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133U -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133U
KR20110002133U KR2020090011125U KR20090011125U KR20110002133U KR 20110002133 U KR20110002133 U KR 20110002133U KR 2020090011125 U KR2020090011125 U KR 2020090011125U KR 20090011125 U KR20090011125 U KR 20090011125U KR 20110002133 U KR20110002133 U KR 201100021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t
toilet seat
clos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환
Original Assignee
오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환 filed Critical 오상환
Priority to KR2020090011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133U/ko
Publication of KR20110002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대의 청결함을 유지하고 그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변기에 장착되어 좌대를 개폐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대를 개폐(開閉)하는 개폐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엔 상기 개폐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부;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및 상기 구름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여 상기 구름부의 회동과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매개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변기, 좌대, 개폐, 무게추, 탄성부재, 케이블

Description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toilet sea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대의 청결함을 유지하고, 그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등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는 양변기라고도 불리우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좌변기 본체(110)와, 상기 좌변기 본체(110)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좌대(120)와, 상기 좌변기 본체(11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130) 및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좌변기의 구성품 중 특히 좌대(120)는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위로 올린 후 사용하거나, 또는 밑으로 내린 후 사용하게 된다.
즉, 남성들의 경우 소변을 볼 경우에는 좌대(120)를 위로 올린 후 사용하게 되고, 그 이외와 여성들의 경우 좌대(120)를 밑으로 내린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려서 사용해야 하는 좌대(12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좌대(120)를 올리거나 내려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좌대(120)를 자동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장치가 다수 소개되어 있다.
예로 좌대(120)의 회동부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좌대(120)를 내려서 사용한 후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대(120)가 자동으로 올라가는 장치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대(120)를 자동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을 장착한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좌대(120)를 내린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 일어남과 동시에 좌대(120)가 올라가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고, 모터를 장착한 장치의 경우 고가의 모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판을 밟으면 개폐봉의 회전에 의해 좌대를 위로 올리게 되고, 이 후 발판에서 발을 떼면 좌대의 자중에 의해 좌대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좌대의 개폐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는, 상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대를 개폐(開閉)하는 개폐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엔 상기 개폐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부;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및 상기 구름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여 상기 구름부의 회동과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매개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고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회동관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는 연장봉과, 상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좌대개폐봉을 포함하는 개폐봉; 및 상기 연장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고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회동관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는 연장봉과, 상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좌대개폐봉을 포함하는 개폐봉;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돌출지지대와 상기 연장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관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봉의 슬라이딩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무게추에는 상기 연장봉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상기 연장봉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상기 개폐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면 고정부; 및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전면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이 삽입고정되도록 가이드 판이 각각 형성된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가 형성된 바 형상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단부 상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일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측면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단부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름부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가 형성된 판 형상의 구름판과, 상기 구름판의 타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구름판의 상부면을 엠보싱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배면 양측에 흡착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대개폐봉에 끼워져 상기 좌대와 상기 좌대개폐봉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롤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양측 외주면에 이음고리가 형성되어 케이블의 끝단이 상기 이음고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의하면, 좌변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를 연결한 후, 발판을 상기 개폐부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을 발로 밟으면 상기 개폐부가 좌대를 위로 올리고, 발을 떼면 좌대의 자중에 의해 좌대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좌대의 개폐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가 좌대를 위로 올릴 때 개폐부에 설치된 무게추 또는 탄성부재가 추가적으로 회전토크를 개폐부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좌대를 위로 올릴 때 발판을 밟는 발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좌변기 본체에 설치시 측면 고정부와 상부판을 각각 양면 테이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설치 위치를 좌변기 본체의 좌측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변기 본체의 우측에도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발판을 구성하는 구름판의 가이드 돌기가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안정적으로 구름판을 밟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좌변기에 장착되어 좌대를 개폐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대를 개폐(開閉)하는 개폐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엔 상기 개폐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부;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및 상기 구름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여 상기 구름부의 회동과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매개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고정부, 개폐부, 발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고정부(200)는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후술할 개폐부(22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고리(201)가 형성된 상부판(202)과, 상기 상부판(202)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판(2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면 고정부(210); 및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전면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204)이 삽입고정되도록 가이드 판(222)이 각각 형성된 측면 고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면 고정부(210)에 대해 도 2a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부면 고정부(210)는 상부판(202)과 연장판(20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먼저 상부판(202)은 배면이 좌변기의 본체 상면(특히, 좌변기의 본체(110, 도 4 참조) 상면 중 좌대의 힌지 고정부(410, 도 4 참조) 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양면 테이프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판(202)의 상면 중앙에는 후술할 개폐부(225)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결고리(201)가 형성되는 바, 연결고리(201)는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반원 형상으로 2개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고리(201)에는 후술할 개폐부(225) 중 몸체관(231)이 삽입되어 결국 개폐부(225)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연장판(204)은 상기 상부판(202)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형성된 연장판(204)은 후술할 측면 고정부(220)의 가이드 판(222)에 삽입고정된다.
이어서, 도 2a를 참조하여 측면 고정부(22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측면 고정부(220)는 배면이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전면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204)이 삽입고정되도록 가이드 판(2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측면 고정부(220)를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측면 고정부(220)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측면 고정부(220)를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이드 판(222)은 측면 고정부(220)의 전면 양측 각각에 상기 연장판(204)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삽입된 연장판(204)을 가이드 판(222)이 고정할 수 있도록 도 2a를 기준으로 좌측 가이드 판(222a)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가이드 판(222b)은 '┛'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이드 판(222) 각각의 결합부위는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개폐부(225)는 좌대(120, 도 4 참조)와 좌변기의 본체(110, 도 4 참조) 사이에 삽입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대(120)를 개폐(開閉)하는데, 개폐부(225)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개폐부(225)는 상기 연결고리(20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관(231)과, 상기 몸체관(23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233)을 포함하는 회동관부(235); 상기 연결관(233)을 관통하는 연장봉(241)과, 상기 좌대(120)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24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좌대개폐봉(243)을 포함하는 개폐봉(245); 및 상기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로 상기 연결관(233)의 양측 외주면에 이음고리(232)가 형성되어 후술할 케이블(298)의 끝단이 상기 이음고리(2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먼저 개폐부(225)를 구성하는 회동관부(235)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회동관부(235)는 몸체관(231)과 연결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관(231)은 상기 상부판(202) 상면에 형성된 연결고리(201)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관(233)은 상기 몸체관(23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후술할 연장봉(241)이 연결관(233)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이 때, 상기 연결관(233)의 측면에는 고정구(275)가 구비되어 연장봉(241)이 연결관(233)을 관통하여 끼워졌을 때 상기 고정구(275)가 상기 연장봉(241)의 슬라이딩 이동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즉, 회동관부(23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연결관(233)을 관통하여 끼워진 연장봉(241)을 연결관(233)에 대해 적절히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고정구(275)를 조이면 연장봉(241)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어 결국 회동관부(235)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정구(275)는 일단에 손잡이(271)가 형성된 나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관(233)의 양측 외주면에는 이음고리(232)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케이블(298)의 끝단이 상기 이음고리(2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이음고리(232)를 연결관(233)의 양측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을 좌변기 본체(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설치시 케이블(298)을 상기 연결관(233)에 원활히 연결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하 본 고안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개폐부(225)를 구성하는 개폐봉(245)에 대해 살펴보면, 개폐봉(245)은 연장봉(241)과 좌대개폐봉(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장봉(241)은 상기 연결관(233)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대개폐봉(243) 역시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되, 상기 좌대개폐봉(243)은 좌대(120, 도 4 참조)와 좌변기의 본체(110, 도 4 참조) 사이에 삽입되어 좌대(120)의 밑면과 맞닿아 좌대(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봉(241)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봉(241)과 좌대개폐봉(243)으로 구성되는 개폐봉(245)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좌대개폐봉(243)에는 이에 끼워져 좌대(120)와 좌대개폐봉(243)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롤러(24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어서, 개폐부(225)를 구성하는 무게추(250)에 대해 살펴보면, 무게추(250)는 상기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무게추(250)에는 상기 연장봉(241)이 통과하는 관통구(25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53)를 통과한 상기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무게추(2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2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무게추(250)에 관통구(253)를 형성함으로써 무게추(250)가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260)의 경우 연결관(233)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구(275)와 동일하도록 일단에 손잡이(261)가 형성된 나사로 구성하여, 무게추(250)를 연장봉(241)에 대해 적절히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고정구(260)를 조이면 무게추(25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어 결국 무게추(25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케이블(298)에 대해 살펴보면, 케이블(298)은 후술할 구름부(290)와 상기 개폐부(225)를 연결하여 구름부(290)의 회동과 개폐부(225)의 회전을 매개하 는 역할을 한다.
즉, 케이블(298)은 일단이 후술할 구름부(290)의 구름판(291)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홀(294)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결관(233)에 결합되어(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233)의 양측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이음고리(2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구름판(291)을 밟으면 케이블(298)이 당겨지면서 결국 연결판(233)이 회전하게 되어 좌대개폐봉(243)이 좌대를 위로 올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b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발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발판(270)은 하부 케이스(28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름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2b을 참고하여 하부 케이스(280)와 구름부(29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케이스(280)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282)가 형성된 바 형상의 하부 프레임(281)과,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타단부 상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일측면에 가이드 홈(283)이 형성된 측면 프레임(285)과,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타단부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8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배면 양측에는 흡착 고정부(295)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280)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81)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측면 프레임(285)과 연결 프레임(287) 역시 단면이 직사각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81)의 배면 양측에 구비되는 흡착 고정부(295)는 일반적으로 욕실의 벽면 또는 거울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진공흡착판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측면 프레임(285)에 형성된 가이드 홈(283)은 후술할 구름판(291)이 힌지(288)를 매개로 회전할 때 후술할 가이드 돌기(293)가 이동하는 궤적(즉, 가이드 돌기(293)는 원 궤적의 일부를 그리게 된다.)에 맞추어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연결 프레임(287)은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81)의 타단부 일측면(즉, 측면 프레임(285)의 하단부)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 프레임(285)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서, 구름부(290)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292)가 형성된 판 형상의 구름판(291)과, 상기 구름판(291)의 타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2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름판(291)은 사용자가 발로 직접 밟는 부분으로서, 힌지 결합구(292)가 상기한 하부 프레임(281)에 형성된 힌지 결합구(282)와 힌지(288)로 연 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사용자가 발로 밟을 때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구름판(291) 상부면을 엠보싱 처리하거나, 상부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가이드 돌기(293)는 상기 가이드 홈(283)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28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가이드 돌기(293)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개폐부(225, 도 2a 참조)를 구성하는 무게추(250, 도 2a 참조)의 역할을 후술할 탄성부재(330)가 담당하는 것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탄성부재(330)의 결합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탄성부재(330)는 고정부(200)의 하단에 돌출형성된(특히, 연장판(204)의 중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 형상의 돌출지지대(310)와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관(320)을 연결하는데, 여기서 슬라이드 관(320)은 연장봉(241)이 삽입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불어 슬라이드 관(3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3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정구(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233, 도 2a 참조)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275)와 같은 구성(즉,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 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도 4는 본 고안을 좌변기의 본체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본 고안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측면 고정부(220)를 좌변기의 본체(110) 측면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상부면 고정부(210)의 연장판(204)을 측면 고정부(220)의 가이드 판(222) 사이로 삽입하면서 상부판(202)의 배면을 양면 테이프에 의해 좌변기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부판(202)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201)에 회동관부(235)의 몸체관(231)을 삽입하고, 연결관(233)에 개폐봉(245)의 연장봉(241)을 삽입한다.
이 때, 롤러(242)가 끼워진 좌대개폐봉(243)은 좌대(120)와 좌변기 본체(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고, 무게추(250)는 연장봉(241)에 끼워 고정구(260)로 고정시킨다.
더불어, 연결관(233)의 이음고리(232)에 연결된 케이블(298)을 발판(270)의 구름판(291)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홀(294)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구름판(291)을 밟으면 케이블(298)이 당겨지면서 연결관(233)을 반시계방향(정회전)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225)의 좌대개폐봉(243)이 좌대(120)를 위로 올리게 된다.
이 때, 무게추(250)는 개폐봉(245)의 회전에 대해 추가적인 회전토크를 제공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용변을 끝낸 후 밟고 있던 구름판(291)을 놓으면 좌대(120)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더불어 개폐봉(245) 역시 시계방향(역회전)으로 회전하면서 도 4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250)의 역할을 탄성부재(330)가 담당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구름판(291)을 밟아 케이블(298)이 당겨지도록 할 때, 이미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330)의 복원력이 개폐봉(245)에 추가적인 회전토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좌변기 본체(110)에 설치시 측면 고정부(220)와 상부판(202)을 각각 양면 테이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설치 위치를 좌변기 본체(110)의 좌측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변기 본체(110)의 우측에도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좌변기 본체(110)의 좌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298)을 연결관(233)에 돌출형성된 이음고리(232) 중 좌측 이음고리(232a)에 연결하고, 본 고안을 좌변기 본체(110)의 우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298)을 연결관(233)에 돌출형성된 이음고리 중 우측 이음고리(232b)에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298) 중 측면 고정부(220)와 구름판(29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플라스틱 관을 관통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b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중 발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고안을 좌변기의 본체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좌변기 본체 120 : 좌대
130 : 덮개 140 : 저수조
200 : 고정부 210 : 상부면 고정부
220 : 측면 고정부 225 : 개폐부
235 : 회동관부 245 : 개폐봉
250 : 무게추 260 : 고정구
270 : 발판 280 : 하부 케이스
290 : 구름부 295 : 흡착 고정부
310 : 돌출 지지대 320 : 슬라이드 관
330 : 탄성부재 340 : 고정구

Claims (12)

  1. 좌변기에 장착되어 좌대(120)를 개폐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120)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대를 개폐(開閉)하는 개폐부(225);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엔 상기 개폐부(22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연결고리(201)가 형성된 고정부(200);
    하부 케이스(28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름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270); 및
    상기 구름부(290)와 상기 개폐부(225)를 연결하여 상기 구름부(290)의 회동과 상기 개폐부(225)의 회전을 매개하는 케이블(298);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25)는
    상기 연결고리(20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관(231)과, 상기 몸체관(23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233)을 포함하는 회동관부(235);
    상기 연결관(233)을 관통하는 연장봉(241)과, 상기 좌대(120)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24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좌대개 폐봉(243)을 포함하는 개폐봉(245); 및
    상기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25)는
    상기 연결고리(20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관(231)과, 상기 몸체관(23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233)을 포함하는 회동관부(235);
    상기 연결관(233)을 관통하는 연장봉(241)과, 상기 좌대(120)와 상기 좌변기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24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좌대개폐봉(243)을 포함하는 개폐봉(245); 및
    상기 고정부(200)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돌출지지대(310)와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관(32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4. 제 2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33)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구(275, 340)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봉(241)의 슬라이딩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75, 340)는 일단에 손잡이(271, 341)가 형성된 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250)에는 상기 연장봉(241)이 통과하는 관통구(25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53)를 통과한 상기 연장봉(241)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무게추(2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상기 개폐부(225)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결고리(201)가 형성된 상부판(202)과, 상기 상부판(202)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판(2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면 고정부(210); 및
    배면이 상기 좌변기의 본체 측면에 결합되고, 전면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204)이 삽입고정되도록 가이드 판(220)이 각각 형성된 측면 고정부(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280)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282)가 형성된 바 형상의 하부 프레임(281)과,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타단부 상부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일측면에 가이드 홈(283)이 형성된 측면 프레임(285)과,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타단부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8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름부(290)는
    일단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구(292)가 형성된 판 형상의 구름판(291)과, 상기 구름판(291)의 타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29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93)가 상기 가이드 홈(283)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판(291)의 상부면을 엠보싱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281)의 배면 양측에 흡착 고정부(295)가 구비되어 상기 하 부 케이스(28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개폐봉(243)에 끼워져 상기 좌대(120)와 상기 좌대개폐봉(243)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롤러(242)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12.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33)의 양측 외주면에 이음고리(232)가 형성되어 케이블(298)의 끝단이 상기 이음고리(23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2020090011125U 2009-08-26 2009-08-26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201100021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25U KR20110002133U (ko) 2009-08-26 2009-08-26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25U KR20110002133U (ko) 2009-08-26 2009-08-26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33U true KR20110002133U (ko) 2011-03-04

Family

ID=4420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125U KR20110002133U (ko) 2009-08-26 2009-08-26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13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2B1 (ko) * 2014-01-20 2014-06-23 최동화 변기커버 개폐 기능을 갖는 좌변식 변기
CN105640411A (zh) * 2016-03-24 2016-06-08 绵阳福乐明科技有限公司 一种储纸桶脚踏开关式智能马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2B1 (ko) * 2014-01-20 2014-06-23 최동화 변기커버 개폐 기능을 갖는 좌변식 변기
CN105640411A (zh) * 2016-03-24 2016-06-08 绵阳福乐明科技有限公司 一种储纸桶脚踏开关式智能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0459C (en) Retractable shower expander assembly
US9611691B1 (en) In-cabinet step stool
KR20110002133U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101475778B1 (ko) 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1725458B1 (ko) 접이식 세정 장치
JP4434923B2 (ja) 洋式便器用介助具
JP2006271746A (ja) 男子用小便器
KR100689243B1 (ko) 욕조
KR20130047492A (ko)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CN203107475U (zh) 一种多功能护理椅
KR100763804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20170119153A (ko) 변좌 리프팅 장치
JP2006346236A (ja) 浴槽兼用シャワー室
JP3148188U (ja) ドアの開閉に連動可能な履物移動装置
CN110893138A (zh) 看护床
JP3003985U (ja) 便器用安全手摺り
CN209355495U (zh) 一种水暖器材的简便可调节安装架
GB2428736A (en) Hinge with detent mechanism for releasable retention in a particular condition
CN215830115U (zh) 一种家用无障碍式淋浴房
CN220403875U (zh) 一种行动不便老年人用排便椅
KR101523061B1 (ko) 환자용 세면대
CN218683995U (zh) 折叠椅及淋浴间
JP2006110189A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1588638B1 (ko) 변기 시트 개폐장치
JPH07331713A (ja) 可動式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