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963Y1 -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963Y1
KR200186963Y1 KR2020000002275U KR20000002275U KR200186963Y1 KR 200186963 Y1 KR200186963 Y1 KR 200186963Y1 KR 2020000002275 U KR2020000002275 U KR 2020000002275U KR 20000002275 U KR20000002275 U KR 20000002275U KR 200186963 Y1 KR200186963 Y1 KR 200186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nk
coupled
channe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성
Original Assignee
홍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성 filed Critical 홍기성
Priority to KR2020000002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마감패널이 울렁거리지 않게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신속하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벽면 마감패널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는.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빔(2)과; 상기 수직빔에 결합되는 두 개의 제1 및 제2슬라이더(3,4)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피봇결합되는 제1링크(61)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피봇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제1링크에 피봇결합되는 제2링크(62)를 가진 링크기구(6)와;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에 피봇결합되는 제3슬라이더(5)와; 그리고, 상기 수직빔과 동형으로 형성되어 제3슬라이더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횡빔(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횡빔(7) 앞쪽 바닥에는 지지블록(14)이 설치되고, 여기에 런너(13)가 결합된다. 런너(13)에는 마감패널(11)들 및 이를 협지하여 횡빔(7)에 고정되는 지지채널(15)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채널(15)에는 행어(17) 등을 걸 수 있는 마감채널(16)이 지지된다.

Description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DEVICE FOR CONSTRUCTING WALL PANEL}
본 고안은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으로부터 마감패널까지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하여 마감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벽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마감패널이 울렁거리지 않게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벽면 마감시공을 할 때에는 벽면에 부착틀을 설치하고, 이 부착틀에 마감패널들을 부착한 다음 석고보드 상에 페인트를 도장하거나 벽지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하게 된다.
즉, 실내 벽면 마감시공을 할 때 종래 사용되던 부착틀은 일반적으로, 바닥 및 천장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채널형 상하 런너와, 상기 채널형 상하 런너에 상하단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메탈 스터드(metal stud)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감패널로는 주로 석고보드가 사용되며, 이 석고보드들을 상기 부착틀에 한 겹 부착하여 고정한 다음 또 한 겹의 석고보드들을 이미 부착된 석고보드들 위에 지그재그 배열로 부착하게 된다. 석고보드들을 부착틀에 부착시킬 경우에도 물론 상하 런너가 더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틀에 부착된 석고보드들에 페인트 도장을 하거나 벽지를 붙여 최종적으로 벽면 마감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벽면 마감시공에 있어서는 부착틀에 석고보드들을 부착시킨 후 곧바로 페인트 도장을 하거나 벽지를 붙일 수 없다. 즉, 모르타르 등으로 벽면에 아무리 미장을 잘 하더라도 벽면이 울퉁불퉁하고 평탄하지 않고, 이 때문에 상하 런너 사이에 조립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메탈 스터드들이 동일면상에 배열되지 못하고 들쑥날쑥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들쑥날쑥하게 배열된 메탈 스터드들에 부착되는 석고보드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평탄하게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석고보드들에 페인트 도장을 하거나 벽지를 바르기 전에 자동차 도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석고보드들에 퍼티(putty)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퍼티 경화층을 샌딩에 의하여 평탄화시킨 다음 평탄화된 퍼티 경화층 위에 최종적으로 페인트 도장을 하거나 벽지를 바르는, 이른바 드라이 월(dry wall) 공법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드라이 월 공법을 사용하게 되면 퍼티 작용 및 샌딩 작업으로 인하여 인력 뿐만 아니라 특히 작업시간이 많이 들어 벽면 마감공사를 신속하게 시공할 수 없고, 또한 공사비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퍼티 경화층을 샌딩하여 마감패널을 평탄하게 마무리한다 할 지라도 평탄화에 한계가 있고, 더욱이 샌딩 작업시에는 퍼티 분진이 날려 작업현장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또한 퍼티 분진의 처리문제 등 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또한, 마감패널에 못질 등을 하여 물건을 전시하기 위한 행어나 선반 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물건들의 무게를 마감패널이 지지하게 되므로 물건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마감패널이 손상 또는 훼손되는 문제가 생기고, 행어나 선반 등이 마감패널이 고정되므로 행어나 선반의 위치를 임의로 옮길 수 없어 전시효과도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으로부터 마감패널까지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하여 벽면 마감패널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벽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마감패널이 울렁거리지 않게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시공할 수 있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를 구성하는 수직빔과 링크기구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의하여 마감패널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직빔, 3, 4, 5 : 슬라이더,
6 : 링크기구, 7 : 횡빔,
11 : 마감패널, 13 ; 런너,
14 : 지지블록, 15 : 지지채널,
17 : 행어, 21, 22 : 수직빔의 플랜지,
31 : 슬라이더들의 플레이트부, 32 : 슬라이더들의 결합리브,
35, 38 : 볼트, 36, 39 : 너트,
61, 62 : 링크, 132 : 상부채널,
133 : 하부채널, 150 : 지지채널의 중앙 웨브부,
151, 152 : 지지채널의 플랜지, 153 : 지지채널의 파지리브,
154 : 지지채널의 지지리브, 163 : 마감채너르이 중앙 웨브부,
164 : 마감채널의 지지구멍, 311, 321 : 슬라이더들의 체결공,
351 : 볼트(35)의 장공형 머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는, 양쪽 플랜지의 끝이 안쪽으로 굴곡된 채널형 빔 형태로 이루어지고 벽면에 세로로 고정되는 수직빔과; 상기 수직빔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일단이 피봇결합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일단이 피봇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제1링크의 대략 중간에 피봇결합되는 제2링크를 가진 링크기구와;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에 피봇결합되는 제3슬라이더와; 그리고, 상기 수직빔과 동형으로 형성되고 제3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횡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횡빔들의 앞쪽에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배치되어 그 단부를 파지함으로써 마감패널들을 협지함과 아울러 하단이 바닥에 설치되는 런너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채널들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채널에는 옷 등을 걸 수 있도록 행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행어들 중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는 두 행어 위에 선반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따르면, 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빔들에 슬라이더들 및 링크기구들을 이용하여 횡빔들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벽면이 울퉁불퉁하여 평탄하지 않더라도 횡빔들을 동일면상에 균일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횡빔들에 결합되어 마감패널들을 협지하는 지지채널들도 동일면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마감패널에 퍼티를 도포하여 퍼티 경화층을 샌딩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도 마감패널들이 동일면상에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는 한편 마감패널에 페인트 도장을 하거나 벽지를 바르는 등 별도의 마감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마감패널에 못질 등을 하여 행어를 지지시키거나 선반 등을 설치하지 않고 지지채널에 행어들을 간단하게 착탈하고 또 이 행어들을 이용하여 선반을 설치하여 물건들을 전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물건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마감패널들이 훼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2는 벽면(10)(도 5 참조)에 부착되는 수직빔으로서, 양쪽 플랜지(21,22)의 끝이 안쪽으로 굴곡된 채널형 빔 형태로 이루지고, 그 개방부가 벽면 앞쪽을 향하도록 벽면(10)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한 같이 벽면(10)에 부착되는 수직빔(2)의 앞쪽에는 다수 개의 슬라이더들(3,4,5) 및 링크기구(6)를 개재하여 수직빔(2)과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횡빔(7)이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볼 때 수직빔(2)과 횡빔(7)은 직교상태로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빔(2)과 횡빔(7)을 연결하기 위하여 3개의 슬라이더(3,4,5)가 사용되며, 상기 슬라이더들(3,4,5)은 그 형태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슬라이더들(3,4,5)에 대해서는 각각 다른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내지만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낸다(즉, 제2슬라이더(4) 및 제3슬라이더(5)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슬라이더(3)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슬라이더들(3,4,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플레이트부(31)와 상기 플레이트부(31)의 한 쪽면에 이와 일체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리브(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들(3,4,5)중 수직빔(2)에는 2개의 슬라이더(이하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로 나타낸다.)가 수직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이들은 수직빔(2)에 대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슬라이더(3)의 플레이트부(31) 및 제2슬라이더(4)의 플레이트부(3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311)이 각각 형성되고, 이 체결공(311)들을 통하여 플레이트부(31)들 및 수직빔(2)이 볼트(35)들 및 너트(36)들에 의하여 서로 결합됨으로써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가 수직빔(2)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각 볼트(35)는 머리부(351)가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머리부(351)의 길이방향과 수직빔(2)의 길이방향이 일치되도록 하여 볼트(35)의 머리부(351)를 수직빔(2)의 개방부를 통하여 수직빔(2)의 양쪽 플랜지(21,22) 사이로 삽입한 다음, 볼트(35)의 머리부(351)의 길이방향과 수직빔(2)의 길이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볼트(35)의 머리부(351)를 회전시키면, 볼트(35)의 머리부(351)가 수직빔(2)의 양쪽 플랜지(21,22)의 굴곡부(23)에 걸리게 되므로 볼트(35)의 머리부(351)가 수직빔(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한편 수직빔(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35)가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수직빔(2)에 배치되는 볼트(35)들의 나사부가 각각 제1슬라이더(3)의 플레이트부(31)와 제2슬라이더(4)의 플레이트부(31)의 체결공(311)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슬라이더(3)의 플레이트부(31)와 제2슬라이더(4)의 플레이트부(31)를 수직빔(2)의 개방부에 밀착시킨 다음 체결공(311)들을 관통하여 앞쪽으로 돌출되는 볼트(35)의 나사부에 너트(36)를 체결하면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가 수직빔(2)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빔(2)에 대한 적당한 위치로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를 각각 이동시킨 상태에서 볼트(35)들에 결합된 너트(36)들을 죄면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가 수직빔(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빔(2)과 횡빔(7)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링크기구(6)는 서로 결합되어 연동하는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를 가진다.
제1링크(61)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더(3)의 결합리브(32)에 피봇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3)의 결합리브(32)에는 체결공(3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여 제1링크(61)의 일단에도 체결공(61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들(321,611)이 일치하도록 제1링크(61)의 일단을 제1슬라이더(3)의 결합리브(32)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들(321,611)을 통하여 볼트(38)를 삽입하고 이 볼트(38)에 너트(39)를 결합하면 제1링크(61)가 제1슬라이더(3)에 상하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62)는 그 일단이 제2슬라이더(4)의 결합리브(32)에 피봇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하선회할 수 있다. 즉, 제2슬라이더(4)의 결합리브(32)에는 제1슬라이더(4)의 결합리브(32)에 형성된 체결공(321)과 동일하게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여 제2링크(62)의 일단에도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들이 일치하도록 제2링크(62)의 일단을 제2슬라이더(4)의 결합리브(32)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들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면 제2링크(62)가 제2슬라이더(4)에 상하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더(3)에 대한 제1링크(61)의 결합구조 및 방법과, 제2슬라이더(4)에 대한 제2링크(62)의 결합구조 및 방법은 서로 동일하다.
한편, 제2링크(62)의 자유단은 슬라이더들(3,4)에 대한 링크들(61,62)의 결합구조 및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1링크(61)의 대략 중간에 피봇결합된다. 즉, 제2링크(62)의 자유단과 제2링크(62)의 중간에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이 체결공들이 일치하도록 제2링크(62)의 자유단을 제2링크(62)의 중간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들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면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가 서로에 대하여 상하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가 상하로 선회가능한 한편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이 상하선회할 때에도 다른 쪽도 연동하여 상하선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가 연동하여 상하로 선회하게 되면 제1링크(61)의 자유단과 수직빔(2)과의 사이의 거리가 제1링크(61)의 선회각도에 따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링크(61) 및 제2링크(62)의 상하선회길이 및 제1링크(61)의 자유단과 수직빔(2)과의 사이의 거리 조절은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 사이의 거리가 연동되어 조절되므로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를 통하여 수직빔(2)에 지지되는 링크기구(6)중 제1링크(61)의 자유단에는 제3슬라이더(5)가 피봇결합된다. 이 제3슬라이더(5)의 제1링크에 대한 결합구조 및 방법은, 슬라이더들(3,4)에 대한 링크들(61,62)의 결합구조 및 방법과 동일하다. 즉, 제3슬라이더(5)의 플레이트부(31) 및 결합리브(32)에도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은 다른 슬라이더들(3,4)과 동일하며, 제3슬라이더(5)의 결합리브(32)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하여 제1링크(61)의 자유단에도 체결공이 형성됨에 따라, 제1링크(61)의 자유단에 형성된 체결공과 제3슬라이더(5)의 결합리브(32)에 형성된 체결공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1링크(61)의 자유단에 제3슬라이더(5)의 결합리브(32)를 밀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들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결합함으로써 제1링크(61)의 자유단에 대하여 상하선회가능하게 제3슬라이더(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링크(61)의 자유단에 상하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제3슬라이더(5)에는 횡빔(7)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 횡빔(7)과 제3슬라이더(5)와의 결합구조 및 방법은 수직빔(2)에 대한 슬라이더들(3,4)의 결합구조 및 방법과 동일하다. 즉, 횡빔(7)은 수직빔(2)과 동형으로 이루어지고, 제3슬라이더(5)의 플레이트부(31)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을 통하여 플레이트부(31) 및 횡빔(7)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제3슬라이더(5)에 횡빔(7)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볼트는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를 수직빔(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할 때 사용하는 볼트(35)와 같이 장공형상의 머리부를 가진 것이 사용되고, 이 볼트의 머리부의 길이방향과 횡빔(7)의 길이방향이 일치되도록 하여 볼트의 머리부를 횡빔(7)의 개방부를 통하여 횡빔(7)의 양쪽 플랜지 사이로 삽입한 다음, 볼트의 머리부의 길이방향과 횡빔(7)의 길이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볼트의 머리부를 회전시키면, 볼트의 머리부가 횡빔(7)의 양쪽 플랜지의 굴곡부에 걸리게 되므로 볼트의 머리부가 횡빔(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이 볼트의 나사부는 제3슬라이더(5)의 플레이트부(31)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제3슬라이더(5)에 볼트가 지지되는 한편 이 볼트의 머리부에 의하여 횡빔(7)이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빔(2)들 및 횡빔(7)들을 다수 개 설치하여 이들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한 다음 이것들을 이용하여 마감패널(11)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패널(11)들이 설치되는 면의 연직하방의 바닥(즉, 횡빔(7)들 앞쪽 바닥)에 런너(13)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런너(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각빔(131)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된 상부채널(132)이 형성되고 중공사각빔(131)의 저면에 하부가 개방된 하부채널(133)이 형성된 것으로서,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블록(14)이 하부채널(133)에 상부채널(13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닥에 착탈 및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14)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런너(13)의 상부채널(132)에 마감패널(11)들의 하단을 차례로 끼우면 마감패널(11)들이 상부채널(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로 좌우이동가능하다. 마감패널(11)로는 별도의 페인트 도장이나 벽지 시공 등의 마무리 공정이 필요없는 칩보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패널(11)들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감패널(11)들이 설치되는 면의 연직상방의 천정에 런너(13)를 더 설치하여 런너(13)의 하부채널(133)에 마감패널(11)들의 상단을 차례로 끼워 마감패널(11)들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런너(13)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패널(10)들을 평탄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좌우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고 양쪽 플랜지(151,152)의 끝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파지리브(153)가 각각 형성된 지지채널(15)이 채용된다. 이 지지채널(15)은 그 하단이 런너(13)의 상부채널(132)에 삽입됨으로써 런너(13)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며, 마감패널(11)들 사이마다 배치된다. 따라서 마감패널(11)들과 지지채널(15)들이 교대로 설치되어 밀착되면, 인접하는 마감패널들(11,11)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지지채널(15)의 양쪽 파지리브(153,153)에 의하여 파지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채널(15) 중앙의 웨브부(150)를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횡빔(7)에 고정하면 마감패널(11)들이 런너(13)로부터 유동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11)들의 배면이 횡빔(7)들의 앞면에 밀착되므로 마감패널(11)들이 동일면상에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링크기구(6)에 의하여 수직빔(2)에 대하여 제3슬라이더(5)들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벽면(10)이 울퉁불퉁하여도 제3슬라이더(5)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횡빔(7)들이 동일면상에 놓이도록 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횡빔(7)들에 고정되는 지지채널(15)들도 동일면상에 놓이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채널(15)들 사이에 협지되는 마감패널(11)들도 동일면상에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마감패널(11)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마감패널(11)에 못을 박거나 하는 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11)들이 평탄하게 배치되도록 마감패널(11)들에 별도로 퍼티를 도포하여 퍼티 경화층을 샌딩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마감패널(11)들을 협지하는 지지채널(15)들의 개방부를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마감패널(11)들 앞쪽에 선반등을 설치하여 물건을 놓아 전시하거나 옷을 걸어 전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채널(15)의 양쪽 플랜지(151,152)의 내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54)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형성되고, 이 지지리브(154)들 사이에는 중앙 웨브부(163)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구멍(164)이 형성된 마감채널(16)이 그 개방부가 지지채널(15)의 중앙 웨브부(150)를 향하도록 삽입된다. 마감채널(16)의 양쪽 플랜지(161,162)의 끝은 바깥쪽으로 약간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마감채널(16)을 지지채널(15)의 지지리브(154)들 사이로 완전히 삽입하면 마감채널(16)의 양쪽 플랜지(161,162)의 끝에 형성된 굴곡부가 지지채널(15)의 안쪽에 위치한 지지리브(154,154)의 배면에 각각 걸리게 되므로 마감채널(16)이 지지채널(15)로부터 이탈되지 않음과 아울러 마감채널(16)에 의하여 지지채널(15)의 양쪽 플랜지(151,152)가 안쪽으로 변형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채널(16)의 지지구멍(164)을 통하여 옷걸이 또는 행어(17)(이하 '행어'로 통칭함)의 단부를 끼워 행어(17)를 마감채널(16)의 전방으로 지지시켜 이 행어(17)에 옷을 걸어 전시하거나, 두 인접하는 마감채널(16)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구멍(164)들을 통하여 행어(17)를 각각 끼워 두 행어(17) 위에 선반(18)의 양단부를 지지시켜 선반(18)위에 물건을 놓거나 전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마감패널(11)들에 못 등을 박아 행어(17) 또는 선반(18)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마감채널(16)의 양쪽 플랜지(161,162)의 끝에 형성된 굴곡부들이 지지채널(15)의 지지리브(154)들에 걸려 전시되는 물건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행어(17)의 단부를 마감채널(16)의 지지구멍(164)으로부터 이탈시켜 다른 적절한 위치에 있는 지지구멍(164)에 꽂아 행어(17)의 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어 마감패널(11)들을 못질 등에 의하여 손상 또는 훼손시키지 않고 행어(17) 또는 선반(18)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에 있어서는, 벽면(10)이 울퉁불퉁하더라도 마감패널(11)들을 협지하기 위한 지지채널(15)을 고정하는 횡빔(7)들을 슬라이더들(3,4,5) 및 링크기구(6)들에 의하여 동일면상에 균일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감패널(11)들을 평탄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마감패널(11)들에 퍼티를 도포하여 샌딩하는 종래 드라이 월 공법과는 달리 마감패널(11)들의 배치상태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벽면 마감패널 시공에 필요한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퍼티 도포공정 및 퍼티 경화층 샌딩공정이 배제되므로 마감패널(11)들을 장식하기 위하여 마감패널(11)들에 페인트 도장이나 벽지를 바르는 마무리 공정이 배제되므로 작업인력, 작업시간 및 시공비를 더욱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이 오염될 염려가 없어 작업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고 또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마감패널(11)들의 앞쪽에 물건을 전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행어(17)나 선반(18) 등을 지지채널(15)에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의 위치에 행어(17)나 선반(18)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전시품들을 미려하게 전시할 수 있다.
또한, 행어(17)나 선반(18) 등에 전시되는 물건의 무게를 횡빔(7)에 고정되는 지지채널(15)이 마감채널(16)을 통하여 지지하고 있어 종래와 같이 물건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마감패널(11)들이 손상 또는 훼손되는 염려가 없는 한편 마감패널(11)들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으므로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양쪽 플랜지(21,22)의 끝이 안쪽으로 굴곡된 채널형 빔 형태로 이루어지고 벽면에 세로로 고정되는 수직빔(2)과;
    상기 수직빔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제1 및 제2슬라이더(3,4)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일단이 피봇결합되는 제1링크(61)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일단이 피봇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제1링크의 대략 중간에 피봇결합되는 제2링크(62)를 가진 링크기구(6)와;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에 피봇결합되는 제3슬라이더(5)와; 그리고,
    상기 수직빔과 동형으로 형성되고 제3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횡빔(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들(3,4,5)은 각각 체결공(311)이 형성된 플레이트부(31)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한 쪽면에 이와 일체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체결공(321)이 형성된 결합리브(32)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들(3,4,5)중 제1슬라이더(3) 및 제2슬라이더(4)는, 각각의 플레이트부(31)에 형성된 체결공(311)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35)의 나사부에 너트(36)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35)의 머리부(351)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수직빔(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직빔(2)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3)의 결합리브(32) 및 제2슬라이더(4)의 결합리브(32)는 각각 볼트(38) 및 너트(39)에 의하여 제1링크(61)의 일단 및 제2링크(62)의 일단에 차례로 피봇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들(3,4,5)중 제3슬라이더(5)는, 그 플레이트부(31)에 형성된 체결공(311)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35)의 나사부에 너트(36)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35)의 머리부(351)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횡빔(7)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횡빔(7)이 제3슬라이더(5)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3슬라이더(5)의 결합리브(32)는 볼트(38) 및 너트(39)에 의하여 제1링크(61)의 자유단에 피봇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빔(7) 앞쪽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지지블록(14)과;
    상기 지지블록(14)이 삽입되는 하부채널(133)과 상부채널(132)을 가져 상기 지지블록(14)에 착탈 및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런너(13)와; 그리고,
    상기 런너(13)에 하단이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전방이 개방되고 양쪽 플랜지(151,152)의 끝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상기 런너(13)에 하단이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마감패널(11)들중 두 마감패널(11,11)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를 파지하도록 파지리브(153)가 각각 형성되며 중앙의 웨브부(150)가 횡빔(7)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채널(1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채널(15)의 양쪽 플랜지(151,152) 내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5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형성되고,
    이 지지리브(154)들 사이에는, 행어(17)의 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구멍(164)이 중앙 웨브부(163)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마감채널(16)이 그 개방부가 지지채널(15)의 중앙 웨브부(150)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KR2020000002275U 2000-01-27 2000-01-27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KR200186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75U KR200186963Y1 (ko) 2000-01-27 2000-01-27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75U KR200186963Y1 (ko) 2000-01-27 2000-01-27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963Y1 true KR200186963Y1 (ko) 2000-06-15

Family

ID=1963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75U KR200186963Y1 (ko) 2000-01-27 2000-01-27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9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8B1 (ko) *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CN114250601A (zh) * 2022-01-13 2022-03-29 严阳钊 一种建筑窗口用折叠式挡雨晾衣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8B1 (ko) *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CN114250601A (zh) * 2022-01-13 2022-03-29 严阳钊 一种建筑窗口用折叠式挡雨晾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49B2 (en) Article hanging system, slidable wire holder, detachable wire holder, wire hook and wire gripper
US6090204A (en) Door finishing support fixture
JP2005163528A (ja) 可撓性のあるシート材を含むパネルシステムのフレーム用の細長いエレメント
SK288315B6 (sk) Držiaky obkladov a multifunkčný obkladový systém
KR200186963Y1 (ko) 벽면 마감패널 시공장치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JPH0626176A (ja) 壁パネルの貼付け工法および壁パネルの張付け用支持金具
SK7002003A3 (sk) Konštrukčný systém na upevňovanie obkladov
CN211114237U (zh) 一种整体隔墙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US200201848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ing a frame/panel to a substrate
JP3070863U (ja) 間仕切りユニット
JPH10227094A (ja) 二重天井仕上げパネル材の取付具
CN211114253U (zh) 一种锁件
CN211774819U (zh) 一种墙面
CN211774818U (zh) 一种隔墙
KR200145770Y1 (ko) 실내의 천정판넬 부착장치
JP3453037B2 (ja) 壁面仕上げパネル材突き合わせ部の装飾モール
JP3974914B2 (ja) 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JP3911281B2 (ja) 可動コマ用バネと、そのバネを使用したレール用可動コマと、その可動コマ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JPH10227095A (ja) 二重天井仕上げパネル材突き合わせ部の装飾モール
JPH06240804A (ja) 天井仕上材の連結構造
JPH10227093A (ja) 二重天井下地工法
JP3079369U (ja) 幕体開閉装置の取付け構造
JP2554874B2 (ja) 吊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