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492A -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492A
KR20130047492A KR1020110112552A KR20110112552A KR20130047492A KR 20130047492 A KR20130047492 A KR 20130047492A KR 1020110112552 A KR1020110112552 A KR 1020110112552A KR 20110112552 A KR20110112552 A KR 20110112552A KR 20130047492 A KR20130047492 A KR 2013004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eat panel
hinge
hous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492A/ko
Publication of KR2013004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면서 벽면 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前面) 상측에 위치되며, 패널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간이의자로 전환되는 좌석패널과; 상기 좌석패널의 하단에 위치되며, 좌석패널의 수직 하강과 함께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연동되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좌석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회동지지패널과; 상기 좌석패널과 회동지지패널의 각 배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좌석패널의 수직 하강과 함께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힌지 회동에 의한 회동지지패널의 상단을 전방(前方)으로 회동시키는 힌지회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고정되며, 힌지회동수단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좌석패널을 슬라이드 하향시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작동을 통해 의자의 형태로 변화시켜 간이의자로 사용하고, 간이의자로서 사용 종료 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 복귀와 함께 회동지지패널이 하우징 내부로 접히면서 좌석패널을 밀어올려 하우징 내에 일자로 매립시키는 등 이를 통해 전실(현관룸)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A folding type patio chair for using sticking in a wall}
본 발명은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좌석패널이 하우징 내·외측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좌석패널을 슬라이드 하향시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작동을 통해 의자의 형태로 변화시켜 간이의자로 사용하고, 간이의자로서 사용 종료 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 복귀와 함께 회동지지패널이 하우징 내부로 접히면서 좌석패널을 밀어올려 하우징 내에 일자로 매립시키는 등 이를 통해 전실(현관룸)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에는 벽면에 신발장이 구비됨과 동시에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트, 각종 구기운동에 필요한 공이나, 각종 장비들을 놓을 수 있는 전실(현관룸)이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신발을 벗어놓을 수 있는 공간도 함께 포함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실(현관룸) 내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어놓는 것에 있어서 정상인들은 큰 불편함이 없으나,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어려워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어야 하는 등의 큰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3-0028366호 및 제20-2004-0026873호가 각각 안출되었는데, 이는 주로 현관 등의 벽면에 절첩식 의자를 설치하여 필요할 시에는 펼쳐서 일반적인 간이 의자로 사용하고, 불필요할 시에는 간단히 절첩하여 소형의 부피가 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중 제20-2003-0028366호의 벽면 절첩식 의자는 주로 현관 등 벽면에 의자를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평상시는 소형의 부피가 되게 절첩하고, 사용시는 간단히 펼쳐서 일반적인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으나, 상기한 벽면 절첩식 의자(제20-2003-0028366호)의 경우 벽면에 부착되는 의자의 의자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이 완전히 노출상태로 설치되므로 통행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벽면에 부착되는 의자의 의자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이 완전히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과 함께 보행감각이 둔한 노인이나 유아 등의 경우 통행시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선출원 중 제20-2004-0026873호의 벽면 절첩식 의자는 벽, 출입문에 함몰타입으로 설치 가능한 케이스의 내부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스토퍼가 작동구의 치차에 접지 또는 분리되므로서 케이스 내부의 자바라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 역시 평상시는 소형의 부피가 되게 절첩하고, 사용시는 간단히 펼쳐서 일반적인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으나, 상기한 벽면 절첩식 의자(제20-2004-0026873호)의 경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벽면 절첩식 의자를 구성할 경우 출입문이나 벽면에 별도의 공간부를 마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설치여건이 매우 불량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에 비해 재료비 및 설치비가 고가임에 따라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으며, 이 역시 전실(현관룸) 공간 내의 미관이 매우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등 현재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좌석패널이 하우징 내·외측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좌석패널을 슬라이드 하향시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작동을 통해 의자의 형태로 변화시켜 간이의자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평상시나 상기와 같이 간이의자로서 사용 종료 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 복귀와 함께 회동지지패널이 하우징 내부로 접히면서 좌석패널을 밀어올려 하우징 내에 일자로 매립시키는 등 이를 통해 전실(현관룸)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면서 벽면 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前面) 상측에 위치되며, 패널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간이의자로 전환되는 좌석패널과; 상기 좌석패널의 하단에 위치되며, 좌석패널의 수직 하강과 함께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연동되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좌석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회동지지패널과; 상기 좌석패널과 회동지지패널의 각 배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좌석패널의 수직 하강과 함께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힌지 회동에 의한 회동지지패널의 상단을 전방(前方)으로 회동시키는 힌지회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고정되며, 힌지회동수단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좌석패널을 슬라이드 하향시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작동을 통해 의자의 형태로 변화시켜 간이의자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나 상기와 같이 간이의자로서 사용 종료 시 힌지회동수단의 회동 복귀와 함께 회동지지패널이 하우징 내부로 접히면서 좌석패널을 밀어올려 하우징 내에 일자로 매립시키는 등 이를 통해 전실(현관룸)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이하, 절첩식 간이의자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는, 아파트나 주택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A)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하여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의자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등 간이의자(1)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이 개방되면서 벽면(A) 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前面) 상측에 위치되며, 패널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간이의자(1)로 전환되는 좌석패널(20)과;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에 위치되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연동되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좌석패널(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회동지지패널(30)과;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힌지 회동에 의한 회동지지패널(30)의 상단을 전방(前方)으로 회동시키는 힌지회동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되며,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20)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패널(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 중 상기 하우징(10)의 경우 전면(前面)이 개방된 직사각의 함체형태로 형성되어 아파트나 주택 등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A)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0) 내부 좌우 양측면에는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 시 상기 좌석패널(20)의 상단 좌우 양측단에 축결합된 롤러핀(22a)의 구름운동이나 슬라이드운동을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 중 상기 좌석패널(20)의 경우 하우징(10)의 전면(前面) 상측에 위치되어 패널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간이의자(1)로 전환되는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사각패널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좌석패널(20)의 전면(前面) 상,하측에는 사용자가 좌석패널(20)을 수직 하강시키거나 수직 상승시킬 때 사용하는 원형이면서 요(凹) 형태의 손잡이(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좌석패널(20)의 전면(前面) 상,하측에 형성된 손잡이(21)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21) 배면(背面)에는 자석(23)이 설치 고정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하우징(10)의 내저면 상단에는 좌석패널(20)의 손잡이(21) 배면(背面)에 고정된 자석(23)과 동일위치 상에 철부재(12)가 설치 고정되어 간이의자(1)로 변형된 좌석패널(20)을 하우징(10) 내부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등 원위치로 복귀 시 상기 좌석패널(20) 측 자석(23)이 하우징(10) 측 철부재(12)에 부착되면서 이를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이 하우징(10)의 전면을 밀폐시킨 상태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좌석패널(20)의 상단에는 하우징(10) 내부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석패널(20) 상단의 수직 하강 시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우 양측단에는 가이드레일에 결속되어 좌석패널(20) 상단의 수직 하강과 함께 슬라이드 하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롤러핀(22a)나 슬라이드핀이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 중 상기 회동지지패널(30)의 경우 좌석패널(20)의 하단에 위치되어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연동되어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좌석패널(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소로서, 전체형상이 좌석패널(20)과 같이 사각패널로 형성되되, 상기 좌석패널(20)에 비해 1/2 크기의 직사각 패널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지지패널(30)의 하단 배면(背面)과 하우징(10)의 내저면 하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20)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30)이 하우징(10)의 내저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전방(前方)으로 원활하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하부경첩(37)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 중 상기 힌지회동수단(40)의 경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背面)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힌지 회동에 의한 회동지지패널(30)의 상단을 전방(前方)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되는 상부힌지브라켓(41)과; 상기 회동지지패널(3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브라켓(43)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41)과 하부힌지브라켓(43)에 각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각 타단 역시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회동 및 복귀 작용에 따라 오므러지거나 펼쳐지는 회동연결부재(4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힌지브라켓(41)과 하부힌지브라켓(43)의 경우 상호 동일구조 즉,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절곡된 양측단에 힌지핀(42a,44a)을 통해 회동연결부재(45)의 각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홀(42b,44b)이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연결부재(45)의 경우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 양측에 고정된 상부힌지브라켓(41)과 회동지지패널(30)의 배면(背面) 양측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브라켓(43)에 각 일단이 힌지핀(42a,44a)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이와 반대측인 각 타단 역시 서로 겹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핀(4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회동 및 복귀 작용에 따라 오므러지거나 펼쳐지는 2개의 회동부재 즉, 상부회동부재(46a)와 하부회동부재(46b)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 전방(前方) 양측면에는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작용 시 상기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으로부터 연동 회동되는 힌지회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이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될 때 이와 연동작용으로 회동지지패널(30) 역시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과 동일방향인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경첩(35)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 중 상기 하부고정패널(50)의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되어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20)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소로서, 상기 좌석패널(20) 및 회동지지패널(30)과 마찬가지로 이 역시 전체형상이 사각패널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지지패널(30)에 비해 1/3 크기의 직사각 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1)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아파트나 주택 등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A)상에 좌석패널(20)이 하우징(10) 내·외측으로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를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 위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좌석패널(20)을 수직 하강시키게 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20)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背面) 사이에 연결 설치된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 회동 즉, 상기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된 상부힌지브라켓(41)과 회동지지패널(3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브라켓(43)에 회동연결부재(45)의 각 일단이 힌지핀(42a,44a)으로 고정되고, 이와 반대측인 회동연결부재(45)의 각 타단 역시 서로 겹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핀(4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회동작용에 따라 상기 회동연결부재(45)를 이루는 상부회동부재(46a)와 하부회동부재(46b)의 사이간격이 좁아져 오므러지는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 회동을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과 동일방향인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회동지지패널(30)의 상단이 회동되면서 상기와 같이 수평으로 회동된 좌석패널(20)의 하단을 지지하여 간이의자(1) 형태로 변화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변화된 본 발명의 간이의자(1)에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이 앉아서 간편하게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절첩식 간이의자(1)에 대한 사용 종료 시 하우징(10)으로부터 수직 하강과 함께 수평 회동된 좌석패널(20)을 원위치로 수직 상승시키게 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석패널(20) 상단의 수직 상승작용과 함께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복귀 회동작용에 따른 상기 회동연결부재(45) 즉, 상기 회동연결부재(45)를 이루는 상부회동부재(46a)와 하부회동부재(46b)의 사이간격이 벌어져 펼쳐지는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 복귀회동을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과 회동지지패널(30)의 상단이 원위치로 회동 복귀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고정패널(50)과 같이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 역시 일자형태를 이룸과 아울러 개방된 하우징(10)의 전면(前面)을 밀폐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대한 절첩식 간이의자(1)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동과정이 모두 종료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절첩식 간이의자 10. 하우징
11. 가이드레일 12. 철부재
20. 좌석패널 21. 손잡이
22. 슬라이드부재 22a. 롤러핀
23. 자석 30. 회동지지패널
35. 상부경첩 37. 하부경첩
40. 힌지회동수단 41. 상부힌지브라켓
43. 하부힌지브라켓 45. 회동연결부재
46a. 상부회동부재 46b. 하부회동부재
50. 하부고정패널 A. 전실(현관룸) 벽면

Claims (7)

  1. 아파트나 주택의 현관문이나 신발장이 설치된 전실(현관룸) 벽면(A)상에 설치되는 절첩식 간이의자(1)에 있어서,
    전면(前面)이 개방되면서 벽면(A) 상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前面) 상측에 위치되며, 패널 상단의 수직 하강작용과 함께 패널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간이의자(1)로 전환되는 좌석패널(20)과;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에 위치되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하단이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연동되어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면서 좌석패널(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회동지지패널(30)과;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背面)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과 함께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 시 이와 동시적으로 힌지 회동에 의한 회동지지패널(30)의 상단을 전방(前方)으로 회동시키는 힌지회동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되며,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20)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패널(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와 더불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각 배면 전방(前方) 양측면에는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작용 시 상기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으로부터 연동 회동되는 힌지회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좌석패널(20)의 하단이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수평회동될 때 이와 연동작용으로 회동지지패널(30) 역시 하우징(10) 전방(前方)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경첩(35)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동수단(40)은 좌석패널(2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되는 상부힌지브라켓(41)과;
    상기 회동지지패널(30)의 배면(背面) 중앙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브라켓(43)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41)과 하부힌지브라켓(43)에 각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각 타단 역시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상기 좌석패널(20)과 회동지지패널(30)의 회동 및 복귀 작용에 따라 오므러지거나 펼쳐지는 회동연결부재(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패널(30)의 하단 배면(背面)과 하우징(10)의 내저면 하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수단(40)의 힌지회동을 통해 좌석패널(20)의 하단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지지패널(30)이 하우징(10)의 내저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전방(前方)으로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하부경첩(3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패널(20)의 전면(前面) 상,하측에는 사용자가 좌석패널(20)을 수직 하강시키거나 수직 상승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 및 상기 좌석패널(20)의 상단에는 좌석패널(20)의 수직 하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가이드레일(11), 및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석패널(20) 상단의 수직 하강 시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22)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우 양측단에는 가이드레일에 결속되어 좌석패널(20) 상단의 수직 하강과 함께 슬라이드 하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롤러핀(22a)나 슬라이드핀이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패널(20)의 전면(前面) 상,하측에 형성된 손잡이(21)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21) 배면(背面)에 자석(23)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저면에는 좌석패널(20)의 손잡이(21) 배면(背面)에 고정된 자석(23)과 동일위치 상에 상기 자석(23)이 부착되기 위한 철부재(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절접식 간이의자.
KR1020110112552A 2011-10-31 2011-10-31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KR20130047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52A KR20130047492A (ko) 2011-10-31 2011-10-31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52A KR20130047492A (ko) 2011-10-31 2011-10-31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492A true KR20130047492A (ko) 2013-05-08

Family

ID=4865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52A KR20130047492A (ko) 2011-10-31 2011-10-31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5380A (zh) * 2018-09-27 2019-01-11 深圳市鹏城交通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有置物工作台的交通信号机机柜
JP2020075526A (ja) * 2018-11-05 2020-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220086001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사용성이 개선된 폴딩 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5380A (zh) * 2018-09-27 2019-01-11 深圳市鹏城交通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有置物工作台的交通信号机机柜
JP2020075526A (ja) * 2018-11-05 2020-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220086001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사용성이 개선된 폴딩 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1421A (ja) 展開式ベッドモジュール
CN109393818B (zh) 电动功能沙发
KR20130047492A (ko)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KR101715597B1 (ko) 복합형 가구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CN205267584U (zh) 改良结构的沙发床
KR101716002B1 (ko) 다기능 복합 가구
CN211354375U (zh) 一种可方便展开的组合式餐桌
CN209807687U (zh) 一种组合式公共座椅和组合式公共桌椅
JP2007054409A (ja) 対面式厨房装置
KR101764252B1 (ko)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 구조
CN216652232U (zh) 一种嵌入式洗碗机及其装饰挂板安装结构
CN109306607B (zh) 一种嵌入式衣物处理设备
CN213587824U (zh) 一种可多用的全屋定制集成家具
KR20160135545A (ko) 붙박이장용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120134343A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CN218541923U (zh) 一种铰链结构及具有该铰链结构的淋浴房
CN217390559U (zh) 一种淋浴房
KR20140107941A (ko) 조립식 이젤
CN213188983U (zh) 一种结构简单的折叠屏风
KR20180049783A (ko)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 구조
CN211559490U (zh) 一种智慧婴儿床结构
CN216124130U (zh) 一种新型户外沙发
CN215889800U (zh) 一种提高客厅、厨房互动性的隔断
JPS61254776A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