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02Y1 -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02Y1
KR200197302Y1 KR2020000011133U KR20000011133U KR200197302Y1 KR 200197302 Y1 KR200197302 Y1 KR 200197302Y1 KR 2020000011133 U KR2020000011133 U KR 2020000011133U KR 20000011133 U KR20000011133 U KR 20000011133U KR 200197302 Y1 KR200197302 Y1 KR 200197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stopper
content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2020000011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65D47/1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에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여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개를 완전히 개폐시키지 않고도 내용물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용기마개와 용기입구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개는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결합되고,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키면 용기입구의 걸림돌기와 걸림 작용되도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전방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반대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작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입구와 장착부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cap of storage vessel }
본 고안은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 입구를 통해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해소하고 용기입구와 마개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마개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외부의 공기 및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 주둥이 즉, 용기입구(102)에 고정되어 용기(108)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기입구(102)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결합되고, 용기입구(102)에 밀착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부재(106)가 상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마개(104)는 용기에서 마개(104)를 손으로 푼 다음 용기(108)를 기울이면 용기입구(102)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는 용기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 부피만큼 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므로 용기입구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용기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울컥거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에 따르기 힘들고, 또한 울컥거림으로 원하지 않는 위치에 액상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2)의 상측면 양쪽에 용기입구(110)와, 이 용기입구(110)측의 반대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4)를 두어 용기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을 따를 때, 이 공기 유입구(114)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용기입구(110)측에서의 울컥거림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입구와는 별도로 용기의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해야 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또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이 쏟아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용기가 밀봉되는 경우에는 입구측이 두 개인 관계로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마개를 완전히 개방시키지 않고 어느 정도만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따르도록 이루어지는 저장용기의 경우 용기마개와 용기입구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유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에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여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마개를 완전히 개폐시키지 않고도 내용물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용기마개와 용기입구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밀봉부재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용기 6 : 용기입구
8 : 장착부 12 : 작용부
26 : 배출구 28 : 공기 유입구
35 : 밀봉부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는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결합되고,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키면 용기입구의 걸림돌기와 걸림 작용되도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전방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반대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작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입구와 장착부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이다.
마개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입구(6)에 결합되는 장착부(8)와, 용기(4)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작용부(12)와, 상기 장착부(8)와 용기입구(6)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용부(12)에는 외부의 먼지 및 기타 불순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15)이 씌워진다.
장착부(8)는 용기입구(6)에 나선형태로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원통형태이고, 그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20)에는 용기입구(6)와 나선 결합될 때, 일정정도 회전시키면 일정 이상의 힘으로 돌려야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걸림 작용되는 걸림부(18)가 형성된다.
즉, 나선홈(20)의 일정부위에 그 폭이 좁아도록 형성하여 용기입구(6)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돌기(22)와 나선 결합될 때 나사돌기(22)가 폭이 좁은 부위를 통과할 때 조여지는 작용을 하여 일정 이상의 힘으로 돌려야만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8)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오목과 볼록형태의 요철부(41)가 형성된다.
작용부(12)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부(8)에 비해 그 직경이 좁은 형태이며, 상측면은 닫힌 상태이고, 한쪽 측면에는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6)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26)와 반대쪽 측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6)는 그 전방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개방되고, 이 배출구(26)를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지지대(32)가 일체로 세워진다. 이 배출구(26)의 하측면은 따르고 남은 내용물이 다시 용기 내부로 리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경사면(27)이 형성된다. 즉, 배출구의 하측면이 안쪽으로 경사면(27)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따른 후 배출구(26)에 남아 있는 내용물은 경사면(27)을 따라 다시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8)는 배출구(26)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배출구(26)를 통해 내용물을 따를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6)와 공기 유입구(28) 사이에는 공기 유입구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칸막이(17)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 칸막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부(12)의 내측 상면에서 수직으로 T 자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28)와 배출구(26) 사이를 분리한다. 그리고 도 6은 차단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단 칸막이(21)는 공기 유입구를 향해 V 형태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12)를 성형할 때, 화살표 P방향으로 코어에 의해 절단하여 배출구(26)와 공기 유입구(28)를 성형하는 몰드 사출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마개의 내부 역시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코어를 화살표 Q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용기 마개의 내부를 성형한다.
상기 캡(15)은 작용부(1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배출구(26)와 연통되는 제1구멍(31)과, 공기 유입구(28)와 연통되는 제2구멍(33)이 그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캡(15)의 내측면에는 캡(15)이 회전될 때 걸림 작용되는 걸림돌기(37)가 형성되는 작용부(12)에도 역시 캡(15)의 회전시 걸림 작용되는 돌기부(35)가 형성된다.
즉, 사용할 경우에는 캡(15)을 회전시켜 제1구멍(31)과 배출구(26)를 연통시키고 제2구멍(33)과 공기 유입구(28)를 연통시켜 내용물을 따르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캡의 걸림돌기(37)와 작용부(12)의 돌기부(35)가 걸림 작용되어 캡이 일정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부는 상기 장착부(8)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입구와 장착부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35)로 이루어진다. 이 밀봉부재(35)는 장착부(8)의 내측 둘레방향에 일체로 성형되고 하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얇은 막형태로 형성되며, 용기입구(6)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밀봉부재(35)는 내용물을 따를 때 용기입구(6)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이 화살표 T방향으로 용기입구(6) 외주면과 장착부(8)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러한 밀봉부재(35)는 사출시 코어가 하방향으로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고, 사출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뒷면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여 뒤로 젖혀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용기입구가 삽입될 때 그 끝부분이 상방향으로 말려 올라가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입구(6)는 상기 밀봉부재(35)가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폭 만큼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마개는 탄산가스가 충진된 음료 용기 등 용기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는 내압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밀봉부재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먼저 마개를 회전시키면 용기입구(6)가 마개의 장착부(8)에 형성된 나선홈(20)을 따라 열리게 되고, 이때 나선홈(20)에 형성된 걸림부(18)에 용기입구의 나선돌기(22)가 걸림 작용되어 조여지면 회전을 멈춘다. 그러면, 용기입구(6)가 마개와 끼워진 상태로 배출구(26)와 공기 흡입구(28)가 용기 내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구(26) 방향으로 용기를 기울이면 배출구(26)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28)를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내용물을 따를 때 발생되는 울컥거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마개를 회전시키면 용기입구(6)와 장착부(8) 사이가 느슨해져 틈이 발생되는 데, 밀봉부재(35)가 용기입구(6)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을 통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저장용 용기의 마개는 내부에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제거하여 울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개를 완전히 개폐시키지 않고 일정 정도 마개를 회전시키면 마개가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마개와 용기입구 사이에 밀봉부재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따를 때 마개와 용기입구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결합되고,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키면 용기입구의 걸림돌기와 걸림 작용되도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전방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반대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작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입구와 장착부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의 외주면에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구멍과,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2구멍이 그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캡의 측면에는 캡이 회전될 때 작용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걸림 작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 둘레방향에 일체로 성형되고 하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얇은 막형태로 형성되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사출시 코어가 하방향으로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고, 사출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뒷면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여 뒤로 젖혀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용기입구가 삽입될 때 그 끝부분이 상방향으로 말려 올라가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코어을 직선 이동시켜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성형하고, 용기마개의 내부도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코어를 직선 이동시키는 성형하는 몰드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20000011133U 2000-04-19 2000-04-19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197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133U KR200197302Y1 (ko) 2000-04-19 2000-04-19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133U KR200197302Y1 (ko) 2000-04-19 2000-04-19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02Y1 true KR200197302Y1 (ko) 2000-09-15

Family

ID=1965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133U KR200197302Y1 (ko) 2000-04-19 2000-04-19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13B1 (ko) 2007-08-27 2008-06-12 (주)가가디자인테크 도자기 마개
KR20160068239A (ko) * 2014-12-05 2016-06-15 김기완 음료 용기 및 이에 결합되는 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13B1 (ko) 2007-08-27 2008-06-12 (주)가가디자인테크 도자기 마개
KR20160068239A (ko) * 2014-12-05 2016-06-15 김기완 음료 용기 및 이에 결합되는 마개
KR101678897B1 (ko) 2014-12-05 2016-11-23 김기완 음료 용기 및 이에 결합되는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EP0616589B1 (en) Positive-sealing bottle cap
US6230944B1 (en) Adjustable pouring device with sealing cap
MXPA04006908A (es) Tapa giratoria para un recipiente.
PT2013105E (pt) Sistema de fecho de um recipiente com método para introduzir um aditivo no conteúdo do recipiente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5884810A (en) Dispenser having a breakable and replaceable membrane for a rigid container for liquids
US6427881B1 (en) Edge seal closure
KR200197302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101788210B1 (ko) 페인트 통
US5961001A (en) Venting liquid dispensing spout for closed container
JPH0912049A (ja) 液体注出キャップ
KR102388913B1 (ko) 원터치 캡
KR200186783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100708416B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0184657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JPH08156957A (ja) キャップ
JP4582451B2 (ja) 注出栓
KR200286406Y1 (ko) 액체보관용 재활 용기
KR200405569Y1 (ko) 용기의 출렁임 방지 배출구조
KR20000012241A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200496669Y1 (ko) 액상 내용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0313024B1 (ko) 유체 디스펜서
JP7479770B2 (ja) 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