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57Y1 -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57Y1
KR200184657Y1 KR2019990028493U KR19990028493U KR200184657Y1 KR 200184657 Y1 KR200184657 Y1 KR 200184657Y1 KR 2019990028493 U KR2019990028493 U KR 2019990028493U KR 19990028493 U KR19990028493 U KR 19990028493U KR 200184657 Y1 KR200184657 Y1 KR 20018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partition
contents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60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12241A/ko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2019990028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65D47/1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별도의 공기 유입구를 두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를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액상물질 저장용의 마개는 용기입구의 둘레방향으로 나선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이 입구에는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본체를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측은 본체 내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고, 칸막이의 상측은 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은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내출통로가 형성되는 공기 유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cap of storage vessel }
본 고안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입구를 통해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공기 유입구를 두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개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외부의 공기 및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 주둥이 즉, 용기입구(102)에 고정되어 용기(108)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기입구(102)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결합되고, 용기입구(102)에 밀착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부재(106)가 상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마개(104)는 용기에서 마개(104)를 손으로 푼 다음 용기(108)를 기울이면 용기입구(102)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 부피만큼 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므로 용기입구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용기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울컥거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에 따르기 힘들고, 또한 울컥거림으로 원하지 않는 위치에 액상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2)의 상측면 양쪽에 용기입구(110)와, 이 용기입구(110)측의 반대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4)를 두어 용기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을 따를 때, 이 공기유입구(114)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용기입구(110)측에서의 울컥거림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입구와는 별도로 용기의 일측에 공기유입구를형성해야 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또한공기 유입구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이 쏟아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용기가밀봉되는 경우에는 입구측이 두 개인 관계로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별도의 공기 유입구를 두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는 데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개 4 : 용기
6 : 용기입구 8 : 장착부
10 : 개폐커버 12 : 본체
14 : 밀폐커버 18 : 칸막이
22 : 입구 26 : 힌지홈
32 : 공기 유입통로 34 : 내용물 배출통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는 용기입구의 둘레방향으로 나선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이 입구에는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본체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본체를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측은 본체 내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고, 칸막이의 상측은 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은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내출통로가 형성되는 공기 유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마개(2)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6)에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8)와, 이 장착부(8)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일측에 용기(4)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개폐식 커버(10)가 형성된 본체(12)와, 이 본체(12)의 내측에 형성되어 개폐커버(10)를 통해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용기(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부(8)는 용기입구(6)에 나선형태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용기입구(6)의 끝부분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용기입구(6)에 씌워진 밀봉커버(14)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6)가 형성된다.
즉,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해 용기입구(6)에 밀봉커버(14)가 고주파 처리 등의 방법으로 씌워지는 데, 이 밀봉커버(14)가 용기입구(6)에서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커버(14)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장착부(8)의 끝부분 둘레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지지돌기(16)가 돌출 형성된다.
본체(12)는 상기 장착부(8)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상으로, 손으로 잡고 돌려 따기 용이하도록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요철부(2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입구(22)가 형성되며, 이 입구(22)에는 입구(22)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10)가 장착된다.
즉, 개폐커버(10)는 그 상측면과 본체입구 연결부분에는 그 두께가 얇아지는일정 힌지홈(26)이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지고, 개폐커버(10)의 하측에는 걸림홈(28)이 형성되고 본체(12)의 하측에는 걸림돌기(30)이 형성되어, 개폐커버(10)가힌지홈(26)을 중심으로 입구(22)를 개폐시킬 때 걸림 작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유입수단은 본체(12)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본체(12)를 상하 두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칸막이(18)가 형성되고, 이 칸막이(18)의 후방측은 본체(12)의 내측벽과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즉, 칸막이(18)를 중심으로 상측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32)가 형성되고, 하측은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배출통로(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칸막이(18)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공기 유입통로(32)를 통해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끝부분이 일정 하측으로 일정폭 만큼 절곡된 유출방지 돌기(20)가 형성되고, 또한 장착부(8)의 후방측이 일정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5)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공기 유입통로(32)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공기 유입통로(32)는 내용물이 유출되더라도 용기(4) 내부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액상물질 저장용 용기의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본체(12)의 외주면 요철부(24)를 잡고 돌려 마개(2)를 용기(4)에서 분리시킨 뒤 용기입구(6)측에 씌워진 밀봉커버(14)를 용기입구(6)에서 분리시킨다. 그런 후 마개의 장착부(8)를 용기입구(6)에 돌려서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커버(10)의 걸림작용을 해제하여 개방시킨 뒤 용기(4)를 입구(22)측이 아래쪽이 되도록 기울이면 용기(4)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내용물 유출통로(34)를 통해 입구(22)로 흘러 나온다. 이때, 외부공기는 공기 유입통로(32)를 통해 용기(4)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4) 내부에는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내용물이 흘러 나올 때 울컥거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는 주로 용기입구가 부드럽게 형성되거나, 그 변형이 쉬워 용기입구에 밀봉커버를 씌우기 힘든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마개이다.
즉, 일실시예로 엔진오일통과 같이 용기입구가 부드러운 벨로즈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입구(52)에 나선형태로 결합되는 결합부(54)와, 이 결합부(54)의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공간이 마련된 본체(56)와, 이 본체(56)의 내측에는 칸막이(58)가 형성되고, 이 칸막이(58)를 중심으로 상측이 공기 유입통로(60), 하측이 내용물 유출통로(62)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66)에는 개폐커버(64)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66)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부재(68)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밀봉부재(68)는 입구(66)측에 둘레방향으로 뜯기 쉬운 얇은 막으로 연결되는 일정 평판상으로 일측에 손으로 잡고 뜯기 용이하도록고리(7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는 먼저 개폐커버(64)를 개방시킨 뒤, 밀봉부재(68)의 고리(70)를 잡고 당기면 밀봉부재(68)의 둘레방향이 입구측에서 뜯어지면서 분리된다. 이렇게 밀봉부재(68)를 분리시킨 뒤 용기를 기울이면 내용물 유출통로(62)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입구(66)로 흘러 나오고 공기유입통로(60)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 용기의 마개는 마개의 내부에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를 형성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제거하여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용기입구의 둘레방향으로 나선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이 입구에는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가 장착되는 본체와;상기 본체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본체를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측은 본체 내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고, 칸막이의 상측은 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은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내출통로가 형성되는 공기 유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용기 내부의 밀봉을 위하여 용기입구에 씌워진 밀봉커버를지지하기 위하여 장착부의 상측 끝부분 둘레방향으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후방 측면은 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는것을 방지하도록 하방향으로 꺾인 내용물 유출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장착부의 상단 후방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4. 용기입구의 둘레방향으로 나선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이 입구에는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가 장착되는 본체와;상기 본체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본체를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칸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측은 본체 내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고, 칸막이의 상측은 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은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내출통로가 형성되는 공기 유입수단과;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작용을 하도록 상기 입구의 둘레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저장용기의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입구측에 둘레방향으로 뜯기 쉬운 얇은 막으로 연결되는 일정 평판상으로 일측에 손으로 잡고 뜯기 용이하도록 고리가 부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2019990028493U 1999-10-22 1999-12-16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20018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93U KR200184657Y1 (ko) 1999-10-22 1999-12-16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36A KR20000012241A (ko) 1999-10-22 1999-10-22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2019990028493U KR200184657Y1 (ko) 1999-10-22 1999-12-16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036A Division KR20000012241A (ko) 1999-10-22 1999-10-22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57Y1 true KR200184657Y1 (ko) 2000-06-01

Family

ID=2663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93U KR200184657Y1 (ko) 1999-10-22 1999-12-16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810398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жидкости
JP2946312B2 (ja) 燃料タンクのベント装置
WO2018190314A1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184657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JPH072500B2 (ja) 液体容器
JP3530275B2 (ja) 液体注出キャップ
KR20000012241A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JPH09183443A (ja) 液体容器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97302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JP412540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8156957A (ja) キャップ
JPH07223662A (ja) キャップ
JP4140678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EP0662914B1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JP3563443B2 (ja) 注ぎキャップ
KR20018671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100708416B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186783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20699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
KR200253151Y1 (ko) (치약과 같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
KR0131875Y1 (ko) 액체 용기
KR100306404B1 (ko) 대기압을이용한유체유입구를갖는용기
KR200258430Y1 (ko) 투명 유리용기
KR20010076317A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