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786A -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 Google Patents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786A
KR20140016786A KR1020120097751A KR20120097751A KR20140016786A KR 20140016786 A KR20140016786 A KR 20140016786A KR 1020120097751 A KR1020120097751 A KR 1020120097751A KR 20120097751 A KR20120097751 A KR 20120097751A KR 20140016786 A KR20140016786 A KR 20140016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d
sealing member
toilet sea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엠 filed Critical (주)케이피엠
Publication of KR2014001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후 양변기 뚜껑을 닫을 경우, 뚜껑에 형성된 씰링부재에 의해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키며, 동시에 배수용 레버를 조작시켜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가 변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는,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부에 안착되는 변기 시트 및 변기 시트 위에 안착되는 뚜껑과, 배수용 레버 조작시 변기 본체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로 이뤄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뚜껑 바닥면에 장착되며, 용변후 물 저장탱크의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뚜껑을 닫을 경우,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켜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뚜껑을 닫을 경우 연동되어 배수용 레버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변기 본체 내로 배출하는 레버 조작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a toilet bowl having scattering function foreign body}
본 발명은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변후 양변기 뚜껑을 닫을 경우, 뚜껑에 형성된 씰링부재에 의해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키며, 동시에 배수용 레버를 조작시켜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가 변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양변기는,
변기 본체(4)와, 변기 본체(4)의 상면에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변기 본체(4)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변기 시트(5)와, 변기 시트(5)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1)(변기 시트와 커버를 동일한 힌지핀에 의해 힌지고정시킴)와, 배수용 레버(2)와, 배수용 레버(2)의 조작시 변기 본체(4)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3)로 이뤄진다.
따라서, 용변후 사용자에 의해 배수용 버튼 또는 레버(2)를 조작할 경우, 물 저장탱크(3)로부터 변기 본체(4)내로 유입되는 세척수로 인해 변기 본체(4)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변기 본체(4) 내의 잔여 세척수와, 물 저장탱크(3)로부터 변기 본체(4)내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인한 마찰 및 충돌로 인해 기포형태의 이물질(일 예로서 대,소변의 미립자, 세척수, 세균 등과 같이 육안으로 식별되지않는 것을 말함)이 비산될 수 있다. 즉 비산되는 이물질이 변기 시트(5) 또는 뚜껑(1), 배수용 레버에 묻게 되므로, 양변기를 다음에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변기 시트(5) 또는 배수용 레버에 묻은 이물질과 접촉되어 신체의 일부를 오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산되는 이물질에 의해 화장실 내부에 거치되는 각종 세정물품이 오염될 수 있다. 즉 화장실에 항시 노출상태로 보관되는 치약, 칫솔, 비누, 타월 등이 비산되는 이물질과 쉽게 접촉되므로 이들 세정물품을 매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 저장탱크(3)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변기 본체(4)를 세척시 비산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이 화장실과 연통되는 거실, 주방, 침실 등의 생활공간으로 확산될 경우, 특히 세균 노출에 취약한 유아, 노약자, 환자 등이 유해한 이물질에 노출된 생활공간에서 생활을 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용변후 변기 뚜껑을 닫을 경우, 뚜껑에 형성된 씰링부재에 의해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키고, 동시에 배수용 레버가 작동되어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가 변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 별도로 배수 버튼 또는 레버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고,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용변후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반드시 닫게 되므로, 양변기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된 수납장의 수납품, 개인 소지품 등이 변기 본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뚜껑에 장착되어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키는 씰링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필요에 따라 수시로 세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변후 세척수 배수시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씰링부재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는,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부에 안착되는 변기 시트 및 변기 시트 위에 안착되는 뚜껑과, 배수용 레버 조작시 변기 본체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로 이뤄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뚜껑 바닥면에 장착되며, 용변후 물 저장탱크의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뚜껑을 닫을 경우,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켜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뚜껑을 닫을 경우 연동되어 배수용 레버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변기 본체 내로 배출하는 레버 조작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은,
뚜껑이 변기 시트 상에 안착될 경우 이를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 외주연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가압편과,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배수용 레버를 조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뚜껑이 변기 시트 위에 안착될 경우, 센서의 검출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운동되는 가압편에 의해 배수용 레버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에 배출하게 된다.
전술한 실링부재는 오염시 이를 세척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뚜껑 바닥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요홈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의 상면에 돌출부가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링부재를 뚜껑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뚜껑의 바닥면에 단면이 T자 형상인 요홈을 환형으로 형성하되, 요홈과 대응되도록 실링부재의 상면에 T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링부재는 스펀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뚜껑은,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 용변후 배출물의 배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뚜껑은 비데가 구비되는 양변기용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사용자가 용변후 양변기 뚜껑을 닫을 경우, 레버 조작수단에 의해 배수용 레버가 작동되어 물 저장탱크로부터 세척수가 변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 별도로 배수용 버튼 또는 레버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특히 노약자, 환자 등을 말함)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세척수 배수시 뚜껑에 형성된 씰링부재에 의해 변기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켜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므로, 화장실 내부는 물론 화장실과 연통되는 거실, 주방 등의 생활공간 내의 청결도를 유지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후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반드시 닫게 되므로, 용변 전후에 화장실 내의 수납장의 수납품, 개인 물품이 부주의로 인해 변기 본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키는 씰링부재를 뚜껑으로부터 수시로 분리시켜 이를 용이하게 세척하므로, 뚜껑과 실링부재를 항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후 세척수 배수시 변기 본체로부터 기포성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씰링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이의 원가비용을 낮추므로 사용자에게 저가의 씰링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에서, 변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에서, 변기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에서, 배수용 레버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는,
변기 본체(4)와, 변기 본체(4)의 상면에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부에 안착되는 변기 시트(5) 및 변기 시트(5) 위에 안착되는 뚜껑(1)과, 배수용 레버(2)와, 배수용 레버(2)를 조작시 변기 본체(4)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3)로 이뤄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변기 시트(5)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뚜껑(1) 바닥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용변후 물 저장탱크(3)의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뚜껑(1)을 내릴 경우, 변기 시트(5)의 개구부(5a)를 차폐시켜 변기 본체(4)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6)와,
뚜껑(1)을 닫을 경우 연동되어 배수용 레버(2)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3)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4)내로 배출하는 레버 조작수단(7)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7)은,
뚜껑(1)이 변기 시트(2) 상에 안착될 경우 이를 검출하는 센서1,2(8a,8)(일 예로서, 뚜껑(1)의 바닥면 소정위치에 센서1(8a)가 장착되고, 뚜껑(1)을 닫을 경우 센서(8a)와 접촉되는 위치의 힌지핀에 센서2(8)가 장착될 수 있음)와,
센서(8a,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9)(일 예로서 물 저장탱크(3)의 외측면 또는 상면, 물 저장탱크(3)의 수중에 장착될 수 있다)와,
구동모터(9)의 회전축 외주연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가압편(미도시됨)과,
센서(8a,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0)를 제어하여 가압편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조작하게 하는 제어부(10)(PCB)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변 후 세척수 배출을 위해 뚜껑(1)을 닫아 변기시트(5) 위에 안착시킬 경우, 이를 센서(8a,8)에 의해 검출하고, 제어부(10)에 의해 구동모터(9)를 구동시킴에 따라,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되는 가압편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3)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4)에 배출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7)으로서, 뚜껑(1)이 변기시트(5) 위에 안착될 경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회동시켜, 물 저장탱크(3)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4)에 배출하게 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7)으로서, 뚜껑(1)이 변기시트(5) 위에 안착될 경우, 물 저장탱크(3) 내에 설치되는 수중모터의 구동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가압하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때 수중모터의 고장 등을 감안하여 배수용 레버(2)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링부재(6)는 오염시 이를 분리후 세척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뚜껑(1) 바닥면에 T자 형상의 요홈(1a)을 형성하고, 요홈(1a)에 착탈가능하도록 실링부재(6)의 상면에 T자 형상의 돌출부(6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실링부재(6)를 뚜껑(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착탈수단으로서, 실링부재(6)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뚜껑(1)의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7)으로,
뚜껑(1)이 변기 시트(5) 위에 안착될 경우, 미도시된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회동시킴에 따라, 물 저장탱크(3)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4)에 배출하게 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7)으로,
뚜껑(1)이 변기 시트(5) 위에 안착될 경우, 물 저장탱크(3) 내에 설치되는 수중모터 구동에 의해 배수밸브의 레버를 가압하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때 수중모터의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경우 배수용 레버(2)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링부재(6)는 스펀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뚜껑(1)은, 뚜껑(1)이 닫혀진 상태에서 용변후 변기 본체(4)로부터 배출물의 배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뚜껑(1)은 일반 양변기는 물론, 비데가 구비되는 양변기용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는, 전술한 실링부재(6)를 뚜껑(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뚜껑(1)의 바닥면에 요홈(1a)을 환형으로 형성하되, 요홈(1a)과 대응되도록 실링부재(6)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6a)를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용변후 사용자에 의해 뚜껑(1)을 변기 시트(5)쪽으로 닫을 경우에, 이때 뚜껑(1) 바닥면에 장착된 실링부재(6)에 의해 변기 시트(5)의 개구부(5a)를 차폐시킨다. 이와 동시에 뚜껑(1) 바닥면에 장착된 센서(8a)와 힌지핀에 장착된 센서(8)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뚜껑(1)이 변기 시트(5) 상에 안착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0)에 전송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9)를 구동시키고, 구동모터(9)의 가압편에 의해 배수용 레버(2)를 조작하게 되므로, 물 저장탱크(3)로부터의 세척수를 변기 본체(4) 내로 배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변후 뚜껑(1)을 닫게 되는 경우, 뚜껑(1) 바닥면에 장착된 실링부재(6)가 변기 시트(5)의 개구부(5a)를 차폐시키며, 동시에 배수용 레버(2)를 조작시켜 물 저장탱크(3)로부터의 세척수를 변기 본체(4)로 배출함에 따라, 세척수 배수시 세척수의 마찰 및 충돌에 의해 변기 본체(4)로부터 이물질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화장실 내부의 청결함은 물론 화장실과 연통되는 거실, 주방 등의 생활공간 내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용변후에는 뚜껑(1)을 항시 닫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용변 전,후에 개인 소지품, 또는 변기 시트(5)의 개구부(5a) 상에 위치하는 수납대 등으로부터 비누 등의 수납품이 변기 본체(4)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링부재(6)는 뚜껑(1)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링부재(6)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뚜껑(1) 바닥면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요홈(1a)으로부터 이와 대응되게 실링부재(6) 상면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6a)를 분리시킴에 따라, 뚜껑(1)으로부터 실링부재(6)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6) 및 뚜껑(1)을 세척한 후, 뚜껑(1)에 실링부재(6)를 장착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뚜껑
2; 배수용 레버
3; 물 저장탱크
4; 변기 본체
5; 변기 시트
6; 실링부재
7; 레버 조작수단
8,8a; 센서
9; 구동모터
10; 제어부

Claims (7)

  1.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부에 안착되는 변기 시트 및 변기 시트 위에 안착되는 뚜껑과, 배수용 레버와, 배수용 레버 조작시 변기 본체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로 이뤄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뚜껑 바닥면에 장착되며, 용변후 물 저장탱크의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뚜껑을 닫을 경우, 상기 변기 시트의 개구부를 차폐시켜 상기 변기 본체로부터 이물질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뚜껑을 닫을 경우 연동되어 상기 배수용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변기 본체 내로 배출하는 레버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레버 조작수단은,
    상기 뚜껑이 변기 시트 상에 안착될 경우 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외주연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가압편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배수용 레버를 조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이 변기 시트 위에 안착될 경우 상기 센서의 검출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운동되는 가압편에 의해 상기 배수용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세척수를 변기 본체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뚜껑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 바닥면에 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상기 실링부재의 상면에 링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뚜껑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바닥면에 단면이 T자 형상인 요홈을 환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요홈과 대응되도록 실링부재의 상면에 T자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스펀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 용변후 배출물의 배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비데가 구비되는 양변기용 뚜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KR1020120097751A 2012-07-31 2012-09-04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KR20140016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644 2012-07-31
KR20120083644 2012-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86A true KR20140016786A (ko) 2014-02-10

Family

ID=5026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51A KR20140016786A (ko) 2012-07-31 2012-09-04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6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51A1 (ko) * 2021-10-19 2023-04-27 이상윤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51A1 (ko) * 2021-10-19 2023-04-27 이상윤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KR20140016786A (ko) 이물질 비산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변기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US20070214566A1 (en) Automatic self-cleaning toilet
KR20210061618A (ko) 좌변기용 스마트 변좌 커버 장치
JP2008163737A (ja) トイレおよび便座装置並びにその洗浄方法
JP3877614B2 (ja) ペット用トイレ清浄構造
CN115341621A (zh) 水槽系统及部件
KR20180134187A (ko) 자동문 소변기
KR20220021508A (ko) 양변기의 커버 자동 닫힘 장치
KR20210128811A (ko) 변기커버 탈부착형 비데 노즐 살균 장치
KR101889987B1 (ko) 대변기 세척밸브
WO2016102947A1 (en) Apparatus for handling contaminated products
JP2002143009A (ja) 洗面化粧台
JP6261488B2 (ja) 洗浄装置
JP2010077654A (ja) 洗面装置
TWI758158B (zh) 具有防止髒物水氣噴濺功能之馬桶裝置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US6944894B1 (en) Self-cleaning toilet
IT201900010866A1 (it) "copri vaso igienico aspirante"
KR102642465B1 (ko) 하이브리드 IoT 양변기 살균장치
CN209826443U (zh) 一种盥洗柜
JP7213021B2 (ja) 便器装置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