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025Y1 -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 Google Patents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025Y1
KR200185025Y1 KR2020000000648U KR20000000648U KR200185025Y1 KR 200185025 Y1 KR200185025 Y1 KR 200185025Y1 KR 2020000000648 U KR2020000000648 U KR 2020000000648U KR 20000000648 U KR20000000648 U KR 20000000648U KR 200185025 Y1 KR200185025 Y1 KR 200185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paper pack
hole
thin film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일
Priority to KR2020000000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025Y1/ko
Priority to JP2000000622U priority patent/JP3070876U/ja
Priority to TW089202962U priority patent/TW530819U/zh
Priority to KR2020000005804U priority patent/KR200190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팩 내에 포장된 우유 혹은 청량 음료 등의 내용물의 흡입을 쉽게 함과 아울러 견고한 계지(係止)기능을 갖도록 한 스트로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트로우의 소정 위치에 산형(山形)단면을 갖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를 형성한 것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를 종이 팩의 스트로우 홀에 삽입시 그 스트로우 홀의 박막(薄膜)을 돌기들로 하여금 스트로우의 외경보다는 더 큰(넓은)직경을 이루게 파열하여, 그 스트로우 홀과 스트로우의 사이에는 종이팩의 내부와 외부를 원활하게 연락하는 공기 유통용 틈새의 형성으로, 스트로우를 통한 종이팩의 내용물 흡입시 틈새를 통한 공기의 원활한 유통으로 내용물의 흡입을 쉽게 할 수 있게 하였고, 또 돌기에 의한 계지작용으로 스트로우의 내관이 외관에 대해 견고히 지지되어 있도록 한 특징을 갖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종 이팩용 스트로우{Straw using a Paper Pack}
본 고안은 종이팩용 스트로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로우의 소정 위치에는 스트로우 홀의 박막을 크게(넓게) 파열하여 외부와 연락되는 공기유통용 틈새를 형성함과 아울러 스트로우의 내외관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계지력을 발휘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들을 구비한 종이팩용 스트로우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 음료 혹은 우유 음료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은 휴대 및 보관상의 편리성으로 종이 팩을 이용하여 포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이 팩의 내부에 포장되는 내용물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마실수 있도록하기 위해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흡입하도록 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대한 일예를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표시 하였다.
도 1은 종이 팩과 일체화 되어 사용되는 종래 스트로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표시의 스트로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다.
먼저, 도 1 및 도2 표시의 종이 팩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200ml용 종이 팩을 일예로 나타낸 것인데, 이러한 종이 팩(1)은 견고한 강도 유지를 위해 적어도 6 내지 7겹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반하여 상기 종이 팩(1)의 상부 일측에 상기 스트로우(10)을 상기 종이 팩(1)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 설치된 스트로우 홀(4)에는 상기 스트로우(10)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 층으로 이루어진 박막(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이 팩(1)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종이 팩(1)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의 흡입을 편리 하도록 하기위해 스트로우(10)을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으며, 그 스트로우(10)의 선단은 상기 박막(6)을 쉽게 뚫을 수 있도록하기 위해 예리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종이 팩(1)내에 포장된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상기 스트로우 홀(4)측으로 상기 스트로우(10)의 예리한 선단을 삽입하면, 그 스트로 우 (10)의 예리한 선단부가 상기 스트로우 홀(4)의 박막(6)을 파열 시킴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10)은 상기 종이팩(1)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종이 팩(1)의 내용물을 스트로우(10)을 통하여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박막(6)은 상기에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연질의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박막(6)이 상기 스트로우(10)에 의해서 파열되더라도 상기 박막(6)의 파열 부위는 그대로 상기 스트로우(10)의 주위와 밀착되는 상태를 이룬다(도 3및 도4참조). 그러므로 상기 종이 팩(1)의 내부는 상기 스트로우(10)을 삽입한 상태에서도 상기 스트로우(10)을 제외한 모든 부위가 대체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10)을 통해 상기 종이 팩(1)내의 내용물을 흡입하다 보면, 상기 종이 팩(1)의 내부가 외부와는 차단된 상태로 인해, 그 내부는 진공 분위기를 이루게 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의 흡입이 점점 어렵게 되므로 음용자들은 상기 스트로우(10)로부터 잠시 입을 떼었다가 다시 흡입하는 것을 반복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다. 또 음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상기 스트로우(10)을 통해 진공 팩(1)내의 내용물을 흡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점 높아지는 진공 분위기로 음용자 역시 처음 보다는 점차로 더 많은 힘을 가하면서 흡입을 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흡입이 지속되면 음용자들의 볼 부위나 혹은 머리 양측 부위를 압박하는 무리한 힘이 가해 지게 되는 일이 발생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 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일본 특허공보 평 2-36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163450호, 7 - 222665호 및 7-322948호에 스트로우의 일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어느 한쪽 혹은 양측에 홈(溝)을 설치한 것에 의해서, 그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종이 팩 내의 내용물을 흡입 시 홈으로 하여금 원활한 공기 유통을 실행되게 하여 종이 팩의 내부가 진공 상태를 이루게됨이 없도록 하므로써, 내용물의 흡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은 스트로우에 홈을 설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홈의 설치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업 속도의 저하는 곧바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스트로우의 생산단가를 높아지게 하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홈의 깊이는 그다지 깊지 않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유연성을 갖게되는 스트로우 홀의 파열된 박막의 일부가 그 홈에 부착되어 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1내지 도 4표시의 스트로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염려도 내포하고 있다. 또 외관에 대한 내관의 계지력이 약하여 사용 도중 신장된 내관이 외관의 내부로 수축되거나 혹은 이탈되하게 되는 등의 우려성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로우에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로 하여금 종이 팩의 스트로우 홀에 설치된 박막을 스트로우의 외경보다는 더 큰(넓은)직경을 이루게 파열하여, 상기 스트로우와 스트로우 홀과의 주위로는 틈새를 마련되게 한 것에 의해, 누구든지 종이 팩의 내용물을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서도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한 종이 팩용 스트로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종이 팩용 스트로우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박막으로 보호된 스트로우 홀을 갖는 우유 혹은 음료 포장용 종이 팩에 있어서, 상기 종이 팩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스트로우와, 상기 스트로우의 소정 위치로부터 돌설되며, 상기 스트로우 홀에 삽입시 그 스트로우 홀의 박막을 상기 스트로우의 외경보다는 크게(넓게)파열하여 상기 스트로우 홀과 스트로우의 사이에는 종이 팩의 내외부를 연락하기 위한 공기 유통용 틈새를 형성하는 산형(山形)단면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로우에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로 하여금 스트로우의 내관을 외관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계지될 수 있게한 종이팩용 스트로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종이 팩용 스트로우는 청구항 2의 고안과 관련된 스트로우는 스트레이트 타잎 및 슬라이드 타잎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슬라이드 타잎의 스트로우에 대해서 계지돌기의 기능을 더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적어도 1개 이상 인접하여 형성 하며, 스트로우의 주위를 따라서 환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이 팩과 일체화 되어 사용되는 종래 스트로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표시의 스트로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팩용 스트로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트로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팩 4 : 스트로우 홀(Straw Hole)
6 : 박막(薄膜) 100 : 스트로우
110 : 내관 120 : 외관
130a,130b : 돌기 140 : 공기 유통용 틈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종이 팩용 스트로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팩용 스트로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슬라이드 타 잎의 스트로우(100)을 일 예로 나타내었다. 상기 스트로우(100)는 외관(110)의 내부로 내관(12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것에 의해, 상기 내관(120)은 상기 외관(110)에 대하여 신축 자재(伸縮自在)하게 할 수가 있는데, 상기 스트로우(10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작은 종이 팩(1)등의 좁은 면적에도 용이하게 보관하면서도 사용 시에는 신장시키어 사용함으로 인해 내용물의 흡입에 보다 편리한 특징이 있다. 상기 내관(120)은 후단부가 확개된 확관부(122)를 이루어 상기 외관(110)내에 걸리게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내관(120)을 상기 외관(110)으로부터 신 장시 그 외관(110)으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의 스트로우(100)에 있어서,상기 스트로우(100)의 소정 부위 즉, 상기 외관(110)에서 대략 하측 부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들(130a,130b)를 상하로 인접되게 설치하였다. 상기 돌기 들 (130a,130b)는 상기 스트로우(100)의 외관(110)의 주벽 면을 따라서 환형으로 설치 되는데, 특히 상기 돌기들(130a,130b)는 상기 스트로우(100)의 외관(110)의 내외부로 돌출되게 한 대략 산형(山形)의 단면구조를 이루게 하고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100)을 사용하고자 그 스트로우(100)의 내관(120)을 외관(110)으로부터 신장되게 하면, 상기 내관(120)은 상기 외관(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외관(110)에 형성된 상기 돌기들(130a,130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내관(120)의 상기 확관부(122)가 그 확관부(122)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상기 돌기들(130a,130b)의 산 부위에 걸리는 상태로 계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들(130a,130b)에 확관부(122)가 계지된 상태로 있게되는 내관(120)은, 상기 돌기(130a)의 산에 의해서는 도6에서 보아 하부로 슬라이딩 됨이 억제되고, 또한 상기 돌기(130b)의 산에 의해서는 상부로 슬라이딩 됨이 억제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트로우(100)의 상기 내관(120)은 상기 돌기들 (130a,130b)에 의해서 유동됨이 없이 상기 외관(110)에 견고하게 계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들(130a,130b)는 하나 만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이 팩(1)의 박막 파열 시 변형됨이 없도록 하는 강도(强度)유지나 혹은 상기 내관(120)을 외관(110)에 대해 슬라이딩 됨이 없도록 계지되게 하는 계지돌기의 기능을 갖도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 인접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 표시의 스트로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로, 종래의 도 1내지 도 4의 종이 팩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종이 팩(1)내의 내용물 흡입을 위해 스트로우 홀(4)에 대하여 본 고안의 스트로우(10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트로우(100)의 내관(120)에 형성된 예리한 선단 부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 홀(4)을 막고 있던 박막(6)은 일차적으로 파열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기존의 스트로우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우(100)을 종이 팩(1)의 내부로 더 밀어 넣게 되면, 일차적으로 파열되어 있던 상기 박막(6)은 상기 스트로우(100)의 외관(110)에 구비된 돌기들(130a,130b)에 의해서 상기 돌기들(130a,130b)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보다 더 크게(넓게)파열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110)의 돌기들(130a,130b)가 상기 스트로우 홀(4)를 통하여 상기 종이 팩(1)의 내부로 진입된 후 상기 외관(110)의 부위가 상기 스트로우 홀(4)에 위치되면, 상기 외관(110)과 스트로우 홀(4)의 사이로는 상기 종이 팩(1)의 내부와 외부를 연락하는 공기 유통용 틈새(140)이 형성된다(도8참조). 이러한 공기 유통용 틈새(140)은 상기 종이 팩(1)의 내부로 외기를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므로써 상기 종이 팩(1)의 내부가 진공 분위기를 이루게 되는 일은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상기 스트로우(100)을 이용하여 하등 저항감을 받는 일 없이 내용물을 쉽게 흡입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스트로우 에 만 돌기를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트레이트(Straight)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도 5 내지 도 8 표시의 도면들로부터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트로우에 설치된 돌기들로 하여금 종이 팩의 스트로우 홀을 폐쇄하고 있는 박막을 그 스트로우의 외경보다는 크게(넓게)파열되게 하여 그 스트로우 홀과 스트로우의 사이로는 종이 팩의 내부와 외부를 연락하는 공기 유통용 틈새를 형성되게 한 것에 의해, 누구라도 종이 팩의 내용물을 큰 어려움이 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흡입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돌기들은 슬라이드 타잎의 스트로우가 신장시 그 스트로우 외관에 대해 스트로우 내관을 계지되게 하여, 상기 내관이 외관으로부터 이탈되게 하거나 혹은 수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이 없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를 갖게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박막으로 보호된 스트로우 홀을 갖는 우유 혹은 음료 포장용 종이 팩에 있어서,
    상기 종이 팩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스트로우 ; 및
    상기 스트로우의 소정 위치로부터 돌설되며, 상기 스트로우 홀에 삽입시 그스트로우 홀의 박막을 상기 스트로우의 외경보다는 크게(넓게) 파열하여 상기 스트로우 홀과 스트로우의 사이에는 종이 팩의 내외부를 연락하기 위한 공기 유동용 틈새를 형성하는 산형(山形)단면의 돌기를 포함하는 종이 팩용 스트로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는 스트레이트 타잎 및 슬라이드 타잎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슬라이드 타잎의 스트로우에 대해서는 계지돌기의 기능을 더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종이 팩용 스트로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적어도 1개 이상 인접된 형태로서 형성 하며, 상기 스트로우의 주위를 따라서 환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종이 팩용 스트로우.
KR2020000000648U 2000-01-11 2000-01-11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KR200185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48U KR200185025Y1 (ko) 2000-01-11 2000-01-11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JP2000000622U JP3070876U (ja) 2000-01-11 2000-02-09 紙パック用ストロ―
TW089202962U TW530819U (en) 2000-01-11 2000-02-24 A straw for paper pack
KR2020000005804U KR200190424Y1 (ko) 2000-01-11 2000-03-02 종이 팩용 스트로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48U KR200185025Y1 (ko) 2000-01-11 2000-01-11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025Y1 true KR200185025Y1 (ko) 2000-06-15

Family

ID=1963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648U KR200185025Y1 (ko) 2000-01-11 2000-01-11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70876U (ko)
KR (1) KR200185025Y1 (ko)
TW (1) TW53081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8554A (ja) * 2009-10-07 2011-04-21 Toyo Cap Manufacturing Ltd 飲料用ストロー
CN102356989A (zh) * 2011-07-08 2012-02-22 李皓 一种口服液吸管
CN110115505A (zh) * 2019-06-17 2019-08-13 宁波美侬咖啡机有限公司 一种奶盒刺针组件及牛奶吸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70876U (ja) 2000-08-15
TW530819U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286B2 (ja) 容器
JP6083706B2 (ja) 容器及びシールバー
US6123122A (en) Hygenic bottle cap and liquid dispensing system
JP6065181B2 (ja) 容器
US11254475B2 (en) Structure of mouth plug portion, and package
JP6065182B2 (ja) 容器
WO2015002105A1 (ja) 容器
JP2018531848A (ja) 袋式包装およびこのような包装を適合させるための関連方法
JP2000103439A (ja) 袋状容器
KR200185025Y1 (ko) 종이팩용신장2단식스트로우
JP3196878U (ja) 包装用袋
EP1470056B1 (en) Drinking container with sealing device for a drinking straw and method for making it
US20090200303A1 (en) Disposable fluid container
KR200190424Y1 (ko) 종이 팩용 스트로우
JP3771040B2 (ja) デラミボトル
JP3072527U (ja) 紙パック用ストロー
JP2006213346A (ja) ストロー内蔵リシール容器
JP4273490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H0231028Y2 (ko)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JPH08282608A (ja) スパウト
JP2023020728A (ja) 吐出容器
KR20020075761A (ko) 배출대
JP2023180013A (ja) 口栓部の構造及び包装体
JP5173715B2 (ja) 詰め替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