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899Y1 -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899Y1
KR200186899Y1 KR2020000000504U KR20000000504U KR200186899Y1 KR 200186899 Y1 KR200186899 Y1 KR 200186899Y1 KR 2020000000504 U KR2020000000504 U KR 2020000000504U KR 20000000504 U KR20000000504 U KR 20000000504U KR 200186899 Y1 KR200186899 Y1 KR 200186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ormwork
panel
ed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00000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이나 건물 건축공사시에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벽체를 형성 할 때 사용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며 뒤틀림이 없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거푸집은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가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에서 상부패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수직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되는 하부패널과, 상기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연결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푸집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A Sheeting}
본 고안은 토목이나 건물 건축공사시에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벽체를 형성 할 때 사용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며 뒤틀림이 없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콘크리트를 포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은 건물을 형성하는 벽체의 모양이나 형상에 따라 나무판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외형을 형성한후 벽체의 외형으로 형성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콘크리트가 거푸집 내부에서 양생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되는 나무판 거푸집은 콘크리트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무게가 무거워져서 거푸집을 이동하기가 어려웠으며 거푸집을 여러개 설치할때는 나무판과 다른 나무판에 못을 박아 거푸집을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거푸집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벼운 PDF(폴리에틸렌 더블 페이스)나 FRP(유리 섬유 강화 프라스틱)를 사용하여 운반과 보관이 쉬운 거푸집을 생산 및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PDF(폴리에틸렌 더블 페이스)나 FRP(유리 섬유 강화 프라스틱)으로 형성된 거푸집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포설하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외부온도와 자외선에 의해서 거푸집이 변형되어 건물의 외형을 형성하는 거푸집으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이 가벼워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거푸집을 연속으로 고정할때 거푸집과 다른 거푸집을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이 적용되는 거푸집은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가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에서 상부패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수직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되는 하부패널과,
상기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연결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푸집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상부패널의 기판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 1연결부에 조립되는 제 1조립부와,
하부패널의 기판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 2연결부에 조립되는 제 2조립부와,
상기한 제 1조립부와 제 2조립부를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기판으로 연결하는 연장패널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1개 이상 조립된다.
제 1연결부 또는 제 2조립부는 기판의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한 걸림턱의 안쪽에서 기판과 수직되게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에는 삽입홈을 형성한다.
제 2연결부 또는 제 1조립부는 제 1연결부 및 제 2조립부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이 단부에 형성되며,
고정턱 안쪽에는 기판과 수직되게 돌출되면서 제 1연결부 및 제 2조립부에 돌출되며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목이나 건물 건축공사시에 벽체의 틀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거푸집(1)의 상단부에는 상부패널(2)이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패널(2)에는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포설될때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기판(22)이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패널(2)의 기판(22) 일측 단부에는 기판(22)과 수직되게 소정의 길이로 테두리(2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21) 중앙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홈(7)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중앙에 연결홈(7)이 형성된 테두리(2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된 기판(22)의 반대쪽 단부에는 제 1연결부(2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 1연결부(23)의 단부에는 걸림턱(24)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턱(24)의 안쪽에는 기판(22)과 수직되게 돌출되는 제 1연결부(23)의 돌출된 단부에 삽입홈(25)을 형성한다.
상기한 상부패널(2)에 형성된 제 1연결부(23)와 연결되며 상부패널(2)의 대항측에 놓여지는 하부패널(4)은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기판(42)에서 상부패널(2)과 반대되는쪽의 단부에 테두리(41)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다.
상기 하부패널(4)의 일측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테두리(41)의 중앙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홈(7)이 2개 이상 형성된다.
기판(42)의 일측에 테두리(41)가 형성된 하부패널(4)의 반대쪽에는 제 2연결부(43)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 2연결부(43)의 단부에는 제 1연결부(23)의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24)에 고정되는 고정턱(34)이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턱(34)의 안쪽에는 기판(42)과 수직되게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다시 고정턱(34)쪽으로 수직되게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고정부재(35)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 2연결부(43)에 형성되는 고정부재(35)의 단부에는 제 1연결부(23)의 삽입홈(2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36)가 형성된다.
상기한 소정의 면적을 이루는 기판(22)의 일측단부에 테두리(21)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제 1연결부(23)가 형성된 상부패널(2)과 소정의 면적을 이루는 기판(42)에서 상부패널(2)과 반대되는쪽 단부에 테두리(41)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제 2연결부(43)가 형성되는 하부패널(4) 사이에는 연장패널(3)이 조립된다.
상기한 연장패널(3)은 소정의 면적을 이루는 기판(32)의 일측에 제 1조립부(33)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제 2조립부(34)가 형성된다.
연장패널(3)의 기판(32) 일측에 형성된 제 1조립부(33)는 하부패널(4)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제 2연결부(43)의 구조와 같이 상부패널(2)에 형성된 제 1연결부(23)의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걸림턱(24)에 고정가능한 고정턱(34)이 형성되며 고정턱(34)의 안쪽에는 기판(32)과 수직되게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 1조립부(33)에서 고정턱(34)쪽으로 수직으로 꺽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5)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재(35)의 단부에는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삽입가능한 고정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조립부(33)가 형성된 연장패널(3)의 기판(32) 반대쪽에는 제 2조립부(34)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 2조립부(34)는 하부패널(3)에 형성된 제 2연결부(43) 또는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와 같이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4)이 형성되며 상기한 걸림턱(24)의 안쪽에서 기판(32)과 수직되게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 2조립부(34)의 단부에 삽입홈(25)을 형성한다.
상기한 제 1조립부(33)의 구성은 상기한 제 2연결부(4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 2조립부(34)는 상기한 제 1연결부(23)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거푸집(1)은 상기한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와 하부패널(4)의 제 2연결부(43)를 연결하여 거푸집(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의 사이에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와 제 2조립부(34)를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와 하부패널(4)의 제 2연결부(43)를 연결하면서 1개 이상의 연장패널(3)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의 테두리(21)(41)가 돌출된 방향에는 2개 이상의 보강편(6)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보강편(6)은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이 연결되는 길이방향을 고정되며 상기한 보강편(6)에는 제 1연결부(23)와 제 2연결부(43) 및 제 1조립부(33)와 제 2조립부(34)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여 조립한다.
상기 보강편(6)은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테두리(21)(41)에서 제 1연결부(23)나 제 2연결부(43)까지의 길이많큼 절단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보강편(6)은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 및 연장패널(3)이 고정되어 형성되는 거푸집(1)에 테두리(21)(41)의 돌출방향으로 고정되는 보강편(6)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푸집(1)의 양측단부에는 마감재(5)를 고정한다.
상기 마감재(5)의 중앙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연결홈(7)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5)는 거푸집(1)과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한 거푸집(1)의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의 테두리(21)(41)에 형성된 연결홈(7)은 다른 상부패널(2) 또는 하부패널(4)을 연결할때 사용되며 상부패널(2)이나 하부패널(4)의 테두리(21)(41)를 밀착시켜 연결홈(7)을 일치시킨후 연결부재(8)를 연결홈(7)에 관통시켜 다른 거푸집(1)의 상부패널(2) 및 하부패널(4)을 고정하며, 마감재(5)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홈(7)에도 다른 거푸집(1)의 마감재(5)를 밀착시켜 연결부재(8)로 연결한다.
상기한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 및 연장패널(3)과 보강편(6)은 가볍고 단단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거푸집(1)을 형성하는 상부패널(2)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연결부(23)에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패널(4)에 형성된 제 2연결부(43) 또는 연장패널(3)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조립부(33)에 형성된 고정부재(35)의 고정구(36)를 제 1연결부(23)의 삽입홈(25)에 삽입한후 삽입된 연장패널(3)이나 하부패널(4)을 회전시켜 제 1조립부(33) 또는 제 2연결부(43)의 고정턱(34)이 제 1연결부(23)의 걸림턱(24)과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된다.
작은 거푸집(1)을 형성할때는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지만 큰 거푸집(1)이 필요할때는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에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의 고정부재(35)에 형성된 고정구(36)를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삽입한후 연장패널(3)을 회전시켜 제 1연결부(23)에 형성된 걸림턱(24)에 제 1조립부(33)의 고정턱(34)이 맞물리게 고정한다.
다른 연장패널(3)을 상기한 연장패널(3)에 고정할때는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와 고정된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 반대쪽에 형성된 제 2조립부(34)에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에 형성된 고정부재(35)의 고정구(36)를 연장패널(3)의 제 2조립부(34)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삽입한후 연장패널(3)을 회전시켜 고정턱(34)과 걸림턱(24)을 맞물려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많큼 연장패널(3)을 고정한후에는 연장패널(3)의 제 2조립부(34)에 하부패널(4)의 제 2연결부(43)에 형성된 고정부재(35)의 고정구(36)를 제 2조립부(34)의 삽입홈(25)에 삽입하여 회전시켜 연장패널(3)의 걸림턱(24)과 하부패널(4)의 고정턱(34)을 맞물리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 및 연장패널(3)이 고정되면 상부패널(2)과 하부패널(4)의 연결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편(6)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한 보강편(6)과 상부패널(2)의 제 1연결부(23)와 하부패널(4)의 제 2연결구(43) 및 연장패널(3)의 제 1조립부(33)와 제 2조립부(34)가 기판(22)(32)(42)에서 수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포설되도 기판(22)(32)(42)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보강편(6)이 상부에 고정된 거푸집(1)의 양측 단부에는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7)이 형성된 마감재(5)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1)이 완성되면 상기 거푸집(1)을 상부패널(2)의 테두리(21)와 하부패널(4)의 테두리(41) 및 마감재(5)에 다른 거푸집(1)을 상.하.좌.우에 밀착시켜 연결홈(7)에 연결부재(8)를 관통하여 고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거푸집을 나무로 사용하지 않고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운반과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므로 거푸집 설치시 이행제를 기판에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콘크리트 양생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거푸집을 상호 연결할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쉽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가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일측에서 상부패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테두리가 소정의 길이로 수직 돌출되며, 상기한 테두리의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테두리가 형성된 기판의 대항측 단부에 제 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되는 하부패널과,
    상기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연결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푸집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중앙에 다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패널의 기판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 1연결부에 조립되는 제 1조립부와,
    하부패널의 기판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 2연결부에 조립되는 제 2조립부와,
    상기한 제 1조립부와 제 2조립부를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기판으로 연결하는 연장패널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1개 이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연결부 또는 제 2조립부는 기판의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한 걸림턱의 안쪽에서 기판과 수직되게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에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연결부 또는 제 1조립부는 제 1연결부 및 제 2조립부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되는 고정턱이 단부에 형성되며,
    고정턱 안쪽에는 기판과 수직되게 돌출되면서 제 1연결부 및 제 2조립부에 돌출되며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KR2020000000504U 2000-01-10 2000-01-10 거푸집 KR200186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04U KR200186899Y1 (ko) 2000-01-10 2000-01-10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04U KR200186899Y1 (ko) 2000-01-10 2000-01-10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899Y1 true KR200186899Y1 (ko) 2000-06-15

Family

ID=1963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04U KR200186899Y1 (ko) 2000-01-10 2000-01-10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8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787B1 (ko) * 2001-08-25 2004-11-12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콘크리트 거푸집널
KR100469849B1 (ko) * 2002-09-04 2005-02-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0777131B1 (ko) * 2006-04-04 2007-11-21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거푸집
KR20120043738A (ko) * 2009-06-11 2012-05-04 알루마 시스템스 아이앤씨. 콘크리트 형성 패널
WO2018084390A1 (ko) * 2016-11-07 2018-05-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787B1 (ko) * 2001-08-25 2004-11-12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콘크리트 거푸집널
KR100469849B1 (ko) * 2002-09-04 2005-02-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0777131B1 (ko) * 2006-04-04 2007-11-21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거푸집
KR20120043738A (ko) * 2009-06-11 2012-05-04 알루마 시스템스 아이앤씨. 콘크리트 형성 패널
KR101689046B1 (ko) * 2009-06-11 2016-12-22 알루마 시스템스 아이앤씨. 콘크리트 형성 패널
WO2018084390A1 (ko) * 2016-11-07 2018-05-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249A (en) Foam block wall and fabrication method
US6212849B1 (en) Pultruded fiberglass reinforced shear panel
GB2314351A (en) Supports for floor, wall or ceiling claddings
KR20040062642A (ko)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패널
KR100682310B1 (ko) 콘크리트 거푸집
KR200186899Y1 (ko) 거푸집
JP3709276B2 (ja) 壁体構造物
KR100438756B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JP2736595B2 (ja) 組立式の下地材
CN217268808U (zh) 一种碳纤维建筑模板装置
KR100258782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CN219638209U (zh) 一种集成装配式结构体系
KR960007037Y1 (ko)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JP3848873B2 (ja) 建物の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型枠
JP3607745B2 (ja) 建築用パネル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2004346569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コーナー型枠
KR200258316Y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JP3392030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補強構造
JP3507195B2 (ja) 床構成体
JP2001090311A (ja) 成形出隅柱及びその施工構造
JP3056990U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その結合構造
KR970005534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H07224513A (ja) 床構成体
KR200236235Y1 (ko) 천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