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727Y1 - 일체형 원예용 집게 - Google Patents

일체형 원예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727Y1
KR200185727Y1 KR2019990022390U KR19990022390U KR200185727Y1 KR 200185727 Y1 KR200185727 Y1 KR 200185727Y1 KR 2019990022390 U KR2019990022390 U KR 2019990022390U KR 19990022390 U KR19990022390 U KR 19990022390U KR 200185727 Y1 KR200185727 Y1 KR 200185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present
flower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권
Original Assignee
조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권 filed Critical 조용권
Priority to KR2019990022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예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덩굴식물의 꽃대를 교정하거나 줄기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일체형 화훼용 집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원예용 집게{Horticulture pincers}
본 고안은 원예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덩굴식물의 꽃대 교정 또는 줄기 고정용 일체형 원예용 집게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채소류 중 오이, 호박, 토마토와 화웨류 중 나팔꽃, 담쟁이 등 덩굴식물의 꽃대를 교정하거나 줄기를 교정하기 위한 집게들이 안출된 바 있으나, 대부분이 빨래집게와 같이 손가락을 접착하도록 된 부분이 단순히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양측의 손가락 접착부 사이에 탄성의 스프링 또는 철심을 견고하게 원형으로 견착시켜서 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빨래집게를 원예용으로 사용코자 할 때는 본래의 목적으로 한 대상물이 빨래가 아닌 연약하게 자라나오는 생육초기의 덩굴식물의 꽃대를 교정하거나 줄기를 고정할때 이들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빨래집게의 단점을 개선하여 채소류 꽃대교정 및 줄기고정에 전문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적합한 원예용 집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고탄력의 단일체 구조의 원예용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슬록(Slot) 또는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지주고정용 타원형 구멍을 형성하고 또 다시 상기 슬롯 또는 그루브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원예식물의 줄기를 고정하거나 또는 꽃대를 교정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손가락 접촉부가 외표면에 형성된 엄지 및 검지손잡이부를 상기 줄기 또는 꽃대 교정용 구멍 양측에 일체로 대향지도록 연설시키므로서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당업자간에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계위치와 크기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계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손가락 접촉부 2 : 손잡이부
3 : 줄기 또는 꽃대고정용 구멍 4 : 지주고정용 구멍
5, 50 : 슬롯(Slot)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에 의거 설명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는 식물은 화훼류 중에서 나팔꽃, 담쟁이 등과 채소류 중 토마토, 오이, 호박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생육초기에 그 줄기가 연약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꽃대를 일정방향으로 배향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원예식물을 받쳐주는 지지대가 토양에 삽설 고착되게 마련인데 이와 같은 경우에 덩굴식물은 상기 지주(枝柱)에 효과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땅에 포복되는 상태로 일정기간동안 생육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광합성율이 떨어져 식물생육과 착화, 착과율을 저하시킨다. 특히, 꽃대가 형성될 때에는 꽃대가 통광이나 통기가 불량할 경우에는 착화와 착과율은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채소류나 화훼류 중 덩굴식물의 줄기나 꽃대를 효과적으로 잡아주기에 접합하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토양에 삽설된 지주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주고정용 구멍(4)을 형성하되 집게(A) 인입부에 슬롯 또는 그루브(5)를 형성하고 이에 연설하여 지주고정용 구멍(4)을 삭설하였다.
상기 슬롯(solt) 또는 그루브(groove)의 간격은 0.5∼3mm로 하고 이는 지주의 직경(π)에 맞도록 선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주고정용 구멍(4)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마름모 등 어떠한 형상과 모양으로 하여도 좋으나 어떠한 지주의 외형이라도 지지하는데 적합한 타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고정용 구멍(4)의 하부에 연하여 상기 인입부 슬롯과 일직선으로 또 다른 슬롯(50)을 형성한 다음 그 하부에는 덩굴식물의 줄기를 고정하거나 또는 꽃대를 교정하기에 적합한 직경을 가진 줄기 또는 꽃대고정용 구멍(3)을 형성한다.
상기 줄기 또는 꽃대교정용 구멍(3)은 대체로 그 직경이 상기 지주고정용 구멍(4)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 상기 줄기 또는 꽃대고정을 자유롭고 원활하기에 적합하다. 또 상기 줄기 또는 꽃대교정용 구멍(3)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마름모 등 어떠한 형상과 모양으로 하여도 좋으나 원형이 식물체 표면에 상처를 주지 않아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줄기 또는 꽃대교정용 구멍(3)의 하부에는 엄지와 검지손가락 끝이 접촉할 수 있는 손가락 접촉부(1)가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2)를 대향지게 연설하였다.
상기와 같은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원예용 집게의 구조는 단일형체로 제조한다. 본 고안의 재질은 고밀도 합성수지재가 접합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덩굴식물체(B)의 줄기 또는 꽃대를 지지하는 지주(C)에 본 고안의 원예용 집게를 각각 화살표 방향에서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원예용 집게의 손잡이부(2)를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동시에 압압하면 집게의 인입부 슬롯 또는 글루브(5)가 벌어지고 상기 양측으로 벌어진 슬롯 또는 그루브 사이로 식물체(B)의 줄기 또는 꽃대를 밀어넣어 지주고정용 구멍(3)을 통과하여 줄기 또는 꽃대고정용 구멍(3)에 고정시킨 후 압압하고 있던 엄지와 검지손가락을 놓으면(release) 줄기 또는 꽃대고정용 구멍(3)에는 줄기(B) 또는 꽃대(D)가 또 지주는 지주고정용 구멍(4)에 고정되어 요동함이 없게된다.
양 손잡이부(2)의 끝에는 손가락 접촉부(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줄기(B) 또는 꽃대(D) 및 지주(C)를 고정하거나 플러놓을 때 숟가락으로 확실하게 압압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덩굴식물의 줄기 또는 꽃대를 지주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단일체로 된 원예용 집게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원예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 끝에 손가락 접촉부(1)가 돌설된 엄지 및 검지손잡이부(2)가 식물 줄기고정 및 꽃대교정용 구멍(3) 하부에 연설되고 그 상부로는 지주고정용 구멍(4)를 연설하되 상기 지주고정용 구멍(4)의 인입부와 상기 줄기 및 꽃대고정용 구멍(4)의 인입부에 각각 일직선의 슬롯 또는 그루브(5)(50)를 삭설하여 이를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예용 집게.
KR2019990022390U 1999-10-18 1999-10-18 일체형 원예용 집게 KR200185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90U KR200185727Y1 (ko) 1999-10-18 1999-10-18 일체형 원예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90U KR200185727Y1 (ko) 1999-10-18 1999-10-18 일체형 원예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727Y1 true KR200185727Y1 (ko) 2000-06-15

Family

ID=1959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90U KR200185727Y1 (ko) 1999-10-18 1999-10-18 일체형 원예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7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52B1 (ko) 2006-01-10 2008-03-26 이승열 식물 고정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52B1 (ko) 2006-01-10 2008-03-26 이승열 식물 고정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209A (en) Stalk support for flowers
US1059547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recting plant growth
JP3615725B2 (ja) 花きのわい化仕立て栽培法
KR200185727Y1 (ko) 일체형 원예용 집게
KR200186080Y1 (ko) 일체형 원예용 집게
JP2001299107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JP3011406B1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US20100018114A1 (en) Support for flower stalk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JPH0328756Y2 (ko)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200309686Y1 (ko) 접목용 튜브
KR200289850Y1 (ko) 수목용 수형교정기구
JP3940494B2 (ja) トマトやキウリの栽培方法
JPH0244685Y2 (ko)
KR200285021Y1 (ko) 화분 울타리
JP2019198249A (ja) 植物支持装置を構成する支柱連結具
JPH0642452Y2 (ja) 植物の支持装置
JP3078050U (ja) 植木用支持具
CN214758147U (zh) 一种嵌入型花卉及观叶植物收束导向装置
JP2004024227A (ja) 切りバラの栽培方法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JP3036759U (ja) クリップ
KR200199762Y1 (ko) 줄기고정밴드
JP3053520U (ja) 植物の茎、幹、枝等の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