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37Y1 -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37Y1
KR960007037Y1 KR2019930007089U KR930007089U KR960007037Y1 KR 960007037 Y1 KR960007037 Y1 KR 960007037Y1 KR 2019930007089 U KR2019930007089 U KR 2019930007089U KR 930007089 U KR930007089 U KR 930007089U KR 960007037 Y1 KR960007037 Y1 KR 960007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panel
panel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946U (ko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김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철 filed Critical 김태철
Priority to KR2019930007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37Y1/ko
Publication of KR940024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제1도는 본 고안의 합성 수지 패널의 사시도.
제2도는 2개의 패널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2 : 밑판
3, 4 : 측벽3A 4A : 핀 홀
3B, 4B : 못 구멍5 : 받침벽
6 : 지지목6A : 작업 홀
8 : 핀
본 고안은 건축 공사용 합성수지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벽 공사를 할 때 콘크리트 패널로 주로 나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콘크리트 패널을 나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무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고, 또한 원하는 작업 구조의 형상을 만들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며, 일단 작업이 완료되면 여기에 사용된 나무는 재생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나 작업 능률면에서 큰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 간편하고 반 영구적이며 재생가능한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패널에 따르면, 콘크리트 공사시에 지지용 나무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 규모에 따라서 패널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 및 시간이 절약됨은 물론 사용후 재생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합성수지 패널(1)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예정된 길이를 가진 밑판(2)이 형성되고, 이 밑판(2)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된 세로 및 가로 측벽들(3 및 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 측벽(3)들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서로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받침벽(5)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 측벽(4)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었다. 상기 각각의 부재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벽(5)은 합성수지 패널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벽들(5)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지지목(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목(6)의 몸체상에는 소정수의 작업 홀(6A)이 관통하여 뚫려 있다. 이 작업 홀(6A)은 일반 콘크리트 공법시에 사용되는 지지 파이프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후에 설명키로 한다.
한편, 패널의 세로 및 가로 측벽들(3 및 4)의 몸체에는 측방향으로 다수의 핀 홀(3A 및 4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몸체의 상면 및 측면에는 다수의 못구멍(3B 및 4B)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작업 규모에 따라서 패널 1개 이상을 사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다수의 패널을 좌우 또는 상하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즉, 연결사용시에는 세로 또는 가로 측벽(3 또는 4)을 맞댄상태에서 이들 몸체에 형성된 핀 홀(3A 또는 4A)에 슬릿(8B)이 있는 핀(8)을 끼운 다음 고정 쐐기(8A)로 고정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측벽들(3 및 4)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못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는 작업중 필요시 나무 패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못을 박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작업 공간이 넓을 경우 제2도와 같이 상하 좌우로 다수의 패널(1, 1A 및 1B …)을 다수의 핀(8)에 의해 조립한 후 공사를 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이들간의 일정한 지지를 보강해 주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기다리나 파이프(7)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들은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목(6)의 작업 홀(6A)상에 설치하고 볼트등을 상기 홀(6A)을 통하여 밑판에 관통되게 끼워서 파이프를 고정시키면, 이들 파이프에 의해 조립된 패널 등은 작업 대상 벽과 측방향으로 일정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2개의 패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만을 도시하였는데, 복수의 패널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패널에 따르면, 콘크리트 공사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나무의 손실을 방지하고, 일체식으로 다수 조립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시간이 절약되며, 특히 사용후 재생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축 공사용 합성수지 패널에 있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예정된 길이를 가진 밑판(2)과, 상기 밑판(2)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각기 형성되고, 각각의 몸체 측면에는 다수의 핀홀(3A 및 4A)및 상면 및 측면에는 다수의 못구멍(3B 및 4B)이 형성되어 있는 세로 및 가로 측벽들(3 및 4)과, 상기 세로 측벽들(3) 사이에서 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로 측벽들(4)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자신들 서로에 대하여 일정길이로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받침벽(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벽들(5)사이에는 이에 평행하고 상기 가로 측벽들(4)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몸체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작업 홀(6A)을 가진 지지목(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용 합성수지 패널.
KR2019930007089U 1993-04-30 1993-04-30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KR960007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089U KR960007037Y1 (ko) 1993-04-30 1993-04-30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089U KR960007037Y1 (ko) 1993-04-30 1993-04-30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946U KR940024946U (ko) 1994-11-17
KR960007037Y1 true KR960007037Y1 (ko) 1996-08-16

Family

ID=1935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089U KR960007037Y1 (ko) 1993-04-30 1993-04-30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71B1 (ko) * 2009-10-14 2013-11-15 (주)엘지하우시스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71B1 (ko) * 2009-10-14 2013-11-15 (주)엘지하우시스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946U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0283B2 (en) Prefabricated finishing module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 constructions and building constructions obtained thereby
ATE81176T1 (de) Baukoerper.
CN210947277U (zh) 一种免副龙骨的轻钢龙骨隔墙
KR100682310B1 (ko) 콘크리트 거푸집
GB1332371A (en) Shuttering
KR960007037Y1 (ko)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US4643387A (en) Formwork system
US3292329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0186899Y1 (ko) 거푸집
JP3056067B2 (ja) 折り畳み式の天井パネル
JP2725165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JPH031530Y2 (ko)
ATE192530T1 (de) Schalungselement
US2854841A (en)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178991Y1 (ko) 구조물용 조립부재
JP3018685U (ja) 耐力壁パネル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950009614B1 (ko) 조립식 벽판
JPS6143854Y2 (ko)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JPS603151Y2 (ja) 合成樹脂土台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SU6059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конструк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1105

Effective date: 1999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1105

Effective date: 19990227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90423

Effective date: 2000090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423

Effective date: 2000090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125

Effective date: 20010125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20010125

Effective date: 2001012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