2)과 우측회동날개편(30-1)이 좌변기 관통공(12)의 중앙으로 회동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좌변기 관통공(12)이 폐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1)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절대적으로 사용자가 착석시에만 작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1)에 착석하면 시트본체(10)가 하부로 가압하게 되므로써 이때 상기 회동롤러부(40)이 회동하여 와이어(50)를 당겨지므로써 상기 와이어(50)에 연결결합된 상기 회동날개편(30)이 회동하여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일측면에 제1탄성스프링(60)은 상기 회동날개편(30)이 회동하여 가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1)에 착석하여 용변을 한 후 사용자가 시트본체(10)로 부터 일어나면 하부로 가압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시트본체(10)는 수직완충부재(2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회동롤러부(40)에 감겨진 와이어(50)가 풀어지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날개편(30)의 일측면에 제1탄성스프링(60)이 복원되므로써 신속하게 상기 회동날개편(30)이 회동하여 시트본체(10)의 관통공(12)을 폐쇄하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자신 또는 타인의 대ㆍ소변을 볼 수 없도록 하고, 특히 남아(男兒)들이 서서 보는 것을 방지하여 좌변기가 오염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좌변기 시트
10 : 시트본체 12 : 관통공
14 : 힌지공 18 : 가이드부재
18-2 : 베어링 18-4 : 유도공
20 : 수직완충부재
30 : 회동날개편 32 : 한지축
34 : 연결공 36 : 날개편
36-2 : 경사면부
40 : 회동롤러부 42 : 회동보빈
42-2 : 홈부 42-3 : 유도홈
42-4 : 관통공 44 : 수직이동부재
44-2 : 돌기
50 : 와이어 60 : 제1탄성스프링
70 : 제2탄성스프링
10 : 시트본체 12 : 관통공
14 : 힌지공 18 : 가이드부재
18-2 : 베어링 18-4 : 유도공
20 : 수직완충부재
30 : 회동날개편 32 : 한지축
34 : 연결공 36 : 날개편
36-2 : 경사면부
40 : 회동롤러부 42 : 회동보빈
42-2 : 홈부 42-3 : 유도홈
42-4 : 관통공 44 : 수직이동부재
44-2 : 돌기
50 : 와이어 60 : 제1탄성스프링
70 : 제2탄성스프링
Claims (5)
- 좌변기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힌지공이 형성된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수직완충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 하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날개편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의 일측상부에는 상기 시트본체의 힌지공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날개편의 일측끝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동날개편과;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면 내주 일끝단 상ㆍ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롤러부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연결공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회동롤러부에 감겨진 와이어와; 상기 회동날개편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시트본체의 하부 내주 일측단면에 연결된 제1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좌변기 관통공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상기 회동날개편은 복수개의 날개편을 구비한 좌측회동날개편과 복수개의 날개편을 구비한 우측회동날개편으로 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좌변기 관통공의 개방시에는 좌측회동날개편은 좌측으로 회동되여 접철되며 우측회동날개편은 우측으로 회동되여 접철되여 좌변기 관통공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방되는 것이고, 좌변기 관통공의 폐쇄시에는 좌측회동날개편과 우측회동날개편이 좌변기 관통공의 중앙으로 회동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좌변기 관통공이 폐쇄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날개편의 날개편 외주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회동롤러부는 외주에 와이어를 감길 수 있도록 회동보빈의 홈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유도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된 회동보빈과; 상기 회동보빈의 유도홈에 체결되어 상ㆍ하로 이동시 상기 회동보빈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돌기가 형성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회동보빈의 상부와 결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보빈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유도하는 유도공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가 상기 시트본체의 착석시 하부로 가압되여 상기 회동보빈이 회동하고 와이어가 상기 회동보빈의 홈부에 감겨져 있는 것이 당겨지므로써 상기 와이어에 연결결합된 상기 좌측회동날개편 및 상기 우측회동날개편이 시트본체의 관통공중앙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방되게 되고, 사용자가 시트본체로부터 이석시 상기 회동롤러부의 회동보빈에 형성된 홈부에 감겨진 와이어가 풀어지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결합된 상기 좌측회동날개편 및 상기 우측회동날개편이 시트본체의 관통공 중앙으로 회동되여 맞닿음으로써 시트본체의 관통공을 폐쇄하게 되며,
상기 시트본체의 가이드부 중심부에 형성된 유도공 상부에는 제2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496A KR102013396B1 (ko) | 2017-09-29 | 2017-09-29 | 좌변기 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496A KR102013396B1 (ko) | 2017-09-29 | 2017-09-29 | 좌변기 시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797A KR20190037797A (ko) | 2019-04-08 |
KR102013396B1 true KR102013396B1 (ko) | 2019-08-22 |
Family
ID=6616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496A KR102013396B1 (ko) | 2017-09-29 | 2017-09-29 | 좌변기 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339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89809A1 (ko) * | 2019-03-18 | 2020-09-24 | 정우형 | 좌변기 시트 |
KR102055358B1 (ko) * | 2019-06-25 | 2019-12-12 | 이창섭 | 변기 시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718B1 (ko) * | 2014-01-29 | 2015-05-29 | 린에어텍주식회사 |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 내림장치 |
KR200484014Y1 (ko) * | 2017-01-24 | 2017-07-19 | 권명석 | 좌변기용 변기시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426B1 (ko) * | 2009-02-05 | 2011-04-14 | 한정우 | 양변기의 세균 비산방지장치 |
KR101341651B1 (ko) | 2013-09-05 | 2013-12-20 | 정채균 |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496A patent/KR1020133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718B1 (ko) * | 2014-01-29 | 2015-05-29 | 린에어텍주식회사 |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 내림장치 |
KR200484014Y1 (ko) * | 2017-01-24 | 2017-07-19 | 권명석 | 좌변기용 변기시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797A (ko) | 2019-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3396B1 (ko) | 좌변기 시트 | |
US6598246B1 (en) | Toilet seat lifting mechanism | |
CN211796166U (zh) | 角度调节马桶垫 | |
CN211797301U (zh) | 一种助老座椅 | |
CN110613389B (zh) | 一种坐便辅助器 | |
KR102035211B1 (ko) | 좌변 보조장치 | |
KR101374075B1 (ko) |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 |
CN107802424B (zh) | 一种轮椅踏板装置及用于轮椅踏板上的型材 | |
WO2020189809A1 (ko) | 좌변기 시트 | |
KR200390267Y1 (ko) | 화장실의 사용자 상체 받침 패드 | |
KR101317032B1 (ko) | 좌변기용 변좌 | |
KR20190053022A (ko) |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 |
KR20220122135A (ko) | 노약자 보행보조기 | |
KR101110354B1 (ko) | 틸팅 기능을 갖는 비데 | |
KR200486616Y1 (ko) | 변좌 | |
DE102008006564B4 (de) | Hilfsvorrichtung zum gedämpften Senken eines Klosettsitzes | |
JP3785233B2 (ja) | 跳ね上げ式簡易ひじ掛け体 | |
KR20200002852U (ko) |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 |
KR102135066B1 (ko) | 베리어 프리 변기 시트 | |
AU2019208468A1 (en) | Toilet comprising a surface to the front | |
KR102721458B1 (ko) | 인체공학 맞춤형 풀 각도 회전이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 |
KR200479135Y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가진 책상 | |
CN110215150B (zh) | 一种变径马桶 | |
KR102290271B1 (ko) |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 |
KR101494666B1 (ko) | 노약자용 좌변기 좌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