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778B1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시트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778B1 KR101475778B1 KR20140089943A KR20140089943A KR101475778B1 KR 101475778 B1 KR101475778 B1 KR 101475778B1 KR 20140089943 A KR20140089943 A KR 20140089943A KR 20140089943 A KR20140089943 A KR 20140089943A KR 101475778 B1 KR101475778 B1 KR 101475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guide
- toilet seat
- pedal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변기 시트에 손을 대지않고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이용자가 발로 외력을 가하면 작동되는 페달;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유닛; 페달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내부에 링크유닛이 설치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 하단이 가이드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고, 링크유닛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부; 및 변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의 상단과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이용자가 발로 외력을 가하면 작동되는 페달;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유닛; 페달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내부에 링크유닛이 설치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 하단이 가이드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고, 링크유닛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부; 및 변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의 상단과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변기 시트에 손을 대지 않고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용변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 처리를 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는 좌변기와 입식 변기로 구분되는 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소변과 대변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적당한 높이의 물이 수용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본체와, 용변 후 상기 본체 내부를 씻어 내리기 위한 물을 공급해 주는 수조와, 상기한 본체에 부착되어 사람이 앉을 때 깔고 앉는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본체를 덮어 주는 덮개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좌변기는 일반 가정은 물론, 회사, 공원, 휴게소, 학교, 백화점, 역, 터미널 등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화장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변기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화장실 등에서 설치되어 대,소변 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대,소변을 볼 때 좌변기의 시트를 들어올리고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좌변기용 커버는 대,소변을 볼 때 커버를 들어올리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릎 정도에 위치한 좌변기의 커버를 허리 숙이고 손으로 직접 들어올려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커버를 들어올릴 때 소변 등이 묻어 있는 좌변기의 본체에 손이 닿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비위생적이었으며, 허리를 숙이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휴대한 물건이 좌변기의 본체 내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페달을 발로 누르면 변기 시트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손을 대지 않고도 변기 시트가 개폐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가정 또는 숙박업 등에 설치가 용이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이용자가 발로 외력을 가하면 작동되는 페달;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유닛; 페달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내부에 링크유닛이 설치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 하단이 가이드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고, 링크유닛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부; 및 변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의 상단과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은, 일단이 고정대 사이에 힌지결합된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 작동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1 연결편; 및 제1 연결편의 타단과 축 고정되고, 제1 연결편과 링크되어 페달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봉; 및 제1 수평봉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삽입홈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부의 일단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부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1 수직봉이 구비된 제1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은, 일단이 고정대 사이에 힌지결합된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 작동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2 연결편; 외주면이 제2 연결편의 타단과 체결 고정되는 제2 수평봉; 제2 수평봉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와이어; 와이어 상에 위치하고, 페달이 작동되면 와이어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 및 삽입홈 하단에 위치하고, 지지판 상에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의 하단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부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수직봉;이 구비된 제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 시트의 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변기 시트의 전방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지지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변기 시트의 후방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지지대; 및 제1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대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며, 제1 지지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 및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지지부가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지지부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에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 및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지지부의 하단이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상단과 변기 시트의 일측이 형성하는 각도가 직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이용자가 페달을 발로 누르면 변기 시트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손을 대지 않고도 변기 시트가 개폐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가정 또는 숙박업 등에 설치가 용이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1 링크부가 페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2 링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1 링크부가 페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2 링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1 링크부가 페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변기 시트(200), 지지부(300), 가이드부(400), 링크유닛(500) 및 페달(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변기 시트(200)는 변기 본체(100) 상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일단 및 타단이 분리되어 좌.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변기 시트(200)는 변기 본체(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래 변기 시트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아 직접 올리거나 종래 변기 시트가 올라간 상태에서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이용자의 실수로 종래 변기 시트에 오염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기 시트(200)는 변기 본체(100)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기 시트(200)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며, 페달(600) 작동에 의해 변기 시트(200)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제1 지지대(310), 제2 지지대(320), 탄성밴드(311) 및 고정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310)는 상단이 변기 시트(200)의 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하단은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삽입홈(440)에 끼움 고정되며, 변기 시트(200)의 전방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대(320)는 상단이 변기 시트(200)의 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하단은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삽입홈(440)에 끼움 고정되며, 변기 시트(200)의 후방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는 좌.우측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 변기 시트(200)를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져 기울어지도록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중심이 쏠려 넘어지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밴드(311)는 제1 지지대(310)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대(310)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며, 제1 지지대(310)가 일정범위 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탄성밴드(311)는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좌.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변기 시트(200)를 용무가 끝 후 이용자가 적은 힘으로 내측 방향으로 터치하게 되면 탄성밴드(31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300)가 최초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바(330)는 제1 지지대(310)와 제2 지지대(320)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지지대(310)가 링크유닛(50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지지대(32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지지부(300)의 하단에 위치하고, 페달(60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300)가 기울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내부에 링크유닛(500)이 설치 고정되고, 상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부(410) 및 제2 가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0)는 변기 본체(100)의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제1 지지대(310)가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41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지지대(3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440)이 형성되며, 삽입홈(440)의 일측에서 경사면(430)을 따라 가이드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에 구비된 제1 가이드부(410) 사이가 서로 개방되어 통로가 되도록 하고, 제1 가이드부(410) 내부에 설치된 링크유닛(5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가이드부(410) 사이에는 제1 케이스(411)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450)은 제1 지지대(310)가 가이드부(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310)가 가이드홈(45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면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0)는 변기 본체(100)의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지지대(320)가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42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2 지지대(32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440)이 형성되며, 삽입홈(440)의 일측에서 경사면(430)을 따라 가이드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부(410)와 제2 가이드부(420) 사이에는 서로 개방되어 통로가 되도록 하고, 하기에 설명될 다른 실시예의 제2 링크부(520)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케이스(412)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가이드부(420)에 형성된 삽입홈(440)과 가이드홈(450)은 제1 가이드부(4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가이드부(410) 및 제2 가이드부(420)는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하는 스톱퍼(4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460)는 제1 가이드부(410) 및 제2 가이드부(420)의 일단에 위치하고, 일정 높이로 형성된 수직바로 형성되며, 상단 일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톱퍼(460)는 상단 일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각도에 의해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의 기울어진 각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로 들며, 스톱퍼(460)의 상단 일부가 45도 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되면,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의 기울기도 45도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의 기울기는 변기 본체(100)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링크유닛(500)은 페달(600)과 연결되고, 페달(600)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링크유닛(500)은 제1 연결편(511), 제1 수평봉(513) 및 제1 수직봉(515)이 포함된 제1 링크부(510)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부(510)는 일단이 고정대(610) 사이에 힌지(630) 결합된 페달(600)과 연결되고 페달(600) 작동에 의해 힌지(630)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1 연결편(511)과, 제1 연결편(511)의 타단과 축 고정되고, 제1 연결편(511)과 링크되어 페달(600)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봉(513) 및 제1 수평봉(513)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삽입홈(440)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부(300)의 하단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부가 삽입홈(440)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1 수직봉(51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페달(600)을 누르면 페달(600)이 힌지(6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 연결편(511)을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제1 연결편(511)에 의해 제1 수평봉(513)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수평봉(513)이 이동되면 제1 수평봉(513) 양측에 구비된 제1 수직봉(515)이 삽입홈(440)을 통해 상승 되면서 지지부(300)의 하단을 밀어 올려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300)는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가이드홈(45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페달(600)은 제1 케이스(411)의 일측에 위치하고, 링크유닛(5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페달(600)은 고정대(610), 발판(620), 힌지(630) 및 탄성 스프링(640)을 포함할 수있다. 즉, 양측에 각각 구비된 고정대(610) 사이에 발판(620)이 힌지(630) 결합되고, 발판(620)의 일측에 탄성 스프링(640)을 설치하여 이용자가 발로 누르면 발판이 힌지(63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다시 누른 발판에서 발을 떼면 최소 상태로 돌아오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페달(600)의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서 바닥에 설치된 페달(600)을 누르게 되면 페달과 연결된 제1 링크부(5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링크부(510)에 구비된 제1 수직봉(515)이 삽입홈(440)에 삽입 고정된 지지부(300)의 하단을 밀어 올려 지지부(300)의 하단이 삽입홈(440)에서 이탈된다.
그 다음, 삽입홈(440)에서 이탈된 지지부(300)는 삽입홈(440)의 일측에 연결된 가이드홈(450)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지지부(300)는 가이드부(400) 일측에 구비된 스톱퍼(46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않고 고정된다.
한편, 변기 시트(200)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진 지지부(300)는 탄성밴드(311)에 의해 서로 외측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지지부(300)에 체결 고정된 변기 시트(200)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 변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이 끝난 변기 시트(200)를 이용자가 손으로 터치하게 되면 지지부(300)가 스톱퍼(460)에서 이탈되어 탄성밴드(31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300)의 하단이 다시 가이드홈(450)을 따라 최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서 제2 링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의 하단을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제2 링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부(520)는 제2 연결편(521), 제2 수평봉(523), 와이어(525), 지지판(527) 및 제2 수직봉(5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편(521)은 일단이 페달(600)과 연결되고, 페달(600)의 작동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수평봉(523)은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2 연결편(521)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300)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봉(523)은 페달(600)이 작동되면 제1 연결편(511)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편(521)과 제2 수평봉(523)은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연결편(511)과 제1 수평봉(513)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편(521)은 제1 케이스(411) 내부에 위치하여 페달(600)과 연결되고, 제2 수평봉(523)은 내부가 연통되도록 개방된 제1 가이드부(410)와 제1 케이스(411)의 내부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525)는 제2 케이스(412)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수평봉(523)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며, 일단 일부가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525)는 페달(600) 작동에 의해 지지판(527)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527)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525) 상에 위치하며, 제2 수직봉(529)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525)는 고정부(5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26)는 와이어(525)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고, 페달(600)에 의해 와이어(525)가 작동되면 지지판(527)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지지판(527) 하부에 위치한 와이어(525)가 자체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처지거나, 또는, 장기간 작동에 의해 와이어(525)가 느슨해질 경우 지지판(527)을 올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판(527)와 와이어(525) 사이에 고정부(526)를 설치하여 와이어(525)의 처짐 또는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수직봉(529)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판(527) 상에 체결 고정되고,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의 하단을 페달(600) 작동에 의해 동시에 밀오 올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직봉(529)은 제1 지지대(310)와 제2 지지대(320)의 하단과 밀착되는 상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수직봉(529)의 상단을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그 경사에 의해 제1 지지대(310) 및 제2 지지대(320)가 삽입홈(440)에서 이탈되면서 내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수직봉(529)은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수직봉(515)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는 변기 시트(20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지지부(300) 및 가이드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가이드부(400)와 동일한 것으로 지지부(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면(430)이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부(400)를 180도 회전시켜 배치된 것이다.
지지부(300)는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30)에 형성된 가이드홈(45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가이드홈(450)과 밀착되어 경사면(430)을 따라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즉, 페달(600)이 작동되면 링크유닛(500)이 지지부(300)의 하단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리고, 상측 방향으로 올라간 지지부(300)의 하단은 가이드홈(450)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변기 시트(200)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또한, 좌.우측의 구비된 지지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부(300)가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312)가 설치될 수 있는데, 실린더(312)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지지부(300)는 일단에 위치하고, 지지부(3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변기 본체 200; 변기 시트
300; 지지부 310; 제1 지지대
311; 탄성밴드 312; 실린더
320; 제2 지지대 330; 고정바
400; 가이드부 410; 제1 가이드부
411; 제1 케이스 420; 제2 가이드부
412; 제2 케이스 430; 경사면
440; 삽입홈 450; 가이드홈
460; 스톱퍼 500; 링크유닛
510; 제1 링크부 511; 제1 연결편
513; 제1 수평봉 515; 제1 수직봉
520; 제2 링크부 521; 제2 연결편
523; 제2 수평봉 525; 와이어
526; 고정부 527; 지지판
529; 제2 수직봉 600; 페달
610; 고정대 620; 발판
630; 힌지 640; 탄성 스프링
300; 지지부 310; 제1 지지대
311; 탄성밴드 312; 실린더
320; 제2 지지대 330; 고정바
400; 가이드부 410; 제1 가이드부
411; 제1 케이스 420; 제2 가이드부
412; 제2 케이스 430; 경사면
440; 삽입홈 450; 가이드홈
460; 스톱퍼 500; 링크유닛
510; 제1 링크부 511; 제1 연결편
513; 제1 수평봉 515; 제1 수직봉
520; 제2 링크부 521; 제2 연결편
523; 제2 수평봉 525; 와이어
526; 고정부 527; 지지판
529; 제2 수직봉 600; 페달
610; 고정대 620; 발판
630; 힌지 640; 탄성 스프링
Claims (6)
- 이용자가 발로 외력을 가하면 작동되는 페달;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유닛;
페달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내부에 링크유닛이 설치 고정되며, 상면이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
하단이 가이드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고, 링크유닛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부; 및
변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의 상단과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시트;를 포함하되,
링크유닛은,
일단이 고정대 사이에 힌지결합된 페달과 연결되고, 페달 작동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1 연결편;
제1 연결편의 타단과 축 고정되고, 제1 연결편과 링크되어 페달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봉; 및
제1 수평봉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삽입홈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부의 하단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부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1 수직봉이 구비된 제1 링크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변기 시트의 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변기 시트의 전방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지지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변기 시트의 후방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지지대;
제1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대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며, 제1 지지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밴드; 및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제1 지지대가 링크유닛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지지대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연결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가이드부는,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 및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지지부가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지지부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에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탄성밴드는 좌.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변기 시트를 용무가 끝 후 이용자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가 원래의 상태로 이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가이드부는 변기 본체의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제1 지지대가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지지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일측에서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구비된 제1 가이드부 사이가 서로 개방되어 통로가 되도록 하고, 제1 가이드부 내부에 설치된 링크유닛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가이드부 사이에는 제1 케이스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부는 변기 본체의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지지대가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2 지지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일측에서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제1 지지대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부; 및
후방 좌.우측에 경사면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지지부의 하단이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상단과 변기 시트의 일측이 형성하는 각도가 직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9943A KR101475778B1 (ko) | 2014-07-16 | 2014-07-16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PCT/KR2015/007358 WO2016010367A1 (ko) | 2014-07-16 | 2015-07-15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9943A KR101475778B1 (ko) | 2014-07-16 | 2014-07-16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5778B1 true KR101475778B1 (ko) | 2014-12-23 |
Family
ID=5267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89943A KR101475778B1 (ko) | 2014-07-16 | 2014-07-16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577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8638B1 (ko) * | 2015-06-29 | 2016-02-12 | 홍승조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CN108589877A (zh) * | 2018-07-11 | 2018-09-28 | 李笃和 | 一种自定调节用便器 |
KR20200012425A (ko) | 2018-07-27 | 2020-02-05 | 오기영 | 좌변기 시트 |
WO2022197142A1 (ko) * | 2021-03-18 | 2022-09-22 |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5238U (ja) * | 1997-05-21 | 1998-01-27 | 株式会社朋栄 | 簡易式便座自動開閉器 |
-
2014
- 2014-07-16 KR KR20140089943A patent/KR1014757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5238U (ja) * | 1997-05-21 | 1998-01-27 | 株式会社朋栄 | 簡易式便座自動開閉器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8638B1 (ko) * | 2015-06-29 | 2016-02-12 | 홍승조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CN108589877A (zh) * | 2018-07-11 | 2018-09-28 | 李笃和 | 一种自定调节用便器 |
CN108589877B (zh) * | 2018-07-11 | 2024-03-26 | 李笃和 | 一种自定调节用便器 |
KR20200012425A (ko) | 2018-07-27 | 2020-02-05 | 오기영 | 좌변기 시트 |
WO2022197142A1 (ko) * | 2021-03-18 | 2022-09-22 |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
KR20220130499A (ko) * | 2021-03-18 | 2022-09-27 |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
KR102469827B1 (ko) * | 2021-03-18 | 2022-11-30 |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778B1 (ko)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
ATE438327T1 (de) | Höhenverstellbarer toilettensitz | |
KR101030052B1 (ko) | 휴대용 변기 | |
MX2007016205A (es) | Dispositivo de excusado. | |
KR101499107B1 (ko) |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 |
DE102014002490A1 (de) | Wasserklosett (WC) zur Benutzung im Hocken wie auch im Sitzen, wobei die Hockstellung zur Wand hin eingenommen wird, die Sitzpositionn zum Raum hin. | |
KR102339376B1 (ko) | 소변기용 자동 위생 발판 | |
KR101341651B1 (ko) |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 |
KR101588638B1 (ko)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
KR101722727B1 (ko) |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 |
KR20190056452A (ko) | 위생기능을 하는 밟으면 열리는 변기커버 | |
KR200434792Y1 (ko) | 양변기용 발 받침대 | |
KR101503340B1 (ko) |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 |
GB2467001A (en) | Height adjustable urinal | |
US20200277770A1 (en) | Height-adjustable sink | |
WO2016010367A1 (ko) | 변기 시트 개폐장치 | |
KR200355599Y1 (ko) | 좌변기용 발판 | |
KR200442998Y1 (ko) | 양변기 | |
JP2003038269A (ja) | 踏み台付キャビネット | |
CN109106266A (zh) | 整体式便携马桶结构 | |
CN207700317U (zh) | 一种带盖男士小便器 | |
EP4082503A1 (en) | Movable support device for people | |
JP3211620U (ja) | 小便用椅子 | |
KR20110002133U (ko) |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 |
KR101858013B1 (ko) | 비데용 2단 커버시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