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375Y1 -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 Google Patents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375Y1
KR200185375Y1 KR2019990030380U KR19990030380U KR200185375Y1 KR 200185375 Y1 KR200185375 Y1 KR 200185375Y1 KR 2019990030380 U KR2019990030380 U KR 2019990030380U KR 19990030380 U KR19990030380 U KR 19990030380U KR 200185375 Y1 KR200185375 Y1 KR 200185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wiring groove
floo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니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to KR2019990030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의 판부재에 배선용 홈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전기선과 같은 전선들이 외부에서 눈에 띄지 않게 깔끔하고 안전하게 배선 가능하도록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닥판을 바닥에 깔아 사용하다보면 바닥으로 전선 등을 배선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때에는 바닥에 그대로 전선을 배선하고 그 위에 바닥판을 덮어 조립하였다. 이러한 조립방법에 의해 때때로 전선이 바닥판에 짓눌려 피복이 벗겨짐에 따라 합선 또는 누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 바닥에 물이나 습기가 차게 되면 더더욱 합선 또는 누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바닥판(10)과 그 상부에 다수개 결합되는 상판(12)으로 구성된 바닥판(10)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배선홈(13)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전선(15) 등을 안전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A bottomplate which has a wiring groove}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판부재에 배선용 홈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전기선과 같은 전선들이 외부에서 눈에 띄지 않게 깔끔하고 안전하게 배선 가능하도록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장치가 시공되지 않은 실내에는 바닥으로부터 찬기운이 발생됨으로 신발을 벗고 입실하기가 용이치 않은 점이 있었다.
이러한 실내바닥에 깔아 맨발로도 찬기운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열 및 성형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바닥판을 제조하여 이를 바닥에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또 바닥판을 보다더 가볍고 견고하면서 조립성 및 외관이 양호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생산이 가능한 합성수지 바닥판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17072 호에 소개되어 있다.
또 바닥판을 바닥에 깔아 시공한 후에 크기가 맞지 않아 바닥의 가장자리나 코너부에 발생된 공간에도 바닥판을 깔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바닥판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6518호로 출원되어 있고, 바닥판을 연결하면 상부에 결합된 판부재간의 공간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어 얼마간 사용하다보면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단점과, 움직일 때마다 먼지가 발생하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판부재의 측면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연결되는 판부재의 측면에 포개어져 면접촉되도록 하므로써 판부재와 판부재간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 바닥판을 실용신안등록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바닥판을 바닥에 시공을 하다보면 바닥으로 전선 등을 배선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럴 때 지금까지는 바닥에 그대로 전선을 배선하고 그 위에 바닥판을 전선과 맞물리지 않도록 적당히 위치조정하여 조립하였다. 이러한 조립방법에 의해 시공시 또는 사용중 전선이 바닥판에 짓눌려 피복이 벗겨짐에 따라 합선 또는 누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 바닥에 물이나 습기가 차게 되면 더더욱 합선 또는 누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판에 배선홈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배선토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깔끔한 배선을 이룰 수 있도록 개량한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에 전선이 배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판 11 - 받침판
12 - 상판 13 - 배선홈
14a - 세로 배선홈 14b - 가로 배선홈
15 - 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바닥판과 그 상부에 다수개 결합되는 상판으로 구성된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배선홈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전선 등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에 전선이 배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판(10)은 받침판(11)과 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되는 상판(12)으로 구성된다.
상판(12)은 바닥판(10)에 나사 또는 별도의 조립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는데, 이들은 받침판(1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조립된다.
특히 본 고안의 상판(12) 저면에 전선(15) 등이 매입되는 배선홈(13)을 형성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배선홈(13)으로 전선(15) 등을 배선하여 조립할 수 있다.
배선홈(13)은 바닥판(10)내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세로 배선홈(14a)과 이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가로 배선홈(14b)으로 제공된다. 특히 가로배선홈(14b)은 중앙부나 일측에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위치에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배선홈(13)은 각각의 상판(12)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특정 상판(12)에만 배선홈(13)을 형성하여 특정 위치에 통일되게 조립함으로써 배선의 효율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의 저면에 형성된 배선홈(13)을 받침판(11)의 상면에도 배선홈(2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배선홈(23)은 가로 배선홈(24a)과 세로 배선홈(24b)으로 구성하여 배선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배선홈(23)이 받침판(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저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또 상판과 받침판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의 하부에 배선구멍(33)이 관통형성된 지지발(32)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발(32)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15)을 배선할 때 받침판(11)의 지지발(32)에 형성된 배선구멍(33)으로 전선을 배선하여 바닥판(10)의 시공후 외부에 전선(15)이 노출되지 않도록 깔끔하게 마무리될 뿐만 아니라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의 상판에 배선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전선 등을 배선토록 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합선 또는 누전사고가 발생하는 일없이 안전한 배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배선상태가 외부에서 눈에 띄지 않도록 깔끔하고 미려하게 배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닥판(10)과 그 상부에 다수개 결합되는 상판(12)으로 구성된 바닥판(10)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배선홈(13)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전선(15) 등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상면에 배선홈(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하부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내부에 배선구멍(3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지지발(32)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KR2019990030380U 1999-12-30 1999-12-30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KR200185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80U KR200185375Y1 (ko) 1999-12-30 1999-12-30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80U KR200185375Y1 (ko) 1999-12-30 1999-12-30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375Y1 true KR200185375Y1 (ko) 2000-06-15

Family

ID=1960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80U KR200185375Y1 (ko) 1999-12-30 1999-12-30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3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501086A (ja) ケーブル設置用のモジュール、形成物及び床構造物
US6079177A (en) Removable ceiling panel assembly
KR200185375Y1 (ko) 배선홈을 갖는 바닥판
US4934116A (en) Floor covering of electrically conducting type
KR101975227B1 (ko) 조립식 전기 온돌패널
KR200436713Y1 (ko) 전열선이 내장된 나무 마루판
TWI687573B (zh) 活動式並能形成交錯紋路並提升支撐力的基板
KR20060061065A (ko) 다공 벽돌
CN105714959A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IT201800001530A1 (it) Rivestimento riscaldante
JPH0220342Y2 (ko)
KR20170104018A (ko)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JP5823788B2 (ja) 床構造
KR100603887B1 (ko) 프리 액세스 바닥용 기본 패널
JPH03158552A (ja) 床材
JP3592556B2 (ja) 間仕切構造
JP6850829B2 (ja) ベース材
JP2948195B1 (ja) 蓄熱式電気床暖房装置
JP2002221330A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45384Y2 (ko)
JP3100169U (ja) 多機能ネット架空フリーアクセス床
KR20190036226A (ko) 전기 온돌패널
JPH03132557A (ja) 置床材
KR200184473Y1 (ko) 전열선을 갖는 조립용 바닥판
JP2566442Y2 (ja) 住宅の電線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