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14Y1 - 좌변기용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14Y1
KR200484014Y1 KR2020170000452U KR20170000452U KR200484014Y1 KR 200484014 Y1 KR200484014 Y1 KR 200484014Y1 KR 2020170000452 U KR2020170000452 U KR 2020170000452U KR 20170000452 U KR20170000452 U KR 20170000452U KR 200484014 Y1 KR200484014 Y1 KR 200484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ilet seat
closing member
toile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명석
Original Assignee
권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명석 filed Critical 권명석
Priority to KR202017000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는 변기시트(2)에 형성된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막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커버(3)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내리더라도, 상기 개구부(2a)를 통해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변기시트(2)를 비롯한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변기시트{toilet tool seat}
본 고안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구비된 좌변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a)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구비된 변기시트(2)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커버(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기시트(2)와 변기커버(3)는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에 구비된 브라켓(1b)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좌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상기 용변부(1a) 내부의 오염물질이 상기 개구부(2a)를 통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상부로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는 상기 변기커버(3)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닫은 후, 물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을 내릴 때 변기커버(3)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77331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a)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구비된 변기시트(2)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커버(3)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에는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축(21)과, 상기 지지축(2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에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기단부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축(21)의 하단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회전통체(22)와, 상기 회전통체(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10)는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구부(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막고, 상기 회전통체(22)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수납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a)를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10)가 회동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4)와, 상기 변기시트(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25)과,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제어수단(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면에 구비되어 변기시트(2)에 앉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재(1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는 변기시트(2)에 형성된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막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커버(3)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내리더라도, 상기 개구부(2a)를 통해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변기커버(3)를 닫고 물을 내리더라도 변기시트(2)까지 오염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고, 다음 사용자가 앉을 때 세균에 오염된 커버에 앉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변기시트(2)까지 오염되는 것을 원천 봉쇄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변기시트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좌변기는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a)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구비된 변기시트(2)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커버(3)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변기시트(2)에는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상기 개구부(2a)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재(10)는 강도가 높으면서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기단부가 상기 개폐수단(20)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20)을 중심으로 상기 개구부(2a)쪽으로 회동됨으로써, 개구부(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10)는 상기 개폐수단(2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0)의 선단부는 내측 즉, 상기 개구부(2a)쪽으로 회동되면 선단부가 상호 맞물리면서 상기 개구부(2a)를 밀폐하고, 외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수납되어 개구부(2a)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수단(20)과 개폐부재(10)는 5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시트(2)의 둘레부에 72°각도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축(21)과, 상기 지지축(2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에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기단부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축(21)의 하단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회전통체(22)와, 상기 회전통체(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21)은 우나사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통체(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축(2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어, 상측에서 볼 때 도 5 및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하강되고, 도 5 및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승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회전통체(22)의 외측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변기시트(2)와 상기 개폐부재(10)에 구비된 지지핀(2b,11)에 각각 결합된 토션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통체(22)와 개폐부재(10)가 상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0)는 도 5 및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구부(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막고, 도 5 및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통체(22)가 상승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수납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a)를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변기시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2)에 앉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0)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a)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상기 변기시트(2)의 상면에 앉으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21)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통체(22)가 상승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회전통체(22)와 개폐부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회동되어 수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2a)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통체(22)와 개폐부재(1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a)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변기시트는 변기시트(2)에 형성된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상기 개폐부재(10)가 개구부(2a)를 막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커버(3)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내리더라도, 상기 개구부(2a)를 통해 오염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축(21)과, 상기 지지축(2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에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기단부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축(21)의 하단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회전통체(22)와, 상기 회전통체(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0)는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구부(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막고, 상기 회전통체(22)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수납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a)를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서 상기 개폐부재(10)에 의해 개구부(2a)가 막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자신의 용변의 색이나 양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 중에는 용변의 색이나 양 등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0)가 불투명하면,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용변의 색이나 양 등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부재(10)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용변의 색이나 양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수단(20)과 개폐부재(10)는 5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시트(2)의 둘레부에 72°각도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개폐수단(20)과 개폐부재(10)의 개수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10)가 회동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4)와, 상기 변기시트(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25)과,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제어수단(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4)는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부재(1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0)를 회동시키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이용한다.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면에 구비되어 변기시트(2)에 앉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인체감지수단(25)에 일반적인 사람의 체온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은 것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26)은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2)에 앉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개폐부재(10)가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개방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개폐부재(10)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밀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변기시트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20)이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10)가 회동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4)와, 상기 변기시트(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으면 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25)과,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서 일어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제어수단(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적인 방법으로 상기 개폐부재(10)가 회동되도록 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개폐수단(20)의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은 상기 변기시트(2)에 앉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함으로,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은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인체감지수단(25)을 전술한 온도센서 이외에, 상기 변기시트(2)에 구비된 근접센서나 하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단순히 변기에 근접될 경우, 또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커버(3)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3)의 상면에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는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은 것으로 오작동할 수 있으나, 온도센서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변기시트(2)에 앉은 것을 정확히 감지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변기커버 10. 개폐부재
20. 개폐수단

Claims (5)

  1.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a)가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구비된 변기시트(2)와,
    상기 변기시트(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변기커버(3)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에는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와,
    상기 개폐부재(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10)가 상기 개구부(2a)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축(21)과,
    상기 지지축(21)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외측에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기단부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축(21)의 하단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회전통체(22)와,
    상기 회전통체(2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10)는 상기 회전통체(2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구부(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구부(2a)를 막고, 상기 회전통체(22)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변기시트(2)의 하측으로 수납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a)를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변기시트.
KR2020170000452U 2017-01-24 2017-01-24 좌변기용 변기시트 KR200484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52U KR200484014Y1 (ko) 2017-01-24 2017-01-24 좌변기용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52U KR200484014Y1 (ko) 2017-01-24 2017-01-24 좌변기용 변기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14Y1 true KR200484014Y1 (ko) 2017-07-19

Family

ID=5939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52U KR200484014Y1 (ko) 2017-01-24 2017-01-24 좌변기용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797A (ko) * 2017-09-29 2019-04-08 정우형 좌변기 시트
WO2020189809A1 (ko) * 2019-03-18 2020-09-24 정우형 좌변기 시트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032A (ko) * 2002-12-09 2004-06-14 김명옥 기능성 변기시트
KR20040077331A (ko) 2003-02-28 2004-09-04 (주) 헬로우쿡 통신망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2731U (ko) * 2012-10-31 2014-05-09 홍길용 시트가 개폐되는 좌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032A (ko) * 2002-12-09 2004-06-14 김명옥 기능성 변기시트
KR20040077331A (ko) 2003-02-28 2004-09-04 (주) 헬로우쿡 통신망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2731U (ko) * 2012-10-31 2014-05-09 홍길용 시트가 개폐되는 좌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797A (ko) * 2017-09-29 2019-04-08 정우형 좌변기 시트
KR102013396B1 (ko) * 2017-09-29 2019-08-22 정우형 좌변기 시트
WO2020189809A1 (ko) * 2019-03-18 2020-09-24 정우형 좌변기 시트
GB2599072A (en) * 2020-08-12 2022-03-30 Indira Kunhiraman Manoj A toilet cove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014Y1 (ko) 좌변기용 변기시트
US20030019023A1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MX2015001879A (es) Aparato de cocina de accionamiento electrico.
CN101951824A (zh) 搅拌机及相关的碗防护系统
CN104172911A (zh) 一种电动水壶
WO2016073651A1 (en) Automatic flush-type recognition
CN206314931U (zh) 一种倾斜后可自动盖上杯盖的水杯
JP5966152B2 (ja) 暖房便座装置
KR20210056873A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CN105768783A (zh) 一种智能饮水器
KR20100104797A (ko) 좌변기 받침대 개폐장치
KR101342207B1 (ko) 신발 자동 정리기
JP2008038435A5 (ko)
CN106269544A (zh) 一种用于澡堂拖鞋分类的设备
KR102447361B1 (ko) 개량형 믹서기
KR20220021508A (ko) 양변기의 커버 자동 닫힘 장치
KR101909714B1 (ko) 자동 변기 시스템
US9808121B2 (en) Seasoning mill
KR101796037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컵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모듈
KR102449057B1 (ko) 개량형 믹서기
KR20140016786A (ko)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CN219048051U (zh) 烹饪设备
JP5567173B1 (ja) 回転式配膳台
ES2297534T3 (es) Aparato electrodomestico de preparacion culinaria que comprende un util de trabajo rotatorio y una cubierta intermedia de seguridad.
CN215923328U (zh) 医废处理区块链系统智能收集箱的翻盖感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