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022A -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 Google Patents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022A
KR20190053022A KR1020170148973A KR20170148973A KR20190053022A KR 20190053022 A KR20190053022 A KR 20190053022A KR 1020170148973 A KR1020170148973 A KR 1020170148973A KR 20170148973 A KR20170148973 A KR 20170148973A KR 20190053022 A KR20190053022 A KR 2019005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ylinder
seat
chai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테크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테크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7014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022A/ko
Publication of KR2019005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서 복수 개의 링크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후면을 상승시켜 상기 시트를 기울이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며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One-touch type chair with cylinder to assist standing up}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의자 시트가 상승되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져 시트에 앉은 사용자를 기립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 기본적으로 등을 기대는 장치와 팔걸이, 자리 및 그것을 지탱하는 다리 등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가구이다. 현대사회에서 의자는 직장 생활, 여가 생활, 휴식 등 여러 가지 상황에서 의자를 사용하며,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시간이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자의 경우 하지 근육과 관절이 약한 노약자나 환자는 의자에서 일어나면서 근육과 관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74342호는 기능성의자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프레임(100)의 시트부(110)에 착석된 상태에서 기립하고자할 경우, 상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팔걸이부(30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팔걸이부(3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시트부(110)를 회동시켜 사용자의 둔부를 자연스럽게 밀어주게 되므로 기력이 쇄약해진 사용자를 쉽게 기립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팔걸이부와 의자 시트부가 평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팔걸이부의 끝부분을 눌러야 큰 토크가 발생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팔걸이 끝부분을 누르면서 일어나면 상체가 앞쪽으로 향하게 되고 무게중심이 하체로 이동되므로 관절에 무리가 가거나 낙상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팔 힘이 약한 경우 시트부를 회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스로 기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7434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시트가 기울어져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다중 링크구조를 적용하여 실린더의 출력 하중보다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를 기립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서 복수 개의 링크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후면을 상승시켜 상기 시트를 기울이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며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링크부는 일단은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고 중단은 제1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하단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접촉되며 중단에는 제2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링크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시트를 가압하는 가압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가압링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을 지지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시트를 전면으로 기울일 때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와 결합된 일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압링크의 하단이 접촉된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가압링크는 상기 시트가 기울어질 때는 지레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제1회동축에 근접한 곳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가 수평상태로 복귀될 때는 상기 실린더의 하중보다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가압링크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링크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될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1바퀴와, 상기 가압링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링크가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로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시트를 기울일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2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 측면에 형성된 팔걸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외부로 돌출 시키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작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시트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축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시트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전면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시트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상기 구동부는 기울어진 상기 시트가 수평상태로 원위치될 때 상기 시트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상기 시트가 급격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시트가 기울어져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의하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다중 링크구조를 적용하여 실린더의 출력 하중보다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를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기능성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시트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구동부 및 링크부를 분리시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의자 시트가 상승되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져 시트에 앉은 사용자를 기립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는 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전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100)와, 시트(100)의 하부에서 복수 개의 링크로 형성되며 시트(100)의 후면을 상승시켜 시트(100)를 기울이는 링크부(300)와, 시트(1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며 실린더(210)를 이용하여 링크부(300)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100)의 양 측면에서 프레임(400)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하였을 때 팔을 걸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600)와, 시트(100) 후면에서 프레임(400) 결합되어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하였을 때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700)와, 시트(100) 하부에서 프레임(400)과 결합되어 프레임(4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시트(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키는 의자다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400)은 의자를 구성하는 시트(100), 링크부(300), 구동부(200), 팔걸이(600), 등받이(700) 및 의자다리(50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부속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장치들은 프레임(4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시트(1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거나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부(200)와 링크부(300)에 의해 시트(100) 후면이 상승되면 시트(100)가 전면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시트(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일어설 때 기립을 보조받을 수 있게 된다.
구동부(200)는 시트(10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지면을 향해 돌출이 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210)의 동작에 의해 링크부(300)가 작동되어 시트(100)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200)는 시트(100) 측면에 형성된 팔걸이(600)에 형성되어 실린더(210)의 피스톤로드(211)를 외부로 돌출 시키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작동버튼(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버튼(220)은 실린더(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21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210)에 형성된 피스톤로드(211)가 실린더(210) 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거나 외력에 의해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즉, 작동버튼(220)을 통해 실린더(210)의 동작유무가 결정되게 되며, 실린더(210)가 출력할 수 있는 하중이 시트(100)에 가해진 하중보다 높은 경우 링크부(300)를 통해 시트(100)를 가압하여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링크부(300)는 구동부(200)의 실린더(210)에 의해 동작되어 시트(100) 후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시트(100)가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후면이 전면을 향해 상승되도록 하여 시트(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게 된다.
시트(100) 하부면에는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후면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판(330)이 형성되며, 지지판(330)의 하부에는 회동링크(310)와 가압링크(3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두 링크가 구속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대(340)가 형성된다.
회동링크(310)는 일단에 연결된 실린더(210)의 작동 방향에 따라 회동되며, 가압링크(320)는 회동링크(310)에 의해 회동되면서 시트(100) 하부를 가압하여 시트(100) 하부면을 상부로 상승시켜 기울이게 된다.
링크부(300)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시트(100)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축(110)이 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있어 시트(100)가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전면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게 되며, 시트(1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시트(10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100)는 양측에 고정축(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축(110)이 프레임(400)과 축 결합되면서 시트(100)가 고정축(110)을 기준으로 전면 방향을 향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게 되고, 시트(100)의 후면 하부에는 링크부(300)의 지지판(330)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시트(100)가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고정대(120)는 시트(100) 전면 하부에서 시트(100)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프레임(400)과 결합되며 시트(100)가 회동될 때 시트(100) 전면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시트(100)가 회동되는 각도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시트(100)가 구동부(200) 및 링크부(300)에 의해 후면이 상승되어 시트(100)가 전면으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질 때 시트(100)는 고정대(120) 형성된 위치까지만 회동되게 되어 고정대(120)의 위치에 따라 시트(100)가 회동되어 기울어지는 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이때 고정대(120)는 시트(100)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프레임(4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대(120)가 시트(100) 하부면에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시트(100)가 회동되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100)가 회동될 때 급격하게 회동되어 충격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대(120)와 시트(100)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탄성부재는 시트(100)가 회동되어 기울어질 때 압축되면서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시트(100)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링크부(300)는 일단은 실린더(210)와 결합되고 중단은 제1회동축(312)이 형성되어 있어 실린더(210)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링크(310)와, 회동링크(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은 시트(100)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하단은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접촉되며 중단에는 제2회동축(323)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링크(310)에 의해 회동되어 시트(100)를 가압하는 가압링크(320)와, 회동링크(310)와 가압링크(3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회동축(312)과 제2회동축(323)을 지지하는 연결대(3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200)의 실린더(210)는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로드(211)의 동작에 의해 링크부(30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링크부(300)를 통해 시트(10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부(200)는 실린더(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단은 시트(10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고 실린더(210)의 상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은 축 결합되는 제1연결구(212)와, 피스톤로드(211)의 끝단에 형성되며 회동링크(310)의 일단에 축 결합되어 실린더(210)의 하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구(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구(212)와 제2연결구(213)는 실린더(210)의 시트(100)와 회동링크(310)에 연결시켜 피스톤로드(211)의 돌출된 양에 따라 실린더(210)가 능동적으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두 연결구는 모두 축 결합되어 시트(100) 및 회동링크(310)와 연결되어 실린더(21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린더(210)에 의해 피스톤로드(211)가 지면을 향해 돌출되게 되면 제2연결구(213)에 의해 연결된 회동링크(310)의 일단은 제1회동축(312)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회동되게 된다.
이때 회동링크(310)의 중단에 형성된 제1회동축(312)은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대(340)에 결합되어 있어 회동링크(310)의 위치가 고정되어 회동 될 수 있어야 하며 제1회동축(312)이 삽입되는 연결대(340)에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링크(310)가 제1회동축(312)을 중심으로 일단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회동링크(310)의 타단은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링크(3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압링크(320)의 하단은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상단이 시트(100) 하부면을 가압하며 회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링크(320)에 형성된 제2회동축(323) 또한 연결대(340)에 축 결합되어 있어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가압링크(320)는 상단은 시트(100)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로(130)에 접촉되어 있는데, 경사로(130)는 시트(100) 후면에서 전면 방향을 향해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가압링크(320)의 상단이 회동되면서 경사로(130)를 가압하면 경사로(130)의 높이만큼 시트(100)는 상부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링크(310)는 시트(100)를 전면으로 기울일 때 제1회동축(312)을 중심으로부터 실린더(210)와 결합된 일단까지의 길이가 제1회동축(312)을 중심으로부터 가압링크(320)의 하단이 접촉된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링크(320)는 시트(100)가 기울어질 때는 지레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단이 제1회동축(312)에 근접한 곳에 위치되고, 시트(100)가 수평상태로 복귀될 때는 실린더(210)의 하중보다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링크(310)는 피스톤로드(211)와 축 결합되는 일단이 힘점, 연결대(340)가 결합되는 제1회동축(312)이 받침점, 가압링크(320)와 접촉되어 가압링크(320)를 회동시키는 타단이 작용점이 되는 1종 지레가 된다.
제1회동축(312)은 연결대(34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피스톤로드(211)가 결합된 회동링크(310)의 일단은 실린더(210)의 출력하중을 힘으로 공급받는 힘점이 되게 된다.
또한 가압링크(320)의 제1바퀴(321)가 접촉된 회동링크(310)의 타단은 회동링크(310)가 피스톤실린더(210)에 의해 회동될 때 가압링크(320)에 힘을 전달하여 가압링크(320)가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는 작용점이 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210)의 출력하중이 사용자와 시트(100)를 합친 하중보다 커야 시트(100)를 기울일 수 있게 되나, 회동링크(310)가 1종 지레로 형성되어 있고 힘점과 받침점까지의 거리가 작용점과 받침점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린더(210)의 출력 하중이 사용자와 시트(100)를 합친 하중보다 작더라도 시트(100)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즉, 회동링크(310)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린더(210)에서 출력되는 하중에 비해 더 많은 하중을 시트(100)에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시트(100)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서 기립할 때 하체에 힘을 가하고 무게중심을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시트(10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되므로 도 2의 작동버튼(220)을 누르게 되면 시트(100)가 기울어져 사용자의 둔부를 전면 상부로 이동시켜 기립을 보조하게 된다.
반대로 시트(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하는 경우 작동버튼(220)을 누르면서 시트(100)에 둔부를 안착시키면 사용자의 둔부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면서 하중이 시트(100) 후면에 집중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시트(100) 후면이 힘점, 고정축(110)이 받침점, 가압링크(320)의 상단이 작용점이 되는 2종 지레가 되며,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멀고,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적은 힘을 주어도 작용점에는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가압링크(320)의 상단을 하부로 가압시키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링크(320)의 상단이 시트(100)에 의해 가압되어 시트(100) 후면 방향을 향해 경사로(13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가압링크(320)는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시트(100)의 후면 방향을 향해 회동되면서 가압링크(320)의 하단에 형성된 제1바퀴(321)가 회동링크(310)의 타단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링크(31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링크(310)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링크(320)의 하단은 제1회동축(31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고, 제1회동축(312)으로부터 일단과 타단의 길이가 유사해지기 때문에 가압링크(320)에 의해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가해진 하중을 일단으로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동링크(310)는 가압링크(320)에 의해 타단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회동축(3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일단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11)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피스톤로드(211)를 실린더(2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하중이 시트(100)에 대부분 집중되기 때문에 기립할 때 발생하는 하중보다 더 커지게 되고, 이 하중은 실린더(210)의 출력 하중보다 크므로 피스톤로드(211)를 실린더(21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200)는 기울어진 시트(100)가 수평상태로 원위치될 때 시트(100)에 가해진 하중이 링크부(300)를 통해 실린더(210)로 전달되면서 시트(100)가 급격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스톤로드(211)가 실린더(210) 내부로 삽입될 때 내부 유체가 압축되면서 완충역할을 하게 되며, 시트(100) 후면이 지지대를 향해 급격하게 하강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린더(210) 자체가 하나의 서스펜션으로 활용되며 시트(100)가 천천히 하강하여 지지대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의 구동부(200) 및 링크부(300)를 분리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는 가압링크(320)의 하단에 형성되며 가압링크(320)가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을 따라 회동될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1바퀴(321)와, 가압링크(320)의 상단에 형성되며 가압링크(320)가 시트(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로(130)를 따라 이송되어 시트(100)를 기울일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2바퀴(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링크(32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실린더(210)에 의해 동작되는 회동링크(310)를 통해 시트(100)를 기울이거나 시트(100)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회동링크(310)를 회동시켜 피스톤로드(211)가 실린더(2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링크(320)의 하단에는 제1바퀴(321)가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에 삽입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제2바퀴(322)가 시트(100)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로(130)에 접촉되게 된다.
회동링크(310)가 피스톤로드(211)에 의해 회동되면 타단이 가압링크(320)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가압링크(320)의 제1바퀴(321)는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제1바퀴(321)는 회동링크(310)의 타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가이드홈(311)에 삽입된 후 회동링크(310)의 회동에 의해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압링크(320)가 회동링크(310)에 의해 회동되게 된다.
가압링크(320)의 상단에 형성된 제2바퀴(322)는 시트(100) 하부면에서 형성된 경사로(130)에 접촉되어 있으며, 가압링크(320)가 회동링크(310)에 의해 회동되면 제2바퀴(322)가 경사로(130)를 따라 이동되면서 시트(100)를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즉, 경사로(130)는 시트(100)의 후면에서 중앙을 향해 이동될수록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가압링크(320)가 회동되면 경사로(130)의 돌출된 높이만큼 시트(100)는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울어지게 된다.
제1바퀴(321)와 제2바퀴(322)는 자유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가압링크(320)가 회동될 때 가이드홈(311)과 경사로(130)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가압링크(320)가 제2회동축(323)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링크(310)의 일단에는 실린더(210)의 제2연결구(213)와 축 결합시키고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동홈(313)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홈(313)에 제2연결구(213)가 축 결합되어 회동링크(310)의 회동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100)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판(330)의 중앙 및 일단은 경사로(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부위에 가압링크(320)의 상단이 회동되면서 경사로(13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시트가 기울어져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다중 링크구조를 적용하여 실린더의 출력 하중보다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를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시트 110 : 고정축
120 : 고정대 130 : 경사로
200 : 구동부 210 : 실린더
211 : 피스톤로드 212 : 제1연결구
213 : 제2연결구 220 : 작동버튼
300 : 링크부 310 : 회동링크
311 : 가이드홈 312 : 제1회동축
313 : 회동홈 320 : 가압링크
321 : 제1바퀴 322 : 제2바퀴
323 : 제2회동축 330 : 지지판
340 : 연결대 400 : 프레임
500 : 의자다리 600 : 팔걸이
700 : 등받이

Claims (8)

  1. 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서 복수 개의 링크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후면을 상승시켜 상기 시트를 기울이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며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에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은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고 중단은 제1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하단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접촉되며 중단에는 제2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링크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시트를 가압하는 가압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가압링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을 지지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시트를 전면으로 기울일 때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와 결합된 일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압링크의 하단이 접촉된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크는
    상기 시트가 기울어질 때는 지레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제1회동축에 근접한 곳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가 수평상태로 복귀될 때는 상기 실린더의 하중보다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크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링크가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될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1바퀴와;
    상기 가압링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링크가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로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시트를 기울일 때 자유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제2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 측면에 형성된 팔걸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외부로 돌출 시키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작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축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시트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전면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시트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울어진 상기 시트가 수평상태로 원위치될 때 상기 시트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상기 시트가 급격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KR1020170148973A 2017-11-09 2017-11-09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KR20190053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73A KR20190053022A (ko) 2017-11-09 2017-11-09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73A KR20190053022A (ko) 2017-11-09 2017-11-09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22A true KR20190053022A (ko) 2019-05-17

Family

ID=6667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73A KR20190053022A (ko) 2017-11-09 2017-11-09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0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88A (ko) 2019-11-22 2021-06-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를 이용한 바닥 기립 보조용 의자
KR20210063087A (ko) 2019-11-22 2021-06-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을 이용한 바닥 기립 보조용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342A (ko)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342A (ko)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88A (ko) 2019-11-22 2021-06-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를 이용한 바닥 기립 보조용 의자
KR20210063087A (ko) 2019-11-22 2021-06-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을 이용한 바닥 기립 보조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8095A1 (en) Chair structure and chair
US7540565B2 (en) Lift chair
WO2010064460A1 (ja) 足揉み装置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US6557940B2 (en) Chair assisting rising movements
JP5654871B2 (ja) 椅子、特に可傾レッグレストを設けたシートを有する歯科医用の椅子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KR101894492B1 (ko)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US2020009575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KR20190053022A (ko) 실린더를 이용한 원터치형 기립보조의자
JP5811873B2 (ja) 移乗機
KR101581290B1 (ko)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JP5619842B2 (ja)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JP2606353Y2 (ja) リフトアップチェア
JP2004230068A (ja) 収納式椅子
TWM506530U (zh) 起身椅裝置結構
JP2005040346A (ja) 高さ可動椅子
KR20180093416A (ko)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
JP3133989B2 (ja) 椅 子
JP2003079668A (ja) 起立補助座椅子
JP3202877U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の構造
GB2409808A (en) Get-up chair
JP2004243075A (ja) 自然に立ち上がれる自力助長椅子
KR200349824Y1 (ko) 기립 보조 의자
CN211582321U (zh) 一种靠垫座椅架
JP2003102581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