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651B1 -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651B1
KR101341651B1 KR1020130106508A KR20130106508A KR101341651B1 KR 101341651 B1 KR101341651 B1 KR 101341651B1 KR 1020130106508 A KR1020130106508 A KR 1020130106508A KR 20130106508 A KR20130106508 A KR 20130106508A KR 101341651 B1 KR101341651 B1 KR 10134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edal
opening
lifting ro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채균
Original Assignee
정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균 filed Critical 정채균
Priority to KR102013010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좌변기의 시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변기본체에 결합되는 페달과, 페달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시트를 설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일측이 상기 페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를 상승시키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결합되되 상기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시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와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캡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eat of commode}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좌변기의 시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내측에는 물이 일정수위로 저장된 상태로 사용자의 용변을 수용하는 변기본체와,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변기본체의 상면부를 커버하는 변기시트와, 변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뚜껑이 구비되어 있고, 변기본체의 상부 후방에는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물탱크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기뚜껑을 힌지식으로 열고 변기시트위에 앉아 용변을 본 후 물탱크의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좌변기에서 남성들이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변기시트에 소변 등의 오물이 묻지 않도록 변기시트를 들어올린 후 소변을 보게 되는데, 가정에서는 물론 공중 화장실의 경우 좌변기의 불결함 때문에 변기시트를 손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변기시트를 들어올리지 않고 소변을 보는 경우가 흔하며 이로 인해 소변의 일부가 변기시트에 튀어 묻게 되면서 뒤에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달을 밟아 시트를 개폐하는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2-0001796호에는 족답식 좌변기 좌대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손으로 뚜껑을 만지지 않고도 페달을 밟아 좌대를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페달을 밟아 좌대를 개방시키는 경우 뚜껑이 90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좌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4402호에는 자동승강식 변기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은 페달을 밟으면 시트가 70 내지 80도 정도만 회전하므로 페달에서 발을 떼면 자중에 의해 시트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성은 청소시에 오히려 불편함으로 작용한다. 즉, 시트는 페달에 의해 조작되는 수직연결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페달을 밟지 않고 시트를 손으로 젖히는 경우에도 시트의 개방각도는 여전히 70 내지 80도 정도일 뿐이므로 손을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청소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변기 청소시에 시트를 한 손으로 계속 잡고 있거나 한쪽 발로 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용변시에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페달을 밟아 좌변기의 시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청소시에는 관리자가 시트를 손으로 젖혀 시트를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변기본체에 결합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시트를 설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일측이 상기 페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를 상승시키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결합되되 상기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시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와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캡은 상기 승강로드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시트에 돌출되어 형성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승강로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시에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페달을 밟아 좌변기의 시트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좌변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페달에서 발을 떼면 시트의 자중에 의해 시트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청소시에는 관리자가 시트를 손으로 젖히면 조인트캡이 승강로드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하므로 시트를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좌변기의 시트(7)를 개폐시킨다.
통상적으로 좌변기는 물이 일정수위로 저장된 상태로 사용자의 용변을 수용하는 변기본체(3)와,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본체(3)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변기본체(3)의 상면에 위치하는 시트(7)와 뚜껑(8)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기본체(3)의 후방에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7)와 뚜껑(8)은 변기본체(3)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개폐장치는 크게 페달(10)과, 페달(10)을 발로 밟으면 시트(7)를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구비한다.
페달(10)은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변기본체(3)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설치된다. 페달(10)은 후술할 링크부(20)와 연결된다. 페달의 일부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변기본체에 내장될 수 있다.
개방수단은 페달(10)의 조작에 의해 시트(7)를 회전시켜 시트(7)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페달(10)과 개방수단을 이용하여 시트(7)를 설정각도로 개방시킨다. 여기서 각도는 변기본체(3)의 상면(5)과 시트(7)가 이루는 각도이다. 설정각도는 페달(10)을 밟아 시트(7)를 최대로 개방시킬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설정각도는 90도 미만이다. 설정각도가 90도 이상이면 페달(10)에서 발을 떼어도 시트(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페달(10)에서 발을 뗀 후 시트(7)가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설정각도는 60 내지 85도가 적절하다.
개방수단의 일 예로 변기본체(3)에 설치되는 승강로드(30)와, 페달(10)을 누르면 승강로드(30)를 상승시키는 링크부(20)와, 시트(7)에 설치되어 승강로드(30)와 결합되는 조인트캡(51)을 구비한다.
링크부(20)는 변기본체(3)에 고정핀(25)에 의해 결합된다. 링크부(20)는 고정핀(2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핀(25)을 중심으로 링크부(20)는 회전이 가능하다. 링크부(20)의 일측은 페달(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승강로드(30)의 하부와 연결된다. 페달(10)을 밟으면 링크부(20)의 타측은 상부로 이동하고, 페달(10)에서 발을 떼면 링크부(20)의 타측은 하부로 이동한다.
도시된 예에서 링크부(20)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 달리 굽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링크부(20)는 페달(10)과 승강로드(3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링크부(20)는 페달(10)에 의해 승강로드(30)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위치와 모양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링크부(20)는 변기본체(3)의 외부에 설치되지 않고 변기본체(3)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로드(30)는 변기본체(3)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승강로드(30)의 하부는 링크부(20)와 연결된다. 승강로드(30)와 링크부(20)는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승강로드(30)는 지지부(40)에 의해 변기본체(3)에 지지된다. 지지부(40)는 승강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승강로드(3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한다.
지지부(40)는 변기본체(3)에 설치된다. 지지부(40)는 변기본체(3)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변기본체(3)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승강로드(3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의 직경은 승강로드(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승강로드(30)의 승강이 원활하도록 한다.
조인트캡(50)은 승강로드(30)와 시트(7)를 연결한다. 조인트캡(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3)의 일부를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조인트캡(50)의 상부 및 하부는 변기본체(3)의 외부로 노출된다.
조인트캡(50)은 승강로드(30)와 결합되는 연결봉(51)과, 연결봉(5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55)와, 힌지부(55)와 힌지결합되며 시트(7)에 돌출되어 형성된 커넥터(60)를 구비한다.
연결봉은 승강로드(3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53)가 형성된다. 삽입공간부(53)는 연결봉(51)의 하부측에 형성된다. 삽입공간부(53)는 하방을 향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삽입공간부(53)의 직경은 승강로드(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삽입공간부(53)로 승강로드(30)의 상부가 삽입되어 연결봉(51)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캡(50)은 승강로드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페달(10)의 조작시 승강로드(30)의 상승에 의해 조인트캡은 상부로 이동하지만, 페달(10)을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트(7)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며 승강로드(30)는 멈춰 있고 조인트캡(50) 만이 상부로 이동을 한다. 따라서 시트(7)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시트(7)의 개방 각도를 설정각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좌변기의 청소시에는 시트(7)를 물탱크의 위치까지 젖혀 놓을 수 있다.
시트(7)를 물탱크의 위치까지 젖힌 상태에서는 연결봉(51)의 삽입공간부(53)에 승강로드(30)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승강로드(30)의 상부 5 내지 15mm 정도만이 삽입공간부(53)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시트(7)를 물탱크의 위치까지 젖힌 상태에서는 조인트캡(50)이 승강로드(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힌지부(55)는 연결봉(51)의 상부에 형성된다. 힌지부(55)에는 결합핀(65)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힌지부(55)는 결합핀에 의해 커넥터와 힌지결합된다. 커넥터(60)는 시트(7)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개방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3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로 용수철(45)을 이용할 수 있다. 용수철(45)은 승강로드(30)의 하부에 장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용수철(45)은 승강로드(30)의 힌지결합부위와 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된다. 페달(10)을 밟으면 용수철이 압축된다. 그리고 페달(10)에서 발을 떼면 용수철(45)의 탄성력이 하방으로 작용하여 시트(7)를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7)와 뚜껑(8)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페달(10)을 발로 밟아 승강로드(3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로드(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인트캡(50) 역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8)는 상부로 회전하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정된 각도로 개방된다. 이 경우 뚜껑(8)도 시트(7)와 함께 개방됨은 물론이다. 좌변기의 사용 동안 시트(7)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페달(10)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한다.
사용자의 이용 후 페달(10)로부터 발을 떼면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시트(7)와 뚜껑(8)은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닫힌다.
그리고 관리자가 좌변기의 청소를 위해 시트(7)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 시트(7)를 잡고 들어올리면 승강로드(30)는 멈춰있는 상태에서 조인트캡(50)이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시트(7)를 물탱크(9)의 위치까지 완전히 뒤로 젖일 수 있어 시트(7)의 개방각도를 90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손을 놓더라도 시트(7)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청소가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다.
청소가 끝나면 시트(7)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조인트캡(50)이 승강로드(3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변기본체 7: 시트
10: 페달 20: 링크부
30: 승강로드 50: 조인트캡
51: 연결봉 55: 힌지부
60: 커넥터

Claims (4)

  1. 변기본체 상부에 힌지결합된 시트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시트를 설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일측이 상기 페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를 상승시키는 링크부와, 상기 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결합되되 상기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시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와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캡은 상기 승강로드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시트에 돌출되어 형성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승강로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20130106508A 2013-09-05 2013-09-05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134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8A KR101341651B1 (ko) 2013-09-05 2013-09-05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8A KR101341651B1 (ko) 2013-09-05 2013-09-05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651B1 true KR101341651B1 (ko) 2013-12-20

Family

ID=4998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08A KR101341651B1 (ko) 2013-09-05 2013-09-05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67A1 (ko) * 2014-07-16 2016-01-21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1588638B1 (ko) 2015-06-29 2016-02-12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20170011527A (ko) 2015-07-23 2017-02-02 황민주 변기 뚜껑 여닫이
KR20190037797A (ko) 2017-09-29 2019-04-08 정우형 좌변기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0221B2 (en) 2008-07-14 2011-09-20 Erez Borochov Hands-free toilet seat lif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0221B2 (en) 2008-07-14 2011-09-20 Erez Borochov Hands-free toilet seat lift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67A1 (ko) * 2014-07-16 2016-01-21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1588638B1 (ko) 2015-06-29 2016-02-12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20170011527A (ko) 2015-07-23 2017-02-02 황민주 변기 뚜껑 여닫이
KR20190037797A (ko) 2017-09-29 2019-04-08 정우형 좌변기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51B1 (ko)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1957119B1 (ko)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US7962973B2 (en) Toilet device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JP5785176B2 (ja) 携帯式排泄袋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101475778B1 (ko)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2303284B1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KR101503340B1 (ko)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KR20110005712U (ko)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JP2008518665A (ja) 便座昇降装置
KR101836087B1 (ko) 변기커버의 자동 닫힘장치
KR101971126B1 (ko)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1271173B1 (ko) 위생 양변기
KR20190013010A (ko) 좌변기의 소변용 기구
KR200263501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KR20100051606A (ko) 바닥 자립 남자소변기
JP2010142283A (ja) 洋便器
KR200263502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JP2008200324A (ja) 便座ロック式トイレ
JP3164111U (ja) 洋便器における便座上方回帰阻止装置
KR200264852Y1 (ko) 양변기
JP3108577U (ja) 排尿用尿器保持具
JP450779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用バケツ
KR100403013B1 (ko) 양변기 좌대의 오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