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430Y1 - 투명 유리용기 - Google Patents

투명 유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430Y1
KR200258430Y1 KR2020010023510U KR20010023510U KR200258430Y1 KR 200258430 Y1 KR200258430 Y1 KR 200258430Y1 KR 2020010023510 U KR2020010023510 U KR 2020010023510U KR 20010023510 U KR20010023510 U KR 20010023510U KR 200258430 Y1 KR200258430 Y1 KR 200258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glass
container
glass container
outlet means
liqui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환
Original Assignee
신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환 filed Critical 신성환
Priority to KR2020010023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43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유출수단을 구비한 투명유리로 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마개(120)가 체결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110)로 이루어진 투명 유리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10)의 외주 일측에 액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출수단(130)이 구비되어, 유리용기 내에 있는 액체 내용물만을 편리하게 따라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유리용기{Transparent glass vessel}
본 고안은 유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유출수단을 구비한 투명유리로 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과일, 약재 등을 이용하여 과실주 등을 만들어 보관하기 위하여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이와 같은 용기는 투명유리로 제작하여 안의 내용물을 바깥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여 장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투명 유리용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유리용기(10)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용기부(11)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부(11)에는 과실, 또는 약재 등과 함께 알코올을 넣어 개구부를 마개(12)로 막은 후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리용기는 통상 과실주 등을 만들어 보관하는 경우에 많은 량을 한꺼번에 담그기 때문에 용기의 부피가 크며, 용기 자체의 무게 역시 무겁게 된다.
따라서, 유리용기 내에 액체 내용물, 예를 들어 과실주만을 따라내기 위해서는 유리용기 내에 조그만 컵과 같은 용기를 집어넣어서 조금씩 떠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또는 유리용기를 직접 들어서 기울인 후에 개구부를 통해서 따라내야만 한다. 그러나, 유리용기를 직접 들어서 따라내는 경우에는 용기 내에 있는 과실, 약재 등과 같은 고체 내용물도 같이 나오기 때문에 액체 내용물만을 따로 따라내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용기 내에 액체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출수단이 구비된 유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개가 체결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로 이루어진 투명 유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주 일측에 액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투명 유리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유리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유리용기에 있어 유출수단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투명 유리용기 110 : 용기부
120 : 마개 130 : 유출수단
131 : 고무패킹 122 : 필터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유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유리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유리용기의 내측에서 바라본 유출수단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투명 유리용기(100)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용기부(110)의 외주 일측에 액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출수단(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필요에 따라 유리용기(1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120)가 체결될 수가 있다.
상기 유출수단(130)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공지의 밸브로써,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액체 내용물만이 배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와 유출수단(130)에는 고무패킹(131)과 같은 기밀부재를 삽입하여 용기부와 유출수단과의 결합면 사이로 액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유출수단(130)의 배출구에는 망사의 필터(132)를 구비하여 유출수단(130)을 통해서 액체 내용물을 따라내는 과정에서 작은 고체 내용물이 유출수단(130) 내부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투명 유리용기는 유출수단에 구비된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액체 내용물만을 편리하게 따라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투명 유리용기에 유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리용기 내에 있는 액체 내용물만을 편리하게 따라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마개가 체결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로 이루어진 투명 유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주 일측에 액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유출수단의 사이에는 기밀부재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수단에는 고체 내용물을 걸려내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리용기.
KR2020010023510U 2001-08-02 2001-08-02 투명 유리용기 KR200258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510U KR200258430Y1 (ko) 2001-08-02 2001-08-02 투명 유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510U KR200258430Y1 (ko) 2001-08-02 2001-08-02 투명 유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430Y1 true KR200258430Y1 (ko) 2001-12-28

Family

ID=7310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510U KR200258430Y1 (ko) 2001-08-02 2001-08-02 투명 유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2452A (en) Dispenser closure
JP4316809B2 (ja) コンテナ用密閉バルブ
RU2372265C2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KR940003834A (ko) 액체용기의 밀폐용 플러그
CA2300748A1 (en) Liquid despensing pump
FI66285B (fi) Doseringsbehaollare
KR200258430Y1 (ko) 투명 유리용기
US5052595A (en) Closure cap having structure for minimizing dripping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H1072053A (ja) 蓋部付キャップ
US4979653A (en) Closure cap having structure for minimizing dripping
JP6776594B2 (ja) 注出機構付きキャ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JPS6333821Y2 (ko)
JPH08156957A (ja) キャップ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RU21288U1 (ru) Крышка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JP3330943B2 (ja) 流体収納容器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JP2008062985A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KR200179855Y1 (ko) 용기의 마개
KR200292088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KR200184657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200248960Y1 (ko)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