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317A -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317A
KR20010076317A KR1020010002687A KR20010002687A KR20010076317A KR 20010076317 A KR20010076317 A KR 20010076317A KR 1020010002687 A KR1020010002687 A KR 1020010002687A KR 20010002687 A KR20010002687 A KR 20010002687A KR 20010076317 A KR20010076317 A KR 2001007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air
contents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1000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317A/ko
Publication of KR2001007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65D47/1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에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여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각각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유입통로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가 상단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덮어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cap of storage vessel }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 입구를 통해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해소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개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외부의 공기 및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 주둥이 즉, 용기입구(102)에 고정되어 용기(108)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기입구(102)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결합되고, 용기입구(102)에 밀착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부재(106)가 상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마개(104)는 용기에서 마개(104)를 손으로 푼 다음 용기(108)를 기울이면 용기입구(102)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 부피만큼 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므로 용기입구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용기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울컥거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에 따르기 힘들고, 또한 울컥거림으로 원하지 않는 위치에 액상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2)의상측면 양쪽에 용기입구(110)와, 이 용기입구(110)측의 반대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4)를 두어 용기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을 따를 때, 이 공기 유입구(114)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용기입구(110)측에서의 울컥거림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입구와는 별도로 용기의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해야 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또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이 쏟아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용기가 밀봉되는 경우에는 입구측이 두 개인 관계로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에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여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개 4 : 용기
6 : 용기입구 8 : 장착부
12 : 본체 14 : 커버
18 : 플레이트 20 : 시일부재
38 : 배출통로 40 : 공기 유입통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각각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유입통로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가 상단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덮어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마개(2)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6)에 결합되는 장착부(8)와, 이 장착부(8)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용기(4)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12)와, 장착부(8)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12)를 덮어 밀봉하는 커버(14)로 이루어진다.
장착부(8)는 용기입구(6)에 나선형태로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용기입구(6)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봉 작용하도록 밀봉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밀봉수단은 용기(4)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압축된 상태이거나, 기밀을 요하는 물질을 경우 용기입구(6)를 밀봉하는 것으로, 용기입구(6) 끝단 둘레방향으로 끼워지는 원판형태의 플레이트(18)와 이 플레이트(18)의 하측으로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정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용기입구(6)의 내주면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시일부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시일부재(20)는 용기(4) 내부의 압력에 의해 용기입구(6) 내측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밀착돌기(24)를 갖는다.
그리고, 장착부(8)의 상측 둘레방향으로 커버(14)와의 걸림 작용을 위해 걸림턱(28)이 형성되고, 본체(12)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흘러내려 다시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 둘레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2)의 하단에는 용기(4)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리턴홈(34)이 형성된다.
본체(12)는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으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38)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40)가 각각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격벽(46)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본체(12)의 일측면에는 배출통로(38)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42)가 형성되고, 본체(12)의 상측에는 공기 유입통로(40)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4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구(42)와 공기 유입구(44)에는 사용 전에 용기의 밀봉을 위해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재(50)는 배출구(42)와 공기 유입구(44)에 형성되는 일정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힘으로 누르면 얇은 막이 벗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14)는 그 일측이 장착부(8)의 일측에 띠형태의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8)에 형성되는 걸림턱(28)에 걸림 작용될 수 있도록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부(30)가 형성되며, 그 전방측에 손을 열기 편리하도록 개방돌기(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2)와 공기 유입구(44)에 장착된 밀봉부재(50)를 손으로 누려 떼어낸다. 그리고, 용기입구(6)에 끼워진 밀봉수단을 빼내어 제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은 배출통로(38)로 유입되어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 유입구(4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기의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흘러 내리면 가이드홈(32)에 모아지고, 이 모아진 내용물은 리턴홈(34)을 통해 다시 용기 내부로 유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마개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는 본체(12)의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으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38)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40)가 각각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격벽(46)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본체(12)의 상측면 전방에 배출통로(38)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72)가 형성되고, 본체(12)의 상측면 후방에는 공기 유입통로(40)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74)가 형성된다.
즉, 이러한 마개는 본체(12)의 상측면 전방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72)가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공기 유입구(74)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 용기의 마개는 마개의 내부에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를 형성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제거하여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각각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유입통로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가 상단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덮어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는 용기 내부의 밀봉을 위하여 용기입구 끝단 둘레방향으로 끼워지는 원판형태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정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용기입구의 내주면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지는 밀봉수단이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에는 밀봉 작용을 위해 일정 형태의 얇은 막으로이루어지는 밀봉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밀봉부재는 일정 힘으로 누르면 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으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가 각각 마련되며, 상측면 전방에 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면 후방에는 공기 유입통로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1020010002687A 2001-01-17 2001-01-17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1007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687A KR20010076317A (ko) 2001-01-17 2001-01-17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687A KR20010076317A (ko) 2001-01-17 2001-01-17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008U Division KR200186710Y1 (ko) 2000-01-14 2000-01-14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17A true KR20010076317A (ko) 2001-08-11

Family

ID=1970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687A KR20010076317A (ko) 2001-01-17 2001-01-17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3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1B1 (ko) * 2007-09-28 2010-05-11 안형배 용기용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1B1 (ko) * 2007-09-28 2010-05-11 안형배 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WO2020187335A1 (zh) 一种多级密封的容器封盖
KR20018671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10076317A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US5720925A (en) Flask
KR102188920B1 (ko) 이중 용기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JP5587584B2 (ja) 流動物押出用容器
KR100708415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CN210028532U (zh) 一种多级密封的容器封盖
JP3686711B2 (ja) ポンプ付き吐出容器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488231Y1 (ko)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0785282B1 (ko)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KR200184657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100893115B1 (ko)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디스펜서
KR200197302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JP2024172484A (ja) 注出キャップ
KR200270679Y1 (ko) 밀폐용기
KR2005009168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의 구조
KR20000012241A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1011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1011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