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678Y1 - 배전반용 핸들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678Y1
KR200247678Y1 KR2020010020134U KR20010020134U KR200247678Y1 KR 200247678 Y1 KR200247678 Y1 KR 200247678Y1 KR 2020010020134 U KR2020010020134 U KR 2020010020134U KR 20010020134 U KR20010020134 U KR 20010020134U KR 200247678 Y1 KR200247678 Y1 KR 200247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otating shaft
protrusion
cam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공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0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678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옥내외의 각종 통신장비 배전반에 설치되는 배전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쇠 및 노브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키뭉치가 구비된 잠금수단과 노브가 결합되는 회전축의 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배전반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크기가 다른 삽입부을 갖는 원통형상의 보스가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이의 후면 내부에 일정길이 돌출된 캠규제돌기가 형성되며 전면 내부에 노브설치홈과 잠금수단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바디;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되고 후면일단에 사각돌기가 형성된 회전축; 보스의 캠규제돌기 내측에 위치한 회전축의 외주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저서 회전축이 캠규제돌기 내에서 90°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톱퍼; 사각의 판체로 이루어저서 회전축의 사각돌기에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이의 타단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방향선택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 바디의 노브설치홈내에 설치되고 상부일단이 회전축의 내부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의 하단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노브; 노브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축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이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노브의 벽면에 고정되어 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 및 바디의 잠금부재설치홈에 삽입되어 노브의 일단을 록킹 및 해제시키는 잠금수단;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핸들 {HANDLE FOR SWITCHBOARD}
본 고안은 주로 옥내외의 각종 통신장비 배전반에 설치되는 배전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쇠 및 노브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키뭉치가 구비된 잠금수단과 노브가 결합되는 회전축의 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배전반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혹은 제어반에 설치되는 배전반용 핸들은 몸체 하부에 형성된 버튼을 누르면 노브의 하단이 해제되면서 노브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노브가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과 노브의 축 후방에 돌출된 부위를 누르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노브의 하부가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또 위와 같이 하부가 들려진 노브를 옆으로 90 °회전시키는 방식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부분 노브의 축 후방에 설치된 걸쇠가 레버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노브를 젖혀 올리면 걸쇠가 문틀을 구속하다가 해제되며, 노브를 다시 눌러서 잠그면 걸쇠가 올라가며 문틀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걸쇠와 노브가 우측방향(반시계방향)으로만 축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노브를 우측으로 돌리면 걸쇠도 따라서 우측으로 돌아 문틀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핸들은 배전반의 문을 열고자 할때나 잠그려고 할때 걸쇠가 문틀에 밀접되어 있어서 노브를 옆으로 돌릴 때 뻑뻑하여 잠그거나 열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걸쇠를 문틀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조립하면노브를 조작할 때 소음이 나거나 문과 문틀사이에 갭이 생겨 외관을 해치고 덜커덩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문이 문틀에 밀접되게 잠기지 않으면 배전반 내부에 물이나 먼지 또는 벌레등이 들어가 여러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리고 노브의 축에 고정된 걸쇠가 옆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배전반 혹은 제어반의 문 한쪽에만 설치될 수밖에 없어서 문의 일측에 장애물이나 벽이 밀접되어 있을 경우에는 노브의 조작이나 문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핸들은 옥외에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로 물이 들어가면 쉽게 부식되거나 누전이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146377호의 도어용 평핸들장치와 실용신안 등록 제226727호의 배전반용 핸들을 사용하게 되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본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의 경우 노브가 회전하기위하여 결합되는 회전축의 구조와 노브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키뭉치의 구조가 조금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축와 노브 그리고 잠금수단의 구조와 전체적인 공정을 간편하게 하여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가공하여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게 한 배전반용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축에 결합된 노브가 90°로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노브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톱퍼와 걸쇠의 위치를 바꾸면 노브와 걸쇠의 회전방향이 바뀌어 문에서의 설치위치를 배전반의 설치장소에 따라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는 배전반용 핸들을 제공함이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크기가 다른 삽입부을 갖는 원통형상의 보스가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이의 후면 내부에 일정길이 돌출된 캠규제돌기가 형성되며 전면 내부에 노브설치홈과 잠금수단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바디;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되고 후면일단에 사각돌기가 형성된 회전축; 보스의 캠규제돌기 내측에 위치한 회전축의 외주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저서 회전축이 캠규제돌기 내에서 90°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톱퍼; 사각의 판체로 이루어저서 회전축의 사각돌기에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이의 타단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방향선택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 바디의 노브설치홈내에 설치되고 상부일단이 회전축의 내부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의 하단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노브; 노브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축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이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노브의 벽면에 고정되어 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 및 바디의 잠금부재설치홈에 삽입되어 노브의 일단을 록킹 및 해제시키는 잠금수단;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 - A선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11: 보스
12: 삽입부 13: 캠규제돌기
14: 노브설치홈 15: 잠금수단설치홈
20: 회전축 21: 사각돌기
22: 플랜지 24: 공간부
26: 스톱퍼 28: 걸쇠
30: 노브 31: 측벽
34: 걸림돌기 35: 탄성부재
40: 잠금수단 41: 키홀더
42: 슬라이드홈 43: 개구부
44: 키뭉치 45: 캠
47: 잠금부재 48: 가이드홈
49: 고정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용 핸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파스너의 측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전반용 핸들은 도어(51)에 설치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삽입되는 회전축(20)과, 회전축(20)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어(51)를 개폐시키는 걸쇠(28)와, 회전축(20)의 전면 내부에 힌지핀(H)에 축지되어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노브(30)와, 노브(30)를 바디(20)내에서 록킹 및 해제시키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디(10)는 옥내외의 각종 배전반 혹은 제어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전반의 도어(51) 오른쪽이나 왼쪽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어(51)의 일측에 삽입되어 전면이 외부로 돌출되는 사각의 플레이트(10a) 내부에 단턱을 갖는 내측벽면(10b)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할 회전축(20)의 플랜지(22)와 키홀더(41)의 플랜지(41a)가 각각 상,하부에 지지되게 된다. 플레이트(10a)의 후면에는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원통형상의 보스(11)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11)의 내부에는 크기가 다른 삽입부(12)에 이후에 설명할 회전축(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12)와 회전축(20)이 끼워지는 일측에는 오링(O)이 끼워지고 오링(O)은 바디(10)와 회전축(20) 사이에서 액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스(11)의 후면 내부에 원주방향의 한쪽에 턱처럼 튀어나온 캠규제돌기(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규제돌기(13)의 주위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깊이로 파여져 있다. 그래서 캠규제돌기(13)의 왼쪽 또는 오른쪽 중 한부분에 제 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6)가 끼워저서 캠규제돌기(13)의 원주방향내에서 회전축(20)의 방향과 회전각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바디(10)의 전면 내부에는 노브설치홈(14)과 잠금수단설치홈(15)이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위치에 노브(30)와 잠금수단(4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바디(10)의 후면 중앙에는 ㄷ자형상의 브래킷(16)이 볼트(B)로 바디(10)와 체결되어 도어(51)에 바디(10)가 고정될 때 바디(10)를 도어(51)의 벽면 쪽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회전축(20)은 후면에 사각돌기(21)가 형성되고 이 사각돌기(21)의 일단에는 이후에 설명할 걸쇠(28)가 볼트(B)로 고정되어 도어(51)를 개폐하게 된다. 회전축(20)의 전면 외주연에는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상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상부 플레이트(10a) 내측벽면(10b)에 지지되고 회전축(20)의 전면 일측에는 힌지공(23)이 형성되며 회전축(20)의 전면 내측 하부에는 일부 절개된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할 노브(30)의 상부와 탄성부재(35)가 힌지핀(H)으로 결합되어 노브(30)가 힌지핀(H)을 중심으로 상부로 90°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힌지핀(H)에 결합된 탄성부재(35)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20)의 하부에 고정홈(25)을 형성하였다.
스톱퍼(26)는 캠규제돌기(13)의 내측에 위치한 회전축(20)의 외주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이의 후면에 스냅링(S)이 결합되어 스톱퍼(26)를 회전축(20)에 고정시켜 회전축(20)이 캠규제돌기(13) 내에서 90°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20)의 회전방향과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걸쇠(28)는 사각의 판체로 이루어저서 회전축(20)의 사각돌기(21)에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B)로 고정되고 이의 타단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도어(51)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쇠(28)는 회전축(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걸쇠(28)의 방향을 좌우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노브(30)는 바디의 노브설치홈(14) 내에 설치되고 상부 일단에 형성된 힌지공(30a)을 갖는 양측벽(31)을 형성하되, 양측벽(31)의 상부는 라운드형상의 라운드부(32)를 형성하여 힌지공(30a)에 결합된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라운드부(32)가 상기 회전축(20)의 상부면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노브(30)가 90°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노브(30)을 회전시키기 편리한 각도에서 노브(30)를 회전시키면 된다.
노브(30)는 사용자가 노브(30)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이의 하부 일단에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할 잠금부재(47)의 고정고리(49)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게 된다.
탄성부재(35)는 노브(3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힌지핀(H)의 끼워저서 일단이 노브(30)의 내측 벽면에 위치하여 노브(3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35)는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노브(30)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여노브(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5)의 타단은 회전축(20)의 고정홈(25)에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잠금수단(40)은 잠금수단설치홈(15)에 삽입되는데, 즉 노브(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전면 하부 외주연에 플랜지(41a)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의 하부 플레이트(10a) 내측벽면(10b)에 지지되고 후면 상부 중앙에 일부 절개된 슬라이드홈(42)이 형성된 키홀더(41)가 바디(10)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홈(42)에는 이후에 설명할 잠금부재(47)의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노브(3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키홀더(41)의 내부에는 개구부(43)를 형성하여 후면 중앙에 사각의 캠(45)을 갖는 키뭉치(44)가 삽입되고 개구부(43)의 후면에는 개구부(43)보다 다소 큰 수용홈(43a)이 형성되어 제1스톱퍼(46)가 위치하며 제1스톱퍼(46)의 원주방향으로 키뭉치(44)의 캠(45)에 끼워진 제2스톱퍼(46a)가 제1스톱퍼(46)와 일치되어 키뭉치(44)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키뭉치(44)의 회전에따라 노브(3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키홀더(41)의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키뭉치(44)의 캠(45)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가이드홈(48)이 형성되는 잠금부재(47)의 하부에는 스프링(50)이 형성되어 키뭉치(44)의 캠(45)의 회전에 따라 잠금부재(47)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잠금부재(47)의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되는 동시에 이의 끝단 상부에 고정고리(49)가 형성되어 노브(30)의 걸림돌기(34)를 록킹 및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배전반용 핸들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40)의 키뭉치(44)에 키(미도시)를 꽂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뭉치(44)의 캠(45)이 가이드홈(48) 내에서 회전하면서 잠금부재(47)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잠금부재(47)가 스프링(50)에 의해 하부로 내려오면서 키홀더(41)의 슬라이드홈(42) 내에서 이동하면 고정고리(49)가 노브(30)의 걸림돌기(34)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면서 노브(30)가 힌지핀(H)을 중심으로 90°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 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30)를 회전시키기 편안한 위치에서 노브(3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30)에 연결된 회전축(20)이 스톱퍼(26)와 캠규제돌기(13) 사이에서 선회하므로 걸쇠(28)는 노브(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51)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배전반용 핸들은 회전축와 노브 그리고 잠금수단의 구조와 전체적인 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가공하여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크기가 다른 삽입부을 갖는 원통형상의 보스가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이의 후면 내부에 일정길이 돌출된 캠규제돌기가 형성되며 전면 내부에 노브설치홈과 잠금수단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바디;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되고 후면일단에 사각돌기가 형성된 회전축;
    보스의 캠규제돌기 내측에 위치한 회전축의 외주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저서 회전축이 캠규제돌기 내에서 90°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톱퍼;
    사각의 판체로 이루어저서 회전축의 사각돌기에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이의 타단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방향선택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
    바디의 노브설치홈내에 설치되고 상부일단이 회전축의 내부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의 하단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노브;
    노브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축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이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노브의 벽면에 고정되어 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 및
    바디의 잠금부재설치홈에 삽입되어 노브의 일단을 록킹 및 해제시키는 잠금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전면 외주연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부 일단이 상기 바디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벽면에 지지되고 전면 일측에 힌지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하부가 일부 절개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노브와 탄성부재가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시에 힌지핀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회전축이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핸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노브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전면 하부 외주연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 플레이트 내측벽면에 지지되고 후면 상부 중앙이 일부절개되어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이의 내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후면 중앙에 사각의 캠을 갖는 키뭉치가 삽입되고 개구부의 후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키홀더, 상기 키홀더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스톱퍼, 상기 키뭉치의 캠에 끼워지고 제1스톱퍼와 일치되어 키뭉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스톱퍼, 키홀더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키뭉치의 캠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하부에 형성되고 이의 하부 일단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되는 동시에 이의 끝단 상부에 고정고리가 형성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배전반용 핸들.
KR2020010020134U 2001-07-04 2001-07-04 배전반용 핸들 KR200247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34U KR200247678Y1 (ko) 2001-07-04 2001-07-04 배전반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34U KR200247678Y1 (ko) 2001-07-04 2001-07-04 배전반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678Y1 true KR200247678Y1 (ko) 2001-10-17

Family

ID=7306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34U KR200247678Y1 (ko) 2001-07-04 2001-07-04 배전반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67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02B1 (ko) * 2002-03-13 2005-07-04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문개폐용 핸들장치
KR200449018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전반 도어핸들
KR200449020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 핸들
KR101302684B1 (ko) * 2013-01-18 2013-09-03 주식회사 넥스트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KR101712087B1 (ko) *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KR200488643Y1 (ko) * 2017-11-08 2019-03-06 권오숙 손잡이부의 고정이 용이한 도어핸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02B1 (ko) * 2002-03-13 2005-07-04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문개폐용 핸들장치
KR200449018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전반 도어핸들
KR200449020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 핸들
KR101302684B1 (ko) * 2013-01-18 2013-09-03 주식회사 넥스트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KR101712087B1 (ko) *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KR200488643Y1 (ko) * 2017-11-08 2019-03-06 권오숙 손잡이부의 고정이 용이한 도어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5965B2 (ko)
JPH0516806Y2 (ko)
KR200247678Y1 (ko) 배전반용 핸들
KR100432810B1 (ko) 도어 록킹장치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CN211201390U (zh) 具有旋钮装置的锁具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10048214A (ko) 배전반용 핸들
KR20000001421A (ko) 도어록 장치
JP2527820Y2 (ja) 電子機器用ケ−スのカバ−開閉機構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KR200208963Y1 (ko) 밀폐용 도어핸들
KR200202045Y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JP2886141B2 (ja) 取外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51575Y2 (ko)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H0440368Y2 (ko)
JPH0639011Y2 (ja) 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JP2001332874A (ja) 蓋体の開閉機構
CN110541604A (zh) 具有旋钮装置的锁具
KR200349580Y1 (ko) 도어 로킹장치
JPS583566Y2 (ja) 脚体取付金具
JPH0610051Y2 (ja) 障子の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