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73Y1 -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73Y1
KR200183673Y1 KR2019990028106U KR19990028106U KR200183673Y1 KR 200183673 Y1 KR200183673 Y1 KR 200183673Y1 KR 2019990028106 U KR2019990028106 U KR 2019990028106U KR 19990028106 U KR19990028106 U KR 19990028106U KR 200183673 Y1 KR200183673 Y1 KR 200183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eodorizing device
contain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냄새억제 및 피조리품(1)의 연소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탈취(脫臭)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 1)을 가열시키는 용기(VESSEL; 2)와, 이 용기(2)를 개폐시키는 덮개부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탈취장치에 있어서, 냉매(冷媒; 40)를 내장한 냉각통(30)과, 상기 냉각통(30)의 냉매(40)에 침수되며 상기 덮개부재(10)를 통하여 상기 용기(2)에 연통되어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상기 냉매(40)에 작용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관(50)과, 상기 냉각통(30)을 개폐시키는 뚜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취장치{DEODORIZING APPARATUS}
본 고안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냄새억제 및 피조리품의 연소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탈취(脫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가열하는 조리방법으로는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튀김·부침 등 철·구리·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
이러한 다양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받으면서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고, 튀기고, 지지고, 쪄서 식품화시키는 용기(VESSEL)라는 조리기구가 동원된다.
이때, 용기 속에 담겨진 음식물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조리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냄새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 데, 이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냄새는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淸國醬)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조리(調理)의 개념을 단순히 음식물을 식품화시키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기호식품 또는 다양한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하는 것 등을 총 망라하여 정의하고, 이에 동원되는 용기는 단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한정된 조리기구가 아닌 기호식품 또는 가열에 의하여 냄새를 유발시키는 모든 피조리품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개념의 수단으로 정의한다.
이렇게 피조리품의 가열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는 대부분 싫거나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거나 대기오염의 전조(前兆)로서 악기능을 수행한다.
대기오염의 전조로서 악기능을 수행하는 악취로서의 냄새일 경우 우리 인간에게 심리적·정신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생리학적 영향을 끼쳐 호흡리듬의 이상이나 기침, 자극취에 의한 혈압상승, 소화액분비나 수분섭취의 저하에 의한 식욕부진과 구역질·구토, 그리고 호르몬분비의 변화에 의한 후각감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악취는 불면증·안면방해·불안·짜증·히스테리 등과 같이 정신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구토 및 두통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피조리품의 가열에 의하여 유발되는 냄새는 극단적으로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는 악취로 쉽게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냄새에 의한 대기오염은 정신적·신체적인 악기능을 제공하므로, 본 출원인은 피조리품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냄새를 제거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이하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안으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열수단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다시 환원시켜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캡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피조리품(被調理品) 2 : 용기(VESSEL)
10 : 덮개부재 11 :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
11a : 계단형의 밀폐용 패킹 12 :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
12a : 원판형의 밀폐용 패킹 13 : 가이드 부재
13a : 수나사부 14 : 받침턱
14a : 결합구멍 20 : 단열판
21 : 요철부 22 : 연통구멍
22a : 나사홈 30 : 냉각통
31 : 걸림턱 31a : 밀봉패킹
32 : 끼움구멍 40 : 냉매(冷媒)
50 : 응축관 51 : 나사산
51a : 너트 52 : 하한판
60 : 뚜껑 70 : 지지부재
80 : 결합수단 81 : 돌출테
82 : 오목테 90 : 캡
91 : 암나사부 ℓ : 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시키는 용기(VESSEL)와, 이 용기를 개폐시키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탈취장치에 있어서, 냉매(冷媒)를 내장한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의 냉매에 침수되며 상기 덮개부재를 통하여 상기 용기에 연통되어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상기 냉매에 작용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관과, 상기 냉각통을 개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 1)을 가열시키는 용기(VESSEL; 2)가 준비되고, 이 용기(2)는 덮개부재(10)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용기(2)에 담겨지는 피조리품(1)은 가열에 의하여 냄새를 유발시키는 미립자를 함유한 음식물 또는 기호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용기(2)는 미 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온의 열을 피조리품(1)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핵심 구성은 냉매(冷媒; 40)를 내장한 냉각통(30)을 기본으로 하고, 덮개부재(10)를 통하여 용기(2)에 연통되어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냉매(40)에 작용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관(50)이 상기 냉각통(30)의 냉매(40)에 침수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냉각통(30)은 뚜껑(60)에 의하여 개폐된다.
냉각통(30)은 냉매(40)의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별도의 손잡이(A)가 구비되어 이동시의 편리함과 냉매(40) 배출시의 용이함을 함께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냉각통(30)에 내장된 냉매(40)는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기체)를 액화시키는 매체로서 상온(常溫)의 물이나 차가운 냉수, 그리고 고체상태의 얼음, 냉장 냉동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또는 대기 속에서 -78.5℃에서 승화하며 액체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낮은 온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차가운 냉풍 등과 같이 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는 매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냉매(40)의 예로서 고체상태의 얼음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동된 얼음을 조각내어 냉각통(30)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물을 냉각통(30)에 채운 후 냉각통(30)과 함께 직접 냉각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응축관(50)은 후술하는 단열판(20) 및 덮개부재(10)를 통하여 용기(2)에 연통됨과 동시에 뚜껑(60)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다수 회 회전되어 올라가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냉각통(30)에 내장된 냉매(40)에 접촉되는 표면적이 극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축관(50)의 형상을 단지 코일(coil)의 형상으로 구체화시켰지만 냉매(40)에 접촉되는 응축관(50)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가열수단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익혀지는 피조리품(1)은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이 증기는 응축관(50)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냉각통(30)에 내장된 냉매(40)에 작용되어 액화된 후 다시 응축관(50)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여 용기(2)에 담겨진 피조리품(1)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1)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은 응축과정을 통한 수증기의 환원으로 최소화될 수 있고, 더불어 증기 속에 함유된 냄새 미립자는 냉매(40)에 의한 응축작용으로 다시 액화되어 용기(2) 속으로 대부분 떨어져 없어지거나 일부는 냉매(40)와 함께 완전히 응결되어 외부의 공기 속으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의 최소화 내지는 완전한 제거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람의 후각에 미치는 냄새 및 악취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고온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1)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려고 하는 냄새 미립자는 냉매(40)의 응축과정에서 응결핵으로 작용되어 물방울로 환원된 후 용기(2) 속으로 다시 회수되므로써 냄새의 유출방지는 물론 수증기의 증발에 의한 피조리품(1)의 타는 현상, 즉 연소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피조리품(1)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조리품(1)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탕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냉각통(30)을 개폐시키는 뚜껑(60)은 냉매(40)의 미작용으로 증기화되어 응축관(50)으로부터 유출되는 일부 냄새 미립자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각통(30) 속에 냉매(40)를 주입 또는 배출하고자 할 경우 개폐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용기(2)의 피조리품(1)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냉각통(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냉각통(30) 속에 내장된 냉매(40)는 저온의 상태를 쉽게 잃거나 냉매(40)로서의 기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덮개부재(10)와 냉각통(30) 사이에 단열판(20)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열판(20)은 열류(熱流)를 차단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열전도율이 매우 작은 것으로서 실리콘 고무를 예로 들 수 있다. 실리콘고무는 내열성·저온특성이 우수하며 내오존성·내코로나성·내유성·내화학 약품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생물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무독하므로 식품을 조리할 경우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냉각통(30)의 상측 내주연에는 절곡된 걸림턱(31)이 구비되고, 이 걸림턱(31)의 내주연에는 밀폐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밀봉패킹(31a)이 결착된다. 그리고, 걸림턱(31)에는 응축관(5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안아 결착시키는 지지부재(70)가 구비된다.
밀봉패킹(31a)은 냉각통(30) 위에 뚜껑(60)이 위치될 경우 응축관(5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냄새 미립자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재(70)는 응축관(50)의 좌우회동을 방지하며 특히 냉매(40)를 배출하고자 손잡이(A)를 잡고 냉각통(30)을 수평방향으로 기울릴 경우 응축관(50)의 좌우회동으로 인한 하단부의 파손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피조리품(1)을 저장한 용기(2) 위에는 덮개부재(10)가 착탈 가능하게 위치되는 데, 이 덮개부재(10)는 용기(2)의 크기(ℓ)에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를 더 포함하고, 이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에는 계단형의 밀폐용 패킹(12a)이 더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재(10)는 용기(2)의 크기(ℓ)에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에는 원판형의 밀폐용 패킹(12a)이 구비되는 것도 좋다.
덮개부재(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 또는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는 용기(2)의 크기(ℓ)에 관계없이 덮개부재(10)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사용시의 소모적인 낭비를 줄이는 유익함을 제공한다.
또한, 냉각통(30)과 단열판(20)은 결합수단(80)에 의하여 상호 일체 결합되어 덮개부재(10) 위에 착탈이 용이하게 위치되고, 이때 결합수단(80)은 냉각통(3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테(81)와, 이 돌출테(81)를 끼움 받아들일 수 있도록 단열판(20) 위에 함몰 성형된 오목테(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수단(80)은 단열판(20) 위에 함몰 성형된 오목테(82) 속에 냉각통(30)의 돌출테(81)가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단열판(20)과 냉각통(30)이 자연스럽게 일체화될 수 있게 되어 덮개부재(10) 위에 냉각통(30)이 용이하게 놓여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
결합수단(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판(20)에 뚫려진 다수 개의 결합홈(a)과, 이 결합홈(a)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냉각통(30)의 하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다수 개의 결합돌기(b)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재(10)의 상측에는 원통형상의 가이드 부재(13)가 돌출 성형되어 단열판(20)의 외주연을 안내하여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이 가이드 부재(13)의 내주연에는 중심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단열판(20)의 하측면을 받쳐주는 받침턱(14)이 구비된다. 그리고, 단열판(20)의 외주연은 피조리품(1)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13)의 내주연에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는 다수 개의 요철부(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턱(14)은 냉각통(30) 전체의 무게를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가이드 부재(13)는 결합수단(80)에 의하여 냉각통(30)에 일체화된 단열판(20)을 받아들여 냉각통(30) 자체의 흔들림이나 이탈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단열판(20)에 일체화된 냉각통(30)이 덮개부재(10)로부터 분리될 경우 덮개부재(1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3)의 상측에는 캡(90)이 결합된다. 이 캡(90)은 내주연에 암나사부(91)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91)에 대응되는 가이드 부재(13)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13a)가 구비되어 상호 조임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캡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
즉, 피조리품(1)을 조리할 때 유출되는 냄새가 오히려 식욕을 증진시키고 유익한 향으로서의 작용을 하거나 굳이 탈취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30)을 덮개부재(10)로부터 분리한 후 캡(90)을 씌워 일반적인 조리기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응축관(50)은 냉각통(30)의 밑면에 용접에 의하여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냉각통(30)의 밑면 중심에 뚫려진 끼움구멍(32)과 단열판(20)의 중심에 뚫려진 연통구멍(22)을 통하여 용기(2)에 연통되는 구조로 결합되기도 한다. 이때, 연통구멍(22)은 내주연에 나사홈(22a)이 형성되고 응축관(50)의 하단 외주연은 냉각통(30)의 냉매(40)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나사홈(22a)에 조임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응축관(50)의 하부 외주연에는 냉각통(30)의 끼움구멍(32)에 끼워지는 응축관(50)의 하측방향 이동시의 하한선(下限線)을 제공함과 동시에 냉매(4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한판(52)이 소형 원판형상으로 돌출 성형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0)의 받침턱(14)을 중심방향으로 더욱 연장시켜 단열판(20)의 연통구멍(22)에 일치되는 결합구멍(14a)을 더 구비시키고, 단열판(20)의 연통구멍(22) 및 덮개부재(10)의 결합구멍(14a)을 통하여 응축관(50)을 끼운 후 너트(51a)로 조임 결합시켜 냉각통(30)과 덮개부재(10)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냉매(40)가 소모성인 경우, 예를 들면 냉수 또는 얼음과 같이 냉매(40)로서의 작용을 발휘하고 난 후에 다시 버리거나 재활용하려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드라이 아이스나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은 경우에는 냉각통(30)과 덮개부재(10)가 일체화될수록 사용시의 편리함이 더욱 증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첫째,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환원시키므로써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증발되는 수증기를 다시 액화시켜 환원시키므로써 가열수단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1)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셋째, 냉매(40)의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냉각통(30)에 별도의 손잡이(A)를 구비시켜 냉각장치의 운반시의 편리함과 냉매(40) 배출시의 용이함을 함께 제공하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넷째,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기체)를 액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냉매(40)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상온(常溫)의 물이나 차가운 냉수, 그리고 고체상태의 얼음, 냉장 냉동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또는 드라이 아이스 등을 이용하므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냉매(40)로 이용되는 상온의 물이나 차가운 냉수가 응축관(50)을 따라 상승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온수로 변화될 경우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고온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1)으로부터 기화되어 냉매(40)에 작용되는 수증기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응축관(50)의 형상을 코일형상으로 성형하므로써 응축효율이 매우 좋아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덮개부재(10)와 냉각통(30) 사이에 단열판(20)을 위치시켜 용기(2)의 피조리품(1)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냉각통(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냉각통(30) 속에 내장된 냉매(40)가 저온의 상태를 쉽게 잃어버릴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냉매(40)의 제기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여덟째, 냉각통(30)의 걸림턱(31)에 응축관(5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안아 결착시키는 지지부재(70)를 구비시켜 응축관(50)의 좌우 회동현상을 방지하므로써 응축관(50) 하단부의 파손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홉째, 용기(2)의 크기(ℓ)에 능동적으로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부재(10)의 테두리를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 또는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를 구비시켜 제품 사용시의 소모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번째, 냉각통(30)을 덮개부재(10) 위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시키거나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여건에 따라 냉각통(30)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열한번째, 단열판(20)의 오목테(82)에 냉각통(30)의 돌출테(8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써 그 조립성이 더욱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열두번째, 냉각통(30)에 결합된 단열판(20)의 외주연을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끼움 받아들일 수 있도록 덮개부재(10) 위에 가이드 부재(13)를 돌출 형성하여 냉각통(30)의 흔들림이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번째, 단열판(20)에 일체화된 냉각통(30)이 덮개부재(10)로부터 분리될 경우 덮개부재(1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3)의 상측에 캡(90)을 씌워 통상의 조리기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이 있다.
열네번째, 응축관(50)의 하부 외주연에 응축관(50)의 하측방향 이동시의 하한선(下限線)을 제공하는 소형 원판형상의 하한판(52)을 돌출 성형시켜 냉매(40)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다섯번째, 피조리품(1)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써 피조리품(1)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탕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 1)을 가열시키는 용기(VESSEL; 2)와, 이 용기(2)를 개폐시키는 덮개부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탈취장치에 있어서,
    냉매(冷媒; 40)를 내장한 냉각통(30)과,
    상기 냉각통(30)의 냉매(40)에 침수되며 상기 덮개부재(10)를 통하여 상기 용기(2)에 연통되어 피조리품(1)이 익혀지면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를 함유한 증기를 상기 냉매(40)에 작용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관(50)과,
    상기 냉각통(30)을 개폐시키는 뚜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의 피조리품(1)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상기 냉각통(30)에 전달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재(10)의 중심 위에 놓여지는 단열판(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관(50)은 상기 단열판(20) 및 덮개부재(10)를 통하여 상기 용기(2)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뚜껑(60)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다수 회 회전되어 올라가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냉각통(30)에 내장된 냉매(40)에 접촉되는 표면적이 극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30)의 상측 내주연에 절곡된 걸림턱(31)과,
    상기 걸림턱(31)에 지지되면서 상기 응축관(5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안아 결착시키는 지지부재(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는 상기 용기(2)의 크기(ℓ)에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단형의 안착 테두리(11)에는 계단형의 밀폐용 패킹(12a)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는 상기 용기(2)의 크기(ℓ)에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형의 안착 테두리(12)에는 원판형의 밀폐용 패킹(12a)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30)과 단열판(20)은 결합수단(80)에 의하여 상호 일체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재(10) 위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80)은,
    상기 냉각통(3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테(81)와,
    상기 단열판(20) 위에 함몰 성형되어 상기 돌출테(81)를 끼움 받아 들이는 오목테(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의 상측에 원통형상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단열판(20)의 외주연을 안내하여 받아들이는 가이드 부재(13)와,
    상기 가이드 부재(13)의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단열판(20)의 하측면을 받쳐주는 받침턱(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20)에 일체화된 상기 냉각통(30)이 상기 덮개부재(10)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13)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재(10)를 밀폐시키는 캡(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외주연에 수나사부(13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캡(90)은 내주연에 암나사부(9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20)의 외주연은 피조리품(1)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13)의 내주연에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는 다수 개의 요철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30)의 밑면 중심에 뚫려진 끼움구멍(32)과, 상기 단열판(20)의 중심에 뚫려진 연통구멍(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관(50)은 상기 끼움구멍(32) 및 연통구멍(22)을 통하여 상기 용기(2)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22)은 내주연에 나사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관(50)의 하단 외주연은 상기 나사홈(22a)에 조임 결합되며 상기 냉각통(30)의 냉매(40)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나사산(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관(50)의 하부 외주연에 소형 원판형상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끼움구멍(32)에 끼워지는 응축관(50)의 하측방향 이동의 하한선(下限線)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통(30)의 냉매(4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한판(5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30)의 걸림턱(31) 내주연에 결착되어 상기 뚜껑(60)의 밀폐력을 증강시키는 밀봉패킹(31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9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는 상기 받침턱(14)을 중심방향으로 더욱 연장시켜 상기 단열판(20)의 연통구멍(22)에 일치되는 결합구멍(14a)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응축관(50)은 상기 단열판(20)의 연통구멍(22) 및 상기 덮개부재(10)의 결합구멍(14a)을 통하여 끼워진 후 너트(51a)로 조임 결합되어 상기 냉각통(30) 및 덮개부재(10)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KR2019990028106U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KR2001836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73A KR100331051B1 (ko)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73A Division KR100331051B1 (ko)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673Y1 true KR200183673Y1 (ko) 2000-06-01

Family

ID=196255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106U KR200183673Y1 (ko)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KR1019990057373A KR100331051B1 (ko)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73A KR100331051B1 (ko) 1999-12-14 1999-12-14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36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4318A1 (en) * 2005-03-30 2006-10-05 Sun Ja Seo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 the lid of cooking receptacle
KR200469270Y1 (ko) * 2011-08-17 2013-10-15 김춘동 조리용 타진냄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00B1 (ko) * 1999-08-30 2002-03-23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051B1 (ko) 2002-04-09
KR20010055994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320A (en) Device for cooking fowl
US5653161A (en) Food steamer with pressure venting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US6272976B1 (en) Poultry steamer
US7879381B2 (en) Cooking utensil with flavoring infuser
JPH06253975A (ja) 高温乾燥蒸気調理器
US5320028A (en) Cooking utensil
KR200183673Y1 (ko) 탈취장치
US6525299B2 (en) Electric garlic cooker
KR200227875Y1 (ko) 약탕기
KR100509543B1 (ko) 조리기구
KR200220377Y1 (ko) 약탕기
JP2887309B2 (ja) 調理器
KR200236952Y1 (ko) 증기 응결기
KR200220380Y1 (ko) 약탕기
KR200228041Y1 (ko) 약탕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0206682Y1 (ko) 증기 응결기
KR100346903B1 (ko) 증기 응결기
KR200298929Y1 (ko) 약탕기
KR100346901B1 (ko) 증기 응결기
KR100596193B1 (ko)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KR200228042Y1 (ko) 약탕기
KR100580564B1 (ko) 구이장치
KR200435579Y1 (ko) 간접가열식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