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371B1 -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371B1
KR101330371B1 KR1020090097536A KR20090097536A KR101330371B1 KR 101330371 B1 KR101330371 B1 KR 101330371B1 KR 1020090097536 A KR1020090097536 A KR 1020090097536A KR 20090097536 A KR20090097536 A KR 20090097536A KR 101330371 B1 KR101330371 B1 KR 10133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panel body
synthetic resi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319A (ko
Inventor
윤용훈
윤인세
김희준
박명철
정기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9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3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 수지 거푸집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은 압축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 재질의 보강리브 일체형 패널(10)로, 사방 둘레에 직각으로 연장 절곡된 측벽(11)을 갖는 직사각형 패널본체(12);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격자구조의 보강리브(13); 필요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에 표시된 눈금선(14)과 절단선(15); 및 상기 패널본체의 또 다른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굽힘강성, 굽힘탄성율,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합판 대비 전용회수가 크고, 콘크리트와 거의 결합하지 않아 콘크리트 슬라브의 우수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채광성이 우수하여 거푸집 설치 후 그 아래 공간에서 다른 작업시 추가적인 조명장치가 필요없고, 무게가 가벼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슬라브,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LFT, 보강리브, 절단선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Construction Mold Plastic Panel For Concrete Slab}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합판 대비 전용회수가 크고, 콘크리트 슬라브의 우수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채광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 슬라브 및 기둥 등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먼저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안에 미경화 콘크리트를 주입한 다음, 그 주입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거푸집은 주로 굽힘응력 등이 우수한 목재 패널(합판)로 설치되는데, 목재 특성상 내수성 및 내구성이 떨어져 전용 횟수가 높지 않고, 주입된 콘크리트 경화 후 탈착시 콘크리트와의 강한 결합력으로 인해 제작되는 슬라브 등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거푸집 패널로 코팅처리된 합판을 사용하기도 하나, 전용 횟수가 10을 넘기기 어렵고, 폐자재가 많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이 문제되며, 빛이 투과되지 못하 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후 그 아래 공간에서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조명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그외 거푸집 패널로 가공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패널이 개시되었으나, 슬라브 등의 시공시 하중에 대한 응력이 취약하여 그 자체만으로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등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합판 대비 전용회수가 크고, 콘크리트 슬라브의 우수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채광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 수지 거푸집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은 압축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 재질의 보강리브 일체형 패널(10)로, 사방 둘레에 직각으로 연장 절곡된 측벽(11)을 갖는 직사각형 패널본체(12);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격자구조의 보강리브(13); 필요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에 표시된 눈금선(14)과 절단선(15); 및 상기 패널본체의 또 다른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 수지 거푸집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은 압축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 재질의 보강리브 일체형 패널(10)로, 사방 둘레에 직각으로 연장 절곡된 측벽(11)을 갖는 직사각형 패널본체(12);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격자구조의 보강리브(13); 필요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본체의 일면에 표시된 눈금선(14)과 절단선(15); 및 상기 패널본체의 또 다른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바닥일 수 있다.
상기 압축성형은 금형 및 프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은 LFT-D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마이드(PA) 및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장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천연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LFT-D 공정은 구체적인 일례로, 독일의 디펜바커(Dieffenbache r)사의 LFT-D(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Direct compounding, 이하 LFT-D) 공정일 수 있는데, 이는 연속공정이 가능하고 각 단계가 단순화되어 다른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경제적이고,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열화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패널본체(12)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거푸집의 강성, 종래의 목재 패널이나 합성수지 패널 등과의 호환성 및 자중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2~12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3)는 격자구조로 상기 패널본체(12)의 굽힘 강성을 보완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거푸집의 강성 및 종래의 목재 패널이나 합성수지 패널 등과의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높이가 6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눈금선(14)은 별도의 길이를 재는 도구 없이도 필요한 크기만큼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일면에 직선상으로 표시된 눈금이다.
상기 절단선(15)은 별도의 선을 그을 필요 없이 원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일면에 표시된 일직선이다.
상기 체결공(16)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는 거푸집 시공시 목수들의 못질을 용이하게 하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못박음용 구멍이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고,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전면(평면도)을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후면(평면도)을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은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거푸집용 합성수지 판의 KS규격(SPEC)을 기준으로 가열길이 변화율 및 휨강성 변화량이 현저히 낮고, 내열강성이 뛰어나며, 내충격성이 충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굽힘강성, 굽힘탄성율,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합판 대비 전용회수가 크고, 콘크리트와 거의 결합하지 않아 콘크리트 슬라브의 우수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채광성이 우수하여 거푸집 설치 후 그 아래 공간에서 다른 작업시 추가적인 조명장치가 필요없고, 무게가 가벼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제1 압출기(21)와 제2 압출기(22)로 이루어진 LFT-D 압출기(20), 이로부터 제조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랜드(30), 이 스트랜드를 제품으로 성형하는, 금형(41)과 프레스(42)로 이루어진 성형기(40) 및 최종 거푸집 패널 제품(10)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101) 및 첨가제(102)를 단일 스크류를 포함하는 제1 압출기(21)에 투입하여 용융혼련시킨 다음, 이를 제2 압출기(22)로 이송시켰다.
상기 용융혼련시 가공온도 및 회전속도(rpm)는 투입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첨가제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가공온도 및 회전속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균일하게 혼련될 수 있는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압출기(21)로부터 이송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연속상태로 투입되는 보강섬유(103)를 트윈 스크류를 포함하는 제2 압출기(22)에서 혼련시킨 다음, 압출다이(23)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랜드(30)를 제조하였다
상기 보강섬유(103)는 혼련시 적당한 크기의 장섬유로 잘라져 압출다이(23)를 통해 압출되는 상기 스트랜드(30)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한다.
상기 스트랜드(30)를 연속적으로 상기 성형기(40)로 이송시킨 다음, 금형(41)에 투입하고, 이를 프레스(42)로 압축 성형하여 최종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10)을 제조하였다. 상기 모든 공정은 연속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전면(평면도)을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10)의 전면은 사방 둘레에 직각으로 연장 절곡된 측벽(11)을 갖는 직사각형 패널본체(12), 격자구조의 보강리브(13), 패널본체의 전면에 표시된 눈금선(14) 및 절단선(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 패널(10)은 종래의 목재 패널 또는 합성수지 패널과의 호환을 위해 606mmx1818mmx12mm 크기로 제작되었고, 이때 보강리브의 높이는 6~10mm이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후면(평면도)을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50)의 후면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체결공(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공(16)은 원형의 구멍으로 직경 5 mm 및 깊이 2 mm로 제작되었다.
[ 시험예 ]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제품 성능을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소에 의뢰하여 KS F 5650(거푸집용 합성수지 판의 KS규격)에 의거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SPEC(KS 규격) 실시예
가열길이 변화율 ±0.2 % 이내 0.06 %
내열강성 시험 하중비 0.6 이상 하중비 1.7
내충격성 깨짐이 없을 것 깨짐 없음
휨강성 변화량 30 mm 이내 16.5 mm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실시예)은 거푸집용 합성수지 판의 KS규격(SPEC)을 기준으로 가열길이 변화율 및 휨강성 변화량이 현저히 낮고, 내열강성이 뛰어나며, 내충격성이 충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11: 패널의 측벽
12: 패널본체 13: 보강리브
14: 눈금선 15: 절단선
16: 체결공 20: LFT-D 압출기
21: 제1 압출기 22: 제2 압출기
23: 압출다이
30: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랜드
40: 성형기 41: 금형
42: 프레스 101: 열가소성 수지
102: 첨가제 103: 보강섬유

Claims (3)

  1.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은 LFT-D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랜드(30)를 압축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 재질의 보강리브 일체형 패널(10)로,
    일면에 사방 둘레에 직각으로 연장 절곡된 측벽(11)을 갖는 직사각형의 패널본체(12);
    상기 패널본체(12)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벽(11)에 일체로 연결된 격자구조의 보강리브(13);
    상기 패널본체(12)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측벽(11)과 동일한 높이로 일체로 연결된 격자구조의 눈금선(14);
    상기 패널본체(12)와 상기 측벽(11)을 전체로 가로지르는 격자구조의 눈금선(14) 상에 형성된 절단선(15); 및
    상기 패널본체(12)의 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패널본체(12)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6);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3)의 높이와 보강리브(13) 간 간격은 상기 눈금선(14)의 높이 및 눈금선(14) 간 간격보다 작고,
    상기 패널본체(12) 일면에는 체결공(16) 반대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에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PP, PA 및 AB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장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2)는 두께가 2 내지 12 ㎜이고, 상기 보강리브(13)는 높이가 6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KR1020090097536A 2009-10-14 2009-10-14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KR10133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36A KR101330371B1 (ko) 2009-10-14 2009-10-14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36A KR101330371B1 (ko) 2009-10-14 2009-10-14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19A KR20110040319A (ko) 2011-04-20
KR101330371B1 true KR101330371B1 (ko) 2013-11-15

Family

ID=4404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536A KR101330371B1 (ko) 2009-10-14 2009-10-14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5B1 (ko) 2016-07-05 2017-03-09 시지이엔씨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51B1 (ko) * 2018-10-04 2020-03-06 이윤경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폼 패널
CN113701821B (zh) * 2021-09-01 2024-03-05 西南科技大学 一种基于局部特征的建筑铝模板识别结构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37Y1 (ko) * 1993-04-30 1996-08-16 김태철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JPH09151603A (ja) * 1995-11-22 1997-06-10 Hazama Gumi Ltd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KR200164226Y1 (ko) * 1999-07-28 2000-02-15 마정래 콘크리트거푸집
KR200442878Y1 (ko) * 2008-02-29 2008-12-17 서보산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37Y1 (ko) * 1993-04-30 1996-08-16 김태철 건축 공사용 합성 수지 패널
JPH09151603A (ja) * 1995-11-22 1997-06-10 Hazama Gumi Ltd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KR200164226Y1 (ko) * 1999-07-28 2000-02-15 마정래 콘크리트거푸집
KR200442878Y1 (ko) * 2008-02-29 2008-12-17 서보산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5B1 (ko) 2016-07-05 2017-03-09 시지이엔씨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19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887B1 (ko) 천연석재 장식마감용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장식마감재
US5606832A (en) Connectors used in making highly insulated composite wall structures
KR101330371B1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KR20110099468A (ko)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5336720B2 (ja) 建築・土木用パネル
CN211850325U (zh) 复合板
WO2012147065A2 (en) Sound-absorbing panel, sound barrier comprising said sound-absorb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ound-absorbing panel
CN1296104A (zh) 双纤维增强石膏板及其生产工艺
CN108312663A (zh) 一种高抗冲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CN2651340Y (zh) 塑木-聚苯乙烯复合墙体
KR200268239Y1 (ko)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JPH07108582A (ja) 一体型高強度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5043A (ja) 合成樹脂積層体及び枕木
CN101722640A (zh) 一种建筑模板板材的制备方法
KR101436802B1 (ko) 기능성 및 친환경 목분 복합체를 이용한 벽체 차음벽과 그의 제조방법
US9951502B2 (en) Basin moulding, for example a kitchen sink, a washbasin or the lik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asin moulding
KR20150130754A (ko) 벽체용 거푸집
JP6659291B2 (ja) 建築板
KR20170086846A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KR101447243B1 (ko)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14958Y1 (ko) 거푸집 패널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CN211559408U (zh) 石塑板
CN209742354U (zh) 一种木芯包塑建筑模板
CN106677411A (zh) 长线法生产预制构件及生产该产品的模具及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