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16Y1 - 간병용 침대 - Google Patents

간병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16Y1
KR200186116Y1 KR2020000002017U KR20000002017U KR200186116Y1 KR 200186116 Y1 KR200186116 Y1 KR 200186116Y1 KR 2020000002017 U KR2020000002017 U KR 2020000002017U KR 20000002017 U KR20000002017 U KR 20000002017U KR 200186116 Y1 KR200186116 Y1 KR 200186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water
toilet
storage tank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광근
Original Assignee
곽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광근 filed Critical 곽광근
Priority to KR2020000002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상에서 거동이 부자유스런 환자의 배변, 배뇨 및 샤워 등이 가능하고 배변, 배뇨 처리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간병용 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침대 상판에 뚜껑으로 연계 형성된 배변구와,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설치된 수세식 변기와, 침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로 급수하기 위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변기에서 배출된 분뇨 중의 슬러지를 걸러주는 교환식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후단에 배관 연결되어 저류조에서 분뇨 처리된 후 배출된 수분을 보관하는 수분 보관조와, 상기 수분 보관조 내에 보관된 수분의 충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과, 상기 수분 보관조 내의 수분을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와,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액상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수단과,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분사수단과, 사용자 둔부를 온풍 건조하기 위한 온풍건조기가 구비되며, 상기 침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침대 상부의 환경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기 위한 커텐이 권취된 커텐롤과, 상기 커텐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이 로프에 매달려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와,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승강바를 승,하강시키는 로프롤이 포함된 구성이다.

Description

간병용 침대{A bed for nursing}
본 고안은 거동이 부자유스런 환자의 배변, 배뇨 및 샤워 등을 편안한 심리상태로 침상 내에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배변, 배뇨 처리를 위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간병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침대에는 환자의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보조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간이 변기를 침대 하부에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소변을 해결하곤 하였다.
그러나, 화장실까지 이동하기에는 환자 자신이나 보조원의 고충이 크다. 또,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냄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고 간이 변기를 치우는 사람에게 위생상으로 좋지 않으며 환자 자신이 주변의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 심리상태에서 편안한 배변 및 배뇨가 가능한데 지금까지의 침대에는 이러한 환자의 심리상태를 배려한 수단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침대에는 환자의 샤워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불편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환자 자신이 주변의 보조를 받거나 별다른 도움 없이도 배뇨 및 배변을 위생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변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배변, 배뇨시에 환자가 편안한 심리상태를 갖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병용 침대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는,
상기 침대 상판에 뚜껑으로 연계 형성된 배변구와,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설치된 수세식 변기와, 침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로 급수하기 위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변기에서 배출된 분뇨 중의 슬러지를 걸러주는 교환식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후단에 배관 연결되어 저류조에서 분뇨 처리된 후 배출된 수분을 보관하는 수분 보관조와, 상기 수분 보관조 내에 보관된 수분의 충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과, 상기 수분 보관조 내의 수분을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와,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액상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수단과,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분사수단과, 사용자 둔부를 온풍 건조하기 위한 온풍건조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침대 상부의 환경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기 위한 커텐이 권취된 커텐롤과, 상기 커텐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이 로프에 매달려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와,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승강바를 승,하강시키는 로프롤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침대의 일측으로 침대 위까지 호스가 연장되는 샤워기가 구비되고, 상기 침대 상판의 양측부에는 배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수로가 형성된다.
또, 상기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세제분사수단과, 상기 세척수분사수단과, 상기 온풍건조기의 동작을 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일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타임 콘트롤부가 구비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간병용 침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의 일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의 배관 구성도
도 4a 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커텐 승하강 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구동 개념도
도 4b 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커텐 승하강 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구동 개념도
도 5 는 본 고안에 구비된 동작타임 콘트롤부의 회로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 시이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침대 본체 6 - 침대 상판
22 - 침대 하판 32 - 변기
34 - 저수탱크 42 - 간이 저류조
44 - 수분 보관조 46 - 배출밸브
54 - 급수관 58 - 온풍건조기
61 - 매트리스 62 - 배변구
64 - 뚜껑 66 - 손잡이
67 - 막이벽 82 - 커텐
83 - 커텐롤 86 - 모터
92 - 샤워기 522 - 세제용기
524 - 솔레노이드 밸브 542 - 노즐
861 - 회전축 862a,862b,862c,862d - 로프롤
864a,864b,864c,864d - 벨트풀리 865a,865b,865c - 로프롤
866a - 워엄 866b - 기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간병용 침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의 일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의 배관 구성도이고, 도 4a 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커텐 승하강 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구동 개념도이고, 도 4b 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커텐 승하강 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구동 개념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구비된 동작타임 콘트롤부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 시이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간병용 침대는 침대 본체(2)와 침대 상판(6)으로 분해 조립되며, 상기 침대 상판(6)에는 방수제의 매트리스(61)가 덧대어진다. 도 1 의 도시상, 우상측이 침대에 누운 사람의 머리가 위치할 부분이다.
상기 침대 상판(6)에는 하부로 연통되는 배변구(62)가 형성되며, 상기 배변구(62)는 침대 상판(6)의 일부 몸체로 제공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는 뚜껑(6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뚜껑(64)의 일측면에는 뚜껑(64)을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66)와, 전기적 조작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SW)가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침대 본체(2)에는 상기 침대 상판(6)의 배변구(62)의 하부로 위치한 침대 하판(22)에 수세식 변기(32)가 설치되며, 침대 본체(2)의 일측에는 상기 수세식 변기(32)로 공급될 물을 보관하는 저수탱크(34)와, 상기 저수탱크(34)와 상기 변기(32) 사이에는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급수단속수단이 개설된다. 도시 생략되었으나, 상기 급수단속수단은 일반 가정용 수세식 변기의 저수탱크에 구비된 레버 및 배수밸브를 그대로 적용하고 별도로 설치한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를 움직여 배수밸브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레버 및 배수밸브를 생략하고 단지 저수탱크(34)의 배수구에 솔레노이드 밸브(344)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변기(32)의 하부에는 변기(32)에서 배출된 배변 분뇨 중의 슬러지를 걸러주는 교환식 간이 저류조(42)가 설치되고, 상기 간이 저류조(42)의 후단에는 간이 저류조(42)에서 분뇨 처리된 후 배출된 수분을 보관하는 수분 보관조(44)가 설치된다.
상기 간이 저류조(42)는 일정기간마다 교환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간이 저류조(42)와 수분 보관조(44)는 탈착가능한 배관(43)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분 보관조(44)의 후단에는 상기 수분 보관조(44) 내의 수분을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46)가 설치된다. 이 배출밸브(46)는 수조작으로 개폐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수분 보관조(44)에는 뜨개의 변위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442)를 장착하여 일정 수위를 넘으면 부저(SP)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배출밸브(46)를 열어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배변을 마친 환자의 배변기를 향해 액상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수단과, 액상 세제 분사 후 환자의 배변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수단과, 물 세척 후 환자의 둔부를 온풍 건조하기 위한 온풍건조기(58)가 구비된다.
상기 배변구(62)의 하부에는 온풍건조기(58)의 온기 누출을 방지하도록 침대 상판(6)의 침대 본체(2) 결합시에 상기 변기(32)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막이벽(61)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세제 분사수단은 액상 세제를 보충할 수 있는 세제용기(522)와, 상기 세제용기(522)의 세제를 배출시켜 급수관(54) 내로 혼입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524)와, 급수관(54) 단부에 형성된 노즐(542)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수단은 상수도관(51)의 직수를 공급받는 급수관(54)과, 급수관(54)의 단부에 형성된 노즐(54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 분사수단과 세척수 분사수단은 급수관(54)과 노즐(542)을 공유하고 있다.
상기 세제 분사수단과 세척수 분사수단은 도 3 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노즐(542)로 구성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노즐에서 별도로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제 분사수단과 세척수 분사수단은 상수도관(51)의 직수 압송력이 약할 경우 별도의 펌프에 의해 물을 압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풍건조기(58)는 막이벽(67)의 일측에 설치되어 막이벽(67) 측부에 형성된 송풍구(672)를 통해 온풍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고안은 침대 측면에 커텐(82)을 쳐서 침대 상부를 외부로부터 은폐할 수 있도록 커텐(82)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다. 이와같이 침대 상부를 커텐(82)으로 막으면 침대 위의 배변구(62)를 통해 배변을 보는 환자가 심리적으로 편안한 마음을 갖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간병인의 보조 등으로 침대 위의 환자가 샤워를 하는 동안 물이 침대 바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텐(82)의 승하강 구조는, 상기 침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침대 상부의 환경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기 위한 커텐(82)이 권취된 어셈블 커텐롤(83)과, 상기 커텐(82)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이 로프(844)에 매달려 가이드레일(846)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842)와,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되는 모터(86)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프(844)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승강바(842)를 승,하강시키는 로프롤(848)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터(86)의 동력은 워엄(866a)과 기어(866b)에 의해 침대 전후로 연장된 회전축(862)에 전달되며, 이 회전축(862)의 양단부에 축결된 벨트 풀리(864a)(864d)는 벨트(865a,865b)(865c,865d) 결합된 풀리(864b,864c)(864e,864f)들을 통해 양측 로프롤(862a,862b)(862c,862d)로 동력 연결된다. 단일 모터(86)를 사용하였을 때 침대 전후 좌우의 로프롤(862a,862b,862c,862d)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도 1 에 도시된 구조를 모식적으로 묘사한 도 4a 또는 도 4b 에 도시된 구조로 실현할 수도 있다. 도 4a의 경우는 커텐롤(83) 내부에 커텐(82)을 감는 테엽 스프링(832)이 갖추어진 경우이고, 도 4b는 커텐롤(83')의 축을 모터(86)의 동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다.
상기 모터(86)는 환자가 침대 상판(6)의 뚜껑(64)을 열어 스위치(SW2)를 조작함으로써 구동된다.
한편, 상기 커텐(82)을 모터(86)의 구동에 의하지 않고 수작업에 의해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에 비해 진보성 측면에서 뒤떨어진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커텐을 수작업으로 펼치도록 하는 경우 커텐을 좌우 횡방향으로 펼치거나 걷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침대의 일측에 적당한 길이의 호스 단부에 연결된 샤워기(92)와 세면대(94)가 구비되고, 상기 침대 상판(6)의 양측부에는 배수구(692)가 형성되며, 그 하부로 침대 본체(2)에는 도시안된 배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수로(694)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은 하수구로 연장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샤워기(92)를 이용하여 침대 위의 환자를 샤워시킬 때 흘러내리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구성에는 도 5 의 도시와 같이 상기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세제분사수단과, 상기 세척수분사수단과, 상기 온풍건조기(58)의 동작을 단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일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타임 콘트롤부(70)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타임 콘트롤부(70)는 사용자가 배변을 마친 후 버튼스위치(SW)를 누름 조작하면 일정시간동안 후단으로 전원(DC)을 연결하도록 스위칭소자인 트랜지스터(Q)와,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측에 저항(R)과 분지 접속된 콘덴서(C)를 갖추고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Q)를 통해 연결된 전원(DC)은 세제공급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24)로 연결된 제 1 타이머(T1), 저수탱크(34)에 저장된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44)로 연결된 제 2 타이머(T2), 노즐(542)로의 세척수 공급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44)로 연결된 제 3 타이머(T3), 온풍건조기(58)로 연결된 제 4 타이머(T4)로 인가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타이머(T1,T2,T3,T4)는 배변 후의 세척에 적당하게 동작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작타임 콘트롤부(70)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침대에 구비된 변기(32)를 이용하여 배변을 마친 환자가 배변시의 그대로 앉은 상태에서 버튼스위치(SW)을 누르면, 트랜지스터(Q)를 통해 전원전류(DC)가 후단에 연결된 타이머(T1,T2,T3,T4)들의 입력단에 공급되고, 이 타이머(T1,T2,T3,T4)들 중 도 6의 타이밍 시이퀀스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최초에 제 1 타이머(T1), 제 2 타이머(T2), 및 제 3 타이머(T3)가 각각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전원을 출력하여, 제 1 타이머(T1)에 연결된 세제분사 단속용 솔레노이드 밸브(524)와, 제 2 타이머(T2)에 연결된 세척수 분사 단속용 솔레노이드 밸브(344)와, 제 3 타이머(T3)에 연결된 저수탱크(34) 배수 단속용 솔레노이드 밸브(544)의 개방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제용기(522) 내의 액상 세제는 급수관(54) 내 세척수에 혼입되어 노즐(542)로부터 환자의 배변기를 향해 분사되고, 이와 동시에 저수탱크(34) 내의 물은 변기(32)로 공급되어 변기(32) 내의 분뇨물을 하부의 저류조(42)로 흘려보내게 된다.
일정시간 후 제 1 타이머(T1)와 제 3 타이머(T3)의 전원출력이 중단되고 제 2 타이머(T2)만 전원(DC)을 출력하게 됨으로써 노즐(542)에서는 세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척수가 침대 위 환자의 배변기를 향해 분사되고, 저수탱크(34)의 배수는 중단된다.
이어서, 제 2 타이머(T2)의 전원출력이 중단됨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가 중지된 후, 제 4 타이머(T4)에서 전원전류가 출력되어 온풍건조기(58)로 인가됨으로써, 세척수에 젖은 환자의 둔부를 온풍 건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침대에 환자 간병을 위한 커텐, 변기, 샤워기 등 각종 편의장치가 부착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주변의 보조를 받거나 별다른 도움 없이도 배뇨 및 배변을 위생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뇨시에 커텐을 쳐서 주변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배변, 배뇨시에 환자가 편안한 심리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배변물이 충만하게 된 간이 저류조를 교체하여 배변물을 처리하도록 된 것이므로 화장실 및 정화조로부터 먼 곳이나 병원 등의 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Claims (4)

  1. 상기 침대 상판에 뚜껑으로 연계 형성된 배변구와,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설치된 수세식 변기와,
    침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로 급수하기 위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변기에서 배출된 분뇨 중의 슬러지를 걸러주는 교환식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후단에 배관 연결되어 저류조에서 분뇨 처리된 후 배출된 수분을 보관하는 수분 보관조와,
    상기 수분 보관조 내에 보관된 수분의 충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과,
    상기 수분 보관조 내의 수분을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와,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액상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분사수단과,
    사용자의 배변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분사수단과,
    사용자 둔부를 온풍 건조하기 위한 온풍건조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침대 상부의 환경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기 위한 커텐이 권취된 커텐롤과,
    상기 커텐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전후 양측이 로프에 매달려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와,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승강바를 승,하강시키는 로프롤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용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일측에 침대 위로 연장되는 호스의 단부로 샤워기가 구비되고, 상기 침대 상판의 양측부에는 배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용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속수단과, 상기 세제분사수단과, 상기 세척수분사수단과, 상기 온풍건조기의 동작을 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일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타임 콘트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용 침대.
KR2020000002017U 2000-01-25 2000-01-25 간병용 침대 KR200186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7U KR200186116Y1 (ko) 2000-01-25 2000-01-25 간병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7U KR200186116Y1 (ko) 2000-01-25 2000-01-25 간병용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739A Division KR100371683B1 (ko) 2001-01-26 2001-01-26 간병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16Y1 true KR200186116Y1 (ko) 2000-06-15

Family

ID=1963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017U KR200186116Y1 (ko) 2000-01-25 2000-01-25 간병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4748A (zh) * 2020-08-28 2020-11-10 杨旭 一种便于病人呕吐的病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4748A (zh) * 2020-08-28 2020-11-10 杨旭 一种便于病人呕吐的病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7355A (en) Portable body waste collecting system
CA2027828C (en) Bed with built-in commode
US20200030168A1 (en) Patient bed system including defecation device having improved piping structure
CA2074599C (en) Immobile patient shower and skin care unit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0371683B1 (ko) 간병용 침대
US5241712A (en) Invalid toliet seat
WO2012099503A1 (ru) Комплекс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и активн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186116Y1 (ko) 간병용 침대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US5729848A (en) Bed with a wash tub for pubes
JP3977628B2 (ja) シャワー式入浴装置
JPH101481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JP2009207592A (ja) 患部洗浄装置
JP2552575B2 (ja) 便器付きベッド
KR200250538Y1 (ko) 거동이 불편한 자를 위한 간이 욕조
KR101112769B1 (ko) 자동 세정 처리장치
CA3201357C (en) Personal hygiene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018887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JP3058053U (ja) 汚物入れ洗浄装置
WO2000069377A1 (fr) Dispositif de caleçon de soins
JP3403311B2 (ja) 安全装置付入浴装置
KR200222921Y1 (ko)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자동침대
JPH042660Y2 (ko)
KR20220150793A (ko)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