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032A - 기능성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032A
KR20040050032A KR1020020077727A KR20020077727A KR20040050032A KR 20040050032 A KR20040050032 A KR 20040050032A KR 1020020077727 A KR1020020077727 A KR 1020020077727A KR 20020077727 A KR20020077727 A KR 20020077727A KR 20040050032 A KR20040050032 A KR 2004005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eet
cover
main box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392B1 (ko
Inventor
유금자
Original Assignee
김명옥
유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옥, 유금자 filed Critical 김명옥
Priority to KR102002007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좌변기의 상측에 설치되어지는 변기시트에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커버가 색상이 가미된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미감을 느끼게 하고,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를 결합시킨 시트의 내부에 열선을 배선시키되 상측시트의 전면에 설치하므로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측시트에 코팅되어 있는 저온환원촉매와 반응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여성질환 및 변비, 치질 등의 항문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수동과 자동 스위치가 부착되어 하절기에는 사용을 중단하고 동절기에는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메인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휀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탈취필터에 의해 배변시에 발생하여 상부로 올라오는 냄새를 제거하여 주므로 화장실내의 공기를 항상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며 사용하기 편리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변기시트{A Functional Commode Seat}
본 발명은 수세식 좌변기의 상측에 설치되어지는 변기시트에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변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박스에 시트와 시트커버의 축에 로타리 뎀퍼를 설치하여, 사용시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시트를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분리하여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측시트의 내부에는 열선을 설치하여 시트를 히팅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상측시트 표면에 저온 환원촉매제를 도포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을 유도하였으며 메인박스의 내부에는 송풍휀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를 구비하여 송풍휀에 의해 흡입되는 악취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와 탈취필터에 의해 악취를 제거해 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메인박스에 물체감지수단을 설치하여 감지수단에 의해 사람이 시트에 앉았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열선을 작동시켜 주도록 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좌변기(이하 "변기"로 통칭함)는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변기본체와 피부가 변기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변기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와 시트의 상측에 시트와 일체로 설치되어 개폐하도록 된 커버(덮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변기에는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나 시트를 가열시켜 주도록 하는 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변기를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시키거나 중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차가운 계절에 사용할 경우에는 차가운 시트의 냉기가 사용자에 직접 전이되어 사용자가 한기를 느끼게 되는 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29670호 "악취제거용변기시트"와, 실용신안 등록 제 273913호 "가열수단이 구비된 변기" 및 실용실안 등록 제 282629호 "온열 및 원적외선 방출 악취배출 변기시트"등이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229670호 의 "악취제거용변기시트"는, 다수의 흡입공이 통공된 흡입관을 시트의 내부에 형성하고 시트를 흡입관과 연통되는 결합구에 의해 변기본체에 설치하되 상기 결합구를 연결관에 의해 송풍휀 및 방향제가 내부에 설치된 여과장치와 연결시켜서 된 것으로서, 송풍휀에 의해 악취를 흡입하여 방향제를 통과 배출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송풍휀에 의해 흡입되는 악취를 중화시키거나 필터링시키지 않고 방향제에서 발생되는 향기와 혼합시켜 실내에 배출시키므로 방향제의 향이 짙은 초기에는 악취를 다소나마 중화시켜 제거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향제의 향이 약화되므로 악취의 제거효율이 점진적으로 떨어지면서 역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방향제를 수시로 교체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방향제의 향을 싫어하는 사람인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온열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절기에는 시트를 가온시켜 줄 수 없는 단순함이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 제 273913호 의 "가열수단이 구비된 변기"는 시트와 함께 변기본체에 설치되는 커버(덮개)의 내부에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변기본체의 일 측편에 향발산기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커버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시트를 가온시키고 향발산기에 의해 향을 발생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커버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수단의 열기가 시트에 전이되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트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열수단을 항상 가동시키거나 주기적으로 가동시켜 주어야 하고 커버를 젖혀 두게 되면 커버의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시트에 전열되지 못하게 되므로 전기와 발생되는 열기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향발생기에서 향을 단순하게 분사시키므로 악취를 필터링하거나 중화시켜 제거할 수 없었으며, 향을 싫어하는 사람에는 오히려 두통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용실안 등록 제 282629호 의 "온열 및 원적외선 방출 악취배출 변기시트"는 저면에 흡입공이 통공되고 내부가 중공부로 된 시트의 체결구에는 유통공이 측면에 통공되고 커버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삽입하여 커버를 개폐시킬 때에 연결관이 정역으로 회전되면서 체결구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하고, 연결관에는 유통공이 통공된 횡축을 삽입하여 굴대 설치하되 횡축의 일단에는 배출관을 연결시켜 악취를 실외로 배출시켜 주도록 하며, 시트의 저면에는 열선을 설치하여 시트를 온열 시켜주며, 시트의 상면에는 천연 옥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지압효과를 얻으면서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는 시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를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된 시트의 내부에는 열선을 설치할 수 없어 열선을 시트의 저면에 설치하게 되므로 물과 항상 접촉되는 시트에 누전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항상 존재하여 매우 위험하며, 상면에 매설되는 천연 옥과 저면에 설치되는 열선이 서로 공간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열선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천연 옥에 전열시킬 수 없어 원적외선의 발생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악취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변기를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외부에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와 시트커버를 변기의 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메인박스에 로타리 뎀퍼를 축으로 설치하도록 된 기능, 시트를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분리 형성하여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시트의 내부에는 열선을 내장 설치하여 시트를 히팅시켜 상측시트에 도포되어 있는 저온환원촉매와 반응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며 메인박스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감지수단에 의해 사람이 시트에 앉았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열선을 작동시켜 주도록 하는 기능, 메인박스의 내부에는 송풍휀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를 구비하여송풍휀에 의해 흡입되는 악취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에 의해 탈취 제거시켜 주도록 하는 기능 등 여러 가지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비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박스의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들을 설치하고,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분리 형성된 시트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가 주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를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분리 형성하여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있고 성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호간의 당접 면에 대응되는 요홈 및 돌기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되, 온열장치 즉 열선을 분리된 상측시트의 내부에 미리 설치한 후에 하측시트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열선도 용이하게 설치해 줄 수 있도록 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박스의 내부에는 송풍휀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를 구비하여 송풍휀에 의해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에 의해 탈취 제거시켜 줌으로서 악취제거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카본으로 된 탈취필터를 사용하여 오존을 중화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변기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내부가 중공부로 되고 저면에 열선(26)이 설치되는 시트(20)와 시트커버(10)로 구성되는 변기시트에 있어서,
시트(20)와 시트커버(10)가 축으로 굴대 설치되고 변기의 본체에 장착되어지는 메인박스(40)와,
메인박스(40)에 굴대 설치되는 시트커버(10)를 투명하게 형성한 것과,
시트(20)를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로 분리 형성하여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한 것과,
시트(20)의 내부에는 통상의 열선(26)을 내장 설치하여 시트(20)를 히팅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과,
메인박스(40)의 내부에는 통상의 송풍휀(55)과 탈취필터(56)를 구비하여 악취를 탈취 제거시켜 주도록 한 것과,
메인박스(40)에는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시트(20)에 앉았을 때에 열선(26)과 송풍휀(55)을 작동시켜 주도록 한 것이 포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변기시트(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변기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변기시트의 평면도 및 측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변기시트에서 시트커버를 보인 평 면도 및 측 단면도.
도 4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변기시트에서 시트를 분리시킨 상 태의 단면도 및 상측시트와 하측시트의 각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변기시트에서 메인박스의 평면도 와 단면도 및 메인박스의 받침틀을 보인 평면도와 측 단면도 및 측면 커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능성변기시트 10. 시트커버 20. 시트
20-1. 상측시트 20-2. 하측시트 21. 상측시트본체
25. 결속홈 26. 열선 30. 하측시트본체
34. 결속돌기 40. 메인박스 41. 박스커버
41. 박스커버본체 42. 공간부 46. 측면커버
50. 받침틀 52. 받침대 56. 탈취필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내지 도 2b는 결합상태의 전체 사시도와 평면도 및 측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시트커버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및 측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4c는 시트의 상측시트 및 하측시트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메인박스를 발췌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는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바와 같이, 변기본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상면에 장착 고정되어지는 메인박스(40)와, 상기 메인박스(40)의 전면부에 상하로 굴대 설치되어지는 시트커버(10) 및 시트(20)로 구성하였다.
시트커버(10)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된 커버판(11)의 배면에 한 쌍의 지지대(12)를 대향되게 형성하고, 각 지지대(12)에는 장착공(13)을 동일선상에 일치되도록 통공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축볼트 및 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메인박스(40)의 상측설치공(44)에 굴대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색상이 첨가되는 투명하게 형성하여 시트(20)가 투시되어 보이도록 하였다.
도 4a 내지 도 4c는 메인박스(40)의 하측설치공(45)에 굴대 설치되어지는 시트(20)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시트(20)는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를 대향되게 분리 성형하여 결속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는 중앙에 공간부(21-1)(30-1)가 형성되도록 상측시트본체(21) 및 하측시트본체(30)를 통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상측시트본체(21) 및 하측시트본체(30)의 후면에 지지대(22)(3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지지대(22)(31)의 장착편(23)(32)의 후단 저면과 상면에는 하측 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장착반공(24)(33)을 형성하여 장착반공(24)(32)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서로 당접되는 주연부에는 결속요홈(25)과 결속돌편(3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를 일체형의 시트(20)로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시트(20-1)의 저면에는 열선(26)을 배선하여 하측시트(20-2)를 결합시켰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되어지도록 하였고, 하측시트(20-2)의 저면에는 크고 작은 받침편장착홈(35)(36)을 형성하여 장착편(37)(38)을 결합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변기본체에 장착되고 시트커버(10)와 시트(20)가 굴대 설치되어지는 메인박스(40)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메인박스(40)는 각종장치가 설치되는 받침틀(50)과, 상기 받침틀(50)에 씌워져 각종장치를 보호하고 시트커버(10)와 시트(20)가 굴대 설치되어지는 박스커버본체(41)와, 박스커버본체(41)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측면커버(46)로 형성하였다.
받침틀(50)은, 상면 일 측편에 흡입구(53)와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송풍휀지지틀(51)을 일체로 형성하여 통상의 송풍휀(55)을 장착하되 배출구에는 카본필터로 된 탈취필터(56)를 장착하였고, 타 측편에는 송풍휀(55) 및 고압발생장치(57)등 각종장치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4)와 열선(26)에 고압을 공급시켜 주는 고압발생장치(57)를 설치하였다.
박스커버본체(41)는 전면에 공간부(42)를 형성하여 양측으로 측면부(43)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되, 각 측면부(43)의 대향 내면에 상측설치공(44)과 하측설치공(45)을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시트커버(10)와 시트(20)를 굴대 설치였다.
특히 송풍휀지지틀(51)의 상면과 박스커버본체(41)의 저면에 통상의 요홈(52)과 돌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받침틀(50)과 박스커버본체(41)를 견실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박스커버본체(41)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측면커버(46)는 반타원공형상으로 형성하되, 일 측 측면커버(46)의 전면부에 근접센서로 되는 센싱수단(47)을 장착하여 시트(20)에 사람이 앉았을 때에 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는 시트커버(10)와 시트(20)가 굴대 설치된 메인박스(40)의 받침틀(50)을 변기본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고정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를 변기본체에 설치하게 되면 시트커버(10)가 투명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기본체의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으며, 투명체로 된 시트커버(10)에는 색상이 가미되어 있으므로 변기본체의 내부가 색상으로 투시되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기능성변기시트(1)의 컨트롤러(54)에서 고압발생장치(57)를 작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게 되는데, 하절기에는 OFF상태로 선택하여 작동을 중지시키고 동절기에는 ON상태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시트커버(10)를 상측으로 젖혀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를 결합시켜서 된 시트(20)의 위에 앉게 되면 메인박스(40)의 일 측 측면커버(46)에 설치된 센싱수단(47)인 근접센서가 사용자를 센싱하게 된다.
센싱수단(47)인 근접센서가 시트(20)의 위에 앉은 사용자를 센싱하여 그 정보를 받침틀(50)에 설치된 컨트롤러(54)에 제공하게 되고, 컨트롤러(54)는 송풍휀(55)을 작동시키고 또한 고압발생장치(57)가 컨트롤러(54)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압발생장치(57)를 작동시키게 된다.
송풍휀(55)이 작동하게 되면 시트(20)와 변기본체에 위치하게 되는 냄새는 흡입구(53)를 통하여 흡입되어지고, 송풍휀(55)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냄새는 카본필터로 된 탈취필터(56)로 공급되어지며, 냄새가 카본필터로 된 탈취필터(56)를 통과하면서 중화되어 냄새가 제거되어진 후에 배출되어진다.
또한 고압발생장치(57)가 ON상태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압발생장치(57)가 작동하게 되는데, 고압발생장치(57)에서 발생되는 고압(전압)이 시트(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열선(26)에 공급되어지게 되고, 열선(26)은 공급되는 고압에 의해 가열되면서 소정의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열선(26)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열은 열선(26)을 감싸고 있는 시트(20) 즉,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로 전열되어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를 가온시켜 주게 되며, 특히 열선(26)이 설치되어 있는 상측시트(20-1)에 더 많은 열이 전열되면서 상측시트(20-1)가 하측시트(20-2)보다 더욱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20)의 상측시트(20-1)가 따뜻하게 가온되어지면 상측시트(20-1)와 직접 접촉되는 사용자의 피부에 열기가 전열되어지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동절기에도 따뜻하고 온화한 상태를 느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의 사용을 완료하여 사용자가 시트(20)에서 일어나게 되면 근접센서로 된 센싱수단(47)이 사용하지 않음을 감지하여 사용 완료사실을 컨트롤러(54)에 제공하게 되고, 사용완료사실을 통보받은 컨트롤러(54)는 송풍휀(55)과 고압발생장치(57)의 작동을 즉시 중지시켜 전기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1)에서 컨트롤러(54)와 송풍휀(55) 및 고압발생장치(57)가 메인박스(40)에서 박스커버(41)가 씌워져 외부와 차단되어지고 거의 밀폐상태로 유지되는 받침틀(50)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기가 유입되거나 침투하지 못하게 되므로 누전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시트(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선(26)은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에 의해 외부와는 완전히 차단되므로 외부의 물기가 유입되거나 침투하는 것을 안전히 차단하여 누전현상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변기시트는,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커버가 색상이 가미된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미감을 느끼게 하고,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를 결합시킨 시트의 내부에 열선을 배선시키되 상측시트의 전면에 설치하므로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측시트에 코팅되어 있는 저온환원촉매와 반응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여성질환 및 변비, 치질 등의 항문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수동과 자동스위치가 부착되어 하절기에는 사용을 중단하고 동절기에는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메인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휀과 세라믹 오존발생장치, 탈취필터에 의해 배변시 발생되어 상부로 올라오는 냄새를 제거하여 주므로 화장실내의 공기를 항상 신선하게 유지시켜주며 사용하기 편리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6)

  1. 내부가 중공부로 되고 저면에 열선(26)이 설치되는 시트(20)와 시트커버(10)로 구성되는 변기시트에 있어서,
    시트(20)와 시트커버(10)가 로타리 뎀퍼 축으로 굴대 설치되고 변기의 본체에 장착되어지는 메인박스(40)와,
    메인박스(40)에 굴대 설치되는 시트커버(10)를 투명하게 형성한 것과,
    시트(20)를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로 분리 형성하여 로타리 뎀퍼결속수단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한 것과,
    시트(20)의 내부에는 통상의 열선(26)을 내장 설치하여 시트(20)를 히팅시켜 상측시트에 도포된 저온훤원촉매와 반응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메인박스(40)의 내부에는 통상의 송풍휀(55)과 세라믹오존발생장치 및 탈취필터(56)를 구비하여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탈취 제거시켜 주도록 한 것과,
    메인박스(40)에는 근접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시트(20)에 앉았을 때에 열선(26)과 송풍휀(55) 세라믹오존발생장치을 작동시켜 주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체형의 시트(20)를 형성하는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는,
    중앙에 공간부(21-1)(30-1)가 형성되도록 상측시트본체(21) 및 하측시트본체(30)를 통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과,
    상측시트본체(21) 및 하측시트본체(30)의 후면에 지지대(22)(3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각 지지대(22)(31)의 장착편(23)(32)의 후단 저면과 상면에는 하측 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장착반공(24)(33)을 형성하여 장착반공(24)(32)이 원형을 이루도록 한 것과,
    서로 당접되는 상측시트본체(21) 및 하측시트본체(30)의 주연부에는 결속요홈(25)과 결속돌편(3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시켜주도록 한 것이 포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측시트(20-1)와 하측시트(20-2)를 결속시켜 일체형의 시트(20)로 형성시켜 주는 결속수단은,
    상호 당접면에 결속요홈(25)과 결속돌기(34)를 대응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20)와 시트커버(10)가 굴대 설치되는 메인박스(40)는,
    각종장치가 설치되는 받침틀(50)과, 상기 받침틀(50)에 씌워져 각종장치를 보호하고 시트커버(10)와 시트(20)가 굴대 설치되어지는 박스커버본체(41)와, 박스커버본체(41)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측면커버(46)로 형성하되,
    상기 받침틀(50)은 상면 일 측에 흡입구(53)와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송풍휀지지틀(51)을 일체로 형성하여 통상의 송풍휀(55)을 장착하고 배출구에는 탈취필터(56)를 장착하며, 상면 타 측에 컨트롤러(54)와 고압발생장치(57)를 설치하였고,
    박스커버본체(41)는 전면에 공간부(42)를 형성하여 양측으로 측면부(43)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각 측면부(43)의 대향 내면에 상측설치공(44)과 하측설치공(45)을 형성하여 시트커버(10)와 시트(20)를 굴대 설치였으며,
    상기 송풍휀지지틀(51)의 상면과 박스커버본체(41)의 저면에 통상의 요홈(52)과 돌편을 형성하여 받침틀(50)과 박스커버본체(41)를 견실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측면커버(46)는 반타원공형상으로 형성하되, 일 측 측면커버(46)의 전면부에 센싱수단(47)을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박스(40)에 설치되어 시트(20)에 사람이 앉았을 때에 이를 감지하는 센싱수단(47)은,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20)의 내부에 열선(26)을 설치하는 것은,
    상측시트(20-1)의 저면에는 열선(26)을 배선하여 하측시트(20-2)를 결합시켰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되어지도록 한 것이 포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KR1020020077727A 2002-12-09 2002-12-09 기능성 변기시트 KR10062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727A KR100623392B1 (ko) 2002-12-09 2002-12-09 기능성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727A KR100623392B1 (ko) 2002-12-09 2002-12-09 기능성 변기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32A true KR20040050032A (ko) 2004-06-14
KR100623392B1 KR100623392B1 (ko) 2006-09-19

Family

ID=3734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727A KR100623392B1 (ko) 2002-12-09 2002-12-09 기능성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84B1 (ko) * 2006-05-01 2007-11-30 이남진 좌변기용 덮개의 힌지장치
KR200484014Y1 (ko) * 2017-01-24 2017-07-19 권명석 좌변기용 변기시트
KR101994810B1 (ko) * 2018-11-15 2019-07-01 박화영 공중화장실용 변기 투명덮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87A (ja) * 1994-03-14 1995-09-26 Toto Ltd 脱臭兼便座の汚れ防止装置
JP3518007B2 (ja) * 1994-12-28 2004-04-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風乾燥装置
JPH10273926A (ja) * 1997-03-31 1998-10-13 Toto Ltd 便座装置
JP3147086B2 (ja) * 1998-05-29 2001-03-19 東陶機器株式会社 室内暖房機能を備えるトイレ装置
KR200173731Y1 (ko) * 1999-09-18 2000-03-15 강남필터주식회사 양변기용 시트
KR200187434Y1 (ko) * 2000-02-01 2000-07-01 이남진 변기뚜껑 덮개 및 그의 힌지어셈블리
KR200282629Y1 (ko) * 2002-03-25 2002-07-19 주식회사 바이오 엔 온열 및 원적외선 방출 악취배출 변기시트
KR20040045178A (ko) * 2002-11-22 2004-06-01 한병량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비데용 변기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84B1 (ko) * 2006-05-01 2007-11-30 이남진 좌변기용 덮개의 힌지장치
KR200484014Y1 (ko) * 2017-01-24 2017-07-19 권명석 좌변기용 변기시트
KR101994810B1 (ko) * 2018-11-15 2019-07-01 박화영 공중화장실용 변기 투명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392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122A (en) Toilet ventilator with room air freshener and comfort heater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JP2777794B2 (ja) トイレ装置
JP2009541621A (ja) 換気トイレ装置及び二重機能性便座
JP2003294280A (ja) 空気調節装置
KR100623392B1 (ko) 기능성 변기시트
CN207436164U (zh) 一种水膜除臭防溅水节水型蹲便器和坐便器
CN201078017Y (zh) 便器卫生装置
KR100461780B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60102839A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200237156Y1 (ko) 좌변기
KR200226749Y1 (ko) 방향제 내장 및 음이온 공기청정 기능의 온도조절기를가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매트
US8136172B1 (en) Scented toilet seat
JP2577119Y2 (ja) 室内暖房及び消臭機能付き便座装置
JP3118962B2 (ja) 防臭装置
JP2777797B2 (ja) トイレ装置
JP2803402B2 (ja) トイレ装置
JP3052803U (ja) 脱臭装置付和式水洗便器
KR200196471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2529340Y2 (ja) 脱臭装置付き便器
JP3079636U (ja) 匂い抜き便座
JP3867568B2 (ja) 便器脱臭装置
JP2777792B2 (ja) トイレ装置
JPH0720229Y2 (ja) 水洗便器の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