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979Y1 - 도로용 안전방호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방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979Y1
KR200184979Y1 KR2019980006074U KR19980006074U KR200184979Y1 KR 200184979 Y1 KR200184979 Y1 KR 200184979Y1 KR 2019980006074 U KR2019980006074 U KR 2019980006074U KR 19980006074 U KR19980006074 U KR 19980006074U KR 200184979 Y1 KR200184979 Y1 KR 200184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and
waste tires
safet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711U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19980006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9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979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개의 함체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각각 물, 모래, 폐타이어 등의 중량체를 내장하며, 전면에 위치한 함체 외측벽에는 고강도의 코일스프링을 수개소에 부착하여 여러개의 폐타이어를 적층한 완충재를 결합하여 갈림길 진입부나 교량 및 고가도로의 진,출입 램프에 설치하여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로시설물을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우수한 완충작용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 고려하는 도로용 안전방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방호대
본 고안은 도로의 갈림길 진입부나 교량 및 고가도로 진,출입 램프에 설치하여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함체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각각 물, 모래, 폐타이어 등의 중량체를 내장하며, 전면에 위치한 함체에는 고강도의 코일스프링을 수개소에 부착하여 여러개의 폐타이어를 적층한 완충재를 결합하여 우수한 완충작용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 고려하는 도로용 안전방호대에 관한 것이다.
폐기처분하기가 곤란한 자동차 폐타이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폐타이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종류의 안전방호대가 제공되었으나, 이와같은 것은 폐타이어의 재활용부분에만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실제적으로 차량탑승자의 안전부분과 여타 도로시설물과의 호환성은 최대한 고려되지 못하여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도로시설물 설치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한편 도로상에는 이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시설물과 더불어 재설용 모래 및 도로세척용수 등의 적재함이 설치되는바 이러한 도로시설물과 안전방호대를 따로따로 유지,보수해야 하는데 따라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설치목적을 유효적절히 달성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을 시공하고 환경오염의 주원인인 폐타이어의 재활용이라는 목적으로 안출된 폐타이어 이용 안전방호대의 설치목적에 부합하지 못하여 시민들의 폐타이어 재활용에 대한 인식을 재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시설물의 주종을 이루는 재설용모래나 도로세척용수 적재함으로 사용하면서 교통사고 발생시 인명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충돌시 전면의 폐타이어 적층 완충재에 의해 충격을 완충하고 그 후면의 폐타이어, 모래, 물에 의해 충격이 재차 흡수되는 2중의 효과를 거두게 하므로써 치명적인 충돌사고로 인한 사상사고를 방지케 함과 동시에 도로시설물 등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일부분해 사시도
제 2도의 (a)도는 본 고안에 차량이 충격되기 전 상태의 예시도
제 2도의 (b)도는 본 고안에 차량이 충격된 후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폐타이어 2 : 보강재
3 : 고강도 코일스프링 4 : 커버
5 : 모래 6 : 물
b1, b2, b3 : 함체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여러개의 함체(b1)(b2)(b3)를 구비하여 후면부에 위치한 함체(b1)(b2)에는 각각 물(6), 모래(5) 등의 중량체를 내장하고, 가장 전면에 위치한 함체(b3)에는 다량의 폐타이어(1')를 적층하되 그 외측벽에는 고강도 코일스프링(3)을 수개소에 부착하여 여러개의 폐타이어(1)를 연접시킨 타이어단(T)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타이어단(T)에는 커버를 씌워서 되는 도로용 안전방호대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단(T) 내부에는 모래 등의 중량체를 충진하고 각각의 적층된 타이어들은 결속구로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면부 함체(b1)(b2)에 내장되는 물(6)과 모래(5)의 순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2는 보강재를 표시하며, 이 보강재는 탄성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한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국도, 지방도로 및 간선도로와 같은 특정도로의 갈림길 진입부나 고가도로 및 교량의 진,출입램프에 설치하여 도2의 (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 주행중 부주의 또는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이 충돌할 경우 도 2의 (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장 전면에 위치한 타이어단(T)에 충격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되며 연이어 고강도 코일스프링(3)이 수축되거나(정면충돌시), 한쪽 방향으로 인장되면서(측면충돌시) 2차적인 완충작용으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대한 감소되며 후면부에 위치한 폐타이어(1'), 모래(5) 및 물(6)에 의해 본 고안의 안전방호대는 밀려나지 않으므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중량체 역할을 하는 모래(5)와 물(6)을 재설용모래나 도로세척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방호대의 기능과 돔로시설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도로시설물과 안전방호대를 따로따로 유지,보수해야 하는데 따라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고안의 도로용 안전방호대에 의하면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여 폐타이어의 재활용부분에만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차량탑승자의 안전부분과 여타 도로시설물과의 호환성은 최대한 고려되지 못하여 도로시설물 설치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치명적인 충돌사고로 인한 사상사고를 방지케 함과 동시에 도로시설물 등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여러개의 함체(b1)(b2)(b3)를 구비하여 후면부에 위치한 함체(b1)(b2)에는 각각 물(6), 모래(5) 등의 중량체를 내장하고, 가장 전면에 위치한 함체(b3)에는 다량의 폐타이어(1')를 적층하되 그 외측벽에는 고강도 코일스프링(3)을 수개소에 부착하여 여러개의 폐타이어(1)를 연접시킨 타이어단(T)과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방호대.
KR2019980006074U 1998-04-17 1998-04-17 도로용 안전방호대 KR200184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74U KR200184979Y1 (ko) 1998-04-17 1998-04-17 도로용 안전방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74U KR200184979Y1 (ko) 1998-04-17 1998-04-17 도로용 안전방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11U KR19990039711U (ko) 1999-11-15
KR200184979Y1 true KR200184979Y1 (ko) 2000-06-15

Family

ID=1953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074U KR200184979Y1 (ko) 1998-04-17 1998-04-17 도로용 안전방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9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51B1 (ko) * 2007-03-19 2009-03-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용 탱크장치
KR100844210B1 (ko) *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거원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11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JP2001200513A (ja) 車両用衝撃吸収装置
KR200184979Y1 (ko) 도로용 안전방호대
KR100712676B1 (ko) 가드레일 충격완화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20060107483A (ko) 중앙분리대의 롤러형 완충장치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200289967Y1 (ko) 교량 중앙 분리대용 충격흡수 안전장치
KR200355899Y1 (ko) 차량 충격방지대
KR100655457B1 (ko) 탄성고무를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239181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우레탄고무를 이용한 이동식충격흡수장치
KR200330001Y1 (ko)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0154108Y1 (ko) 설치가 용이한 완충 중앙 분리대
EP3865351B1 (en) Frontal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KR101287856B1 (ko) 도로의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0157395Y1 (ko) 차량 충격 보호대
KR200288867Y1 (ko) 유동형 가드레일
KR101282920B1 (ko) 가드레일
KR200336603Y1 (ko)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KR200242757Y1 (ko) 커버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249072Y1 (ko) 탄성시트를 이용한 차도 콘크리트 방호벽의 완충구조
JPH0748814A (ja) ガードフェンス
KR200304281Y1 (ko)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도로 중앙분리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