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027Y1 -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027Y1
KR200184027Y1 KR2019990029583U KR19990029583U KR200184027Y1 KR 200184027 Y1 KR200184027 Y1 KR 200184027Y1 KR 2019990029583 U KR2019990029583 U KR 2019990029583U KR 19990029583 U KR19990029583 U KR 19990029583U KR 200184027 Y1 KR200184027 Y1 KR 200184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frame
wheel type
type excavator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휠 타입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이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를 이루면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의 상부에 일정 크기를 갖는 상판(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2)의 좌우측부에 수직하부방향으로 측판(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판(3)의 하부에 하판(4)이 조립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자형을 이루게 되는 한편, 상기 좌우측 측판(3)과 하부의 하판(4)이 'ㄷ'자형을 이루면서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상판(2)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하부 프레임을 이루는 좌우측 측판과 하판이 일체로 성형되어 용접부를 줄여줌으로써 하부 프레임의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생겨나는 크랙을 없애줄 수 있게 되어 하부 프레임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A lower-frame's structure of a wheel type excavator}
본 고안은 휠 타입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을 이루는 좌우측판과 하판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용접부위에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 프레임 및 굴삭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유압을 이용하여 배수로 묻기, 파이프 묻기, 건물기초 바닥파기, 토사적재 등 다양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휠 타입 굴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휠(101)로 이루어진 하부 주행체(102)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 선회체(103)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103)의 전방부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붐(104)이 설치되며, 상기 붐(104)의 선단에는 실린더(10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는 아암(106)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106)의 선단에는 토사나 암석을 직접 채굴하게 되는 버킷(10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휠 타입 굴삭기(108)의 상부 선회체(103)를 지지하도록 된 하부 프레임의 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상판(109)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9)의 중앙부에 상부 선회체(103)가 조립되기 위한 선회 센터부(110)가 선회 베어링(111)을 구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상판(109)의 좌우측부에 수직하부방향으로 측판(112)이 각각 용접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측판(112)의 하부에 하판(113)이 용접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자형을 이루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하부 프레임(114)의 경우 상판(109)에 각각의 측판(112)이 용접에 의해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측판(112)의 하부에 하판(113)도 용접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휠 타입 굴삭기(108)로 작업을 하게 될 경우 하부 프레임(114)에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응력이 측판(112)과 하판(113)의 용접부에 집중될 경우 크랙이 발생하여 하부 프레임(114) 및 굴삭기(108)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을 측판과 하판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하부 프레임의 용접부에서 생겨나는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 프레임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 크기를 갖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좌우측부에 수직하부방향으로 측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 하판이 조립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자형을 이루도록 된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측판과 하부의 하판이 'ㄷ'자형을 이루도록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상기 상판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와 같이 상자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의 좌우측 측판과 하판이 'ㄷ'자형으로 일체로 절곡 성형되기 때문에 상판에 양 측판이 일체로 성형된 하판을 용접함으로써 하부 프레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부 프레임을 이루는 좌우측 측판과 하판이 일체로 성형되어 용접부를 줄여줌으로써 용접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의 용접부에서 생겨나는 크랙을 없애줄 수 있게 되어 하부 프레임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휠 타입 굴삭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 프레임 2 : 상판
3 : 측판 4 : 하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을 설명하면, 휠 타입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이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를 이루면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의 상부에 일정 크기를 갖는 평면형상의 상판(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2)의 좌우측부에 수직하부방향으로 측판(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판(3)의 하부에는 하판(4)이 조립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측판(3)은 하부 하판(4)의 폭방향 양단에 'ㄷ'자형을 이루면서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상기 상판(2)에 용접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1)의 특징은 그 조립체를 제작할 때 하부 프레임(1)의 하부쪽을 이루는 좌우측의 측판(3)과 하판(4)을 일체로 절곡 성형하는 것에 있는 바, 하나의 플레이트를 'ㄷ'자형으로 벤딩성형 함으로써 좌우측의 측판(3)과 하부의 하판(4)을 일체로 성형하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와 같이 상자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1)의 좌우측 측판(3)과 하판(4)이 'ㄷ'자형으로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단지 상판(2)에 각각의 측판(3)만 조립하게 되면 하부 프레임(1)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상기 측판(3)과 하판(4)이 용접에 의해 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용접부의 응력집중현상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 프레임(1)을 조립할 경우 미리 제작된 상판(2)과 일체로 절곡형성된 좌우 측판(3) 및 하판(4)을 용접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상자형의 하부 프레임(1)을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에 하판(4)과 좌우측 측판(3)을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작업이 배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프레임(1)의 하판(4)과 좌우측의 측판(3)이 일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작업의 배제에 따른 작업생산성이 향상되고, 용접부위를 최소화 하면서 하부 프레임(1)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을 이루는 좌우측 측판과 하판이 일체로 성형되어 용접부를 줄여줌으로써 하부 프레임의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생겨나는 크랙을 없애줄 수 있게 되어 하부 프레임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회센터부(110)를 구비한 평면 형상의 상판(2)과, 좌우 측판(3)을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하여서 된 하판(4)과, 상기 상판(2)의 폭방향 양단 저부에 상기 하판(4)의 양측판(3)이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KR2019990029583U 1999-12-24 1999-12-24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KR200184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83U KR200184027Y1 (ko) 1999-12-24 1999-12-24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583U KR200184027Y1 (ko) 1999-12-24 1999-12-24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027Y1 true KR200184027Y1 (ko) 2000-06-01

Family

ID=1960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583U KR200184027Y1 (ko) 1999-12-24 1999-12-24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16B1 (ko) 2020-06-08 2021-07-21 주식회사 진흥주물 최적 소결층 확보를 위한 3d 프린팅 활용기반 상용차량 차축의 휠 허브 중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16B1 (ko) 2020-06-08 2021-07-21 주식회사 진흥주물 최적 소결층 확보를 위한 3d 프린팅 활용기반 상용차량 차축의 휠 허브 중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38850A (ja) カウンタウエイト
JP5043188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546579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8018768A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3634723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KR200184027Y1 (ko) 휠 타입 굴삭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
JP2014105499A (ja)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JP2003213727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KR101053078B1 (ko)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JP2003129522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355878B2 (ja) クローラ式車両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538053B2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KR101144760B1 (ko) 건설 기계
CN212534253U (zh) 一种可定向施工作业的履带式推土机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3129521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CN216787251U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2581916Y2 (ja) ドーザの構造
JP5112149B2 (ja) 柱支持構造およ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4150385B2 (ja) 旋回作業機の排土板
JPH051433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S621932A (ja) バックホウのア−ム取付け構造
JP4328178B2 (ja) 建設機械及び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593590Y2 (ja) Xレグタイプクローラフレーム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H01242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